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215A -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 Google Patents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215A
KR20080095215A KR1020080037918A KR20080037918A KR20080095215A KR 20080095215 A KR20080095215 A KR 20080095215A KR 1020080037918 A KR1020080037918 A KR 1020080037918A KR 20080037918 A KR20080037918 A KR 20080037918A KR 20080095215 A KR20080095215 A KR 2008009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ownlink
frame
map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767B1 (ko
Inventor
인 화지앙
리 융팅
짜이 이쉐
로아 칸제이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08009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개시된다.
상기 기지국은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과 제1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기지국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제1 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과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는 수신기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제거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제2 프레임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하위 중계기에 전송한다.
멀티-홉 네트워크, 중계기

Description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Relay station, base station, relay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for use in a multi-hop network}
본 발명은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투명 프레임웍(non-transparent framework)에 기초한 멀티-홉 네트워크상에서의 사용을 위한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중앙 통제 및 스케쥴링 하에 일반적인 원-홉(one-hop) 및 프레임-기반(frame-based)의 네트워크에서, 기지국(base station, 이하, 'BS'라 한다.)은 무선 자원(radio resource) 사용을 제어한다.
BS는 모든 하위 스테이션들(subordinated stations)과 접속되어 프레임의 리소소 할당의 정렬을 마친 후에, 다중 정보 구성요소들(multiple information elements, 이하, 'IEs'라 한다.)을 포함하는 다운링크-맵(downlink map, 이하, 'DL-MAP'라 한다.)과 업링크-맵(uplink map, 이하, 'UL-MAP'라 한다.)이라고 불리는 메세지를 상기 모든 하위 스테이션들에게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함으로써 그 정보를 알린다.
맵-IEs로부터, BS를 제외한 스테이션들은 다운링크 리셉션들과 업링크 트랜스미션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멀티-홉 네트워크(multi-hop network)에 있어서, 중계기들(relay stations, 이하, 'RSs'라 한다.)에게 그들의 하위 장치들(중계기(relay ststion, 이하, 'RS'라 한다.)/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이하, 'MS'라 한다.))에게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하향 트랜스미션들과 상향 리셉션들을 제공하는 정보에 관한 맵-IEs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맵-IEs 중계과정에 있어서, BS와 RS는 단지 상기 BS와 상기 RS의 범위 안에서만 할당되어 있는 하위 스테이션들(RS 및 MS)을 위한 프레임인 맵-IEs만을 발생한다.
즉, BS와 RS는 한 프레임 내에서 멀티-홉 네트워크의 모든 스테이션들이 필요로 하는 맵-IEs을 생성하지 못한다.
RS는 상위 스테이션(BS 및 RS)에 의해서 발생된 프레임을 수신하여야 하고, 상기 프레임을 분석하여야 하고, 하위 스테이션이 필요로 하는 맵-IEs를 발생하여야 하며, 상기 RS에 의해서 발생된 상기 맵-IEs를 패키징함으로써 상기 하위 스테이션을 위한 다음 프레임을 발생하여야 한다. 프레임은 관리 메시지 및 중계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하향 트랜스 미션들과 상향 리셥션들을 위하여, RS는 중계 데이터를 위한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중계 데이터에 추가적인 헤더를 부착(attaching)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데이터 포워딩은 네트워크 및 중계기의 부하증가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요컨대,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또는 중계기의 부하 증가 없이 데이터 포워딩을 완료하는 방법은 산업 내에서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네트워크 또는 중계기의 부하 증가 없이 데이터 포워딩을 완료할 수 있는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홉 네트워크에 이용되는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리셉션 모듈, 프로세스 모듈, 및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리셉션 모듈은 상위 스테이션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ownlink-relay-map)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한다. 상기 트랜스미션 모듈은 상기 다운-링크-릴레이 맵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을 다운 링크 릴레이 영역의 하위 중계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홉 네트워크에 이용되는 중계기의 중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중계방법은,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중계기가 중계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홉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지국은 발생모듈 및 트랜스미션 모듈 포함한다. 상기 발생모듈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트랜스미션 모듈은 상기 프레임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의 제1항의 중계기로 전송하는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중계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홉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송방법은 중계방법과 함께 수행된다. 상기 전송방법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이 전송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송방법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의하면 데이터 포워딩의 신뢰도를 높이고,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또는 중계기의 부하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의하면 멀티-홉 네트워크 상의 중계경로에서 프레임 단위로 모든 스테이션들에 의해서 필요로 하는 맵-IEs를 생성할 수 있고, 스테이션들 각각은 중계경로에서 맵-IEs에서 대응되는 맵-IE를 추출하고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을 제외한 스테이션들 각각은 중계경로에서 스스로 맵-IE를 생성할 필요가 없고, 단지 대응되는 맵-IE를 추출하고 제거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의 결점 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여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홉 네트워크(1)는 기지국(BS, base station, 101), 중계기(RS, relay station)들(103, 105, 및 107), 및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들(109, 111, 113, 115, 및 117)을 포함한다.
