KR20080096514A -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 - Google Patents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514A
KR20080096514A KR1020087017649A KR20087017649A KR20080096514A KR 20080096514 A KR20080096514 A KR 20080096514A KR 1020087017649 A KR1020087017649 A KR 1020087017649A KR 20087017649 A KR20087017649 A KR 20087017649A KR 20080096514 A KR20080096514 A KR 2008009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power
power level
base station
indicator bit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540B1 (ko
Inventor
동치에 쿠이
유안-롱 쉔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9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20)는 이동국(22)으로부터 기지국(24,30,36)으로의 전송에 삭제 표시자 비트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기술을 포함한다.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는 업링크 상에서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다음, 기지국은 이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들의 대다수 법칙을 이용하여, 그것의 전송 전력을 조정한다. 그것은 기지국(24,30,36)과 이동국(22) 사이의 다운링크의 품질에 대응하는 희망하는 전력 제어 명령이 발생한다. 개시된 예는 최근 프레임이 삭제(a erasure)로 간주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반복된 에러 표시자 비트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로 간주된다면, 기지국은 다운링크 순방향 채널 상의 전력을 증가시킨다. 삭제로 간주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다운링크 순방향 채널 상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킨다. 개시된 예는 다운링크의 품질의 최근 이력에 따라 택일적인 전력 제어 조정 기술들을 포함한다.
전력 제어, 전송 전력, 다운링크 순방향 채널, 에러 표시자 비트, 삭제 표시자 비트

Description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 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USING THE REPETITION OF AN ERASURE INDICATOR BIT TO ENHANCE A POWER CONTROL COMMAND DURING HANDOFF}
본 발명은 통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장비들은 선택된 지리적 지역들에 걸쳐 무선 통신 커버리지(coverage)를 제공하도록 전략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셀 폰 또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이동국은 이동국이 위치된 지역 내에서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희망하는 서비스 레벨들 및 신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는 다양한 신호 기술들이 있다.
한 기술은 전력 제어를 포함한다.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쌍방향(two-way) 통신이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통신은 전형적으로 다운링크 통신이라 한다.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은 전형적으로 업링크 통신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전력 제어의 일 양상은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다운링크의 품질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한 전력 제어 명령 신호를 역방향 전력 제어 서 브-채널 상에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여 응답한다. 이러한 전력 제어에 대한 공지의 기술들이 있다.
이동국이 돌아다님에 따라, 상이한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양한 지역들간을 이동국이 이동할 때 다양한 기지국들이 이동국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이동국은 이동국이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동시에 통신하는 시간인 소프트 핸드오프 내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들에서, 이동국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기지국의 다운링크의 품질을 기지국으로 다시 보고한다. 그러면 각각의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링크 상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여, 예컨대 이동국과의 링크가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마치기 전에, 소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전력 제어 명령들이 빠른 페이딩 채널로 인하여 손상되어, 전력 제어 명령이 기지국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들이 있다. 기지국이 전력 제어 메시지를 그릇되게 번역하면, 무선 통화는 휴대폰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종료될 수 있다.
기지국이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을 그릇되게 해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향상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향상된 전력 제어 신호 기술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통신 방법은 한 프레임 내의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를 전력 제어 명령의 표시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는 한 프레임 내에서 삭제 표시자 비트를 16회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프레임을 수신하고, 프레임 내에서 대다수의 삭제 표시자 비트가 이동국에 의해 설정된 삭제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한다. 대응한다면, 기지국은 그것을 다운링크 상의 증가된 전송 전력을 위한 전력 제어 명령으로 해석한다. 그렇지 않다면,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의 전송 전력을 감소함으로써 응답한다.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를 이용함으로써, 다운링크 전송 전력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의 희망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기지국이 수신할 것이라는 개연성이 증가된다. 개시된 예는 삭제 표시자 비트와 별개인 전송 제어 명령에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는 희망하는 전력 제어의 표시를 제공한다.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를 가짐으로써, 기지국이 희망하는 표시를 수신하고, 다운링크 전송 전력의 조정으로 적절히 응답할 것이라는 개연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수반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유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을 요약하는 순서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에 유용하다. 소프트 핸드오프 절차 동안에서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은 예증을 위해서 기술된다. 본 설명의 유익을 취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전력 제어 기술의 응용가능한 용도를 이해하고, 그들의 특정한 상황에 대한 필요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무선 통신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도시한다. 이동국(22)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4)과 통신한다. 이동국(22) 및 기지국(24) 사이의 통신은 다운링크(26) 및 업링크(28)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동국(22)은 셀룰러 전화기, 노트북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할 수 있는 기타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동국(22)이 예컨대, 기지국(24)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리적 영역에 있을 때, 그것은 그 기지국과 통신한다.
