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40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404A
KR20080095404A KR1020070039827A KR20070039827A KR20080095404A KR 20080095404 A KR20080095404 A KR 20080095404A KR 1020070039827 A KR1020070039827 A KR 1020070039827A KR 20070039827 A KR20070039827 A KR 20070039827A KR 20080095404 A KR20080095404 A KR 20080095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air conditioner
cable
va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404A/ko
Publication of KR2008009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섀시의 상부에 모터 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되고, 제어부가 전기장치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섀시에 설치되며, 섀시에 전기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부가 형성되어, 섀시의 상부측에 모터 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도 케이블을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섀시, 모터, 전기장치, 제어부, 케이블, 케이블 홀더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정지 중일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정지 중일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일부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부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부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12: 섀시
20: 프론트 프레임 40: 상부 토출 가이드
48: 상부 베인 50: 하부 토출 가이드
58: 하부 베인 64: 상부 팬모터
68: 하부 팬모터 82: 상부 베인모터
87: 하부 베인모터 90: 제어부
92: 상부 팬모터 케이블 94: 하부 팬모터 케이블
96: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 98: 하부 베인모터 케이블
100: 전원 케이블 110: 케이블 홀더부
112: 상측 돌출편 113: 상측 걸림턱
114: 하측 돌출편 115; 하측 걸림턱
120: 개구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등의 전기장치가 제어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경우 전기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제어부의 상측 위치되게 형성된 케이블 홀더부에 고정시켜 제어부의 상측을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 시(202)와, 상기 섀시(202)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204)가 형성되고 상면에 흡입 그릴(20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에 공기 토출구(208)가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210)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면 흡입 그릴(212)과, 상기 섀시(202)에 장착되는 모터(214)와, 상기 모터(214)에 연결된 송풍팬(216)과, 상기 송풍팬(216)과 상기 공기 흡입구(204) 및 흡입 그릴(206)의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204)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 필터(205)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 그릴(212)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204) 및 프리 필터(205)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가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응축수 받이부(2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208)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2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222)을 포함하는 토출 그릴(224)이 장착된다.
상기 토출 그릴(224)에는 베인(222)을 공기 토출구(208)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 토출구(208)가 개방되게 하거나 베인(222)을 공기 토출구(208)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 토출구(208)가 밀폐되게 하는 베인모터(225)가 설치된다.
즉, 베인(222)은 베인모터(225)의 회전축에 일측이 연결되어 베인모터(22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공기 토출구(208)를 개폐한다.
한편, 섀시(202)의 좌우 중 일측에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PCB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제어부(230)가 설치된다.
제어부(230)는 팬모터(214)와 케이블(232)로 연결되고, 베인 모터(225)와 케이블(234)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232)(234)은 공기조화기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팬모터(214) 및 베인 모터(225)와 제어부(230)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팬모터(2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216)이 회전되면, 상기 흡입 그릴(212) 전방의 실내공기가 상기 흡입 그릴(212)과 전면 공기 흡입구(20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205)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과 섀시(202)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 상측의 실내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20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프레임(210)과 섀시(202)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18)를 지나가는 냉매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송풍팬(2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220) 및 베인(2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208)를 지나서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그 전면 및 상면을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218)에서 냉각/가열된 후 그 하부만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공기조화기와 멀리 떨어진 영역을 포함하는 실내 전체를 공조되는데 상당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고, 공기조화기의 대략 상부측에 팬모터와 베인모터 등과 같은 전기장치를 설치하여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상면을 통해 토출되게 하면, 공조 공기가 공기조화기와 멀리 떨어진 영역까지 도달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나, 이 경우 팬모터와 베인모터 등의 전기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제어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간결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케이블이 유동되어 열교환기 등의 기타 부품과 간섭되어 손상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베인모터 등의 전기장치를 설치한 경우 케이블을 간결하게 정리함과 아울러 케이블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섀시 자체가 케이블을 고정하여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홀더가 불필요하고 전체 제작 공정이 단순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부에 위치되는 전기장치와; 상기 섀시에 상기 전기장치의 위치 보다 높이가 낮은 위치에 설치된 제어부와; 상기 전기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가이드와; 상기 토출 가이드에 위치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좌,우 중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부와 근접한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섀시의 좌,우 중에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섀시는 좌,우 중에서 상기 제어부의 반대편 상측 위치에 모터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모터 설치부에 설치된 팬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 홀더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섀시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부는 상기 섀시의 후판부에서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된다.