멀티-홉 네트워크(1)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기지국(101) 및 중계기(RS, relay station)들(103, 105, 및 107) 각각이 소개된다.
기지국(101)을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101)은 발생모듈(generation module, 101a)과 트랜스미션모듈(transmission module, 101b)을 포함한다.
발생모듈(101a)은 기지국(1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ownlink-relay-map, DL-R-MAP), 상기 기지국(101)을 위한 다운링크-맵(downlink-map, DL-MAP), 및 멀티-홉 네트워크(1)의 리소스 사용상태(resource usage status)에 기초한 프레임(101c)을 생성한다.
트랜스미션모듈(101b)은 기지국(1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프레임(101c)를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들(103, 105, 및 107)로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downlink data)를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downlink access zone) 내의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프레임(101c)은 멀티-홉 네트웨크(1) 내에서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과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맵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은 멀티-홉 네트웨크(1) 내에서 중계기들(103, 105, 및 107)의 전송을 위한 것이고, 다운링크-맵들을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1) 내에서 모바일 스테이션들(109, 111, 113, 115, 및 117)의 전송을 위한 것이다.
멀티-홉 네트웨크(1) 내의 중계기(RS, relay station)들(103, 105, 및 107)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은 리셉션 모듈(reception module, 21), 프로세스 모듈(process module, 23), 및 트랜스미션 모듈(transmission module, 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션 모듈(21)은 상위 스테이션로부터 제1 프레임(20)을 수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중계기(103)의 상기 상위 스테이션은 기지국(101)이고, 중계기(105)의 상기 상위 스테이션은 중계기(103)이고, 중계기(107)의 상기 상위 스테이션은 중계기(105)이다.
프로세스 모듈(23)은 제1 프레임(20)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 다운링크-맵, 및 다운링크 데이터(24)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 상기 다운링크-맵,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24)를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22)을 발생한다.
제1 프레임(20)으로부터 제거된 다운링크-릴레이-맵은 대응되는 중계기들(103, 105, 및 107)에 다운링크 릴레이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프레임(20)으로부터 제거된 다운링크-맵은 대응되는 중계기들(103, 105, 및 107)에 다운링크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트랜스미션 모듈(25)은 제1 프레임(20)으로부터 제거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제2 프레임(22)을 다운 링크 릴레이 영역(zone)의 하위 중계기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103)의 상기 하위 중계기는 중계기(105)이고, 중계기(105)의 상기 하위 중계기는 중계기(107)이다.
또한, 트랜스미션 모듈(25)은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24)를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의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MS)으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중계기(103)의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은 모바일 스테이션(109)이고, 중계기(105)의 상기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은 모바일 스테이션(111)이고, 중계기(107)의 상기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은 모바일 스테이션(113)이다.
다운링크 릴레이와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들은 당해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에게 중계 정보를 알리는 데에는 두 가지 맵-기반의 스킴이 있다. 이들 중 하나는 중계기가 버스트를 수신된 그대로 중계하는 버스트-인-버스트-아웃(burst-in-burst-out) 스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중계기가 수신된 버스트의 부분집합(subset) 또는 버스트의 초집합(superbset)을 중계할 수 있는 버스트-인-뉴-버스트-아웃(burst-in-new-burst-out) 스킴이다.
버스트-인-버스트 스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의 정보 구성요소(information element, IE) "DL_Burst_Transmit_IE" 의 구문(syntax)은 중계기들(103, 105, 및 107)이 비-투명 모드(non-transparent mode)에서 제2 프레임 및/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하위 스테이션(예컨대, 중계기 및/ 또는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표 1과 같이 정의된다.
표 1에서 DIUC는 "다운링크 구간 사용 코드(downlink interval usage code)"이고, UIUC는 "업링크 구간 사용 코드(uplink interval usage code)"이고, CID는 "접속 확인(connection identification)"이다.
Syntax Size Notes
DL-(R)-MAP_IE(RS, Nr) variable RS is assign to relay Nr IE
{
DIUC 4 bits 15 (Extended DIUC dependent IE)
DL_Burst_Transmit_IE() {
Extended-2 DIUC 4 bits DL_Burst_Transmit_IE = 0x0F
Length 8 bits Length = 3+2Nr
CID 16 bits RS basic CID or multicast management CID;
Nr 8 bits Number of bursts forwarding by RS
for (n = 0; n < Nr; n++) {
Relay burst length 16 bits Relay burst length ( in unit of byte )
}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첫째로, 유니캐스트 모드(unicast mode)에 있어서 기지국(101)의 범위(coverage) 안에는 모바일 스테이션이 없기 때문에 기지국(101)의 발생모듈(101a)은 멀티-홉 네트워크(10)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기지국(1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을 발생한다.
도 1에 의하면, 기지국(101)에 의해서 발생된 다운링크-릴레이-맵은 DL-R-MAP IE (RS 103, Y1),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103, 3), 및 DL-R-MAP IE(RS 103 relaying, X1+Y2+X2+Y3+75+25+100)를 포함한다.