때때로, 이동국(22)은 기지국들 사이에서 핸드오프할 것이다. 도1의 그림은 개략적으로 소프트 핸드오프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이동국(22)은 기지국(24) 및 다른 기지국(30)과 동시에 통신한다. 이동국(22)과 기지국(30) 사이의 통신은 다운링크(32) 및 업링크(34)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1의 예에서, 이동국(22)은 또한 기지국(36)과 통신한다. 이동국(22)과 기지국(36) 사이의 통신은 다운링크(38) 및 업링크(4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해된 예에서, 대부분의 통신 링크들은 매우 강건하여 이동국(22) 및 기지국들 사이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국(22) 및 기지국(36) 사이의 다운링크(38) 및 업링크(40)는 비교적 더 약하다. 링크(38) 상의 전송 전력이 증가되어야 한다. 다운링크들(26,32) 상의 전송 전력은 감소되거나 현재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이동국(22)과 각각의 기지국들(24,30,36) 사이에서 전력 제어 명령들을 통신하는 것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희망하는 전력 제어의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국(22)은 각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도2는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을 요약하는 순서도(50)를 포함한다. 논의의 목적으로, 도2의 예는 이동국(22)이 소프트 핸드오프 중에 있고, CDMA 2000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순서도(50)는 이동국이 소프트 핸드오프 중에 있는지의 결정이 수행되는 52에서 시작된다. 소프트 핸드오프가 아니라면, 도2의 나머지 절차는 이 예에서 수행될 필요가 없다.
이동국(22)이 소프트 핸드오프 모드에 있다고 가정하면, 54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동국으로 보내, 순방향 전력 제어 모드를 소프트 핸드오프 동안의 희망하는 통신들에 대응하는 모드로 설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이것은 CDMA 2000 표준에 따라 "011" FPC_MODE를 이용하여 순방향 전력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동국(22)은 역방향 전력 제어 서브-채널 상에서 에러 표시자 비트를 반복함으로써 이 모드 표시에 응답한다. 일 예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 서브-채널 상의 각각의 프레임 내의 모든 전력 제어 그룹(예컨대 16개의 전력 제어 비트들)이 에러 표시자 비트로 설정된다. 일 예에서, 20ms 프레임은 에러 표시자 비트의 16회 반복을 포함한다. 즉, 에러 표시자 비트는 일 예에서 16회 반복된다. 이것은 이러한 예에서 50 bits/s의 효과적인 피드백 레이트를 제공한다.
56에서, 기지국은 반복된 에러 표시자 비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기지국은 에러 표시자 비트 중 몇 개가 1을 갖는지와 0을 갖는지를 결정한다. 다 음, 기지국은 어느 것이 대다수인지를 결정한다. 일 예에서, 에러 표시자 비트는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가장 최근 통신을 적절하게 수신하지 못한 상황들에 대해 1의 값을 갖는다. 0의 에러 표시자 비트 값은 양호한 프레임이 이동국(22)에 의해서 수신되었음을 나타낸다.
기지국에서 수신된 1의 값을 갖는 에러 표시자 비트가 0의 값을 갖는 것보다 더 많은 도2의 예에서, 58의 단계에서 프로세스가 계속되어, 프레임은 삭제로 처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복된 에러 표시자 비트는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 상의 전송 전력의 희망하는 증가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명령의 표시를 제공한다. 즉, 수신된 삭제 표시자 비트들 중 대다수인 값이 희망하는 전력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
일 예에서, 기본적인 순방향 채널 상의(예컨대, 다운링크 상의) 전송 전력은 미리 선택된 증가분을 이용하여 조정된다. 일 예는 등식 Pnew_F-FCH=PF-FCH+△up 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전력 PF-FCH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up은 0.5dB이다.
