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279A -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 Google Patents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279A
KR20080094279A KR1020070038490A KR20070038490A KR20080094279A KR 20080094279 A KR20080094279 A KR 20080094279A KR 1020070038490 A KR1020070038490 A KR 1020070038490A KR 20070038490 A KR20070038490 A KR 20070038490A KR 20080094279 A KR20080094279 A KR 2008009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mandibula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0476B1 (en
Inventor
허민석
이태경
Original Assignee
허민석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석, 이태경 filed Critical 허민석
Priority to KR102007003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476B1/en
Publication of KR2008009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61C19/052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with trac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7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n operator to perform an improved medical operation by a function of reproducing a human's real temporo-mandibular joint activity and a digital articulator with a simplified structure.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includes: a first body part(100) for maxillary teeth; a second body part for mandibular teeth; a first marker part(150) and a second marker part(250) respectively formed on the out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re made of res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re formed so that an occlusion surface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is opened.

Description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이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에 각각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 제1 몸체부, 200, 400... 제2 몸체부,100, 300 ... first body part, 200, 400 ... second body part,

150... 제1 마커부, 250... 제2 마커부150 ... first marker portion, 250 ... second marker portion

본 발명은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 및 하악의 모션 캡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최적의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는 구강 내 보철물 등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motion capture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 allow for the creation of oral prostheses and the like to satisfy the optimal occlusal state. It is about.

치아는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운동을 통하여 상하 치아가 교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치아에 손상을 입게 되면 이러한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 의 기능 장애를 불러온다. 이러한 경우 보철물 등을 기존 치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손상된 치아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치아의 미용을 위해서도 치아를 교정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Teeth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occlude through joint motion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However, when the teeth are damaged, this occlusion problem occurs, leading to tooth dysfunction. In this case, the damaged tooth can be corrected by inserting a prosthesis into the existing tooth.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straighten the teeth for the beauty of the teeth is increasing trend.

보철물 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교합기(articulator)가 사용되는데,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형을 장착하고 인위적으로 상악골과 하악골의 관절운동을 유발함으로써, 삽입 시 기존 치아와 잘 융화될 수 있는 보철물 등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교합기는 상악 및 하악의 모형을 장착하기 위한 관절부를 포함하고, 구강 내의 상악 및 하악 위치 관계 와 하악의 운동을 구강 외의 치열 모형 상에서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 articulator is used to check the occlusion stat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osthesis. The articulator is fitted with a tooth model of the subject and artificially induces joint movement of the maxilla and mandible, thereby interlocking well with the existing tooth. It is a device for processing a prosthesis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articulator includes joints for mount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dels, and is configured to reproduce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positional relationship and mandibular movement in the oral cavity on an orthodontic model outside the oral cavity.

이러한 교합기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교합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종래의 교합기는 시술 대상자의 치아 모델이 장착되는 상악 및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와, 이들을 연결해주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매개하는 장착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As articulators, articulators of various types are used, but conventional articulators include a maxillary and a mandibular tooth model cast on which a tooth model of a subject is mounte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m, and a mounting means for mediating the connecting member. It was structured to includ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교합기들은 인위적으로 상악 및 하악 치아 모형 캐스트의 상하, 전후, 및 좌우운동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교합상태를 체크하기 때문에, 사람의 실제 턱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없어 정교한 교합 작업을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rticulators check the occlusal state in a manner that artificially induces the up, down, front, and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casts, it is impossible to reproduce the actual jaw joint movement of a perso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carried out.

또한, 조절기구가 많고 다수의 나사를 사용해야 하는 등,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 크고 무거워 다루기 힘들며,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변위운동을 제대로 유도하는데 매우 숙달된 기능을 요구하여 최적의 교합상태에 대해서 전문가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evice is very complex, bulky and heavy, difficult to handle, expensive, and requires a very skilled function to induce fine displacement move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an error according to the expert may occur with respect to the occlusal stat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정확한 교합상태를 만족시키는 구강 내 보철물 등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structure to make oral prostheses and the like that satisfies a more accurate occlusal state.

