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798A -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798A
KR20080093798A KR1020070038014A KR20070038014A KR20080093798A KR 20080093798 A KR20080093798 A KR 20080093798A KR 1020070038014 A KR1020070038014 A KR 1020070038014A KR 20070038014 A KR20070038014 A KR 20070038014A KR 20080093798 A KR20080093798 A KR 2008009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odule
monitoring
unit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623B1 (ko
Inventor
진종복
Original Assignee
진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종복 filed Critical 진종복
Priority to KR102007003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6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97Robbery alarms, e.g. hold-up alarms, bag snatching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형 채증장치와 채증장치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채증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상기 채증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복수개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는 녹화기와; 상기 녹화기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DVR모듈과;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맵 매칭 기법에 의해 채증장치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채증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과; 상기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수신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아울러 해당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영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채증, 모니터링

Description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PORTABLE EVIDENCE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증장치의 녹화기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증장치의 DVR모듈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장치의 운영모듈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체증장치 110 : 카메라
120 : 녹화기 121 : 조작부
122 : 다중화부 123,133,222 : 제어부
124 : 메모리 125,126,131,221 : 인터페이스부
130 : DVR모듈 132 : 코덱부
134 : 스토리지 140 : GPS수신기
150,210 : 무선랜모듈 160,230 : 송수화기
170 : 배터리 200 : 모니터링장치
220 : 운영모듈 223 : 저장부
224 : 모니터
본 발명은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형 채증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전후좌우를 촬영하고 채증장치의 위치를 파악해서 원격지의 모니터링장치로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이나 순찰요원 등은 범죄위험이 높은 지역을 주기적으로 순찰하면서 범죄 발생시 범인을 검거하게 된다. 그런데, 각종 범죄가 갈수록 지능화되면서 범인을 검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흉폭화되고 있어 경찰의 생명을 더욱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찰이 순찰할 때나 범인을 검거할 때 돌발적이고 움직임이 빠른 범죄현장이나 검거현장의 장면을 잘 포착함으로써 범죄증거나 범인정보를 채집할 뿐만 아니라 지휘통제소와 경찰들이 실시간으로 통화하면서 경찰을 보호하고 범인을 효과적으로 체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보급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형 채증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전후좌우를 촬영해서 증거 채집용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촬영된 데이터 및 채증장치의 위치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장치로 실시간으로 전송해서 사건현장을 모니터링하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휴대형 채증장치와 채증장치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채증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상기 채증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복수개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는 녹화기와; 상기 녹화기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DVR모듈과;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맵 매칭 기법에 의해 채증장치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채증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과; 상기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수신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아울러 해당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영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채증장치 및 모니터링장치는, 각각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 및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무선 연결되어 음성통화할 수 있는 송수화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화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개 카메라의 제어, 다 중화 처리를 위한 카메라 선택 및 녹화 시작/종료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복수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는 메모리와; 상기 DVR모듈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1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2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 카메라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다중화부에 다중화 처리를 지시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다중화된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지시하면서 상기 제 2인터페이스부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DVR모듈은, 상기 녹화기와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녹화기의 메모리에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코덱부와; 상기 코덱부에서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상기 녹화기의 메모리에 녹화된 영상데이터의 녹화량이 소정 크기 이상이면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에 소정 크기 단위로 수신하여 백업 저장하도록 지시하고, 충격치가 소정 세기 이상이면 상기 녹화기의 메모리에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에 즉시 수신하여 백업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모니터링측 무선랜모듈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증장치 및 모니터링장치의 무선랜 모듈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규격으로서 802.11x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증장치의 녹화기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증장치의 DVR모듈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장치의 운영모듈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증거를 채집할 수 있는 휴대형 채증장치(100)와 채증장치(100)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채증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채증장치(100)와 모니터링장치(200)는 대략 1Km 정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할 수 있고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작업그룹이 개발한 무선랜을 위한 규격인 802.11x에 의해 무선통신할 수 있다.
상기 채증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휴대하게 되는데 복수개의 카메라(110), 녹화기(120), DVR모듈(130), GPS수신기(140), 채증장치측 무선랜모 듈(150)및 송수화기(1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채증장치(100)는 802.11x를 적용함으로써 각각 D1급 영상데이터를 초당 30프레임으로 녹화 및 저장할 수 있고 모니터링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110)는 소형의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카메라 형태로서 사용자의 전후좌우 즉 전방위적으로 설치되어 그 주변을 촬영한다.