변수 Y1은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변수 X1은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변수 Y2는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변수 X2는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변수 Y3는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숫자 75는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숫자 25는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숫자 100은 중계기(103)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또한, DL-R-MAP IE(RS 103, Y1)은 중계기(103)가 Y1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103, 3)는 중계기(103)가 3번의 중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DL-R-MAP IE(RS 103 relaying, X1+Y2+X2+Y3+75+25+100)는 중계기(103)가 X1+Y2+X2+Y3+75+25+100의 데이터를 3번 중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기지국(101)의 발생모듈(101a)은 멀티-홉 네트워크(1)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102)를 더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레임(102)은 기지국(103)의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기지국(103)의 다운링크-맵(DL-MAP1), 기지국(105)의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기지국(105)의 다운링크-맵(DL-MAP2), 및 기지국(107)의 다운링크-맵(DL-MAP3)을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101)의 트랜스 미션모듈(101b)은 프레임(102)를 상기 기지국(101)의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다운 링크 영역 내의 중계기(103)로 전송한다.
중계기(103)의 리셉션 모듈(21)은 프레임(102)(즉, 제1 프레임(20))을 상위 스테이션(즉, 기지국(101))으로부터 수신한다.
중계기(103)의 프로세스 모듈(21)은 프레임(102)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다운링크-맵(DL-MAP1), 및 다운 링크 데이터(104)를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102)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상기 다운링크-맵(DL-MAP1), 및 상기 다운 링크 데이터(104)를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즉, 프레임(106))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 링크 데이터(104)는 모바일 스테이션(109)을 위한 것이다.
중계기(103)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중계기(103)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에 기초하여 프레임(106)을 다운링크 중계 영역 내의 중계기(105)로 전송하고, 다운링크-맵(DL-MAP1)에 기초하여 다운 링크 데이터(104)를 모바일 스테이션(109)으로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은 DL-R-MAP IE(RS 105, Y2),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105, 3), 및 DL-R-MAP IE(RS 105 relaying, X2+Y3+75+25+100)을 포함한다. 상기 다운링크-맵(DL-MAP1)은 DL-MAP IE(MS 109, X1)를 포함한다.
프레임(106)이 중계기(103)에 의해서 전송된 이후에, 중계기(105)의 리셉션 모듈(21)은 프레임(106)을 수신한다.
중계기(105)의 프로세스 모듈(23)은 프레임(106)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다운링크-맵(DL-MAP2), 및 다운링크 데이터(108)를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106)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상기 다운링크-맵(DL-MAP2), 및 상기 다운 링크 데이터(108)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110)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 링크 데이터(108)는 모바일 스테이션(111)을 위한 것이다.
중계기(105)의 트랜스미션 모듈(25)은 중계기(105)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에 기초하여 프레임(100)을 다운링크 중계 영역 내의 중계기(107)로 전송하고, 다운링크-맵(DL-MAP2)에 기초하여 다운 링크 데이터(108)를 모바일 스테이션(111)으로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은 DL-R-MAP IE(RS 107, Y3),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107, 3), 및 DL-R-MAP IE(RS 107 relaying, 75+25+100)을 포함한다. 상기 다운링크-맵(DL-MAP2)은 DL-MAP IE(MS 111, X2)를 포함한다.
중계기(107)와 관련하여, 중계기(107)의 리셉션 모듈(21)은 상기 중계기(1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 만으로 구성되는 프레임(110)을 수신한다.
중계기(107)의 트랜스미션 모듈(25)은 다운링크-맵(DL-MAP3)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112, 114, 및 116)를 모바일 스테이션(113, 115, 및 117)으로 각각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맵(DL-MAP3)은 DL-MAP IE(MS 113, 75), DL-MAP IE(MS 115, 25), 및 DL-MAP IE(MS 117, 100)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101)에 의해서 생성된 프레임(102)은 중계기들(103, 105, 및 107)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중계기들(103, 105, 및 107)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멀티-홉 네트워크(1) 내에서 상기 중계기들(103, 105, 및 107)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된다.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표 2에서 정의된 구문을 따르는 다수의 정보 구성요소들(information elements, IEs)을 포함한다.
Syntax Size Notes
UL-(R)-MAP_IE(RS, Nr) 36 bits
{
CID 16 bits RS basic CID
UIUC 4 bits 15 (Extended UIUC dependent IE)
UL_Burst_Receive _IE () {
Extended UIUC 4 bits UL_Burst_Receive_IE = 0x0C
Length 4 bits Length = 1
Nr 8 bits Number of UL-MAP IE following current IE for RS to receive from subordinated stations
}
}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의 프로세스 모듈(23)은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UP-R-MAP)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UP-R-MAP)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한다.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의 리셉션 모듈(21)은 하위 스테이션(예컨대, 모바일 스테이션 및 중계기)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의 트랜스미션 모듈(25)은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업링크 중계 영역 내의 상위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표 1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모드 상의 멀티-홉 네트워크(3)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멀티-홉 네트워크(3)는 기지국(301), 중계기들(303, 305, 및 307), 및 모바일 스테이션들(309, 311, 313, 315, 및 317)을 포함한다.