특히, 사람의 실제 턱관절 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는 동시에 기존 교합기로부터 구조의 단순화를 꾀함으로써, 기술적으로 향상된 의료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from the existing articulator while having a function that can reproduce the actual jaw joint movement of a person, it is possible to technically improve medical behavio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마커부를 포함한다.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body portion for the maxillary teeth, the second body portion for the lower teeth, and formed on each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first and second marker portions.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formed of a resin.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개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for open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상악 치아 및 상기 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를 각각 둘러싸는 밴드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may be formed in a band-like structure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so that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open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외측부에 제1 및 제2 절단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utout part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chanisms which connec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ut portion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rkers may have first and second suppor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lip and the lower lip,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t may comprise a second polygonal plate.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면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rkers may have first and second suppor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lip and the lower lip,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It may comprise a second polyhedron.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대는 하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bent downward to enter the upper lip, the second support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curved upward to enter the lower lip. have.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may be formed of a resin including reinforcing fibers.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끝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markers are first and second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upper and lower lip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It may include a marker of.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치아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 그리고 치아의 치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may include an internal structure and an external structure that may be fix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external structure through the interdental portion of the tooth. can do.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치아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 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may be shap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ooth.

또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formed of a resin containing a reinforcing fibe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은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왁스로 경계를 만드는 단계,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레진 용액을 입혀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교합면이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일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절단한 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으로부터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모션 캡처를 위한 마커부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ental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e step of applying a separating agent to eac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wax on eac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by applying a resin solution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tooth models to which the separating agent is applied, thereby forming a resin pattern for the upper teeth and a resin pattern for the lower teeth, respectively. Removing a portion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a portion of the mandibular dental resin pattern so that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dental model are respectively exposed, and cutting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ndibular dental resin pattern in their height directions, respectively Step, after cutting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ndibular dental resin pattern, Separating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from the maxillary dental model and the maxillary dental model, respectively, for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to each other Forming a connecting mechanism in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connecting a marker portion for motion capture to each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respectively. .

또한, 상기 상악 치아 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이웃하는 치아가 벌어져 이루어진 빈 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빈 공간을 왁스로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illing the void space with wax if there is a void space formed by the neighboring teet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또한, 상기 레진 용액은 강화용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n solution may include reinforcing fiber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structure of a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디지털(digital) 교합기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구조물이다.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implement a digital articulator.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은 제1 몸체부(100), 제2 몸체부(200), 제1 마커부(150) 및 제2 마커부(2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art 100, a second body part 200, a first marker part 150, and a second marker part 250. ).

제1 몸체부(100)는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구조에 맞게 그 모양이 형성되어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몸체부(200)는 시술 대상자의 하악 치아 구조에 맞게 그 모양이 형성되어 시술 대상자의 하악 치아에 착용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100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upper jaw structure of the subject can be worn on the maxillary teeth of the subject, the second body 200 is shaped in accordance with the mandibular tooth structure of the subject It can be formed and worn on the mandibular teeth of the subject.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는 각각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는 시술 대상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 모형을 그대로 본 뜬 치아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는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모형(101)에 제1 몸체부(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하단에 시술 대상자의 하악 치아 모형(102)에 제2 몸체부(2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are formed to be accurate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subject,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tooth model that is a model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models of the subject.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100 is mounted on the maxillary dental model 101 of the subject. Similarly,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art 200 is mounted on the mandibular tooth model 102 of the subject at the lower part of FIG. 3 is illustrated.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은 시술 대상자의 구강 상태를 정확히 재현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보다 안정적인 착용을 위해서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101, 102)의 잇몸부위 및 치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잇몸을 덮지 않고 치아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치아를 덮지 않고 잇몸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maxillary tooth model 101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102 accurately reproduce the oral condition of the subject, and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for more stable wearing.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gum portion and the teeth (101, 102).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be formed to cover only a part of the teeth without covering the gums, or may be formed to surround only a part of the gums without covering the teeth.