상기 케이블 홀더부는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편이다.
상기 복수개의 돌출편은 전방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혀진다.
상기 복수개의 돌출편은 선단에 걸림턱이 대향되게 돌출된다.
상기 섀시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편이 돌출되는 부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 된 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정지 중일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정지 중일때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의 전면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본체(2)의 전면으로 흡입되어 본체(2) 내부에서 공조된 후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을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본체(2)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일종의 케이싱으로서, 그 전면에 전면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데 복수개의 전면 공기흡입구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전면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본체(2)는 그 전면의 상부에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가 형성되고, 그 전면의 하부에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가 형성되며, 그 상면에 상면 공기토출구(8)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 하면 공기토출구(10)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본체(2)는 실내의 벽에 장착되는 설치부재에 의해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섀시(12)와, 섀시(12)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프론트 프레임(20)과, 섀시(12)와 프론트 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 공기토출구(8)가 형성된 상부 토출 가이드(40)와; 섀시(12)와 프론트 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면 공기토출구(10)가 형성된 하부 토출 가이드(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의 내부에는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2)의 내부를 통하도록 한 후 상면 공기토출구(8)와 하면 공기토출구(1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시키는 송풍기(60)와,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가열 혹은 냉각시키는 열교환기(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송풍기(60)는 하나의 송풍팬이 정회전되면서 상면 공기토출구(8)로 공기를 토출하거나 역회전되면서 하면 공기토출구(10)로 공기를 토출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 송풍팬(62)이 공기를 상면 공기토출구(8)로 토출하고, 하부 송풍팬(66)이 공기를 하면 공기토출구(10)로 토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부 송풍팬(62)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상면 공기토출구(8)로 토출하고 하부 송풍팬(66)이 본체(2)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하면 공기토출구(10)로 토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송풍기(6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무관하게 상부 송풍팬(62)과 하부 송풍팬(66)을 함께 회전시켜, 냉기 혹은 온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부와 하부로 분산 토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냉방시에는 하부 송풍팬(66)을 정지시키고 상부 송풍팬(62)만 회전시켜 냉기가 공기조화기의 상면부를 통해서만 토출되고 난방시에는 상부 송풍팬(62)을 정지시키고 하부 송풍팬(66)만 회전시켜 온기가 공기조화기의 하면부를 통해서만 토출되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부 송풍팬(62)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이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횡류팬으로서,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의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상부 송풍팬(62)의 옆에 위치되게 섀시(12)에 설치된 상부 팬모터(64)에 연결된다.
하부 송풍팬(66)은 상부 송풍팬(62)과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이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횡류팬으로서,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의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하부 송풍팬(66)의 옆에 위치되게 섀시(12)에 설치된 하부 팬모터(68)에 연결된다.
열교환기(70)는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로 흡입된 공기가 모두 통과하도록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의 후방 상측에서부터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의 후방 하측에 이르도록 배치된다.
열교환기(70)는 본체(2)의 내부에 상하 및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크기를 최대화하면서 내부 공간의 효율적 활용 및 컴팩트화를 위해 중앙부가 상부 송풍팬(62)과 하부 송풍팬(66)의 사이를 향해 전체적으로‘>’형상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열교환기(70)는 중앙부가 돌출되게 절곡될 경우,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의 대략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부 수직부(72)와, 상부 수직부(72)의 하 단에서 상부 송풍팬(62)과 하부 송풍팬(66)의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중앙 상측 경사부(7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의 대략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하부 수직부(76)와, 하부 수직부(76)의 상단에서 상부 송풍팬(62)과 하부 송풍팬(66)의 사이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 중앙 하측 경사부(78)로 이루어진다.