기지국(30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101)과 유사하다. 즉, 기지국(301)은 발생모듈과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중계기들(303, 305, 및 307)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과 유사하다. 즉, 중계기들(303, 305, 및 307) 각각은 역시 리셉션모듈, 프로세스모듈, 및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301)의 범위 안에서는 중계기가 없기 때문에, 기지국(301)의 발생모듈(301a)은 멀티-홉 네트워크(3)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기지국(3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을 발생한다.
표 1에 의하면, 기지국(301)에 의해서 발생된 다운링크-릴레이-맵은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303, X1)과 DL-R-MAP IE(RS 303 relaying, X1)을 포함하며, 여기서 X1은 멀티캐스트(multicast) 데이터이다.
기지국(301)의 발생모듈은 멀티-홉 네트워크(3)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302)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레임(302)은 중계기(303)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상기 중계기(303)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1), 중계기(305)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상기 중계기(305)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2), 및 중계기(3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을 포함한다.
기지국(301)의 트랜스미션모듈은 기지국(1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프레임(302)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303)로 전송한다.
중계기(303)의 리셉션 모듈은 기지국(301)으로부터 프레임(302)을 수신한다.
중계기(303)의 프로세스 모듈은 프레임(302)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과 다운링크--맵(DL-MAP1)을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302)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과 다운링크--맵(DL-MAP1)을 제거함으로써 프레임(306)을 발생한다.
중계기(303)의 트랜스미션모듈은 중계기(303)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에 기초하여 프레임(306)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305)로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맵(DL-MAP1)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304)를 모바일 스테이션(309)으로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은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305, 1)과 DL-R-MAP IE(RS 305 relaying, X1)를 포함하며, 다운링크-맵(DL-MAP1)은 DL-MAP IE(MS 309, X1)를 포함한다.
중계기(303)에 의해서 프레임(306)이 전송된 이후에, 중계기(305)의 리셉션 모듈은 프레임(306)을 수신한다. 중계기(305)의 프로세스 모듈(305)은 프레임(306)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과 다운링크--맵(DL-MAP2)을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306)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과 다운링크--맵(DL-MAP2)을 제거함으로써 프레임(310)을 발생한다.
중계기(305)의 트랜스미션모듈은 기지국(305)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에 기초하여 프레임(310)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307)로 전송하고, 다운링크-맵(DL-MAP2)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308)를 모바일 스테이션(311)으로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맵(DL-MAP2)은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307, 1)와 DL-R-MAP IE(RS 307 relaying, X1)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맵(DL-MAP2)은 DL-MAP IE(MS 311, X1)를 포함한다.
중계기(307)와 관련하여, 중계기(307)의 리셉션 모듈은 상기 중계기(3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 만을 포함하는 프레임(310)을 수신한다.
중계기(307)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다운링크-맵(DL-MAP3)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312, 314, 및 116)를 모바일 스테이션(313, 315, 및 317)으로 각각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맵(DL-MAP3)은 DL-MAP IE(MS 313, X1), DL-MAP IE(MS 315, X1), 및 DL-MAP IE(MS 317, X1)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301)에 의해서 생성된 프레임은 중계기들(303, 305, 및 307)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중계기들(303, 305, 및 307)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멀티-홉 네트워크(3) 내에서 상기 중계기들(303, 305, 및 307)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된다.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표 2에서 정의된 구문을 따르는 다수의 정보 구성요소들(information elements, IEs)을 포함한다.
중계기들(303, 305, 및 307) 각각의 리셉션 모듈은 상위 스테이션(예컨대, 기지국과 중계기)으로부터 업링크-맵을 더 수신한다.
중계기들(303, 305, 및 307) 각각의 프로세스 모듈은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UP-R-MAP)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UP-R-MAP)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한다.
중계기들(303, 305, 및 307) 각각의 트랜스미션모듈은 업링크-릴레이-맵(UP-R-MAP1)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상위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멀티-홉 네트워크(4)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홉 네트워크(4)는 기지국(401), 중계기들(403, 405, 및 407), 및 모바일 스테이션들(409, 411, 413, 415, 및 417)을 포함한다.
기지국(40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101)과 유사하다. 즉, 기지국(401)은 발생모듈과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중계기들(403, 405, 및 407)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과 유사하다. 즉, 중계기들(403, 405, 및 407) 각각은 역시 리셉션모듈, 프로세스모듈, 및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멀티-홉 네트워크(4)와 멀티-홉 네트워크(1) 사이의 유사점들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4)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1)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버스트-인-뉴-버스트-아웃 스킴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다. 비-투명 모드(non-transparent mode)에서 중계기들(403, 405, 및 407)이 데이터를 자신의 하위 스테이션들로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DL-(R)-MAP IE with "DL_Burst_ Receive_IE"의 구문은 표 3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의 구문은 표 4에서 정의된다.
