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342A -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342A
KR20080093342A KR1020070037165A KR20070037165A KR20080093342A KR 20080093342 A KR20080093342 A KR 20080093342A KR 1020070037165 A KR1020070037165 A KR 1020070037165A KR 20070037165 A KR20070037165 A KR 20070037165A KR 20080093342 A KR20080093342 A KR 20080093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stereo
magnitude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732B1 (ko
Inventor
주기현
오은미
김중회
보리스 쿠드야쇼브
세르게이 페트로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732B1/ko
Priority to US11/876,947 priority patent/US8111829B2/en
Publication of KR2008009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342A/ko
Priority to US13/366,455 priority patent/US8625811B2/en
Priority to US14/091,637 priority patent/US95083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89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using three or more audio channels, e.g. triphonic or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3Application of parametric coding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모노 신호를 기반으로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스테레오 신호 또는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stereo signal and multi-channel sig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파라미터 추출부(35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파라미터 추출부(35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크기파라미터 추출부(50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향상파라미터 추출부(52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 1130, 1220 및 133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 1130, 1220 및 133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를 개념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0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3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4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030단계, 제2140단계, 제2250단계 및 제2306단계의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030단계, 제2140단계, 제2250단계 및 제2306단계의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400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420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420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9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0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2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3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20단계, 제3030단계, 제3120단계 및 제323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20단계, 제3030단계, 제3120단계 및 제323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30단계, 제3040단계, 제3130단계 및 제324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6는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 35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30단계, 제3040단계, 제3130단계 및 제324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 37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변환부 110: 다운믹싱부
120: 모노신호 부호화부 130: 파라미터 추출부
140: 다중화부
본 발명은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신호 또는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테레오 신호와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함에 있어서 각 채널에 대한 신호 간의 차이와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각 채널에 대해 신호들 사이의 인텐시티(intensity), 코히어런스(coherence) 및 위상(phase)에 대한 차이를 추출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한다. 이렇게 부호화된 정보를 복호화단에서는 전송받아 각 채널에 대한 신호들 사이의 차이와 관련 된 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신호와 멀티 채널 신호로 복호화한다.
그러나 종래의 각 채널에 대한 신호들 사이의 차이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신호와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방식 이외에 모노 신호와의 차이를 기반으로 하여 스테레오 신호와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방식도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노 신호를 기반으로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스테레오 신호 또는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은,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전송 방법은,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은,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수신 방법은,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스테레오 신호 가 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는,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신호 부호화부,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 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크기 부호화부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위상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전송 장치는,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크기파라미터 전송부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위상파라미터 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는,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크기 복호화부,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위상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하는 업믹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수신 장치는,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크기파라미터 수신부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위상파라미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전송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채널 신호 복호화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를 상기 멀티 채널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수신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 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를 상기 멀티 채널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록 매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신호 부호화부,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크기 부호화부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위상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전송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크기파라미터 전송부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위상파라미터 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채널 신호 복호화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크기 복호화부,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위상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를 상기 멀티 채널 신호로 업믹싱하는 업믹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라미터 수신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크기파라미터 수신부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위상파라미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는 변환부(100), 다운믹싱부(110), 모노신호 부호화부(120), 파라미터 추출부(130) 및 다중화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환부(1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다운믹싱부(110)는 변환부(100)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한다.
다운믹싱부(110)에서 다운믹스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신호 부호화부(120)는 다운믹싱부(110)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130)는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13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 추출부(13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화부(140)는 파라미터 추출부(130)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모노신호 부호화부(120)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을 통해 복호화단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는 변환부(200), 다운믹싱부(210), 역변환부(220), 모노신호 부호화부(230), 파라미터 추출부(240) 및 다중화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환부(2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QMF(Quadrature Mirror Filterbank) 또는 LOT(Lapped Orthogonal Transform)과 같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다운믹싱부(210)는 변환부(200)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한다.
다운믹싱부(210)에서 다운믹싱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변환부(220)는 변환부(200)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다운믹싱부(210)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 예를 들어, 역변환부(220)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모노신호 부호화부(230)는 역변환부(220)에서 역변환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240)는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24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 추출부(24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화부(250)는 파라미터 추출부(240)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모노신호 부호화부(230)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을 통해 복호화단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는 변환부(300), 위상 조절부(320), 조절정보 부호화부(320), 다운믹싱부(330), 모노신호 부호화부(340), 파라미터 추출부(350) 및 다중화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환부(3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위상 조절부(320)는 변환부(300)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할 경우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기 설정된 위상만큼 조절한다. 왜냐하면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180도에 가까울 경우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벡터에 대한 합이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상 조절부(32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동일한 위상만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위상 조절부(320)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할 경우 우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한다.
위상 조절부(320)에서 위상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음 기재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1
를 구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3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4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5
을 수학식 2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6
을 계산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7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8
가 기 설정된 임계치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09
보다 작은지 여부를 기준으로 위상 조절부(32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0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1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위상 조절부(32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2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3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위상 조절부(32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4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5
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다음 기재된 수학식 3에 의해 을 변환함으로써 위상을 조절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7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8
은 우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19
는 기 설정된 값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0
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이렇게 구해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1
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2
을 다음 기재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3
여기서, 우변의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4
은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5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6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 다.
후술될 다운믹싱부(330)는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7
을 이용함으로써 다음 기재된 수학식 5에 의해 모노 신호를 생성한다.
[수학식 5]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8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29
은 모노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0
은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1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2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조절정보 부호화부(320)는 위상 조절부(320)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위상 조절부(320)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조절정보 부호화부(320)는 위상 조절부(320)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3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4
만큼 조절한 경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5
값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부호화한다.
다운믹싱부(330)는 위상 조절부(320)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위상 조절부(320)에서 위상이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하고, 위상 조절부(320)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변환부(300)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 운믹싱한다.