도면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악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치아가 일부만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존재하는 일부의 치아만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치아가 없이 틀니를 착용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해당 틀니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shown to have a form surrounding the entir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teeth, but when only a part of the teeth exist,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present. ) May have a form surrounding only some of the teeth present.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wears a denture without teeth,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denture.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레진(resin)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be formed of resin.

또한,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고강도 기능을 위해서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be formed of a resin including reinforcing fibers for high strength function.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시술 대상자가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착용하고도 자연스럽게 저작운동 등의 구강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formed such that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opened.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occlude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teeth so that the subject may naturally perform oral activities such as chewing while wear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It has a structure that exposes the surface.

상기한 바와 같이,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의 구 조는 도 1의 예와 같이 밴드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그 외측부가 각각 그 높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제1 및 제2 절단부(110, 210)가 형성되고,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기구(115, 21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구(115, 215)는 제1 및 제2 절단부(110, 210)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버튼(216)과, 이 두 개의 버튼(216)을 쌍으로 묶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217)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구(115, 215)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시술 대상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에 밴드 형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exposing the occlusal surface may be in the form of a band as in the example of FIG. 1. As shown in FIG. 1,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cut at their out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thereof,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ut parts 110 and 210 are formed and cut. Connection mechanisms 115 and 215 for connecting both ends are provided. The coupling mechanisms 115 and 215 may be a pair of buttons 216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utouts 110 and 210, and the two buttons 216 may be fixed in a pair. A fixing string 217 or the like.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be worn in the form of bands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subject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chanisms 115 and 215.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모션 캡처를 위한 도구로서, 상기 제1 마커부(150)는 제1 몸체부(100)에, 그리고 상기 제2 마커부(250)는 제2 몸체부(200)에 각각 장착된다.The first and second marker portions 150 and 250 are tools for motion capture, wherein the first marker portion 150 is on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the second marker portion 250 is on the second portion. It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200,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운동 데이터의 보다 효율적인 좌표값을 얻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의 외측 중앙에 장착될 수 있고, 시술 대상자의 자연스런 구강 활동을 보장할 수 있기에 적합한 형태를 지닌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150 and 250 may have an out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to obtain more efficient coordinate values of the exercise data. It can be centrally mounted and has a shape suitable to ensure natural oral activity of the subject.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를 각각 포함하며, 제1 지지대(151)는 시술 대상자의 상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지지대(251)는 시술 대상자의 하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의 부분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150 and 25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s 151 and 251, respectively, and the first support 151 may be lowered to allow the upper lip of the subject to enter. It includes a curved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251 includes a curved curved portion that can be curved upward so that the lower lip of the subject.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51 and 251 may be formed of a resin, or may be formed of a resin including reinforcing fibers to increase strength.

모션 캡처하는 방식 중에서 스캐너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 끝단에 각각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152, 252)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152, 252)는 제1 및 제2 다면체(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형태의 다각형 플레이트 보여주고 있다. 스캐너 방식을 통해 얻어진 각각의 이미지는 상기 다각형 플레이트(또는 다면체)를 기준으로 매칭(matching)되고, 연속된 이미지는 시술 대상자의 교합 운동 데이타를 형성하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a scanner method among motion capturing methods,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150 and 250 may have first and second polygon plates 152 and 252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ers 151 and 251, respectively. ).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olygonal plates 152 and 252 may be replaced with first and second polyhedrons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a triangular polygonal plate is shown. Each image obtained through the scanner method is matched with respect to the polygonal plate (or polyhedron), and successive images form occlusal motion data of the subject.