열교환기(70)는 상부 수직부(72)와 중앙 상측 경사부(74)와 중앙 하측 경사부(78)와 하부 수직부(76)가 한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 수직부(72)와 중앙 상측 경사부(74)가 한 몸체로 이루어져 상측 열교환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중앙 하측 경사부(78)와 하부 수직부(76)가 한 몸체로 이루어져 하측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열교환기(70)는 상측 열교환기와 하측 열교환기로 이루어질 경우 둘 사이가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고, 홀더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열교환기(70)는 상부 수직부(72)와 중앙 상측 경사부(74)와 중앙 하측 경사부(78)와 하부 수직부(76)가 한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열교환기(70)는 냉/난방 등의 운전 모드와 무관하게 냉매가 열교환기(70)의 냉매 유로 모두를 통과하는 것도 가능하고, 냉/난방 등의 운전 모드에 따라 냉매가 열교환기(70)의 냉매 유로 중 일부만을 통과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냉매가 운전 모드와 무관하게 열교환기(70)의 냉매 유로 모두를 통과하도록 냉매 유로가 형성될 경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중 어느 한 운전시 상부 송풍팬(62) 및 하부 송풍팬(66)이 모두 회전되고, 냉매가 열교환기(70)의 모든 냉매 유로를 통과하면, 공기는 열교환기(70) 전체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거나 가열된 후 상면 공기 토출구(8)와 하면 공기 토출구(10)로 분산 토출된다.
반대로, 냉매가 운전 모드에 따라 열교환기(70)의 냉매 유로 중 일부만을 통과하도록 열교환기(70)의 상부측 냉매 유로와 하부측 냉매 유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부측 냉매 유로와 하부측 냉매 유로를 조절하는 밸브 등의 냉매 조절수단이 구비될 경우,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하부 송풍팬(66)이 회전되지 않고 상부 송풍팬(62)만 회전되면서 냉매 조절수단이 열교환기(70) 중에서 상부측 냉매 유로로만 냉매가 통과하게 하면, 본체(2)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70)의 상부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상면 공기 토출구(8)를 통해서만 토출되고,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부 송풍팬(62)이 회전되지 않고 하부 송풍팬(66)만 회전되면서 냉매 조절수단이 열교환기(70) 중에서 하부측 냉매 유로로만 냉매가 통과하게 하면, 본체(2)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70)의 상부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하면 공기 토출구(10)를 통해서만 토출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세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섀시(12)는 도 1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플라스틱류의 수지를 용융시켜 사출금형에서 사출 성형되고, 상부 송풍 팬(62)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부 송풍팬(6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송풍팬 유로부(13)와, 상부 송풍팬(60)을 회전시키는 상부 팬모터(64)가 설치되는 상부 팬모터 설치부(14)와, 하부 송풍팬(66)이 수용됨과 아울러 하부 송풍팬(66)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송풍팬 유로부(15)와, 하부 송풍팬(66)을 회전시키는 하부 팬모터(68)가 설치되는 하부 팬모터 설치부(16)가 형성된다.
섀시(10)는 상부 송풍팬 유로부(13)가 새시(12)의 상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 송풍팬 유로부(15)가 섀시(12)의 하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섀시(10)는 상부 팬모터(64) 및 하부 팬모터(68)의 방열 등을 고려하여 상부 팬모터 설치부(14)와 하부 팬모터 설치부(16)가 상부 송풍팬 유로부(13)와 하부 송풍팬 유로부(15)를 사이에 두고 새시(12)에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바, 예를 들어, 상부 팬모터 설치부(14)가 상부 송풍팬 유로부(13)의 좌측에 형성될 경우, 하부 팬모터 설치부(16)가 하부 송풍팬 유로부(15)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부 팬모터 설치부(14)가 상부 송풍팬 유로부(13)의 우측에 형성될 경우, 하부 팬모터 설치부(16)가 하부 송풍팬 유로부(15)의 좌측에 형성된다.