다운믹싱부(330)에서 다운믹스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신호 부호화부(340)는 다운믹싱부(330)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350)는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35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 추출부(35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화부(360)는 파라미터 추출부(350)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모노신호 부호화부(340)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을 통해 복호화단으로 출력한다. 또한, 다중화부(360)는 위상 조절부(320)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조절정보 부호화부(320)에서 부호화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다중화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는 변환부(400), 위상 조절부(410), 조절정보 부호화부(420), 다운믹싱부(430), 역변환부(440), 모노신호 부호화부(450), 파라미터 추출부(460) 및 다중화부(4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환부(4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위상 조절부(410)는 변환부(400)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할 경우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기 설정된 위상만큼 조절한다. 왜냐하면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180도에 가까울 경우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벡터에 대한 합이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상 조절부(41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동일한 위상만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위상 조절부(320)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6
만큼 조절할 경우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7
만큼 조절한다.
위상 조절부(410)에서 위상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음 기재된 수학식 6을 이용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8
를 구한다.
[수학식 6]
Figure 112007028982910-PAT00039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0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1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6에 의하여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2
을 수학식 7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3
을 계산한다.
[수학식 7]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4
수학식 7에 의해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5
가 기 설정된 임계치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6
보다 작은지 여부를 기준으로 위상 조절부(41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7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8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위상 조절부(41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49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0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위상 조절부(41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1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2
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다음 기재된 수학식 8에 의해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3
을 변환함으로써 위상을 조절한다.
[수학식 8]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4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5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6
은 우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7
는 기 설정된 값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8
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이렇게 구해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59
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0
을 다음 기재된 수학식 9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9]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1
여기서, 우변의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2
은 수학식 8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3
는 좌측 신호 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4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후술될 다운믹싱부(430)는 수학식 9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5
을 이용함으로써 다음 기재된 수학식 10에 의해 모노 신호를 생성한다.
[수학식 10]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7
은 모노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8
은 수학식 9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69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0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조절정보 부호화부(420)는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어 위상 조절부(410)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위상 조절부(410)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한다. 예를 들어, 조절정보 부호화부(420)는 위상 조절부(410)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한 경우 값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부호화한다.
다운믹싱부(430)는 위상 조절부(410)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위상 조절부(410)에서 위상이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 스(downmix)하고, 위상 조절부(410)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변환부(400)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한다.
다운믹싱부(430)에서 다운믹스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변환부(440)는 변환부(400)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다운믹싱부(430)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 예를 들어, 역변환부(440)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모노신호 부호화부(450)는 역변환부(440)에서 역변환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460)는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파라미터 추출부(46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 추출부(460)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화부(470)는 파라미터 추출부(460)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모노신호 부호화부(450)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단자 OUT을 통해 복호화단으로 출력한다. 또한, 다중화부(470)는 위상 조절부(410)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조절정보 부호화부(420)에서 부호화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다중화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파라미터 추출부(35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 추출부(3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파라미터 추출부(500)와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만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상파라미터 추출부(520)까지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크기파라미터 추출부(500)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는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여기서,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는 좌측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하거나 우측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모두에 대하여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향상파라미터 추출부(520)는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크기파라미터 추출부(50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크기파라미터 추출부(500)는 이득값 계산부(700) 및 크기파라미터 부호화부(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득값 계산부(700)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가 서로 기 설정된 소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와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이득값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이 적용되어 모노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득값을 계산한다.
이득값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은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생성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모노 신호의 크기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한다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관계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다음 기술된 수학식 11에 의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1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2
는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3
는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할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4
는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5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다음 기술된 수학식 1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식 12에 수학식 11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2]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7
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에너지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8
는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79
는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0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1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2
는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3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11을 대입한 수학식 12를 이득값 에 대해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 기재된 수학식 13과 같다.
[수학식 13]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4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5
는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6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7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8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크기 계산부(700)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89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0
및 모노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1
를 수학식 13에 대입함으로써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득값을 계산할 수 있다.
크기파라미터 부호화부(710)는 크기 계산부(700)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부호화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는 위상차이 계산부(800) 및 위상파라미터 부호화부(8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상차이 계산부(800)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이 서로 기 설정된 소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과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위상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위상차이 계산부(800)에서 계산될 위상 차이가 적용되어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상 차이값을 계산한다.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위상차이 계산부(800)에서 계산될 위상 차이가 적용되어 생성될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다음에 기재된 수 학식 14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4]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2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3
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위상차이 계산부(800)에서 계산될 위상 차이를 적용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에너지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4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5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6
는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7
는 모노 신호의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8
는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099
는 모노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0
는 모노 신호와 좌측 신호의 위상 차이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만일 수학식 14에서 좌측 신호와 모노 신호의 위상 차이와 우측 신호와 모노신호의 위상 차이가 서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다시 말해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1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2
가 동일한 값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3
에 해당한다고 가정하면, 수학식 14를 다음에 기재된 수학식 15로 정리할 수 있다.