또한, 모션 캡처하는 방식 중에서 광학마그네틱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제1 및 제2 지지대(151, 251) 끝단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153, 25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는 각각 세 개의 마커(153, 25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tical magnetic method is used among the motion capturing methods,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150 and 25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rkers 153 and 152 attach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51 and 251, respectively. 253).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150 and 250 may include three markers 153 and 253,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가 각각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합면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몸체부(300, 400)의 구조는, 제1 및 제2 몸체부(300, 400) 각각의 내부 구조물(301, 401)과 외부 구조물(302, 402), 그리고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303, 403)를 포함하는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300)가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의 안쪽에 착용될 수 있는 내부 구조물(301)과 바깥쪽에 착용될 수 있는 외부 구조물(302)로 나뉘고, 철사와 같은 연결부재(303)를 치간부로 관통시켜서 상기 두 구조물(301, 302)을 연결함으로써, 상 기 분리형 구조의 제1 몸체부(300)가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악 치아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may have a form separated into two parts.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00 and 400 exposing the occlusal surface may be internal structures 301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00 and 400, respectively. , 401, and external structures 302 and 402, and connecting members 303 and 403 connecting them,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body 300 is divided into an inner structure 301 that can be worn inside the maxillary teeth of the subject and an outer structure 302 that can be worn outside, and a connection member 303 such as a wire. By connecting the two structures (301, 302) by passing through the interdental portion, the first body portion 300 of the detachable structure can be fixed to the teeth of the subject. In additio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lower teeth.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300, 400)는 각각의 내부 구조물(301, 401)이 없는 상태에서 각각의 외부 구조물(302, 402) 만으로 시술 대상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장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300 and 400 may be mounted o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subject with only the outer structures 302 and 402 without the respective inner structures 301 and 401. It may be.

그리고 위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마커부(150, 250)가 제1 몸체부(300) 및 제2 몸체부(400)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150 and 25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body part 300 and the second body part 400, respectively.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보통 시술 대상자에 따라 채득한 인상에 석고를 주입하여 제작한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 각각에(도3 참조), 레진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적당량의 레진 분리제 등을 바른다.In each of the maxillary dental model 101 and the mandibular dental model 102 produced by injecting gypsum into impressions obtained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the procedure (see FIG. 3), an appropriate amount of a resin separation agent is used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resin. Apply

그리고, 상기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 각각에 왁스로 경계를 만드는데, 이때, 모형 상에 우식에 의한 치관결손 부위나 이웃하는 치아가 벌어져 이루어진 빈 공간이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왁스로 채워준다.In addition, eac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101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102 makes a boundary with wax. In this case, if a hollow space formed by a caries crown site or neighboring teeth is opened on the model, the wax appears. Fill it with

분리제가 도포된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 각각에 미세한 가루와 액체를 섞어 만든 레진 용액을 입힌다.The resin solution made by mixing fine powder and liquid is coated on each of the maxillary dental model 101 and the mandibular dental model 102 to which the separating agent is applied.

이때, 고강도 기능을 갖는 구조물을 만들고자 한다면,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you want to make a structure having a high strength function, it is possible to use a resin solution containing a fiber for reinforcement.

상기 레진 용액이 완전히 경화하면, 자연스런 구강 활동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악 치아 모형(101) 및 하악 치아 모형(102)의 교합면이 각각 노출되도록 경화된 레진 패턴의 일부를 각각 잘라낸다.When the resin solution is completely cured, a portion of the cured resin pattern is cut out so that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maxillary dental model 101 and the mandibular dental model 102 are exposed, respective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natural oral activity. .

다음,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외측부를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여 밴드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1 참조). 또한, 어금니 양 끝 부위를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여 치아의 안쪽과 바깥쪽에 나누어 장착할 수 있도록 분리형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2 참조).Next, the outer portions of the upper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lower dental resin pattern may be cut in the height direction to form a band-like structure (see FIG. 1). In addition, each end portion of the molar can be cut in its height direction to form a separat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divided and moun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tooth (see FIG. 2).

상기 절단된 부위를 이용하여,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101, 102)으로부터 각각 제거할 수 있다.The cut region may be used to remove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from the maxillary dental model and the mandibular dental model 101 and 102, respectively.

다음, 상기 밴드형 구조로 형성된 레진 패턴의 경우에는, 그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115, 215)를 각각 부착한다. 도 3에는 상기 연결기구의 실시예로 돌기형 버튼(216)이 도시되어 있다.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본 구조물을 장착한 상태에서, 절단된 양단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형 버튼(216)을 탄성을 지닌 고정끈(217) 등으로 감아 시술 대상자의 치아에 본 구조물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Next, in the case of the resin pattern formed in the band structure, the connecting mechanisms 115 and 215 for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cut each other are attached. 3 shows the protruding button 216 as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chanism. In the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mounted on the subject's teeth, the projecting button 216 formed in pairs at both ends thereof is wound with elastic fixing straps 217 to fix the structure on the subject's teeth. It becomes possible.