섀시(10)에는 상부 팬 모터(64)의 앞부분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모터 커버(17,이하, 상측 모터 커버라 칭함)가 상부 팬모터 설치부(14)에 결합되고, 하부 팬 모터(68)의 앞부분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모터 커버(18, 이하, 하측 모터 커버라 칭함)가 하부 팬모터 설치부(16)에 결합된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판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배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고, 공기 흡입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가 최대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프레임(20)은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의 이외 위치에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 등의 각종 영상을 표시하거나 공기조화기의 운전 명령 등을 입력하는 디스플레이(22)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2)는 상부 송풍팬(62)과 하부 송풍팬(66)의 사이 전방인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의 사이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22)는 프론트 프레임(2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 사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전면 상부 패널(24) 및 전면 하부 패널(26)이 후방으로 수평으로 이동되어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 및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를 밀폐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상부 패널(24)의 전면부 및 전면 하부 패널(26)의 전면부가 디스플레이(22)의 전면과 단차지지 않도록 프론트 프레임(2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에는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흡입구(6)를 개폐하는 전면 패널(23)이 구비된다.
전면 패널(23)은 프론트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식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게 배치되어 전후 진퇴식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진퇴됨과 아울러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면 패널(23)은 하나의 전면 패널이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6)를 함께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를 개폐하는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6)를 개폐하는 전면 하부 패널(26)의 상하 분리 구조로서 전면 상부 공기흡입구(4)와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6)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하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전면 상부 패널(24)은 전면 상부 공기 흡입구(4) 보다 크게 형성된 전면부(24A)와, 상기 전면부(24A)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본체(2)의 측면부를 일부 덮는 좌,우 측면부(24B)(24C)를 포함한다.
즉, 전면 상부 패널(24)은 그 전진시 좌,우 측면부(24B)(24C)가 프론트 프레임(20)의 측면부와 전면 상부 패널(24)의 전면부 사이를 막고, 그 후퇴시 좌,우 측면부(24B)(24C)가 프론트 프레임(20)의 측면부를 덮는다.
전면 하부 패널(26)은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6) 보다 크게 형성된 전면부(26A)와, 전면부(26A)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본체(2)의 측면부를 일부 덮는 좌,우 측면부(26B)(26C)를 포함한다.
즉, 전면 하부 패널(26)은 그 전진시 좌,우 측면부(26B)(26C)가 프론트 프레임(20)의 측면부와 전면 하부 패널(26)의 전면부 사이를 막고, 그 후퇴시 좌,우 측 면부(26B)(26C)가 프론트 프레임(20)의 측면부를 덮는다.
여기서, 전면 하부 패널(26)과 전면 상부 패널(24)은 진퇴시 디스플레이(22)와 간섭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22)의 높이 보다 큰 간격을 두고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본체(2)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에는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7)가 배치되는 바, 필터(27)는 전면 상부 공기 흡입구(4)에 위치되도록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필터(27A)와,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6)에 위치되도록 프론트 프레임(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필터(27B)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 특히 프론트 프레임(20)에는 전면 패널(23)인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을 전후 수평 이동시키는 패널 구동기구(28)가 구비된다.
패널 구동기구(28)는 구동원과, 구동원의 동력을 전면 패널(23)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로 이루어된다.