[수학식 15]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4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5
는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6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7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8
는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09
는 모노 신호의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0
는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위상차이 계산부(800)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1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2
,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3
,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4
및 모노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5
를 수학식 15에 대입함으로써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상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위상파라미터 부호화부(810)는 위상차이 계산부(800)에서 계산된 위상 차이를 부호화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향상파라미터 추출부(52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향상파라미터 추출부(520)는 위상 계산부(900) 및 향상파라미터 부호화부(9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상 계산부(900)는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파라미터 추출부(510)에서 부호화된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위상 계산부(900)는 다음 기술된 수학식 16에 의해 위상 파라미 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6]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7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8
는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19
는 모노 신호의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0
는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1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2
는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3
는 밴드의 경계값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위상 계산부(900)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4
,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5
, 모노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6
,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7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8
및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29
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는 역다중화부(1000), 모노신호 복호화부(1010),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 업믹싱부(1030) 및 역변환부(10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역다중화부(10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 역다중화부(1000)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모노신호 복호화부(1010)는 역다중화부(10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는 역다중화부(10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믹싱부(103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모노신호 복호화부(1010)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 업믹싱부(1030) 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역변환부(1040)는 도 1에 도시된 변환부(100)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업믹싱부(1030)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하고 출력단자 OUT을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역변환부(1040)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는 역다중화부(1100), 모노신호 복호화부(1110), 변환부(1120), 파라미터 복호화부(1130), 업믹싱부(1140) 및 역변환부(1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역다중화부(11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 역다중화부(1100)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모노신호 복호화부(1110)는 역다중화부(11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
변환부(1120)는 모노신호 복호화부(1110)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130)는 역다중화부(11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130)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130)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믹싱부(114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1130)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 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모노신호 복호화부(1010)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 업믹싱부(1140)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역변환부(1150)는 변환부(1120)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업믹싱부(1140)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하고 출력단자 OUT을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역변환부(1040)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는 역다중화부(1200), 모노신호 복호화부(1210), 파라미터 복호화부(1220), 업믹싱부(1230), 조절정보 복호화부(1240), 위상 조절부(1250) 및 역변환부(1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역다중화부(12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여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모노신호 복호화부(1210)는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220)는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220)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220)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믹싱부(123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1220)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모노신호 복호화부(1210)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 업믹싱부(1230) 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조절정보 복호화부(1240)는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어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다시 말하면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한다.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한 경우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는 값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위상 조절부(1250)는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조절정보 복호화부(1240)에서 복호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만큼 업믹싱부(1230)에서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조절한다. 그러나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위상 조절부(1250)는 업믹싱 부(1230)에서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지 않는다.
역변환부(1260)는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변환부(300)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위상 조절부(1250)에서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하고 출력단자 OUT을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역변환부(1260)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그러나 역다중화부(12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역변환부(1260)는 업믹싱부(1230)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를 역변환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는 역다중화부(1300), 모노신호 복호화부(1320), 변환부(1320), 파라미터 복호화부(1330), 업믹싱부(1340), 조절정보 복호화부(1350), 위상 조절부(1360) 및 역변환부(1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역다중화부(130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부호화 장치 (미도시)에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여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모노신호 복호화부(1320)는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
변환부(1320)는 모노신호 복호화부(1320)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330)는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 파라미터 복호화부(1320)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 라미터 복호화부(1320)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업믹싱부(1340)는 파라미터 복호화부(1330)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변환부(1320)에서 변환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 업믹싱부(1340)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조절정보 복호화부(1350)는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어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다시 말하면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한다.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만큼 조절한 경우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는 값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위상 조절부(1360)는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조절정보 복호화 부(1350)에서 복호화된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만큼 업믹싱부(1340)에서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조절한다. 그러나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위상 조절부(1360)는 업믹싱부(1340)에서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지 않는다.
역변환부(1370)는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변환부(1320)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위상 조절부(1360)에서 위상이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하고 출력단자 OUT을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역변환부(1370)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그러나 역다중화부(1300)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역변환부(1370)는 업믹싱부(1340)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를 역변환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 1130, 1220 및 133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파라미터 복호화부(1020, 1130, 1220 및 133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파라미터 복호화부(1400)와 위상파라미터 복호화부(1410)만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상파라미터 복호화부(1430)까지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크기파라미터 복호화부(1400)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를 복호화한다.
위상파라미터 복호화부(1410)는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복호화한다.
향상파라미터 추출부(1420)는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복호화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는 크기 계산부(1600), 위상 계산부(1610) 및 신호 생성부(1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크기 계산부(1600)는 도 14 및 15의 크기파라미터 복호화부(1400)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 여기서, 크기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와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계산된 이득값이다.
모노 신호의 크기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한다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관계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크기 계산부(1600)는 다음 기술된 수학식 17에 의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7]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0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1
는 크기 계산부(160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2
는 크기 계산부(1600)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3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4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위상 계산부(1610)는 도 14 및 15의 위상파라미터 복호화부(1410)에서 복호화된 위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위상을 기초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 여기서, 위상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과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위상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된에서 계산된 위상 차이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5
이다.
만일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이 모노 신호에 대하여 각각 동일 한 위상만큼 차이가 난다고 부호화 장치(미도시)와 복호화 장치(미도시)에 모두 기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위상 차이값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6
이라면, 위상 계산부(1610)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7
만큼 가산하여 구할 수 있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8
만큼 감산하여 구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620)는 크기 계산부(160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 및 위상 계산부(161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에 따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39
를 기초로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0
을 적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 및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차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1
를 적용하여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2
만큼 회전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며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3
만큼 회전하여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함으로써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4
및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5
를 생성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포함된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는 크기 계산부(1700), 위상 계산부(1710), 디코릴레이터(1720), 위상 조절부(1730) 및 신호 생성부(1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크기 계산부(1700)는 도 14 및 15의 크기파라미터 복호화부(1400)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 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 여기서, 크기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와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 장치에서 계산된 이득값이다.
모노 신호의 크기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한다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관계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크기 계산부(1700)는 다음 기술된 수학식 18에 의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8]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7
는 크기 계산부(170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8
는 크기 계산부(1700)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49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0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위상 계산부(1710)는 도 14 및 15의 위상파라미터 복호화부(1410)에서 복호화된 위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위상을 기초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 여기서, 위상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과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위상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된에서 계산된 위상 차이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1
이다.
만일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이 모노 신호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위상만큼 차이가 난다고 부호화 장치(미도시)와 복호화 장치(미도시)에 모두 기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위상 차이값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2
라면, 위상 계산부(1710)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3
만큼 가산하여 구할 수 있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4
만큼 감산하여 구할 수 있다.
디코릴레이터(1720, decorrelator)는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생성한다.