다음, 마커부(150, 250)의 지지대(151, 251) 끝단을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외측 중앙부에 각각 부착하여 상기 마커부(150, 250)를 연결한다.Next, the ends of the supporters 151 and 251 of the marker parts 150 and 250 are attached to the outer cent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tooth resin patterns and connect the marker parts 150 and 250,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의 모 션 캡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교합기를 구현할 수 있고, 시술 대상자에 따라 보다 정확한 교합 운동 데이타를 획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motion capture of the maxillary and mandible using a dental structure, and to implement a digital articulator based on this, and to obtain more accurate occlusal motion data according to the subject. have.

또한, 기존 교합기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디지털 교합기를 구현함으로써 교합 진단 과정이 편리해지고, 교합기 제작자나 시술자의 교합기 제작 숙련도 및 주관적 판단에 따른 시술 오차를 더욱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a digital articula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existing articulator, the occlusal diagnosis process is facilitated, and the operation error according to the articulator manufacturer's or operator's articulation skill and subjective judgment can be further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보철물 등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manufacture more reliable prostheses and the like using the dent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상악 치아용 제1 몸체부,First body for maxillary teeth, 하악 치아용 제2 몸체부, 그리고Second body portion for mandibular teeth, and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의 각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마커부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formed on each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Dental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레진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구조물.Dental structur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formed of a resin.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교합면을 개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구조물.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 is a dental structure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opens the occlus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제3항에서,In claim 3,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상기 상악 치아 및 상기 하악 치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를 각각 둘러싸는 밴드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구조물.And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re formed in a band-like structure surround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so that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are opened. 제3항에서,In claim 3,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외측부에 제1 및 제2 절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치과용 구조물.And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include first and second cutout portions, respectively, on the outer side. 제5항에서,In claim 5,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The dental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portion to each other.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First and second supports having predetermined lengths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lips,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각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Dental structure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polygonal plate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respectively.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First and second supports having predetermined lengths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lips,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다면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Dental structure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polyhedron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respectively. 제7항 또는 제8항에서,In claim 7 or 8, 상기 제1 지지대는 상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하측 입술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방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The first support includes a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bent downward to enter the upper lip, the second support is a dental structure comprising a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bent upward to enter the lower lip. 제7항 또는 제8항에서,In claim 7 or 8,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구조물.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re formed of a resin comprising reinforcing fibers.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마커부는 The first and second marker parts 상측 입술과 하측 입술 외부로 각각 충분히 돌출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First and second supports having predetermined lengths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and lower lips,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의 끝 부분에 부착되는 복수의 마커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Dental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rkers attach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치아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 그 리고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which can be fix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ooth, respectively; 치아의 치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구조물과 외부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external structure through the interdental portion of the tooth 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Dental structure comprising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각각은 치아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는 치과용 구조물.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has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tooth.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레진으로 형성되는 치과용 구조물.And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formed of a resin comprising reinforcing fibers. 상악 치아 모형 및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분리제를 도포하는 단계,Applying a separator to each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models,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왁스로 경계를 만드는 단계,Creating a boundary with wax on eac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상기 분리제가 도포된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 각각에 레진 용액을 입혀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Applying a resin solution to eac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to which the separating agent is applied to form a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a mandibular dental resin pattern, respectively;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교합면이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일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Removing a portion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a portion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to expose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maxillary dental model and the maxillary dental model, respectively;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그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Cutting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ndibular dental resin pattern in a height direction thereof,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절단한 후, 상기 상악 치아 모형 및 상기 하악 치아 모형으로부터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 및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을 각각 분리하는 단계, After cutting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separating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from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respectively;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의 절단된 양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구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에 각각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Forming connecting mechanisms for connecting the cut ends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to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respectively; and 모션 캡처를 위한 마커부를 상기 상악 치아용 레진 패턴과 상기 하악 치아용 레진 패턴 각각에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a marker portion for motion capture to each of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and the maxillary dental resin pattern 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Dental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제15항에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상악 치아 모형과 상기 하악 치아 모형의 이웃하는 치아가 벌어져 이루어진 빈 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빈 공간을 왁스로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If there is an empty space formed by the neighboring teeth of the maxillary tooth model and the mandibular tooth mod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illing the void space with wax. 제15항에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레진 용액은 강화용 섬유를 포함하는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The resin solution is a dental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reinforcing fiber.
KR1020070038490A 2007-04-19 2007-04-19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KR100890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90A KR100890476B1 (en) 2007-04-19 2007-04-19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90A KR100890476B1 (en) 2007-04-19 2007-04-19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79A true KR20080094279A (en) 2008-10-23
KR100890476B1 KR100890476B1 (en) 2009-03-26