패널 구동기구(28)는 구동원과 동력 전달부가 복수 셋트 구비되어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이 독립적으로 전후 수평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동원과 동력 전달부의 한 셋트가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 중 어느 하나를 전후 수평 이동시키고,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이 연동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어느 하나(24)의 이동시 다른 하나(26)가 함께 전후 수평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구동원와 동력 전달부가 한 셋트 구비되되 동력 전달부가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 모두에 각각 연결되어 전면 상부 패널(24)과 전면 하부 패널(26) 모두를 동시에 전후 수평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 상부 패널(24)을 구동시키는 상부 패널 구동기구(28A)와, 전면 하부 패널(26)을 구동시키는 하부 패널 구동기구(28B)가 각각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부 패널 구동기구(28A)는 프론트 프레임(2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하부 패널 구동기구(28B)는 프론트 프레임(20)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부 토출 가이드(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져(42)와, 스테빌라이져(42)와 함께 상면 공기토출구(8)를 형성하는 좌,우 측면부(44)(46)를 포함한다.
스테빌라이져(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송풍팬(62)의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를 구분하는 것으로서, 섀시(12)의 상부 송풍팬 유로부(13)의 배면부와의 이격 거리가 상부로 갈수록 가까워지다가 멀어지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토출 가이드(40)에는 상면 공기토출구(8)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면 공기토출구(8)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거나 상면 공기토출구(8)를 밀폐하는 상부 베인(48)이 배치된다.
상부 토출 가이드(40)에는 상부 베인(48)이 상면 공기 토출구(8)를 개방하였을 때 본체(2)의 내부를 보호하도록 상부 토출망(49)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토출 가이드(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져(52)와, 스테빌라이져(52)와 함께 하부 공기토출구(10)를 형성하는 좌,우 측면부(54)(56)를 포함한다.
스테빌라이져(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송풍팬(66)의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를 구분하는 것으로서, 섀시(12)의 하부 송풍팬 유로부(15)의 배면부와의 이격 거리가 하부로 갈수록 가까워지다가 멀어지는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토출 가이드(50)에는 하부 공기토출구(10)를 개방함과 아울러 하부 공기토출구(10)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거나 하부 공기토출구(10)를 밀폐하는 하부 베인(58)이 배치된다.
하부 토출 가이드(50)에는 하부 베인(58)이 하면 공기 토출구(10)를 개방하였을 때 본체(2)의 내부를 보호하도록 하부 토출망(59)이 설치된다.
한편, 본체(2)에는 상부 베인(48)을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수단(이하, 상부 베인 구동수단이라 칭함)과, 하부 베인(58)을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수단(이하, 하부 베인 구동수단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상부 베인 구동수단은 상부 베인(48)을 단순히 회전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지 는 것도 가능하고, 상부 베인(48)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베인 구동수단(80)은 상부 베인(48)을 단순히 회전 동작시킬 경우, 상부 베인(48)의 회전축이 연결된 베인모터를 포함하고, 상부 베인(48)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회전 동작시킬 경우, 상부 베인(48)을 위치 이동시키는 상부 위치 이동 레버(81)와, 상부 위치 이동 레버를 회전시키는 상부 베인모터(82)와, 상부 베인(48)의 위치 이동시 상부 베인(48)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부 베인(48)에 연결된 상부 회전 레버(83)와, 상부 베인(48)의 위치 이동시 상부 회전 레버(83)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게 안내하는 상부 레버 가이드(84)를 포함한다.
이하, 상부 베인 구동수단(80)이 상부 베인(48)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회전 동작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부 베인 구동수단(80)은 상부 베인(48)을 전방 상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켜 상면 공기토출구(8)를 개방되게 하고, 상부 베인(48)을 후방 하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수평하게 회전시켜 상면 공기토출구(8)가 밀폐되게 한다.
