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987A -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987A
KR20080094987A KR1020070039165A KR20070039165A KR20080094987A KR 20080094987 A KR20080094987 A KR 20080094987A KR 1020070039165 A KR1020070039165 A KR 1020070039165A KR 20070039165 A KR20070039165 A KR 20070039165A KR 20080094987 A KR20080094987 A KR 2008009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ck
steering
pinion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4987A/ko
Publication of KR2008009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양으로 큰 랙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갖는 제 1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동일한 회전 중심 및 회전축을 가지며 스티어링 휠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갖는 제 2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피니언 기어부; 및 관 형상의 랙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랙바에 형성되며,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제 1 및 제 2 피니언 기어와 각각 치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제 1 및 제 2 랙기어를 갖는 랙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조향 주행시 미세한 조향을 구현하는 동시에, 응급 주행시 빠른 조향을 위해 구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이중구조의 피니언 기어부와 랙기어부를 이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당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이송 속도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 랙 스트로크, 피니언 기어, 랙기어, 랙바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A steering gear of steering system for vehicle}
도 1a는 종래의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 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기어부와 랙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 30 : 피니언 기어부
31 : 제 1 피니언 기어 33 : 제 2 피니언 기어
40 : 랙바 50 : 랙기어부
51 : 제 1 랙기어 53 : 제 2 랙기어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피니언 기어부와 랙기어부를 이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당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양을 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미세한 조향 및 빠른 조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임의로 바꿀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조향 휠 및 조향 축, 조작력의 변환이 이루어지는 조향기어와 조작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되고, 조향기어의 형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볼 너트형(ball & nut type)과 랙 피니언형(rack & pinion type) 이 주로 쓰이고 있다.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된 피니언이 기어박스 내부의 랙과 맞물려 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 뒤 타이로드를 통해 바퀴에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첨부된 도 1a는 종래의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 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100)는 피니언 샤프트(210)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200), 상기 피니언 기어(200)와 맞물리는 랙 기어(310)가 형성되는 랙바(300), 상기 랙바(300)의 좌우측단에 배치되는 타이로드(미도시), 상기 랙바(300)와 타이로드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00)는 피니언 샤프트(210)의 끝단에 형성되고, 피니언 샤프트(210)는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랙바(300)는 피니언 기어(2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긴 환봉으로서, 관 형상의 랙 하우징(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볼 조인트(500)는 벨로우즈(미도시)가 커버하고, 벨로우즈는 타이로드와 랙 하우징(400)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100)를 가진 조향장치는 랙바(300)와 피니언 기어(200)의 단일 기어비의 치형 구조를 갖고 있으며, 스티어링 휠의 회전양에 비례하는 랙 스트로크를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최대 랙 스트로크의 발생 즉, 풀턴 조건은 일반적으로 응급 상황 또는 주차 상황에서 요구되는 특성으로 신속하게 구현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정조향 주행시 일반적인 미세한 조향 및 주차나 응급 주행시 빠른 조향을 위해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이중구조의 피니언 기어부와 랙기어부를 이용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당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이송 속도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양으로 큰 랙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갖는 제 1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동일한 회전 중심 및 회전축을 가지며 스티어링 휠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갖는 제 2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피니언 기어부; 및
관 형상의 랙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랙바에 형성되며,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제 1 및 제 2 피니언 기어와 각각 치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제 1 및 제 2 랙기어를 갖는 랙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를 제공한다.