상기 녹화기(120)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녹화하는데, 조작부(121), 다중화부(122), 제어부(123), 플래쉬 메모리(124) 및 제 1,2인터페이스부(125)(126)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개 카메라(110)의 촬영 방향이나 줌잉에 의한 영상 크기 등의 제어, 다중화 처리를 위한 카메라 선택, 화면 표시, 및 녹화의 시작/종료 등을 입력받는다. 상기 다중화부(122)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를 다중화 처리한다. 상기 플래쉬 메모리(124)는 상기 다중화부(122)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녹화한다. 상기 제 1인터페이스부(125)는 상기 DVR모듈(130)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처리한다. 상기 제 2인터페이스부(126)는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 모듈(150)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조작부(121)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 카메라(11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다중화부(122)에 소정의 다중화 처리를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플래쉬 메모리(124)에 다중화된 영상데이터를 녹화하 도록 지시하면서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채증장치측 무선랜 모듈(150)로 실시간으로 인터페이스하도록 제 2인터페이스부(126)에 지시한다.
상기 DVR모듈(130)은 상기 녹화기(120)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데, 인터페이스부(131), 코덱부(132), 제어부(133) 및 스토리지(134:storage)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31)는 상기 녹화기(120)와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처리한다. 상기 코덱부(132)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녹화기(120)에 녹화된 소정의 영상데이터를 부호화한 후 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상기 스토리지(134)는 상기 코덱부(132)에서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백업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3)는 상기 녹화기(120)의 플래쉬 메모리(124)에 녹화된 영상데이터의 녹화량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될때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134)에 소정 의 크기 단위로 수신하여 백업 저장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충격치가 소정 의 세기 이상이 될때는 상기 녹화기(120)의 플래쉬 메모리(124)에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134)에 즉시 수신하여 백업 저장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GPS수신기(140)는 GPS위성(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맵 매칭 기법에 의해 채증장치(100)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150)은 무선통신 규격으로서 802.11x를 적용하 여 모니터링장치(200)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듈로서 상기 녹화기(120)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 및 상기 GPS수신기(140)에서 파악된 위치정보나 음성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화기(160)는 사용자가 무선랜모듈(150)을 이용한 무선통신에 의해 음성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170)는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충전용 전지가 내장되지만 유사시에 대비하거나 사용시간의 연장을 위해서 일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상기 채증장치(100)와 무선 방식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데,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210), 운영모듈(220) 및 송수화기(230)를 구비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장치(200)는 802.11x를 적용함으로써 D1급 영상데이터를 초당 30프레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210)은 무선통신 규격으로서 802.11x를 적용하여 상기 채증장치(100)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듈로서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150)을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음성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모듈(220)은 상기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아울러 해당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인터페이스부(221), 제어부(222), 저장부(223) 및 모니터(224)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21)는 모니터링측 무선랜모듈(210)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 처리한다. 상기 저장부(22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21)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상기 모니터(224)는 엘시디 등으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221)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222)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21)를 통해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해당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223)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아울러 상기 모니터(224)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제 적용예로서, 지휘통제소에는 모니터링장치(200)를 설치하고 경찰들이 휴대형 채증장치(100)를 휴대하고 사건현장에 투입되게 되면 휴대형 채증장치(100)에 의해 사건현장이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모니터링장치(200)를 통해 사건현장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됨에 따라 지휘통제소 담당자가 사건현장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사건현장에 있는 경찰들과 음성통화하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채증장치 및 모니터링장치의 무선랜 모듈 대신에 무선통신 규격으로서 802.16e를 적용한 와이브로모듈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휴대형 채증장치를 휴대한 사용자의 전후좌우를 촬영함으로써 증거 채집용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된 데이터 및 채증장치의 위치정보를 원격지의 모니터링장치로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채증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채증장치 주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Claims (6)

  1. 휴대형 채증장치(100)와 채증장치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채증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200)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상기 채증장치(10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복수개의 카메라(110)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는 녹화기(120)와;
    상기 녹화기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DVR모듈(130)과;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맵 매칭 기법에 의해 채증장치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GPS수신기(140)와;
    상기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150)과;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링장치(200)는,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채증장치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210)과;