도2에서, 60에서, 다운링크 전송 전력 레벨에 대한 조정이 그것을 특정 전방향 채널 상에서 허용될 수 있는 최대 전력보다 더 크게 하는지가 결정된다. 크게 하지 않는다면, 조정된 값이 전방향 채널 상의 전송 전력에 대해 이용된다. 다운링크 전송 전력 레벨의 조정이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도2의 예는 전송 전력이 가용한 최대 전력 레벨로 설정되는 단계 62를 포함한다. 프로세스는 다음 프레임에 대해 64에서 계속 진행된다.
56에서, "1"의 값을 갖는 삭제 표시자 비트들보다 "0" 삭제 표시자 비트들이 더 많다고 결정된 경우, 그 프레임은 70에서 "삭제 없음"으로 처리된다. 프레임 내의 수신된 삭제 표시자 비트들의 대다수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기지국은 그것을 다운링크 상의 전송 전력의 감소를 허용하는 전력 제어 명령의 표시로서 해석한다. 도2의 예는 전송 전력의 감소를 위한 두 가지 옵션들을 포함한다. 72에서, 2 이상의 연속적인 "삭제 없음" 프레임들이 있는지 결정한다. 없다면, 프로세스는 74에서 미리 선택된 감소분을 이용하여 순방향 채널 상의 전송 전력을 감소시킨다. 일 예는 등식 Pnew_F-FCH=PF-FCH-△down 을 이용하여 다운링크 전송 전력 PF-FCH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down은 0.02dB이다.
2 이상의 연속하는 "삭제 없음" 프레임들이 있는 경우, 그것은 매우 양호한 품질의 다운링크의 표시이다. 따라서, 다운링크 상의 전송 전력은 더 빠른 속도로 낮아지도록 가속될 것이다. 이것은 순방향 채널 상의 전송 전력이 낮아지도록 가속되는 도2의 예 중 76에서 이루어진다. 일 예는 등식 Pnew_F-FCH=PF-FCH-
Figure 112008051804628-PCT00001
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N은 연속하는 양호한 또는 "삭제 없음" 프레임들의 개수이다. 이 수를 전송 전력이 감소량을 곱하기 위한 인자로서 이용함으로써, 그 특정 채널 상의 최근 이력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을 더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2의 예는 감소된 전송 전력이 수용가능한 레벨 내에 있는지에 대한 78에서의 결정을 포함한다. 60에서의 결정은 전송 전력이 지나치게 클 수 없음을 확실히 한다. 78에서의 결정은 전송 전력이 지나치게 낮을 수 없음을 확실히 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대한 순방향 채널 전송 전력은 그 링크를 잃지 않기 위해 순방향 채널 록 문턱값(lock threshold) 보다 더 커야한다. 78에서의 결정은 감소된 전송 전력이 록 문턱값보다 더 큰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크지 않다면, 전송 전력이 록 문턱값과 적어도 같아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80에서 조정이 이루어진다. 감소된 다운링크 전송 전력이 록 문턱값보다 크다면, 절차는 80에서의 조정 없이 64로 진행한다.
반복된 에러 표시자 비트를 역방향 전력 제어 서브채널에 적용하는 것은 순방향 전력 제어를 향상시키고, 많은 상황에서의 휴대폰 통화 단절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더욱 강건하고 더욱 신뢰성 있는 전력 제어 명령들을 제공한다. 설명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 핸드오프 동안에 특히 유용한다.