위상 조절부(1730)는 도 15의 향상파라미터 복호화부(1420)에서 복호화된 향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디코릴레이터(1720)에서 생성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와 모노 신호를 기초로 위상 계산부(171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조절한다. 향상 파라미터가 부호화 장치(미도시)에서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5
라고 가정하면 다음 기재된 수학식 19에 의하여 좌측 신호를 조절하고 수학식 20에 의하여 우측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수학식 19]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7
는 위상 조절부(1730)에서 조절된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8
는 크기 계산부(170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위상 계산부(171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을 적용한 좌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59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0
는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1
는 디코릴레이터(1720)에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2
는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3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다.
[수학식 20]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4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5
는 위상 조절부(1730)에서 조절된 우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6
는 크기 계산부(1700)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크기와 위상 계산부(1710)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위상을 적용한 우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7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8
는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69
는 디코릴레이터(1720)에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0
는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1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다.
신호 생성부(1740)는 크기 계산부(170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 위상 계산부(1710)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 및 위상 조절부(1730)에서 조절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에 따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2
를 기초로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3
을 적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 및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차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4
를 적용하여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5
만큼 회전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며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6
만큼 회전하여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함으로써 제1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7
및 제1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8
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79
에 대하여 크기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0
로 조절한 제2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1
를 생성하고, 제1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2
에 대하여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3
만큼 회전하여 제2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4
를 생성한 후 크기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5
로 조절한 제3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6
를 생성하며, 제2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7
와 제3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8
를 합하여 최종적으로 제4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89
를 생성한다. 좌측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0
를 생성한다.
이러한 업믹싱부(1030, 1140, 1230 및 134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1
를 입력받고, 디코릴레이터(1720)에서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2
를 생성하며, 크기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3
,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4
및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5
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6
와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7
를 기초로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8
와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199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블록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다음에 기술된 수학식 21의 행렬로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21]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0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1
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좌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2
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우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3
는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4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5
는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6
는 모노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7
는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이다.
수학식 21에서는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8
와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09
에 대하여 우선 회전 변환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크기를 변환하며 마지막으로 위상을 조절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에 의하여 실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0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제2000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제2000단계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한다(제2010단계).
제2010단계에서 다운믹스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010단계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제2020단계).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제2030단계). 제203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 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03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030단계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제2020단계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제2040단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제2100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QMF(Quadrature Mirror Filterbank) 또는 LOT(Lapped Orthogonal Transform)과 같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제2100단계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한다(제2110단계).
제2110단계에서 다운믹싱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 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00단계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제2110단계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제2120단계). 예를 들어, 제2120단계에서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제2120단계에서 역변환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제2130단계).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제2140단계). 제214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14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40단계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제2130단계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제2150단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제2200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제2200단계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205단계). 왜냐하면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180도에 가까울 경우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벡터에 대한 합이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205단계에서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음 기재된 수학식 22를 이용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0
를 구한다.
[수학식 22]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1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2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3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22에 의하여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4
을 수학식 23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5
을 계산한다.
[수학식 23]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6
수학식 23에 의해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7
가 기 설정된 임계치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8
보다 작은지 여부를 기준으로 제2205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Figure 112007028982910-PAT00219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0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2205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1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2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2205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제2205단계에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기 설정된 위상 만큼 조절한다(제2210단계).
이러한 제2210단계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동일한 위상만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2210단계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3
만큼 조절할 경우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4
만큼 조절한다.
제2205단계에서 기술한 실시예를 연결하여 설명하면, 다음 기재된 수학식 24에 의해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5
을 변환함으로써 위상을 조절한다.
[수학식 24]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7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8
은 우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29
는 기 설정된 값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0
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제2210단계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한다(제2220단계). 예를 들어, 제2220단계는 제2210단계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1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2
만큼 조절한 경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3
값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부호화한다.
제2210단계에서 위상이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 또는 제2200단계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한다(제2230단계).
제2205단계의 실시예에 연결하여 설명하면, 최종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4
을 다음 기재된 수 학식 25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25]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5
여기서, 우변의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6
은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7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8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제2230단계에서는 수학식 25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39
을 이용함으로써 다음 기재된 수학식 26에 의해 모노 신호를 생성한다.
[수학식 26]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0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1
은 모노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2
은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3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4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제2230단계에서 다운믹스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 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230단계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제2240단계).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제2250단계). 제225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25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250단계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제2240단계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제2260단계). 또한, 제2260단계는 제2210단계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제2220단계에서 부호화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다중화한다.
도 23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입력된 스테레오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제2300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제2300단계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305단계). 왜냐하면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180도에 가까울 경우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벡터에 대한 합이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305단계에서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음 기재된 수학식 27을 이용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5
를 구한다.
[수학식 27]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7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8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27에 의하여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49
을 수학식 28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0
을 계산한다.
[수학식 28]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1
수학식 28에 의해 계산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2
가 기 설정된 임계치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3
보다 작은지 여부를 기준으로 제2305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4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5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2305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6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7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2305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제2305단계에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기 설정된 위상만큼 조절한다(제2310단계). 왜냐하면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180도에 가까울 경우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벡터에 대한 합이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310단계는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동일한 위상만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2310단계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8
만큼 조절할 경우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59
만큼 조절한다.
제2305단계에서 기술한 실시예를 연결하여 설명하면, 다음 기재된 수학식 29에 의해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0
을 변환함으로써 위상을 조절한다.
[수학식 29]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1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2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3
은 우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4
는 기 설정된 값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5
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제2310단계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한다(제2320단계). 예를 들어, 제2320단계에서는 제2310단계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6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7
만큼 조절한 경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8
값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부호화한다.
제2310단계에서 위상이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 또는 제2300단계에서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된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스(downmix)한다(제2330단계).
제2305단계의 실시예에 연결하여 설명하면, 최종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69
을 다음 기재된 수학식 30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수학식 30]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0
여기서, 우변의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1
은 수학식 29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2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3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제2330단계에서는 수학식 30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4
을 이용함으로써 다음 기재된 수학식 31에 의해 모노 신호를 생성한다.