상기 랙기어부는 그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제 2 랙기어가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 2 랙기어의 양측 경계선 외측에 형성된 상기 제 1 랙기어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랙기어부는 그 중앙부에서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와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랙기어는 그 간격이 스티어링 휠의 좌우 조향 각도 15도 범위와 대응되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기어부와 랙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10)는 피니언 샤프트(210, 도 1a 참조)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부(30), 상기 피니언 기어부(30)와 맞물리는 랙기어부(50)가 형성된 랙바(40), 상기 랙바(40)의 좌우측단에 배치되는 타이로드, 상기 랙바(40)와 타이로드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500, 도 1a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는 피니언 샤프트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피니언 샤프트는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랙바(40)는 피니언 기어부(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긴 환봉으로서, 관 형상의 랙 하우징(400, 도 1a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볼 조인트는 벨로우즈가 커버되어 있으며, 벨로우즈는 타이로드와 랙 하우징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부(30)는 이중구조로, 직경이 다른 두개의 제 1 피니언 기어(31)와 제 2 피니언 기어(33)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회전 중심 및 회전축을 갖고 있어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회전한다.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는 피니언 샤프트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양으로 큰 랙 스트로크를 얻어 빠른 조향 변경을 할 수 있도록 기어 피치 및 직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33)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의 일반 주행시 평상시와 동일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 1 피니언 기어(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와 동일한 회전 중심 및 회전축을 갖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기 랙바(40)는 관 형상의 랙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제 1 피니언 기어(31) 및 제 2 피니언 기어(33)가 회전 가능하도록 랙기어부(5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랙기어부(50)는 이중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1 랙기어(51)와, 제 2 피니언 기어(33)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 랙기어(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부(50)는 중앙부에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33)와 맞물리도록 치형이 형성된 제 2 랙기어(53)와, 상기 제 2 랙기어(53)의 양측 경계선 외측 방향으로 제 1 피니언 기어(31)와 맞물리도록 치형이 형성된 제 1 랙기어(5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랙기어(51)는 랙기어부(50)의 중앙부의 양측 경계선 외측 방향으로 각각 기어 피치 및 직경이 큰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과 맞물리도록 치형이 형성되어지되, 제 2 랙기어(53)가 형성된 중앙부를 벗어나면 제 2 피니언 기어(33)와는 맞물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랙기어(53)는 랙기어부(50)의 중앙부에 기어 피치 및 직경이 작은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33)과 맞물리도록 치형이 형성되어지되, 제 1 피니언 기어(31)와는 맞물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랙기어(53)가 형성된 랙기어부(5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가 제 2 피니언 기어(33)와 함께 회전하는 동안 제 1 피니언 기어(31)의 치형과는 맞물리지 않도록 일정 거리(g)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 1 피니언 기어(31)가 회전하는 영역만큼 치형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조향 범위(즉, 정조향에서 좌우 15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33) 및 제 2 랙기어(53)가 치합된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스티어링 휠을 작동하게 되며, 응급 상황시 운전자가 제 2 랙기어(53)를 벗어나 최대 랙 스트로크(즉, 풀턴 상태)로 조정하는 상태에서, 제 1 피니언 기어 및 제 1 랙기어(51)가 치합된 상태에서는 적은 스티어링 회전으로도 빠르게 최대 랙 스트로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큰 치형이 형성된 제 1 피니언 기어(31) 및 제 1 랙기어(51)는 종래보다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의 스티어링 휠 회전으로도 기어비가 증가하여 더 많이 움직이며 빠르게 최대 랙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10)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이중구조로써 스티어링 휠의 회전당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양을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일반적인 정조향 상태 즉, 직선거리를 주행하여 스티어링 휠을 좌우 15도 범위 내 회전상태 및 스티어링 휠의 회전 반경이 작은 상태일 때,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10)는 랙기어부(50) 중앙부의 일정 구간 조향 범위 내에서 직경 및 기어 피치가 작은 제 2 피니언 기어(33)와 제 2 랙기어(53)가 맞물리어 작동하므로 스티어링 조작에 의해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최대 랙 스트로크의 발생 즉, 응급 상황일 때,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10)는 랙기어부(50) 중앙부 구간을 벗어난 좌우 외측 구간에서 직경 및 기어 피치가 큰 제 1 피니언 기어(31)와 제 1 랙기어(51)가 맞물리어 작동하므 로 신속하게 빠른 조향이 가능하며, 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으로 큰 랙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미세한 조향 특성을 확보하면서 주차나 응급 상황시에는 빠른 