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493A -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493A
KR20080094493A KR1020070038997A KR20070038997A KR20080094493A KR 20080094493 A KR20080094493 A KR 20080094493A KR 1020070038997 A KR1020070038997 A KR 1020070038997A KR 20070038997 A KR20070038997 A KR 20070038997A KR 20080094493 A KR20080094493 A KR 2008009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s
latitude
longitude
ship
satellite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164B1 (ko
Inventor
최항섭
박동호
박진호
진민정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1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04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terrestri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로부터 원점에서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는 제 1 과정과; 현재위치에 대한 위도(lat1)와 경도(lon2)를 구면좌표계의 원점이라 가정하고, 목적지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연산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얻어진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에 입력하여 GGA 위치좌표로 표시하는 제 3 과정; 으로 구성하여,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를 이용하여 선박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실제 지구환경에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는 GGA(Global positioning system fix data) 위치좌표로 표시함에 따라 선박의 움직임 위치에 대한 실제 지구환경(바람, 조류, 파도 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직교좌표, 위성항법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구면좌표, 위도, 경도,

Description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Converting method}
도 1 은 선박의 동특성 결과를 표시하는 직교좌표를 보인 도면.
도 2 는 지구의 출발점에서 도착점을 위도와 경도 및 거리로 표시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구면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4 는 도 2 의 출발점과 도착점으로 구면좌표로 표시한 도면.
도 5 는 연산에 의해 얻어진 도착점의 위도와 경도 정보를 입력하여 GGA 위치좌표로 표시하기 위한 위성항법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을 보인 도면.
본 발명은 선박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를 이용하여 선박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실제 지구환경에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는 GGA(Global positioning system fix data) 위치좌표로 표시함에 따라 선박의 움직임 위치에 대한 실제 지구환경(바람, 조류, 파도 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IMO(국제 해사 기구,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선박 조종성능에 관한 기준(Resolution MSC 137)이 지난 2004년 1월 부로 발효되고,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더불어 항해 안정성, 특히 해난사고에 기인한 해양오염 방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 설계단계에서부터 선박의 조종성능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IMO에서는 항해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Resolution A. 601에 따라 조종 지침서(maneuvering booklet) 등의 조종성 관련 정보를 선원들에게 제공, 선박에 비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들은 선박의 운항 안정성을 설계자 혹은 건조자 측의 입장에서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선체 자신이 충분한 성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항해하는 선박 고유의 운동특성으로서의 조종성능에 그 관심이 집중되어 있고 바람(Wind) 영향을 제외한 외부 환경의 영향이 거의 배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들이 심수역 및 정수(Steel water) 중에서의 환경조건을 전제하고 있으나, 실제의 운항에 있어서는 항만이나 운하 등의 천수역이나 협수로 등 이른바 제한수역이나 바람, 조류, 파도 등의 외란(外亂) 하에서의 운항이 오히려 더 가혹한 조건이며, 이때의 조종성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유추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에, 이미 많은 국 내외의 기관에서는 선박 자체의 성능 뿐 아니라 외부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조종성능 추정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운항 시뮬레이션, 항해사 교육 등 여러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결과가 여러 학회 및 학술지를 통해 발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운행에 따른 현재위치는 직교좌표로 표시된다.
그러나, 직교좌표는 현재위치만을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지구 환경을 운항정보에 접목시킬 수 없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운항을 계획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A,B)로 부터 원점에서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는 제 1 과정과; 현재위치에 대한 위도(lat1)와 경도(lon2)를 구면좌표계의 원점이라 가정하고, 목적지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연산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얻어진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에 입력하여 GGA 위치좌표로 표시하는 제 3 과정; 으로 구성하여,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를 이용하여 선박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실제 지구환경에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는 GGA(Global positioning system fix data) 위치좌표로 표시함에 따라 선박의 움직임 위치에 대한 실제 지구환경(바람, 조류, 파도 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한 본 발명은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A,B)로 부터 원점에서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는 제 1 과정; 현재위치에 대한 위도(lat1)와 경도(lon2)를 구면좌표계의 원점이라 가정하고, 목적지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식(11)(12)에 의해 연산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서 얻어진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에 입력하여 GGA 위치좌표로 표시하는 제 3 과정;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이 운항하게 되면, 그 선박의 동특성 정보 즉, 위치는 도 1 과 같은 직교좌표에 표시된다.