[수학식 31]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5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6
은 모노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7
은 수학식 30에 의해 구해진 벡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8
는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79
은 우측 신호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제2330단계에서 다운믹스하는 모노 신호의 크기는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으로 다운믹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신호의 방향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300단계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제2330단계에서 다운믹스된 모노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제2340단계). 예를 들어, 제2340단계에서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제2340단계에서 역변환된 모노 신호를 부호화한다(제2350단계).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스(upmix)하는 데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스테레오 신호에서 추출하여 부호화한다(제2360단계). 제236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모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이러한 파라미터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360단계에서 추출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360단계에서 부호화된 파라미터들 및 제2350단계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화함으로써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제2370단계). 또한, 제2370단계에서는 제2310단계에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제2320단계에서 부호화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다중화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030단계, 제2140단계, 제2250단계 및 제2306단계의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2030단계, 제2140단계, 제2250단계 및 제2306단계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400단계와 제2420단계만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420단계까지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먼저,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한다(제2400단계).
제2400단계 후에,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한다(제2420단계). 제2420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하거나 우측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모두에 대하여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2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만 포함하여 실시되는 제2420단계는 모노 신호 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한다.
그러나 제2400단계 내지 제2420단계는 본 발명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하여 실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6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400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가 서로 기 설정된 소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와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제2600단계에서 계산될 이득값이 적용되어 모노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득값을 계산한다(제2600단계).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은 복호화단에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생성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모노 신호의 크기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한다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관계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다음 기술된 수학식 32에 의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32]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0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1
는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2
는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할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3
는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4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다음 기술된 수학식 3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식 33에 수학식 32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33]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5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6
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에너지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7
는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8
는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적용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89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0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1
는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2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32를 대입한 수학식 33을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3
에 대해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 기재된 수학식 34와 같다.
[수학식 34]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4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5
는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6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7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8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600단계에서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299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0
및 모노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1
를 수학식 34에 대입함으로써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득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제2600단계에서 계산된 이득값을 부호화한다(제2610단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420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이 서로 기 설정된 소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과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위상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제2700단계에서 계산될 위상 차이가 적용되어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상 차이값을 계산한다(제2700단계).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제2700단계에서 계산될 위상 차이가 적용되어 생성될 스테레오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다음에 기재된 수학식 35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5]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2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3
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제2700단계에서 계산될 위상 차이를 적용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에너지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4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5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6
는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7
는 모노 신호의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8
는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09
는 모노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0
는 모노 신호와 좌측 신호의 위상 차이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만일 수학식 35에서 좌측 신호와 모노 신호의 위상 차이와 우측 신호와 모노신호의 위상 차이가 서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다시 말해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1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2
가 동일한 값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3
에 해당한다고 가정하면, 수학식 35를 다음에 기재된 수학식 36으로 정리할 수 있다.
[수학식 36]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4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5
는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6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7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8
는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19
는 모노 신호의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0
는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이며,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700단계에서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1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2
,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3
,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4
및 모노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5
를 수학식 36에 대입함으로써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상 차이를 구할 수 있다.
제2700단계에서 계산된 위상 차이를 부호화한다(제2710단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420단계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2420단계에서 부호화된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한다(제2800단계).
예를 들어, 제2800단계에서는 다음 기술된 수학식 37에 의해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7]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7
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8
는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29
는 모노 신호의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0
는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1
는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2
는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3
는 밴드의 경계값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고,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제2800단계에서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4
,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5
, 모노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6
,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7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8
및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39
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800단계에서는 실제 좌측 신호의 크기인 , 실제 좌측 신호의 위상인 , 모노 신호의 위상인 , 모노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 차이인 , 실제 우측 신호의 크기인 및 실제 우측 신호의 위상인 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위상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9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제2900단계). 제2900단계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제29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제2910단계).
제29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제2920단계). 제2920단계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 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920단계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920단계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제2910단계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제2930단계). 제2930단계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도 20의 제2000단계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제2930단계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제2940단계). 예를 들어, 제2940단계에서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도 30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제3000단계). 제3000단계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제30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제3010단계).
제3010단계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제3020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제30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제3030단계). 제3030단계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030단계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030단계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제3010단계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제3040단계). 제3040단계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제3020단계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제3040단계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제3050단계). 예를 들어, 제3050단계에서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제3100단계).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여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제3110단계).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제3120단계). 제3120단계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20단계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120단계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제3110단계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제3130단계). 제3130단계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 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제3130단계 후에,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어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3140단계). 다시 말하면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였다고 제3140단계에서 판단되면,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한다(제3145단계).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0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1
만큼 조절한 경우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는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2
값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제3140단계에서 복호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만큼 제3130단계에서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조절한다(제3150단계).
제3100단계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도 22의 제2200단계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제3130단계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 또는 제3150단계에서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제3160단계). 예를 들어, 제3160단계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도 32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부호화단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받아 역다중화한다(제3200단계). 제3200단계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 및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여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 경우 제3200단계에서 역다중화하는 비트스트림에는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제32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된 모노 신호를 복호화한다(제3210단계).
제3210단계에서 복호화된 모노 신호를 분석 필터뱅크(analysis filterbank)를 통해 기 설정된 도메인으로 변환한다(제3220단계). 여기서, 기 설정된 도메인은 복소수 값의 형식과 같은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도메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도메인은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각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내어 구현할 수 있다.
제32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생성된 모노 신호를 업믹 스(upmix)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복호화한다(제3230단계). 제3230단계에서 복호화하는 파라미터들에는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와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가 있다. 또한,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크기 파라미터와 위상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230단계에서 복호화되는 파라미터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230단계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 위상 파라미터 및 향상 파라미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제3220단계에서 변환된 모노 신호를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한다(제3240단계). 제3240단계에서 모노 신호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에 해당하는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함에 있어서 크기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따라 모노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고, 향상 파라미터에 따라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한다.