Syntax Size  Notes
DL-(R)-MAP_IE() variable
{
DIUC 4 bits 14 (Extended DIUC-2 dependent IE)
DL_ Burst_ Receive_IE () { variable -
Extended DIUC-2 4 bits DL_Burst _Receive_IE = 0x0F
Length 8 bits Length = 3+3RBNr
Reduced CID 8 bits Reduced RS basic CID
RBNr 8 bits Number of relay bursts contained in data burst described in following DL-MAP IE
for (n = 0; n < RBNr; n++) { = =
RBID 8 bits Relay burst ID
Relay burst length 16 bits Relay burst length (in unit of byte)
}
}
}
Syntax Size Notes
DL-(R)-MAP_IE(RSi, Nr) variable RSi is assign to relay Nr IE
{
DIUC 4 bits 15 (Extended DIUC dependent IE)
DL_Burst_Transmit_IE() {
Extended UIUC 4 bits DL_Burst_Transmit_IE = 0x0C
Length 4 bits Length = 2+Nr
RCID 8 bits Reduced RSi basic CID
Nr 8 bits Number of IEs following current IE for RSi transmitting to subordinated stations
For (n=0; n < Nr; n++) {
RBID 8 bits Relay burst ID for RSi to relay
}
}
}
유니캐스트(unicast)모드에서 기지국(401)의 범위 안에는 모바일 스테이션이 없기 때문에 기지국(401)의 발생모듈(101a)은 멀티-홉 네트워크(4)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기지국(4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을 발생한다.
표 3과 표 4에 의하면 기지국(401)에 의해서 생성되는 다운링크-릴레이-맵은 DL-R-MAP IE(RS 403, Y1), DL-R-MAP IE with DL_Burst_Receive_IE(RS 403, 3, (RBID1, X1), (RBID2, Y2), (RBID3, X2+Y3+75+25+100)), DL-R-MAP IE(RS 403 relaying, X1+Y2+X2+Y3+75+25+100), 및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403, 3)을 포함한다.
기지국(401)의 발생모듈은 멀티-홉 네트워크(4)의 리소스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402)를 더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레임(402)는 중계기(403)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중계기(403)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1), 중계기(405)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중계기(405)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3), 및 중계기(4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을 포함한다.
이때, 중계기(401)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기지국(4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프레임(402)을 중계기(403)로 전송한다.
중계기(403)의 리셉션 모듈은 기지국(401)으로부터 프레임(402)를 수신한다.
중계기(403)의 프로세스 모듈은 프레임(402)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다운링크-맵(DL-MAP1), 및 다운링크 데이터(404)를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402)으로부터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상기 다운링크-맵(DL-MAP1),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404)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406)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404)는 모바일 스테이션(409)을 위한 것이다.
중계기(403)의 트랜스미션모듈은 중계기(403)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에 기초하여 프레임(406)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405)로 전송하고, 다운링크-맵(DL-MAP1)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404)를 모바일 스테이션(409)으로 전송한다.
표 3과 표4에 의하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은 DL-R-MAP IE(RS 405, Y2), DL-R-MAP IE with DL_Burst_Receive_IE(RS 405, 3, (RBID4, X2), (RBID5, Y3), (RBID6, 75+25+100)), DL-R-MAP IE(RS 405 relaying, X2+Y3+75+25+100), 및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405, 3)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맵(DL-MAP1)은 DL-MAP IE(MS 409, X1)를 포함한다.
프레임(406)이 중계기(403)에 의해서 전송된 이후에, 중계기(405)의 리셉션 모듈은 상기 프레임(406)을 수신한다.
중계기(405)의 프로세스 모듈은 프레임(406)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다운링크-맵(DL-MAP2), 및 다운링크 데이터(408)를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406)으로부터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상기 다운링크-맵(DL-MAP2),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408)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410)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408)는 모바일 스테이션(411)을 위한 것이다.
중계기(405)의 트랜스미션모듈은 중계기(405)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에 기초하여 프레임(410)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407)로 전송하고, 다운링크-맵(DL-MAP2)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408)를 모바일 스테이션(411)으로 전송한다.
표 3과 표4에 의하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은 DL-R-MAP IE(RS 407, Y3), DL-R-MAP IE with DL_Burst_Receive_IE(RS 407, 3, (RBID7, 75), (RBID8, 25), (RBID9, 100)), DL-R-MAP IE(RS 407 relaying, 75+25+100), 및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407, 3)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맵(DL-MAP1)은 DL-MAP IE(MS 411, X2)를 포함한다.
중계기(407)와 관련하여, 중계기(407)의 리셉션 모듈(21)은 상기 중계기(1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 만으로 구성되는 프레임(410)을 수신한다.
중계기(107)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다운링크-맵(DL-MAP3)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412, 414, 및 416)를 모바일 스테이션(413, 415, 및 417)으로 각각 전송한다.