하부 베인 구동수단(85)은 하부 베인(58)을 단순히 회전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하부 베인(58)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베인 구동수단(85)은 하부 베인(58)을 단순히 회전 동작시킬 경우, 하부 베인(58)의 회전축이 연결된 베인모터를 포함하고, 하부 베인(58)을 위치 이동 시키면서 동시에 회전 동작시킬 경우, 하부 베인(58)을 위치 이동시키는 하부 위치 이동 레버(86)와, 위치 이동 레버를 회전시키는 하부 베인모터(87)와, 하부 베인(58)의 위치 이동시 하부 베인(58)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부 베인(58)에 연결된 하부 회전 레버(88)와, 하부 베인(58)의 위치 이동시 하부 회전 레버(88)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되게 안내하는 하부 레버 가이드(89)를 포함한다.
이하, 하부 베인 구동수단(85)이 하부 베인(58)을 위치 이동시키면서 회전 동작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하부 베인 구동수단(85)은 하부 베인(58)을 전방 하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경사지게 회전시켜 하면 공기토출구(10)를 개방되게 하고, 하부 베인(58)을 후방 상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수평하게 회전시켜 하면 공기토출구(10)가 밀폐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일부가 확대 도시된 정면도이다.
섀시(12)에는 도 1 및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제어부(90)가 설치된다.
제어부(90)는 상부 팬모터 설치부(14)의 하측 위치와 하부 팬모터 설치부(16)의 상측 위치 중 적어도 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 팬모터 설치부(16)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90)는 내부에 각종 전장부품이 수용되고 본체(2)에 설치된 각종 모터 등의 전기장치(64)(68)(82)(87)와 각종 케이블(92)(94)(96)(98)로 연결되는 바, 섀시(12)에 체결되고 내부에 PCB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컨트로 박스(90A)와, 컨트롤 박스의 전면에 배치되고 각종 케이블이 연결되는 단자부가 갖는 터미널 블록(미도시)이 구비되는 컨트롤박스 커버(90B)를 포함한다.
제어부(90)는 화재 예방이나 터미널 블록의 보호를 위해 터미널 블록을 커버하는 블록 커버(90C)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90)는 상부 팬모터(64)와 상부 팬모터 케이블(92)로 연결되고, 하부 팬모터(68)와 하부 팬모터 케이블(94)로 연결되며, 상부 베인모터(82)와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로 연결되고, 하부 베인모터(87)와 하부 베인모터 케이블(98)로 연결되며,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본체(2)를 관통하는 전원 케이블(100)과 연결된다.
한편, 섀시(12)에는 각종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가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부(110)가 형성된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섀시(12)와 별도로 제작된 후 섀시(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섀시(12)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전체 조립 공정이 최소화되도록 섀시(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제어부(90)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어부(90)의 주변을 간결하게 정리토록 하는 것으로서, 이하 제어부(90) 상측에 위치하는 케이블인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모두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여러 전기장치 중에서 상부 팬모터(64)와 상부 베인모터(82)의 대략 옆 위치이면서 제어부(90)의 상측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90)를 기준으로 상부 팬모터 설치부(14)가 섀시(12)의 좌,우 중에서 제어부(90)의 반대편 상측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 팬모터 설치부(14)가 제어부(90)의 하측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베인모터(82)는 제어부(90)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상부 토출 가이드(40)의 좌,우 중에서 제어부(90) 및 케이블 홀더부(110)와 근접한 측에 설치되고, 하부 베인모터(87)는 제어부(90)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하부 토출 가이드(50)의 좌,우 중에서 제어부(90)와 근접한 측에 설치된다.