제3240단계 후에,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어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3250단계). 다시 말하면 제3200단 계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였다고 제3250단계에서 판단되면, 제3200단계에서 역다중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한다(제3255단계).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에서 좌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3
만큼 조절하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4
만큼 조절한 경우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는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5
값과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제3255단계에서 복호화된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만큼 제3240단계에서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각각 조절한다(제3260단계).
제3200단계에서 역다중화한 비트스트림에 부호화 장치에서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3220단계에서 수행하는 변환의 역과정으로 제3240단계에서 업믹싱된 스테레오 신호 또는 제3260단계에서 위상이 조절된 스테레오 신호의 도메인을 합성 필터뱅크(synthesis filterbank)를 통해 역변환한다(제3270단계). 예를 들어, 제3270단계는 소정의 주파수 단위로 하여 분할된 각 서브 밴드에 대하여 시간 도메인으로 나타낸 모노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만 나타내도록 역변환한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20단계, 제3030단계, 제3120단계 및 제323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2920단계, 제3030단계, 제3120단계 및 제3230단계는 도 33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제3300단계와 제3320단계만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지만,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320단계까지 포함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먼저, 좌측 신호 및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크기 파라미터를 복호화한다(제3300단계).
제3300단계 후에,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위상 파라미터를 복호화한다(제3320단계).
도 3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만 포함하여 실시되는 제3320단계는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을 개선하여 조절하는 향상 파라미터를 복호화한다.
그러나 제3300단계 내지 제3320단계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하여 실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30단계, 제3040단계, 제3130단계 및 제324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3 또는 도 34에 도시된 제3300단계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제3500단계). 여기서, 크기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와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 장치에서 계산된 이득값이다.
모노 신호의 크기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한다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관계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3500단계에서는 다음 기술된 수학식 38에 의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8]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6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7
는 제350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8
는 제3500단계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49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0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도 33 또는 도 34에 도시된 제3320단계에서 복호화된 위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위상을 기초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제3510단계). 여기서, 위상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과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위상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된에서 계산된 위상 차이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1
이다.
만일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이 모노 신호에 대하여 각각 동일 한 위상만큼 차이가 난다고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에 모두 기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위상 차이값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2
이라면, 제3520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3
만큼 가산하여 구할 수 있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4
만큼 감산하여 구할 수 있다.
제350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 및 제351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에 따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한다(제3520단계).
도 36는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 35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5
를 기초로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6
을 적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 및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제3600단계).
위상 차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7
를 적용하여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8
만큼 회전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며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359
만큼 회전하여 우측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제3610단계).
제3600단계에서 계산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 및 제3610단계에서 계산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이용하여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0
및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1
를 생성한다(제3620단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에 포함된 제2930단계, 제3040단계, 제3130단계 및 제3240단계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3 또는 도 34에 도시된 제3300단계에서 복호화된 크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제3700단계). 여기서, 크기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와 복호화단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 장치에서 계산된 이득값이다.
모노 신호의 크기가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한다고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관계가 기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3700단계는 다음 기술된 수학식 39에 의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9]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2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3
는 제370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4
는 제3700단계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크기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5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6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고, n은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며, k는 밴드 번호를 나타낸다.
도 33 또는 도 34에 도시된 제3320단계에서 복호화된 위상 파라미터를 이용 하여 모노 신호의 위상을 기초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제3710단계). 여기서, 위상 파라미터는 실제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과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할 스테레오 신호 사이의 위상 사이에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 스테레오 신호와 에너지 크기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호화된에서 계산된 위상 차이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7
이다.
만일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이 모노 신호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위상만큼 차이가 난다고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에 모두 기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위상 파라미터에 위상 차이값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8
라면, 제3710단계에서는 좌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369
만큼 가산하여 구할 수 있고 우측 신호의 위상을 모노 신호의 위상에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0
만큼 감산하여 구할 수 있다.
디코릴레이터(decorrelator)는 모노 신호에 대하여 수직하는 벡터 성분에 해당하는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생성한다(제3720단계).
도 34에 도시된 제3320단계에서 복호화된 향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3720단계에서 생성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와 모노 신호를 기초로 제371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개선하여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조절한다(제3730단계). 향상 파라미터가 부호화 장치에서 계산된 라고 가정하면 다음 기재된 수학식 40에 의하여 좌측 신호를 조절하고 수학식 41에 의하여 우측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수학식 40]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1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2
는 제3730단계에서 조절된 좌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3
는 제370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제371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을 적용한 좌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4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5
는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6
는 제3720단계에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7
는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8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다.
[수학식 41]
Figure 112007028982910-PAT00379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0
는 제3730단계에서 조절된 우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1
는 제3700단계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크기와 제3710단계에서 계산된 우측 신호의 위상을 적용한 우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2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3
는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4
는 제3720단계에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의 크기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5
는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6
는 모노 신호의 크기이다.
제370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크기와 우측 신호의 크기, 제3710단계에서 계산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 및 제3730단계에서 조절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에 따라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한다(제3740단계).
도 38은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 37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7
를 기초로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8
을 적용하여 좌측 신호의 크기 및 우측 신호의 크기를 계산한다(제3800단계).
위상 차이
Figure 112007028982910-PAT00389
를 적용하여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0
만큼 회전하여 좌측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며 모노 신호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1
만큼 회전하여 우측 신호의 위상을 계산한다(제3810단계).
제3800단계에서 계산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 및 제3810단계에서 계산한 좌측 신호의 위상과 우측 신호의 위상을 이용하여 제1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2
및 제1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3
를 생성한다(제3820단계).
제1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4
에 대하여 크기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5
로 조절한 제2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6
를 생성하고, 제1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7
에 대하여 크기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8
로 조절한 제2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399
를 생성한다(제3830단계).