표 1에 의하면, 다운링크-맵(DL-MAP3)은 DL-MAP IE(MS 413, 75), DL-MAP IE(MS 415, 25), 및 DL-MAP IE(MS 417, 100)을 포함한다.
기지국(404)에 의해서 발생된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과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맵들 각각을 포함한다.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표 5와 6에서 정의된 구문을 따르는 다수의 정보 구성요소들(information elements, IEs)을 포함한다.
Syntax Size Notes
UL-(R)-MAP_IE(RSi, Nr) 36 bits
{
CID 16 bits RSi basic CID
UIUC 4 bits 15 (Extended UIUC dependent IE)
UL_Burst_Receive_I E () {
Extended UIUC 4 bits UL_Burst_Receive_IE = 0x0C
Length 4 bits Length = 2
BID 8 bits Burst ID
Nr 8 bits Number of DL-MAP IE following current IE for RSi to receive from subordinated stations
}
}
Syntax Size Notes
UL-(R)-MAP_IE variable
{
DIUC 4 bits 15 (Extended DIUC dependent IE)
DL_Burst_Transmit_IE() {
Extended UIUC 4 bits DL_Burst_Transmit_IE = 0x0D
Length 4 bits Length = 2+BID
RCID 8 bits Reduced RSi basic CID
BNr 8 bits Number of burst for RSi to transmit to its superordinated station in data burst described in following UL-MAP IE
For (n=0; n < BNr; n++) {
BID 8 bits Burst ID for RS to relay
}
}
}
중계기들(403, 405, 및 407) 각각의 프로세스 모듈은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UL-R-MAP)을 추출하고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UL-R-MAP)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한다.
중계기들(403, 405, 및 407) 각각의 리셉션 모듈은 하위 스테이션(예컨대, 모바일 스테이션 및 중계기)로부터 업링크 데이터(UL data)를 수신한다.
중계기들(403, 405, 및 407) 각각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업링크-릴레이-맵(UL-R-MAP)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상위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모드에서의 멀티-홉 네트워크(5)를 나타낸다. 멀티-홉 네트워크(5)는 기지국(501), 중계기들(503, 505, 및 507), 및 모바일 스테이션들(509, 511, 513, 515, 및 517)을 포함한다.
기지국(50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101)과 유사하다. 즉, 기지국(501)은 발생모듈과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중계기들(503, 505, 및 507)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들(103, 105, 및 107) 각각과 유사하다. 즉, 중계기들(503, 505, 및 507) 각각은 역시 리셉션모듈, 프로세스모듈, 및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501)의 범위 안에는 모바일 스테이션이 없기 때문에 기지국(501)의 발생모듈은 멀티-홉 네트워크(5)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기지국(501)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을 발생한다.
표 3과 표 4에 의하면, 기지국(501)에 의해서 발생된 다운링크-릴레이-맵은 DL-R-MAP IE with DL_Burst_Receive_IE(RS 503, 1, (RBID1, X1)), DL-R-MAP IE(RS 503 relaying, X1), 및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503, 2)을 포함한다.
반면에, 기지국(501)의 발생모듈은 멀티-홉 네트워크(5)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502)을 발생한다. 예컨대, 프레임(502)은 중계기(503)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 중계기(503)을 위한 다운링크-맵(DL-MAP1), 중계기(505)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중계기(505)을 위한 다운링크-맵(DL-MAP2), 및 중계기(5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를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501)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프레임(502)을 기지국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 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503)로 전송한다.
중계기(503)의 리셉션 모듈은 기지국(501)으로부터 프레임(502)를 수신한다.
중계기(503)의 프로세스 모듈은 프레임(502)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N-R-MAP1), 다운링크-릴레이-맵(DN-R-MAP1), 및 다운링크 데이터(504)를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502)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N-R-MAP1),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N-R-MAP1),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504)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506)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504)는 모바일 스테이션(509)을 위한 것이다.
중계기(503)의 트랜스미션모듈은 중계기(503)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프레임(506)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중계기(505)로 전송하고, 상기 다운링크-맵(DL-R-MAP1)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504)를 모바일 스테이션(509)으로 전송한다.
표 3과 표4에 따르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1)은 DL-R-MAP IE with DL_Burst_Receive_IE(RS 505, 1, (RBID2, X1)), DL-R-MAP IE(RS 505 relaying, X1), 및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505, 2)을 포함하고, 다운링크-맵(DL-MAP1)은 DL-MAP IE(MS 509, X1)을 포함한다.
중계기(503)에 의해서 프레임(506)이 전송된 이후에, 중계기(505)의 리셉션 모듈은 프레임(506)을 수신한다.
중계기(305)의 프로세스 모듈(305)은 프레임(306)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다운링크--맵(DL-MAP2), 및 다운링크 데이터(508)를 추출하고, 상기 프레임(506)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 상기 다운링크--맵(DL-MAP2),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508)를 제거함으로써 프레임(510)을 발생한다.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508)는 모바일 스테이션(511)을 위한 것이다.