이하, 케이블 홀더부(110)의 상세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홀더부의 단면도로서, 케이블 홀더부(1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2)의 후판부(12′)에서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된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의 사이로 삽입되어 그 움직임이 제한된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사이 공간의 폭이 상부 팬 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선단 사이의 폭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두께 보다 월등히 크게 되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의 사이를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선단 사이의 폭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게 하면서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을 그 사이로 삽입한 후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원되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빠져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바,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선단 사이의 폭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의 사이로 삽입된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잡아당겨지거나 진동되는 등의 이유로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의 사이의 전방으로 쉽게 빠져나오지 않고,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사이에 구속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이 전방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혀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 홀더부(110)는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의 선단에는 케이 블(92)(96)의 임의 탈거를 막기 위한 걸림턱(113)(115) 이 대향되게 돌출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은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측 돌출편(112)과 하측 돌출편(114)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좌측 돌출편과 우측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은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자중에 의해 쳐지거나 미끌어지지 않고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하측 돌출편(114)에 올려지도록 상측 돌출편(112)과 하측 돌출편(1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상측 돌출편(112)과 하측 돌출편(114)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측 돌출편(112)은 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측 돌출편(114)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사이의 공간은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좁혀지게 되는 바,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은 복수개의 돌출편(112)(114) 사이의 선단측을 통해 전방으로 빠져나오기 어렵게 되다.
그리고, 상측 돌출편(112)의 선단에 상측 걸림턱(113)이 하측 돌출편(114)의 선단을 향해 하향 돌출되고, 하측 돌출편(114)의 선단에 하측 걸림턱(115)이 상측 돌출편(112)의 선단을 향해 상향 돌출되며, 케이블 홀더부(110)는 상측 걸림턱(113) 및 하측 걸림턱(115)이 돌출되지 않는 경우 보다 복수개의 돌출 편(112)(114) 선단 사이의 간격이 더욱 더 좁혀지게 된다.
케이블 홀더부(110)는 상측 돌출편(112)과 하측 돌출편(114)의 좌,우 양측 각각에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진입이나 탈거가 용이하도록 경사부(112A)(112B)(114A)(114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케이블 홀더부(110)는 섀시(12)의 사출금형에 의한 성형시 섀시(12)의 후판부(12′)에 함께 성형되는 바, 섀시(12)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시 금형 코어가 빠져나오도록 복수개의 돌출편(112)(114)이 돌출되는 부분(116)(118)의 사이에 일종의 살빼기 공간인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케이블 고정 작업 및 분리 작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부 팬모터 케이블(92)의 일부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일부를 케이블 홀더부(110)의 상측 돌출편(112)나 하측 돌출편(114)의 사이로 삽입시키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의 일부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의 일부는 상측 돌출편(112)의 선단측과 하측 돌출편(114)의 선단측에 구속되어 그 전방측으로의 탈거가 제한되고, 상부 팬모터 케이블(92)과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은 상측 돌출편(112)나 하측 돌출편(114)에 의해 고정되며, 제어부(90)의 상측은 간결하게 정리된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삽입과 아울러, 상부 팬모터 케이블(92)이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을 상측 돌출편(112)과 하측 돌출편(114)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1회 감을 수 있고, 상부 팬모터 케이블(92)이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은 보다 안정감있게 고정되게 된다.