Family

ID=4015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90A KR100890476B1 (en) 2007-04-19 2007-04-19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47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27B1 (en) * 2010-03-23 2012-01-31 이태경 Plate with reference marker for the image reconstruction of occlusal relationship
KR101301477B1 (en) * 2010-10-23 2013-08-29 이태경 Radiopaque Marker for Multiple Images Merging or Synchronization
KR101416985B1 (en) * 2012-12-15 2014-08-14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An auxiliary scan table for scanning 3D articulator dental model
KR101654315B1 (en) 2015-04-16 2016-09-08 이신원 Toilet bowl for feces
KR102061778B1 (en) * 2019-02-21 2020-01-03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102121992B1 (en) * 2019-02-21 2020-06-12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20210089473A (en) * 2020-01-08 2021-07-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mandibular movement mod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289A (en) * 2002-02-22 2003-09-02 Univ Nihon Dental implant operation support apparatus
US8215957B2 (en) 2005-05-12 2012-07-10 Robert Shelton Dental implant placement locator and method of us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27B1 (en) * 2010-03-23 2012-01-31 이태경 Plate with reference marker for the image reconstruction of occlusal relationship
KR101301477B1 (en) * 2010-10-23 2013-08-29 이태경 Radiopaque Marker for Multiple Images Merging or Synchronization
KR101416985B1 (en) * 2012-12-15 2014-08-14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An auxiliary scan table for scanning 3D articulator dental model
KR101654315B1 (en) 2015-04-16 2016-09-08 이신원 Toilet bowl for feces
KR102061778B1 (en) * 2019-02-21 2020-01-03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102121992B1 (en) * 2019-02-21 2020-06-12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20210089473A (en) * 2020-01-08 2021-07-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mandibular movement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476B1 (en)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476B1 (en) A structure for use in dentistry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it
JP3131919U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orthodontic treatment results
US8277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US6447296B2 (en) Quadrant and anterior dental shells and method of making a multi-tooth crown or bridge
CN111655192B (en) Digital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939539B1 (en) Partially connected full denture having an adjustable dental arch and occlusion curvature
JP4047548B2 (en) Temporary crown with long oval profile and long-term provisional crown
EP3139857B1 (en)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JP5006890B2 (en) Tooth fixture
KR101478720B1 (en) Guide device of dental drill and method for making stent
JP5449965B2 (en) Artificial teeth
US20060286502A1 (en) Teeth indexing device
Tinker Fixed bridge-work
KR200220295Y1 (en) Articulator For A Dental Technician
US20060068357A1 (en) Metal dental impression tray
KR102459371B1 (en) alignment fixing method for holder abutment using jig apparatus
KR200469131Y1 (en) Dental model articulator including latch
RU2748201C1 (en) Removable denture of the upper jaw for patients with hypostomia
JP7222497B1 (en) Oral fitting
JP2019000290A (en) Partial denture
US20220117709A1 (en) Prosthetic tooth
RU2255705C1 (en) Method for producing permanent dental prostheses
JP6239182B1 (en) Partial denture
JPH1085239A (en) Manufacture of dental prosthesis and positioning connecting tooth
JP2004008487A (en) Fitting tool for preparing den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