선박을 좌표 X축으로 A만큼, Y축으로 B만큼 이동한 것을 도 1 과같이 직교좌표에 표현한다.
원점에서 1사분면에 위치한 (A,B)점의 원점에서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면(원점에서 출발하여 (A,B)로 이동한 거리),
식 (1) --- 원점에서의 거리(distance) =
Figure 112007030216227-PAT00001
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라디안(Radian) 을 도(Degree)로 변환하는 RAtoDE를 57.2957795129 로 정하여 직교좌표에서 선박의 현재 위치에 대한 방위각(azimuth)를 아래의 식 2 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식 (2) --- 방위각 a1 = 90.0 - RAtoDE*arctan(B/A)
그리고, 직교좌표에서 2,3,4 분면의 직교좌표에 위치할 경우에도 위와 같이 거리와 방위각을 구할 수 있다.
한편, 지구의 임의의 출발점(A)과 도착점(B)을 위도(lat1)와 경도(lon1) 및 위도(lar2)와 경도(lon2)와 거리(b)로서 지구의에 표시하면 도 2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도 2 의 출발점(A)과 도착점(B)을 구면좌표계에 표시하게 되면, 도 3 의 작도과정을 거쳐 도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출발점(A)에 대한 위도(lat1)와 경도(lon1) 및 거리(b)와 방위각(azimuth)을 안다면 도착점(B)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연산할 수 있으며, 그 연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osine 법칙(구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cos(b) = cos(a)*cos(c) + sin(a)*sin(c)*cos(B)
cos(a) = cos(b)*cos(c) + sin(b)*sin(c)*cos(A)
cos(c) = cos(a)*cos(b) + sin(a)*sin(b)*cos(C)
그리고, Sines 법칙(구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sin(B)/sin(b) = sin(A)/sin(a) = sin(C)/sin(c)
원호길이(구면)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원호길이 = 지구반경(Earth Radius)*중심각(라디안)
즉, 상기와 같은 주어진 공식을 이용하여 출발점(A)에 대한 위도(lat1)와 경도(lon1) 및 진행거리(distance) 및 방위각(azimuth)을 알면 도착지(B)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수식(1)로부터 진행거리(distance)를 연산하고, 수식(2)로부터 방위각(azimuth)를 연산하며, 원점을 주어진 출발점(A)의 위도(lat1)와 경도(lon1)라고 가정하면 상기 식을 이용하여 도착점(B)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연산과정을 아래에 자세히 설명한다.
WGS84 좌표계 지구반경(Earth Radius)은 6378137로 정의되고 단위는 Km 이다.
도(Degree)를 라디안(Radian)으로 변환하는 DEtoRA를 0.01745329252이고, 라디안(Radian)을 도(Degree)로 변환하는 RAtoDE를 57.2957795129로 정한다.
원의 지름 길이에 대한 원주 길이의 비(π)를 4.14159265368979323846로 정한다.
길이 = 반경*중심각(라디안)에 의하여 아래의 수식 3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3) -- b = distance/Earth Radius
수식 (4) -- sinb = sin(b)
수식 (5) -- cosb = cos(b)
수식 (6) -- sinc = sin(DEtoRA * (90.0-lat1))
수식 (7) -- cosc = cos(DEtoRA * (90.0-lat1)
수식 (8) -- azrad = DEtoRA * azimuth
Cosines 법칙(구면) - cos(b) = cos(a)*cos(c) + sin(a)*sin(c)*cos(B)- 에 의하여
수식 (9) -- a = arcos(cosb * cosc + sinc*sinb*cos(azrad))
를 얻을 수 있다.
또한, Sines 법칙(구면) - sin(B)/sin(b) = sin(A)/sin(a) = sin(C)/sin(c) - 에 의하여,
수식 (10) -- B = arcsin(sin(b)*sin(azimuth)/sin(a)
수식 (11) -- lat2 = RAtoDE * ( (π/2.0)-a)
수식 (12) -- lon2 = B + lon1
와 같이 수식(11), 수식(12)를 이용하여 도착지(B)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연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식(11)과 수식(12)을 이용하여 연산한 도착지(B)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IEC61162의 정보로 변환한다.
항해장비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장비 데이터 정보인 GGA로 변환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실제 선박의 위치를 직교좌표에서 구면좌표로 표시하는 것이며, 이때 위도와 경도를 표시한다.