에러 표시자 비트가 반복되는 전력 제어 그룹들(예컨대, 상기 예에서 20ms 동안의 16개의 전력 제어 그룹들)의 수에 대해, 반복된 에러 표시자 비트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누적되고 결합된다. 이것은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순방향 링크 상으로 전송되는 프레임 삭제와 관련된 더욱 강건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약한 링크로 연결된 기지국에 대해서도, 상기 예는 수신된 에러 표시자 비트 소프트 메트릭의 효과적인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한다. 개시된 예는 프레임 삭제와 관련된 더욱 신뢰성 높은 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술한 설명은 속성상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예시적인 것이다. 개시된 예들의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들 을 통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통신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안의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를 전력 제어 명령의 표시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대다수의 상기 수신된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의 값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순방향 링크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가 증가된 전송 전력에 대한 명령을 표시할 때, 미리 결정된 증가분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자동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리 결정된 증가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이 최대 레벨을 초과하게 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증가분을 이용하여도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이 상기 최대 레 벨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증가분만큼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증가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이 상기 최대 레벨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상기 최대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가 감소된 전송 전력에 대한 명령을 표시할 때, 미리 결정된 양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삭제 표시자 비트가 감소된 전송 전력에 대한 명령을 표시하는 연속하는 프레임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수가 문턱값 미만인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결정된 수가 상기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수를 포함하는 인자로 곱해진 상기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는 상기 결정된 수의 제곱근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은 2개의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미리 결정된 양을 이용함으로써 전송 전력 레벨이 록 문턱값(lock threshold) 미만이 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상기 미리 결정된 양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전송 전력레벨이 상기 록 문턱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양만큼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상기 미리 결정된 양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전송 전력 레벨이 상기 록 문턱값 미만이 되게 하는 경우, 상기 록 문턱값 레벨로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표시자 비트는 상기 프레임 내의 전력 제어 그룹들의 전체 세트에 대응하는 많은 횟수로 반복되는, 통신 방법.
KR1020087017649A 2006-01-27 2008-07-18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 KR101329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41,333 2006-01-27
US11/341,333 US20070177544A1 (en) 2006-01-27 2006-01-27 Using the repetition of an erasure indicator bit to enhance a power control command during handoff
PCT/US2007/002255 WO2007089635A1 (en) 2006-01-27 2007-01-26 Method of using the repetition of an erasure indicator bit to enhance a power control command during hand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514A true KR20080096514A (ko) 2008-10-30
KR101329540B1 KR101329540B1 (ko) 2013-12-19

Family

ID=3809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49A KR101329540B1 (ko) 2006-01-27 2008-07-18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70177544A1 (ko)
EP (1) EP1977532B1 (ko)
JP (1) JP5258581B2 (ko)
KR (1) KR101329540B1 (ko)
WO (1) WO2007089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9942A1 (en) 2010-12-21 2012-06-27 Research in Motion UK Limited RACH procedures and power level for MT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283B1 (ko) * 1998-02-10 2000-07-01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제어 방법
KR100288375B1 (ko) * 1998-05-25 2001-06-01 윤종용 역방향링크와독립적인순방향링크의전력제어방법
KR100285310B1 (ko) * 1998-07-29 2001-04-02 윤종용 Cdma통신시스템의삭제지시비트를이용한순방향전력제어파라미터제어방법
EP1234384B1 (en) * 1999-11-16 2005-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90095B2 (en) * 2000-02-14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multiple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96069B2 (en) * 2000-02-22 2006-0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multiple channel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JP3958066B2 (ja) * 2002-02-21 2007-08-1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送信出力回路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US7075905B2 (en) * 2002-09-11 2006-07-11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indicator bit (QIB) gen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24995A (ja) 2009-07-02
JP5258581B2 (ja) 2013-08-07
US20100284371A1 (en) 2010-11-11
EP1977532B1 (en) 2014-11-12
KR101329540B1 (ko) 2013-12-19
EP1977532A1 (en) 2008-10-08
WO2007089635A1 (en) 2007-08-09
US8249642B2 (en) 2012-08-21
US20070177544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9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6173162B1 (en) Multiple code channel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426960B2 (en) Increased capacity data transmission in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152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2146542B1 (en) SIR threshold adjusment in a closed loop power control system
JP2002536869A (ja) 送信ゲート又はキャップが潜在的に可能な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の方法及び装置
EP1225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gains and data rates to preserve voice quality in a CDMA system
US7194280B2 (en) Mobile station assisted forward link open loop power and rate control in a CDMA system
EP164240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1575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to maintain desired frame error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329540B1 (ko) 핸드오프 동안 전력 제어 명령을 강화하기 위한 삭제표시자 비트의 반복 이용
US20060229096A1 (en) Method of power control for call migration
JP2007525864A (ja) 移動リンクの電力制御方法
CN108243492B (zh) 无线蜂窝网络功率控制方法
MXPA990046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resholds and measurements of received signals by anticipating power control commands yet to be execu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