반면에, 제어부(90)나 상부 팬모터(64)나 상부 베인모터(82)의 서비스 등을 위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을 섀시(12) 특히 케이블 홀더부(110)에서 분리해야할 경우, 상부 팬모터 케이블(92)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을 상측 돌출편(112)과 하측 돌출편(114)의 사이 전방으로 잡아당겨 분리하면, 작업자 등은 서비스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 등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을 전방으로 잡아당길 때, 상부 팬모터 케이블(92)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이 상측 돌출편(112)의 선단측 또는 하측 돌출편(114)의 선단측에 구속되어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상측 돌출편(112)의 앞부분과 하측 돌출편(114)의 앞부분 중 적어도 일측을 서로 반대으로 휘도록 하면, 상부 팬모터 케이블(92)나 상부 베인모터 케이블(96)은 상측 돌출편(112)의 선단측과 하측 돌출편(114)의 선단측 사이를 쉽게 빠져나올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섀시의 상부에 전기장치가 설치되고, 제어부가 전기장치보다 높이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전기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섀시에 형성된 케이블 홀더부에 고정되므로, 섀시의 상부에 전기장치에 연결된 케이블을 간결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경우 섀시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가이드가 설치되고, 토출 가이드에 베인이 위치되며, 전기장치가 베인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로 이루어져, 공조 공기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상부를 통해 토출됨과 아울러 그 풍향을 조절될 수 있으므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가 공조 공기를 하면으로만 토출할 경우보다 공조 공기를 더 멀리 토출시킬 수 있고 실내 전체를 보다 신속하게 공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베인모터가 토출 가이드의 좌,우 중에서 케이블 홀더부와 근접한 일측에 설치되어, 베인 모터가 토출 가이드의 좌,우 중에서 케이블 홀더부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경우 보다, 케이블의 정리가 손쉽고, 케이블이 베인모터와 케이블홀더부 사이에서 쳐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경우 제어부가 섀시의 좌,우 중에서 일측에 설치되고, 섀시의 좌,우 중에서 제어부의 반대편 상측 위치에 모터 설치부가 형성되며, 전기장치가 모터 설치부에 설치된 팬모터로 이루어져, 공조 공기를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상부를 통해 토출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케이블 홀더부가 제어부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케이블을 제어부의 상측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어부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고 케이블이 제어부의 상측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보다 케이블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섀시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 이블 홀더부가 섀시의 후판부에서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되어, 케이블 고정용 홀더가 섀시와 별도로 제작되어 섀시에 장착되는 경우 보다 전체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케이블 홀더부가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편으로 이루어져, 간단한 구조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돌출편이 전방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혀지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돌출편 자체가 복수개의 돌출편 사이로 삽입된 케이블의 임의 탈거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돌출편의 선단에 걸림턱이 대향되게 돌출되어, 케이블의 임의 탈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섀시 중에서 복수개의 돌출편이 돌출되는 부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돌출편 및 걸림턱의 성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부에 위치되는 전기장치와;
    상기 섀시에 상기 전기장치의 위치 보다 높이가 낮은 위치에 설치된 제어부와;
    상기 전기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가이드와;
    상기 토출 가이드에 위치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인 공기조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좌,우 중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부와 근접한 일측에 설치된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섀시의 좌,우 중에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섀시는 좌,우 중에서 상기 제어부의 반대편 상측 위치에 모터 설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모터 설치부에 설치된 팬모터인 공기조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홀더부는 상기 섀시의 후판부에서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된 공기조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부는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편인 공기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편은 전방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좁혀지는 공기조화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편은 선단에 걸림턱이 대향되게 돌출된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편이 돌출되는 부분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70039827A 2007-04-24 2007-04-24 공기조화기 KR20080095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827A KR20080095404A (ko) 2007-04-24 2007-04-2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827A KR20080095404A (ko) 2007-04-24 2007-04-2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404A true KR20080095404A (ko) 2008-10-29

Family

ID=4015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827A KR20080095404A (ko) 2007-04-24 2007-04-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4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2932A1 (en) * 2015-10-23 2021-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2932A1 (en) * 2015-10-23 2021-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629881B2 (en) 2015-10-23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086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023048B1 (en) Air conditioner having electrical equipment box cooling mechanism
KR20130043983A (ko) 공기조화기
KR20080101477A (ko) 공기조화기
KR20130043980A (ko) 공기조화기
EP1953461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ing front panels to suck air from a front and discharge air vertically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CN111919071A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00842045B1 (ko) 공기조화기
CN214791823U (zh) 空气调节装置
KR100539428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1339943B1 (ko) 공기조화기
EP2551607B1 (en) Ventilation apparatus
KR20080095404A (ko) 공기조화기
KR20110038403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0844342B1 (ko) 공기조화기
KR20130043989A (ko) 공기조화기
KR100865091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47684A (ko) 공기조화기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20070031715A (ko) 공기조화기용 환기유닛
CN101581473A (zh) 空调器
EP181640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90043685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KR100429647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