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027A -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027A
KR20080096027A KR1020070040864A KR20070040864A KR20080096027A KR 20080096027 A KR20080096027 A KR 20080096027A KR 1020070040864 A KR1020070040864 A KR 1020070040864A KR 20070040864 A KR20070040864 A KR 20070040864A KR 20080096027 A KR20080096027 A KR 2008009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device
module
pole plat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250B1 (ko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열 filed Critical 한상열
Priority to KR102007004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2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및 표시장치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표시장치(1)는, 소정의 입력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모듈(10); 상기 표시모듈(10)의 상면 외각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 극판(21)과, 상기 제1 극판(21)들 위에 적층되고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 가능하게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22)과, 상기 탄성층(22)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상기 탄성층(22) 위에 적층된 제2 극판(23)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극판(21)과 상기 제2 극판(23)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모듈(20); 및 상기 입력모듈(20)의 상면에 적층된 윈도우(30);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30)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극판(21)과 상기 제2 극판(23)의 중첩위치들에서 발생하는 상기 거리(d)들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변화들의 패턴들의 차이로부터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Capacitive Input and Display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표시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표시 장치의 적층 분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표시 장치의 적층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표시 장치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
2: 휴대용 단말기
3: CPU
4. 입력내용
10: 표시모듈
20: 입력모듈
21, 21a: 제1 극판
22: 탄성층
23: 제2 극판
30: 윈도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력/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및 표시장치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휴대전화기, 엠피쓰리, PDA, PM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등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는 소정 작동과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런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메뉴가 다양해지고 기능이 통합되는 추세에 따라 입력장치의 작동은 더욱 다양해지고 조작 회수도 그만큼 더 증가하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키패드에는 돔 스위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슬림화된 모델을 중심으로 돔 스위치 대신 정전용량식 입력장치가 도입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는 휴대전화기의 소형화에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용량식 입력장치는, 기판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입력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극판(적극, 예: 동판)을 배치하여 이들 극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손이 극판(즉, 손의 접촉을 검출하는 센싱포인트)에 접촉될 때 손과 극판 사이의 유전율에 따른 기생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어떤 극판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입력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의 CPU로 전송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키패드의 버튼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버튼을 조작할 때 원하지 않은 인접한 다른 버튼이 조작되는 등의 오작동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장치로서 정전용량식 입력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른 오작동의 문제가 일부 완화되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종래의 정전용량식 입력장치는, 손이 어떤 극판(전극)에 접촉 되었는가 만을 판별할 수 있을 뿐이고 각각의 극판들이 단일의 작동만을 입력하는 장치이므로, 지금까지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용량식 입력장치는 단지 선택메뉴의 위치를 이동하는 작동을 입력하는 기능만을 담당하고 이동된 메뉴에서의 필요한 작동을 입력하는 것은 기존의 돔 스위치를 이용하는 이중 구조가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돔 스위치 방식의 입력장치의 한계를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없었다.
위와 같은 종래 정전용량식 입력장치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 소유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61,000호(2006. 12. 18 등록)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가 제안되었다. 제661,000호의 입력장치는 손과 같은 도체를 극판에 접촉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기생 정전용량을 검출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른 다르게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크기로부터 다양 한 입력신호로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채용한 입력장치이며, 이로써 다양하고 정교한 형태의 작동을 오작동 없이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입력장치와 표시장치를 통합한 다수의 장치들이 널리 제안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3921호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일체화된 터치패널'(2005. 06. 10.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7355호의 터치패널이 일체된 전기광학표시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1312호(터치패널과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조립체) 등이 있다.