제1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0
에 대하여 위상을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1
만큼 회전하여 제2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2
를 생성한 후 크기를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3
로 조절한 제3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4
를 생성하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3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5
를 생성한다(제3840단계).
제2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6
와 제3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7
를 합하여 최종적으로 제4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8
를 생성하고, 제2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09
와 제3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0
를 합하여 최종적으로 제4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1
를 생성한다(제3850단계).
이러한 제2930단계, 제3040단계, 제3130단계 및 제3240단계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2
를 입력받고, 디코릴레이터(1720)에서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3
를 생성하며, 크기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이득값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4
,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5
및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6
를 이용하여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7
와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8
를 기초로 좌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19
와 우측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0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블록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다음에 기술된 수학식 42의 행렬로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42]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1
여기서,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2
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좌측 신호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3
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우측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4
는 위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 차이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5
는 이득값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6
는 향상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위상이고,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7
는 모노 신호이며,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8
는 디코릴레이트된 신호이다.
수학식 42에서는 모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29
와 디코릴레이트 신호
Figure 112007028982910-PAT00430
에 대하여 우선 회전 변환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크기를 변환하며 마지막으로 위상을 조절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순서에 의하여 실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38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38을 설명하는 내용에 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셋 이상의 신호를 이 보다 적은 개수의 신호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스하여 부호화하는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이 보다 많은 개수의 신호에 해당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신호로 업믹싱하여 복호화하 는 멀티 채널 신호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모노 신호를 기반으로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스테레오 신호 또는 멀티 채널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할 수 있다.

Claims (76)

  1.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decorrelate)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도메인으로 변환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하프 섬(half sum) 벡터 상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각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하는 크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 위상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마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관계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와 에너지 값의 차이가 가장 적은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와 상기 계산된 크기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에너지 값이 최소가 되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 간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모노 신호와 좌측 신호 간 위상 차이와 상기 모노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위상 차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방법.
  14.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전송 방법.
  16.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업믹싱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결정된 위상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업믹싱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된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조절된 위상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하프 섬 벡터 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3.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각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하는 크기로 다운믹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 위상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어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이 조절되어 부호화된 경우, 상기 업믹싱된 스테레오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 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7.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노 신호와 좌측 신호 간 위상 차이와 상기 모노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위상 차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8. 제16항 내지 제1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관계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방법.
  29.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수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수신 방법.
  31.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2.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 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3.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4.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5.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신호 부호화부;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크기 부호화부;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 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위상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향상 파라미터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38.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스테레오 신호를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39.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하프 섬 벡터 상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0.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각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하는 크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 위상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부호화하는 조절정보 부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마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관계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5.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와 가장 차이가 적은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크기를 계산하는 크기 계산부; 및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와 상기 계산된 크기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6. 제35항에 있어서,
    에너지 값이 최소가 되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어느 하나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 간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는 위상차이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이 계산부는
    상기 모노 신호와 좌측 신호 간 위상 차이와 상기 모노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위상 차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부호화 장치.
  48.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크기파라미터 전송부;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위상파라미터 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전송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향상파라미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전송 장치.
  50.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크기 복호화부;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위상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 신호를 상기 스테레오 신호로 업믹싱하는 업믹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향상정보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업믹싱부는
    상기 복호화된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 결정부;
    상기 복호화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 위상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결정된 위상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업믹싱부는
    상기 복호화된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를 결정하는 크기 결정부;
    상기 복호화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 위상 결정부;
    상기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위상을 조절하는 위상 조절부; 및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조절된 위상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4.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각 프레임에 대하여 밴드 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5.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스테레오 신호를 크기와 위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6.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의 하프 섬 벡터 상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7.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신호는
    상기 각 스테레오 신호의 크기에 대한 평균값에 해당하는 크기로 다운믹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8.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 간 위상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어 스테레오 신호의 위상이 조절되어 부호화된 경우, 상기 업믹싱된 스테레오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범위는
    180도를 중심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위상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조절정보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61.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결정부는
    상기 모노 신호와 좌측 신호 간 위상 차이와 상기 모노 신호와 우측 신호 간의 위상 차이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62. 제50항 내지 제5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에 포함된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크기에 대한 관계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신호 복호화 장치.
  63.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모노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크기파라미터 수신부; 및
    상기 스테레오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모노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위상파라미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수신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디코릴레이트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상의 차이를 조절하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향상파라미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수신 장치.
  65.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방법.
  66.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 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전송 방법.
  67.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를 상기 멀티 채널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신호 복호화 방법.
  68.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수신 방법.
  69.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70.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71.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를 상기 멀티 채널 신호로 업믹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72.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명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73.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로 다운믹싱하여 부호화하는 신호 부호화부;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크기 부호화부;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위상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장치.
  74.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크기파라미터 전송부;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위상파라미터 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전송 장치.
  75.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크기 복호화부;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복호화하는 위상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를 상기 멀티 채널 신호로 업믹싱하는 업믹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신호 복호 화 장치.
  76.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로 구성된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신호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크기파라미터 수신부; 및
    상기 멀티 채널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와 상기 다운믹스된 신호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에 대한 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수신받는 위상파라미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수신 장치.