조향 변경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는 직경이 작은 제 2 피니언 기어와 제 2 랙기어가 맞물려 작동하여 스티어링 조작에 의해 미세하게 랙바가 작동하므로 일반적인 주행 중에는 미세한 조향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차나 응급 상황시에는 직경이 큰 제 1 피니어 기어와 제 2 랙기어가 작동하여 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양으로 빠르게 최대 랙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빠른 조향 변경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티어링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샤프트(2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양으로 큰 랙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는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갖는 제 1 피니언 기어(31)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와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동일한 회전 중심 및 회전축을 가지며 스티어링 휠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및 기어 피치를 갖는 제 2 피니언 기어(33)가 구비된 피니언 기어부(30); 및
    관 형상의 랙 하우징(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랙바(40)에 형성되며,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발생하는 랙 스트로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부(30)의 제 1 및 제 2 피니언 기어(31, 33)와 각각 치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제 1 및 제 2 랙기어(51, 53)를 갖는 랙기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50)는 그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제 2 랙기어(53)가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33)와 치합되고, 상기 제 2 랙기어(53)의 양측 경계선 외측에 형성된 상기 제 1 랙기어(51)가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와 치합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50)는 그 중앙부에서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33)와 치합되고, 상기 제 1 피니언 기어(31)와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랙기어(53)는 그 간격이 스티어링 휠의 좌우 조향 각도 15도 범위와 대응되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KR1020070039165A 2007-04-23 2007-04-23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KR20080094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165A KR20080094987A (ko) 2007-04-23 2007-04-23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165A KR20080094987A (ko) 2007-04-23 2007-04-23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987A true KR20080094987A (ko) 2008-10-28

Family

ID=4015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165A KR20080094987A (ko) 2007-04-23 2007-04-23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49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798A1 (en) 2011-07-27 2013-01-31 Husqvarna Consumer Outdoor Products N.A., Inc. Variable effort steering assembly
CN103596831A (zh) * 2011-07-15 2014-02-19 蒂森克虏伯普利斯坦有限公司 用于转向系统的转向小齿轮及其制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6831A (zh) * 2011-07-15 2014-02-19 蒂森克虏伯普利斯坦有限公司 用于转向系统的转向小齿轮及其制造方法
WO2013015798A1 (en) 2011-07-27 2013-01-31 Husqvarna Consumer Outdoor Products N.A., Inc. Variable effort steering assembly
EP2736790A4 (en) * 2011-07-27 2016-07-27 Husqvarna Ab STEERING ARRANGEMENT WITH VARIABLE FO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7831B2 (en) Actuator for electrical parking brake system
CN101391620B (zh) 车辆的齿轮箱型主动转向系统
US20070249453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Applying Assist Power to Rotary Member Surrounding Tie Rod Connecting Bar
US20090260468A1 (en) Steering device and movement converting device used therefor
JP2011093472A (ja) 電動倍力装置
EP3079967B1 (de) Fahrzeuglenkung mit einem überlagerungssteller
US20160297469A1 (en) Angle superimpos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steering device
US20180186398A1 (en) Steering device
CN112722061A (zh) 用于车辆转向柱的力矩反馈组件及车辆转向柱
DK2669155T3 (en) Trailer rating drive with gear unit with non-parallel shaft arrangement
KR20080094987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기어
KR101042401B1 (ko) 차량의 독립형 sbw 조향 장치
KR102537011B1 (ko) 전동파워 스티어링 장치
US20100331133A1 (en) Superposition-drive for a steering system
KR101031059B1 (ko) 유격 보상 구조를 구비한 조향장치
JP504047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80926B1 (ko) 랙 피니언형 조향장치
JP2008534867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14157415A (ja) ペダル位置調整装置
KR100723725B1 (ko) 제롤 베벨기어를 구비한 모터 구동식 조향장치
EP3657049B1 (en) Gearbox actuator
JP201014957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25949B1 (ko) 랙 앤 피니언 조향장치
KR20060081092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조향기어비 가변장치
KR20050041220A (ko) 초저상 버스용 조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