이들 종래의 입력/표시 통합장치는 표시장치(디스플레이)의 상부 전체면에 입력장치(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를 적층한 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록 입력장치의 소재로 투명한 소재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입력장치가 표시장치의 전체면을 덮고 있어서 표시장치로부터의 광투과율을 저하시켜 표시장치로부터의 광량이 그 위에 적층된 입력장치에 의해 감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내용의 선명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입력/표시 통합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장치(모듈)가 표시장치(모듈) 위에 적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시장치의 표시내용의 선명도(투과율)가 입력장치로 인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 입력장치가 표시장치 위에 적층되어 있지 않은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 되며, 제조과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 적합한 입력/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 적합한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는, 소정의 입력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의 상면 외각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 극판과, 상기 제1 극판들 위에 적층되고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 가능하게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과, 상기 탄성층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상기 탄성층 위에 적층된 제2 극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극판과 상기 제2 극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모듈; 및 상기 입력모듈의 상면에 적층된 윈도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는, 상기 윈도우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극판과 상기 제2 극판의 중첩위치들에서 발생하는 상기 거리들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변화들의 패턴들의 차이로부터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극판은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극판은 상기 제1 극판들의 전체를 커버하는 단일의 극판 또는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극판으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 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엠피쓰리, PDA, PM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등 각종 휴대용 단말기(2)에 각종 데이터나 조작을 입력하고 표시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에 사용하기 적합한 입력/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의 CPU(3)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고 입력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와 휴대용 단말기(2)의 회로적 연결 자체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또한 종래의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는, 종래의 입력/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표시모듈(10) 위에 입력모듈(20)과 윈도우(30)가 차례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표시모듈(10)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 적합한 통상의 표시모듈(10)로서,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수단으로 널리 사용되는 LCD 등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표시모듈(10)에는 입력모듈(20)에 의해 입력할 수 있는 입력내용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며, 입력모듈(20)의 입력내용이 표시모듈(10)에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은 대표적인 입력/표시 장치인 공지의 터치스크린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기술들을 본 발명의 장치(1)의 용도와 기능에 맞게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표시모듈(10) 자체의 구체적인 구성과 표시모듈(10)과 입력모듈(20) 사이의 상호 작용 등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또한 종래의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에 적용되는 입력모듈(20)은, 제1 극판(21), 탄성층(22) 및 제2 극판(2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중 적어도 하나의 극판은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진다.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은 도시되지 않은 매트릭스 회로를 통해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컨트롤러는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장치(1)가 장착된 단말기(2)의 CPU(3)로 전송한다.
제1 극판(21)은 통상적인 정전용량식 입력장치에 적용되는 일측 전극판으로서 동판과 같은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 중 적어도 하나의 극판은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시된 구체예와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극판(21)은 반드시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고 제2 극판(23)은 다수 또는 단일의 극판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지만, 반대로 제2 극판(23)이 반드시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고 제1 극판(21)은 다수 또는 단일의 극판인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제1 극판(21)은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을 커버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모듈(10)의 외각 테두리를 따라 적층 배치된다.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에 있어서 입력모듈(20)을 구성하는 제1 극판(21)과 이후에 설명되는 탄성층(22) 및 제2 극판(23)이 종래와 같이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에 적층 배치하지 아니하고 그 테두리에만 적층 배치하는 것은,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에 입력모듈(20)이 적층되는 것에 의해 표시모듈(10)의 디스플레이 내용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 내용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입력모듈(20)을 표시모듈(10)의 테두리에만 배치하면서도 전체면에 배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모듈(10)에 표시된 소정의 입력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작용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3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예시된 표시모듈(10)의 외각 둘레에 길게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1 극판(21)을 총 16개(가로세로 각각 4개씩) 적층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1 극판(21)의 형상, 크기, 개수, 인접한 제1 극판(21)과 제1 극판(21) 사이의 간격 및 배치 방법 등은, 표시모듈(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내용을 가능한 차단(입력모듈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완전한 차단은 아니지만 표시모듈의 상면을 커버하여 가리게 되는 것을 말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가 장착되는 단말기의 종류와 그 장착에 허용되는 공간의 크기, 본 발명의 장치(1)에 요구되는 입력 작동의 종류와 입력 작동의 민감도 등에 맞게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22)은 전체의 제1 극판(21)들에 걸쳐 제1 극판(21)의 상면에 일정한 두께(d: 거리)로 적층되며, 결국 탄성층(22)도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에 배치되지 아니하고, 제1 극판(21)이 배치된 테두리에만 제1 극판(21)의 상측에 적 층된다.
탄성층(22)은 두 극판(21, 23) 사이에 존재하여 일종의 유전체로서 작용하면서 가해진 외부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두께(d)가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가변되어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 사이의 거리(d)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의 중첩위치에 대응하는 센싱포인트들의 정전용량이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로 변화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탄성층(22)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PVC계, 폴리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등 널리 알려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중에 본 발명에 적합한 TPE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극판(23)은 제1 극판(21)과 같이 동판으로 대표되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층(22)을 사이에 두고 제1 극판(21)의 상측에 일정 거리(d) 만큼 이격되어 적층된다. 결국 제2 극판(23)도 제1 극판(21)과 탄성층(22)과 같이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에 배치하지 아니하고 그 테두리에만 탄성층(22)의 상측에 적층된다.