    상기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수신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아울러 해당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영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 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증장치(100) 및 모니터링장치(200)는, 각각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 및 모니터링장치측 무선랜모듈을 통해 무선 연결되어 음성통화할 수 있는 송수화기(160),(2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기(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개 카메라의 제어, 다중화 처리를 위한 카메라 선택 및 녹화 시작/종료를 입력받는 조작부(121)와;
    상기 복수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122)와;
    상기 다중화부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는 메모리(124)와;
    상기 DVR모듈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1인터페이스부(125)와;
    상기 채증장치측 무선랜모듈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 2인터페이스부(126)와;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 카메라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다중화부에 다중화 처리를 지시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다중화된 영상데이터를 녹화하도록 지시하면서 상기 제 2인터페이스부에 녹화중인 영상데이터를 실시 간으로 인터페이스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VR모듈(130)은,
    상기 녹화기와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131)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녹화기의 메모리에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영상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코덱부(132)와,
    상기 코덱부에서 복호화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34)와,
    상기 녹화기의 메모리에 녹화된 영상데이터의 녹화량이 소정 크기 이상이면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에 소정 크기 단위로 수신하여 백업 저장하도록 지시하고, 충격치가 소정 세기 이상이면 상기 녹화기의 메모리에 녹화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스토리지에 즉시 수신하여 백업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220)은,
    상기 모니터링측 무선랜모듈과의 소정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221)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 장부(223)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24)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상기 저장부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2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증장치 및 모니터링장치의 무선랜 모듈은, 무선통신 규격으로서 802.11x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70038014A 2007-04-18 2007-04-18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8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14A KR100884623B1 (ko) 2007-04-18 2007-04-18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014A KR100884623B1 (ko) 2007-04-18 2007-04-18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98A true KR20080093798A (ko) 2008-10-22
KR100884623B1 KR100884623B1 (ko) 2009-02-23

Family

ID=4015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014A KR100884623B1 (ko) 2007-04-18 2007-04-18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6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98Y1 (ko) * 2015-05-14 2016-09-28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다목적 폴리스 라인 설정용 유닛
KR101675147B1 (ko) * 2015-07-21 2016-11-11 주식회사 비에스피 과거위치 백업장치와 과거위치 백업방법
WO2017011033A1 (en) * 2015-07-14 2017-01-19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192277B2 (en) 2015-07-14 2019-01-29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28B1 (ko) * 2014-12-23 2015-11-25 (주)지피아이코리아 휴대형 녹화기를 이용한 채증 시스템
KR101593060B1 (ko) * 2015-06-03 2016-02-11 (주)지피아이코리아 채증용 바디캠의 자동 다운로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451A (ko) * 2004-12-31 2006-07-06 김무중 이동식 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단속용 상황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98Y1 (ko) * 2015-05-14 2016-09-28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다목적 폴리스 라인 설정용 유닛
WO2017011033A1 (en) * 2015-07-14 2017-01-19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192277B2 (en) 2015-07-14 2019-01-29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848717B2 (en) 2015-07-14 2020-11-24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KR101675147B1 (ko) * 2015-07-21 2016-11-11 주식회사 비에스피 과거위치 백업장치와 과거위치 백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623B1 (ko) 200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623B1 (ko) 휴대형 채증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20050078195A1 (en) Mobile digital surveillance system
US20070019077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0877999B1 (ko) 법집행 전과정 촬영 동영상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950448A (zh) 警务智能眼镜及其应用方法
US20160119667A1 (en) Law enforcement real time digital information chain of custody assurance system and method
KR101083381B1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JP2008529354A (ja) 無線イベント認証システム
CN107547869A (zh) 一种基于云存储的视频监控系统
KR100790371B1 (ko) 무선 카메라 부착 모자
JPH10112855A (ja) 携帯用画像及び音声自動送信装置
CN102164271A (zh) 物联网单兵便携无线窄带视频系统
JP200423602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34030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CN110623335A (zh) 一种现场执法服
KR100323651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JP4487555B2 (ja) 撮像装置、動画撮影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KR200440792Y1 (ko) 택시 차량용 방범 장치
JP2018037963A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録画制御方法
KR100999127B1 (ko) 정보전송기능과 영상녹화기능이 구비된 휴대형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0930999B1 (ko)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CN215835567U (zh) 一种人码侦察装置
JP7327792B2 (ja) 画像合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合成方法
CN211296789U (zh) 一种智能监控屏
KR20060079451A (ko) 이동식 카메라를 이용한 범죄단속용 상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