중계기(505)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중계기(505)를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에 기초하여 프레임(510)을 다운링크 중계 영역 내의 중계기(507)로 전송하고, 다운링크-맵(DL-MAP2)에 기초하여 다운 링크 데이터(508)를 모바일 스테이션(511)으로 전송한다.
표 3과 표 4에 의하면, 다운링크-릴레이-맵(DL-R-MAP2)은 DL-R-MAP IE with DL_Burst_Receive_IE(RS 507, 1, (RBID3, X1)), DL-R-MAP IE(RS 507 relaying, X1), 및 DL-R-MAP IE with DL_Burst_Transmit_IE(RS 507, 1)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릴레이 맵(DL-MAP1)은 DL-MAP IE(MS 511, X1)을 포함한다.
중계기(507)와 관련하여, 중계기(507)의 리셉션 모듈은 상기 중계기(507)를 위한 다운링크-맵(DL-MAP3) 만으로 구성되는 프레임(510)을 수신한다.
중계기(507)의 트랜스미션 모듈은 다운링크-맵(DL-MAP3)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512, 514, 및 516)를 모바일 스테이션(513, 515, 및 517)으로 각각 전송한다.
표 3과 표 4에 의하면, 다운링크-맵(DL-MAP3)은 DL-MAP IE(MS 513, X1), DL-MAP IE(MS 515, X1), 및 DL-MAP IE(MS 517, X1)을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501)에 의해서 생성된 프레임은 중계기들(503, 505, 및 507)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과 상기 중계기들(503, 505, 및 507)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을 포함한다.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표 5와 표 6에서 정의된 구문을 따르는 다수의 정보 구성요소들(information elements, IEs)을 포함한다.
중계기들(503, 505, 및 507) 각각의 리셉션 모듈은 상위 스테이션(예컨대, 기지국 및 중계기)로부터 업링크-릴레이 맵을 수신한다.
중계기들(503, 505, 및 507) 각각의 프로세스 모듈은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UP-R-MAP)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UP-R-MAP)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한다.
중계기들(503, 505, 및 507) 각각의 트랜스미션모듈은 업링크-릴레이-맵(UP-R-MAP)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상위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로서 멀티-홉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방법을 나타낸다.
멀티-홉 네트워크는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포함한다. 첫번째로, 701 단계에서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맵들(DL-R-MAPs), 모바일 스테이션들을 위한 다운링크-맵들(DL-MAPs), 및 업링크-릴레이-맵들(UL-R-MAPs)을 포함한다.
다운링크-릴레이-맵들(DL-R-MAPs), 다운링크-맵들(DL-MAPs), 및 업링크-릴레이-맵들(UL-R-MAPs) 각각은 멀티-홉 네트워크내에서 중계기가 전송을 하는데 사용된다.
702 단계에서 다운링크-맵(DL-MAP)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 내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된다. 703 단계에서 기지국을 위한 다운-링크-릴레이 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프레임 전송이 수행된다.
704 단계에서 제1 프레임(즉, 701 단계의 프레임)이 수신되고, 705 단계에서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 맵이 추출된다.
706 단계에서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가 추출되고, 707 단계에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맵이 추출된다.
708 단계에서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이 추출되고, 709 단계에서 업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업링크 데이터가 전송된다. 710 단계에서 제1 프레임에서 다운링크-릴레이-데이터, 다운링크-맵, 및 업링크-릴레이-맵이 제거됨으로써 제2 프레임이 발생된다.
711 단계에서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 내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되고, 712 단계에서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제2 프레임이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전송된다. 끝으로, 713 단계에서 업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업링크 액세스 영역과 릴레이 영역 각각에서 모바일 스테이션과 하위 중계기의 업링크 데이터가 수신된다.
도 7a와 도 7b 외에도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실시 예로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멀티-홉 네트워크 내의 중계 경로에 있는 모든 스테이션들이 필요로 하는 MAP-IEs을 프레임화 할 수 있다.
중계 경로에 있는 중계소들(relay stations) 각각은 MAP-IEs으로부터 대응되는 MAP-IE를 추출하고 제거할 수 있다.
즉, 중계 경로에 있는 중계소들 각각은 스스로 MAP-IE를 발생할 필요가 없고, 단지 완성된 데이터 포워딩 완료에 있어서 대응되는 MAP-IE를 추출하고 제거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Claims (21)

  1. 상위 스테이션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리셉션 모듈;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downlink-relay-map)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프로세스 모듈;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 맵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을 다운 링크 릴레이 영역의 하위 중계기로 전송하는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에 이용되는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맵을 추출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맵과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프레임을 발생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듈은,
    상기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 내의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중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션 모듈은,
    하위 스테이션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 고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하고, 상기 트랜스미션 모듈은,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의 상기 상위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중계기.
  4.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중계 장치에 이용되는 중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맵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에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와 상기 다운링크 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중계 장치에 이용되는 중계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는 단계;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중계 장치에 이용되는 중계방법.