예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극판(21)은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2 극판(2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극판(21)의 전체면을 덮는 단일의 극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2장 이상의 다수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제1 극판(21)과 동일한 개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극판(21, 23)들은 극판들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 매트릭스 회로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이 탄성층(22)을 사이에 두고 적층됨에 따라, 제2 극판(23)은 탄성층(22)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제1 극판들(21)과 이격하여 배치되며, 양 극판들(21, 23)의 중첩점들은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이 모두 위치하는 위치들로서, 이들 중첩점들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변화를 일으키는 센싱포인트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윈도우(30)는 입력모듈(20)의 상측 전체면을 커버하는 투명한 판상의 부재로서, 표시모듈(10)과 입력모듈(20)을 보호하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직접 받아서 입력모듈(20)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윈도우(30)를 표시모듈(10) 및 입력모듈(20)과 대등한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윈도우(30)를 입력모듈(20)의 제2 극판(23)의 상측에 적층되는 입력모듈(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인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표시 장치(1)의 특징적 구성에 따라, 윈도우(30)의 특정 위치에 외력이 가해져서 입력모듈(20)의 특정위치가 가압되면, 가압된 위치의 아래에 존재하는 센싱포인트들에서는 제2 극판(23)과 탄성층(22)이 가압되어 탄성층(22)이 수축하면서 제1 극판(21)과 제2 극판(23) 사이의 각각의 거리(d)가 가변(줄어들게) 되고, 이런 각각의 거리(d)의 변화에 따라 해당 센싱포인트에서는 C = μA/d의 공식(여기에서 C는 정전용량, μ는 유전율, A는 면적, d는 극판 사이의 거리이다)에 해당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전전용량의 변화량은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층(22)과 제2 극판(23)은 탄성층(22)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에 의해 특정 입력내용이 입력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편의상 본 발명의 장치(1)의 표시모듈(10)에는 0-9의 숫자, *, #, 상하좌우 이동, SAND, END 등의 입력내용(4)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된 입력내용(4) 중에 하나를 입력하는 작동을 하는 것을 상정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 윈도우(30)를 가압하되 '#'이 표시된 위치의 윈도우(30)를 가압하면 윈도우(30)를 통해 그 하측에 있는 입력모듈(20)에 압력이 가해지되, 다수의 제1 극판(21)들 중에 '#'에 가장 인접한 제1 극판(21a)에서 가장 큰 압력을 받아 '#'에 가장 인접한 제1 극판(21a)이 속한 센싱포인트에서의 거리(d)가 가장 짧아져 그 정전용량변화가 가장 크게 되고, '#'에 가장 인접한 제1 극판(21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해진 압력이 적어져 거리(d)의 변화량이 적어짐으로 점차 그 정전용량변화가 작아지게 되는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이런 정전용량변화의 패턴들은 압력이 가해진 윈도우(30)의 위치가 어디인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윈도우(30)의 상에 있는 수많은 지점들의 외부 압력에 대한 모든 센싱포인트들의 정전용량변화 패턴들을 미리 측정 및 정형화하고, 정형화된 기준패턴들과 이들 기준패턴들에 대응하는 소정의 입력내용들을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 또는 본 발명의 장치(1)가 장착되는 단말기(2)에 저장하여 두고, 실제로 본 발명의 장치(1)로 소정의 입력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윈도우(30)의 특정 지점을 가압하였을 때 실측되는 정전용량변화의 실측 패턴을 상기 기준패턴들과 비교하면, 실제의 입력 작동(가압)이 어떤 입력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작동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는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이 아닌 테두리에만 입력모듈(20)을 배치하는 구조만으로도, 입력모듈(20)이 표시모듈(10)의 상측 전체면에 배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윈도우(30)의 전체면 중에 어떤 위치를 가압하였는가를 판별하여 그에 해당하는 입력내용(4)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종래 정전용량식의 입력장치는 손과 같은 도체를 접촉시켜야 기생 정전용량을 검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에 적용되는 입력모듈(20)은 상기 거리(d)를 가변시킬 수 있는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족하다.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를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20)을 통해 단 한 세트의 입력내용만을 입력할 있도록 하고 표시모듈(10)에는 이에 대응하는 단 한 세트의 입력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입력모듈(20)과 표시모듈(10)로 2가지 세트 이상의 입력내용을 선택적으로 입력 및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가 적용된 휴대전화기(2)를 전화통화 등에 사용할 때에는,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0-9의 숫자 등을 디스플레이 및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전화기(2)로 게임을 할 때에는, 게임에 필요한 다른 입력내용을 디스플레이 및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로 2가지 세트 이상의 입력내용을 입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표시모듈(10) 입력모듈(20) 및 휴대용 단말기(2)의 관련 회로를 필요에 맞게 구축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탑재함으로써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입력/표시 장치(1)가 휴대용 단말기(2)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표시 장치는, 입력모듈을 표시모듈의 상측 전체면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표시모듈의 테두리에만 적층된 구조이므로, 표시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의 대부분이 입력모듈에 의해 차단되지 아니하므로 입력/표시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내용의 선명도가 입력모듈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입력모듈의 구조가 매우 단단하므로 입력/표시 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형화를 추구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에도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입력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모듈(10);