도 5 는 GGA 통신프로토콜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GGA 통신프로토콜에 앞선 수식으로부터 연산된 도착지(B)의 위도(lat2)와 경도(lon2)를 입력하는데,
No.2에는 위도(lat2)를 입력하고, No.3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위도(lat2)가 양수 값이면 'N'문자를 입력하고, 음수 값이면 'S'의 문자를 입력한다.
또한, No.4에는 경도(lon2)를 입력하고 No.5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경도(lon2)가 양수 값이면 'E'의 문자를 입력하고, 음수 값이면 'W'의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를 이용하여 선박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를 실제 지구환경에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는 GGA(Global positioning system fix data) 위치좌표로 표시함에 따라 선박의 움직임 위치에 대한 실제 지구환경(바람, 조류, 파도 등)을 고려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동특성 결과인 직교좌표로 부터 원점에서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하는 제 1 과정;
    현재위치에 대한 위도와 경도를 구면좌표계의 원점이라 가정하고, 목적지의 위도와 경도를 lat2 = RAtoDE*((π/2.0)-a)와 lon2=B+lon1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서 얻어진 위도와 경도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통신프로토콜에 입력하여 GGA 위치좌표로 표시하는 제 3 과정;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좌표를 위성항법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KR1020070038997A 2007-04-20 2007-04-20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KR100865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997A KR100865164B1 (ko) 2007-04-20 2007-04-20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997A KR100865164B1 (ko) 2007-04-20 2007-04-20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493A true KR20080094493A (ko) 2008-10-23
KR100865164B1 KR100865164B1 (ko) 2008-10-24

Family

ID=4015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997A KR100865164B1 (ko) 2007-04-20 2007-04-20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7771A (zh) * 2020-12-24 2021-05-04 河南天迈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测试定位数据的方法
CN113124853A (zh) * 2019-12-31 2021-07-1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定位平移方法和装置、导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44A1 (ko) * 2018-09-27 2020-04-02 (주)지엠티 인터넷 기반의 선박자동식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468A (ko) * 1997-08-23 1999-03-15 김영환 상대 위치 측정장치
KR100321547B1 (ko) * 1999-09-15 2002-01-24 강인준 지피에스 수신 신호의 정밀 좌표 해석을 통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0257148Y1 (ko) * 2001-07-10 2001-12-24 (주)한양 3차원 위치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4853A (zh) * 2019-12-31 2021-07-1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定位平移方法和装置、导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747771A (zh) * 2020-12-24 2021-05-04 河南天迈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测试定位数据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164B1 (ko) 200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16565B2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navigation of vessels in specific water environments
JP2015037936A5 (ko)
KR100865164B1 (ko) 직교좌표를 위성항법 시스템의 위치좌표로 변환하는 방법
Hartoko et al. The myth and legend of Sadai and Gaspar Strait Bangka Belitung (Banca-Billiton)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US8365425B2 (en) Chart specific navigation plotter and method for inexpensive production thereof
Harnois et al. Physical measurement of a slow drag of a drag embedment anchor during sea trials
Wright Virtual aids to navigation
Müller-Plath et al. How Does Maritime Situation Awareness Depend on Navigation Automation and Mental Workload? A Sea Simulator Experiment
Dooling Navigating close to shore
RU2315365C2 (ru) Способ и моде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лоцмана судна
Andreasen The IHO, Electronic Charting and the changing relationship to ports
Wright et al. A Georeferencing Approach to Real-Time Virtual Aid to Navigation Verification
Čolak et al. Current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s (ECDIS) in Use
Pearson Reeds Skipper's Handbook
Bowers Compass Errors in Mobile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Apps: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Lista IMPROVING BRIDGE RESOURCE MANAGEMENT THROUGH ECDIS ENHANCEMENT
Dang et al. AUTOMATION PRINCIPLE OF DYNAMIC POSITIONING SYSTEM ON SHIPS
Allan OCEAN MAPPING
da Silva et al. Setup,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manoeuvring full-scale sea trials data of navy ships
Kjerstad et al. Full-scale ice-navigation simulator
Yousefi The role of navigational aids such as radar/ARPA, ECDIS, AIS, autopilot, on safe navigation at sea
Liang A study of a short-baseline acoustic positioning system for offshore vessels
Bezhanovi et al. On double importance of the charts in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Manley Practical Navigation for the Modern Boat Owner: Navigate Effectively by Getting the Most Out of Your Electronic Devices
Alexander et al. Use of portable piloting units by maritime pil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