KR1020070037165A 2007-04-16 2007-04-16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KR10145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165A KR101453732B1 (ko) 2007-04-16 2007-04-16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US11/876,947 US8111829B2 (en) 2007-04-16 2007-10-23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stereo signal and multi-channel signal
US13/366,455 US8625811B2 (en) 2007-04-16 2012-02-06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stereo signal and multi-channel signal
US14/091,637 US9508353B2 (en) 2007-04-16 2013-11-27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ereo signal from a down-mixed mon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165A KR101453732B1 (ko) 2007-04-16 2007-04-16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42A true KR20080093342A (ko) 2008-10-21
KR101453732B1 KR101453732B1 (ko) 2014-10-24

Family

ID=3985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165A KR101453732B1 (ko) 2007-04-16 2007-04-16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111829B2 (ko)
KR (1) KR1014537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202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100105496A (ko) * 2009-03-18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8824577B2 (en) 2010-04-17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channel signal
KR20160042862A (ko) * 2016-04-12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복호화방법
US10972849B2 (en) 2017-08-11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32B1 (ko) * 2007-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US8504378B2 (en) * 2009-01-22 2013-08-06 Panasonic Corporation Stereo acoustic signal encoding apparatus, stereo acoustic signal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same
EP2214162A1 (en) * 2009-01-28 2010-08-0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Upmix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pmixing a downmix audio signal
KR101692394B1 (ko) * 2009-08-27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오디오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1073600A1 (fr) * 2009-12-18 2011-06-23 France Telecom Codage/decodage parametrique stereo avec optimisation du traitement de reduction des canaux
KR101697550B1 (ko) * 2010-09-16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채널 오디오 대역폭 확장 장치 및 방법
FR2966634A1 (fr) * 2010-10-22 2012-04-27 France Telecom Codage/decodage parametrique stereo ameliore pour les canaux en opposition de phase
EP2631906A1 (en) * 2012-02-27 2013-08-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hase coherence control for harmonic signals in perceptual audio codecs
WO2014088328A1 (ko) 2012-12-04 2014-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제공 장치 및 오디오 제공 방법
BR112019009315A2 (pt) * 2016-11-08 2019-07-30 Fraunhofer Ges Forschung aparelho e método para mixagem de redução ou mixagem de aumento de um sinal de múltiplos canais com o uso de compensação de fase
CN114898761A (zh) 2017-08-10 2022-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立体声信号编解码方法及装置
CN113782039A (zh) 2017-08-10 2021-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时域立体声编解码方法和相关产品
JP2022533232A (ja) 2019-05-22 2022-07-21 シオン・パワ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的に接続された電極、ならびに関連する物品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26782D1 (de) * 2002-04-22 2009-04-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kodiervorrichtung mit Dekorreliereinheit
EP1500083B1 (en) 2002-04-22 2006-06-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rametric multi-channel audio representation
US8046217B2 (en) * 2004-08-27 2011-10-25 Panasonic Corporation Geometric calculation of absolute phases for parametric stereo decoding
US7797162B2 (en) * 2004-12-28 2010-09-14 Panasonic Corporation Audio encoding device and audio encoding method
KR100773562B1 (ko) * 2006-03-06 200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EP2092516A4 (en) * 2006-11-15 2010-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DECODING
KR101453732B1 (ko) * 2007-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KR101505831B1 (ko) * 2007-10-30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666752B2 (en) * 2009-03-18 2014-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channel signal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202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9384743B2 (en) 2008-10-30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decoding multichannel signal
KR20100105496A (ko) * 2009-03-18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WO2010107269A3 (ko) * 2009-03-18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8537913B2 (en) 2009-03-18 2013-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decoding a multichannel signal
US8666752B2 (en) 2009-03-18 2014-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channel signal
US8767850B2 (en) 2009-03-18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decoding a multichannel signal
US9384740B2 (en) 2009-03-18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channel signal
US8824577B2 (en) 2010-04-17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channel signal
KR20160042862A (ko) * 2016-04-12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채널 신호의 복호화방법
US10972849B2 (en) 2017-08-11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8977A1 (en) 2014-03-27
US20120134501A1 (en) 2012-05-31
KR101453732B1 (ko) 2014-10-24
US8625811B2 (en) 2014-01-07
US20080253576A1 (en) 2008-10-16
US9508353B2 (en) 2016-11-29
US8111829B2 (en)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732B1 (ko) 스테레오 신호 및 멀티 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및 장치
KR101945309B1 (ko) 위상 정보와 잔여 신호를 이용한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2230727B1 (ko) 광대역 정렬 파라미터 및 복수의 협대역 정렬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다채널 신호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430863B (zh) 用于编码的音频编码器及用于解码的音频解码器
EP1934973B1 (en) Temporal and spatial shaping of multi-channel audio signals
KR101218776B1 (ko) 다운믹스된 신호로부터 멀티채널 신호 생성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452722B1 (ko)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4934427B2 (ja) 音声信号復号化装置及び音声信号符号化装置
KR101823279B1 (ko) 인코딩된 표현에 기초하여 적어도 4개의 오디오 채널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 오디오 인코더, 방법, 적어도 4개의 오디오 채널 신호들에 기초하여 인코딩된 표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대역폭 확장을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NO342863B1 (no) Konsept for kopling av gapet mellom parametrisk flerkanals audiokoding og matrise-surround flerkanalkoding
KR20120006010A (ko) 적응형으로 선택가능한 좌/우 또는 미드/사이드 스테레오 코딩과 파라메트릭 스테레오 코딩의 조합에 기초한 진보된 스테레오 코딩
KR20190134821A (ko) 스테레오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
KR20070079943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 시각화 장치 및 방법
RU2696952C2 (ru) Аудиокодировщик и декодер
US20190005971A1 (en) Encoder and encoding method for multi-channel signal, and decoder and decoding method for multi-channel signal
KR20100095586A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5528926A (ja) マルチチャネルをダウンミックス/アップミックスする場合のため一般化された空間オーディオオブジェクト符号化パラメトリック概念のデコーダおよび方法
KR20170087529A (ko) 오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
CN108780651B (zh) 多声道译码
JP2006113294A (ja) 音響信号符号化装置及び音響信号復号装置
KR102657547B1 (ko) 저연산 포맷 변환을 위한 인터널 채널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434209B1 (ko) 오디오/스피치 신호 부호화장치
KR101434207B1 (ko) 오디오/스피치 신호 부호화방법
KR20070075237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150045879A (ko) 공간 필터를 이용한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