  7.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중계기가 중계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중계방법은,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함으로써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맵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 내에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와 상기 다운링크 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중계 장치에 이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릴레이-맵을 추출하는 단계;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업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중계 장치에 이용되는 중계방법.
  10. 제1항에 기재된 중계기와 함께 동작하는 멀티-홉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지 국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발생모듈; 및
    상기 프레임을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의 제1항의 중계기로 전송하는 트랜스미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제1항의 상기 중계기에 이용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모듈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 내의 하위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을 위한 제1항의 상기 중계기에 이용되는 기지국.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맵들 각각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을 위한 제1항의 상기 중계기에 이용되는 기지국.
  14. 제4항의 중계방법과 함께 수행되는 멀티-홉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사용되는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 내에서 제4항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방법은,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제6항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송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제5항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송방법.
  18.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이 전송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법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의 리소스 이용 상태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릴레이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제7항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법은,
    다운링크 액세스 영역네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업링크-릴레이-맵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업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제9항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중계기들을 위한 다수의 다운링크-릴레이-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들을 위한 상기 다운링크-릴레이-맵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가 상기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제8항의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80037918A 2007-04-23 2008-04-23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KR101002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331907P 2007-04-23 2007-04-23
US60/913,319 2007-04-23
US12/106,232 2008-04-18
US12/106,232 US8204033B2 (en) 2007-04-23 2008-04-18 Relay station, base station, relay method,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for use in a multi-hop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215A true KR20080095215A (ko) 2008-10-28
KR101002767B1 KR101002767B1 (ko) 2010-12-21

Family

ID=3987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918A KR101002767B1 (ko) 2007-04-23 2008-04-23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04033B2 (ko)
KR (1) KR101002767B1 (ko)
CN (1) CN101304377B (ko)
CA (1) CA2629594C (ko)
TW (1) TWI3656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2557B (zh) * 2008-01-11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跳中继网络中map和相应数据的关联方法
KR101433948B1 (ko) * 2008-03-05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WO2009145013A1 (ja) * 2008-05-29 2011-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局装置、マルチホップシステム、および中継方法
CN101753198B (zh) * 2008-12-08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中继器和通信系统
WO2010072022A1 (zh) * 2008-12-22 2010-07-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异频多跳中继网络中的帧结构、中继站及数据传输方法
US8681686B2 (en) * 2010-01-29 2014-03-25 Panasonic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interference removal method
US10039071B2 (en) * 2012-09-07 2018-07-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ociation in multi-hop networks
TWI645338B (zh) * 2017-10-26 2018-12-21 茂德科技股份有限公司 應用於無線射頻識別讀取器的操作方法
US11750271B2 (en) * 2019-10-08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 configuration via multicast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9022C (zh) * 2004-11-18 2009-1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管理控制消息的方法
CN100382652C (zh) * 2005-01-10 2008-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台切换到目标基站的方法
US8554232B2 (en) * 2005-08-17 2013-10-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KR100855225B1 (ko) * 2005-09-28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07100232A1 (en) * 2006-03-03 2007-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9594C (en) 2012-12-18
US8204033B2 (en) 2012-06-19
TWI365635B (en) 2012-06-01
KR101002767B1 (ko) 2010-12-21
CA2629594A1 (en) 2008-10-23
CN101304377B (zh) 2011-06-08
CN101304377A (zh) 2008-11-12
TW200910804A (en) 2009-03-01
US20080259840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767B1 (ko) 멀티-홉 네트워크상의 중계기, 기지국, 중계방법, 전송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KR101474585B1 (ko) 무선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US85541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network coding scheme
US9544045B2 (en) Relaying unicast and multicast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24961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385257B2 (en) Method for relaying and forwar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in HARQ scenario
KR20070090482A (ko) 중계기를 사용하는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전송장치 및 방법
CN102006601B (zh) 一种发送协同数据的方法、系统和装置
US841671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cooperative transmission and network coding transmission scheme
KR101003487B1 (ko)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중계국, 전송 방법,및 이의 유형의 기계-판독가능한 매체
KR101477805B1 (ko) 와이맥스 와이브로 중계 시스템에서 스케줄을 전송하는시스템 및 방법
CN101527710A (zh) 一种传送数据包的方法和装置
US88243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smitting/receving a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34947B2 (en) Cooperative relay method and system in multi-hop relay network
KR20080028264A (ko) Mmr 네트워크 상에서의 멀티 홉 프레임 운용과 프레임전달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004B1 (ko) Mmr 시스템에서의 트랜스패런트 중계국을 위한프레임구조를 이용한 통신 방법
EP3400658B1 (en) A radio communication repeate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WI387262B (zh) 用於一多躍式無線網路之中央控制裝置、訊號傳輸裝置、訊號轉發裝置及其傳輸方法
CN101677462B (zh) 一种带宽分配方法及装置
CN115580946A (zh) 一种信号转发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20040490A (ko) 그룹화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채택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45161A (ko)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 간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채택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