    상기 표시모듈(10)의 상면 외각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 극판(21)과, 상기 제1 극판(21)들 위에 적층되고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 가능하게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22)과, 상기 탄성층(22)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상기 탄성층(22) 위에 적층된 제2 극판(23)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극판(21)과 상기 제2 극판(23)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모듈(20); 및
    상기 입력모듈(20)의 상면에 적층된 윈도우(30); 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30)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극판(21)과 상기 제2 극판(23)의 중첩위치들에서 발생하는 상기 거리(d)들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변화들의 패턴들의 차이로부터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판(21)은 다수의 극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극판(23)은 상기 제1 극판(21)들의 전체를 커버하는 단일의 극판 또는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극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KR1020070040864A 2007-04-26 2007-04-26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KR10089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864A KR100894250B1 (ko) 2007-04-26 2007-04-26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864A KR100894250B1 (ko) 2007-04-26 2007-04-26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027A true KR20080096027A (ko) 2008-10-30
KR100894250B1 KR100894250B1 (ko) 2009-04-21

Family

ID=4015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864A KR100894250B1 (ko) 2007-04-26 2007-04-26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40B1 (ko) * 2008-11-14 2011-03-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터치입력장치, 이를 이용한 휴대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6499A2 (en) * 2009-02-17 2010-08-26 Noah Anglin Floating plane touch detection system
KR101057491B1 (ko) 2010-04-20 2011-08-22 (주)하이디스터치스크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1162035B1 (ko) 2010-11-30 2012-07-03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301B1 (ko) * 2001-07-30 2002-03-18 장광식 정윤철 터치 스크린의 전극연결구조
KR100661000B1 (ko) 2005-12-05 2006-12-22 한상열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40B1 (ko) * 2008-11-14 2011-03-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터치입력장치, 이를 이용한 휴대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250B1 (ko)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3317B2 (en) Capacitive control panel
US9354714B2 (en) Keypad with integrated touch sensitive apparatus
US7940251B2 (en) Input device
US8508492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press operation position thereon
KR101233021B1 (ko)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단면 전기 용량 힘 센서
KR100943989B1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KR101375401B1 (ko) 데이터 입력 장치 및 휴대용 전자 장치
US8497786B2 (en) Capacitive keyboard with enhanced electrode areas
KR101097869B1 (ko) 정전용량식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
KR20110088565A (ko) 압전 햅틱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101362843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방법
US10126887B2 (en) Touch panel
KR100894250B1 (ko)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KR100787834B1 (ko)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20130040060A (ko) 터치 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100182276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press operation position thereon
CN113010042B (zh) 一种触控显示面板
KR101145156B1 (ko) 압력기반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US20100156838A1 (en) Capacitive input display device
JP2012003522A (ja) タッチパネル
US20140043290A1 (en) Touch screen device
JP5204602B2 (ja) 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US20100182266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press operation position thereon
KR20110051871A (ko)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제어 방법
KR100764569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