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992A -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 Google Patents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992A
KR20080092992A KR1020070036679A KR20070036679A KR20080092992A KR 20080092992 A KR20080092992 A KR 20080092992A KR 1020070036679 A KR1020070036679 A KR 1020070036679A KR 20070036679 A KR20070036679 A KR 20070036679A KR 20080092992 A KR20080092992 A KR 2008009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semi
automat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인시스템
Priority to KR102007003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992A/ko
Publication of KR2008009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two pairs of pivoted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와 레일을 통해 자동 및 반자동으로 개폐되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창문을 열거나 닫기 위해 소정 압력을 가하면 차후 개폐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반자동 개폐형 창문과, 상기 반자동 개폐형 창문에 컨트롤러를 장착하여 최초 가해지는 소정 압력을 스위치를 통해 자동으로 전달시키고, 창문의 개폐동작 중 일정 위치에 자동 정지되어 창문의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개폐형 창호에 관한 발명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창문(20)이 개폐될 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30)를 장착하고, 상기 이동부(30)와 연동되어 창문(20)을 반자동으로 개폐하는 구동장치(40)가 창틀(10) 내측에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창문(20)의 개폐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린더, 레일, 창문, 창틀

Description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A Auto and semiauto device for window frame}
도 1은 종래의 자동 개폐형 창호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의 일 예를 보인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중 창문의 돌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중 창문의 개폐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중 구동장치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중 컨트롤러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창틀 11: 붙박이창
20: 창문 30: 이동부
31, 32: 돌출부 31A,32A: 요홈
33: 가이드레일 34: 지지바
35: 레일바 40: 구동장치
41: 로드 50: 컨트롤러
본 발명은 창문을 열거나 닫기 위해 창문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자동 및 반자동 창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창문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를 위해 창틀 내측에 적어도 1개 이상 실린더를 장착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를 통해 창문의 레일바를 상하로 이동시켜 개폐되는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란 실내공간 또는 건물 내외부를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각종 창이나 문을 일컫는 것으로, 그 사용 재료에 따라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창호를 개폐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동양식 창호는 거의 대부분이 홈대(Sill)와 상인방(Lintel) 사이를 미끄러져 개폐되며, 경우에 따라 반자대받이(Runner)를 붙여 레일 위를 미끄러지게 하거나 고무바퀴가 달린 반자대받이로 홈대 위를 움직이게 하여 개폐된다. 한편, 서양식 창호는 두짝의 창을 서로 오르내려 열리는 오르내리창과, 창짝 중심부에 축을 구비하여 가로나 세로로 돌리어 열리는 회전창과, 비늘판을 3㎝정도의 간격으로 45˚정도 비스듬히 가로댄 비늘창과, 여닫지 못하고 빛만 투과하는 붙받이창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개폐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어 실시되고 있는 창호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창호의 본래 기능인 통풍, 환기, 채광, 방음, 단열이외에 사용의 편의를 위해 각종 부가 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부가 장치 중 하나가 창호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 창호로써,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방음, 단열 등과 같은 본래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 창호의 무게가 무거운 제품도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쉽게 열지 못하기도 한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 이외에 단순히 생활의 편의를 위해 비교적 가벼운 창호에도 이러한 자동 및 반자동 개폐장치를 장착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개폐장치의 일 예로서, 창호 자동 개폐시스템(공개특허공보 10-2005-0098623호)이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창호 자동 개폐시스템은 도 1 도시와 같이 창호틀(100)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내에 일체로 구비된 다수의 채광창으로 이루어진 창호(120)와, 상기 창호(120)의 좌/우 양 상단부에 인접한 상기 창호틀의 상부 내벽면에 고정설치되고, 실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재(130)와, 전/후방단부에 한 쌍의 포트를 구비한 복동형 실린더 형태이고, 전방단부의 개구부 상에 피스톤 로드(141)가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실린더(140)와, 상기 창호의 프레임(110)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 되고 각 실린더(140)의 피스톤 로드(141)의 자유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구(150)와, 상기 실린더(140)의 양 포트에 연결되어 공압에너지를 인가하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141)를 전후진 시키는 공압인가회로와, 상기 공압인가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실린더(140)의 공압 공급을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창호 자동 계폐장치는 자동 개폐를 위한 실린더(140)와 절곡부재(130) 및 고정구(150)가 실내 또는 실외로 노출되고, 이로 인해 측벽의 공간부 감소 및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린더(140)와 절곡부재(130) 및 고정구(15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제작하여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창호는 별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개폐장치는 창호가 개폐되는 각도의 제한 이 있어 완전히 개폐되면 실내 또는 실외로 창문이 대략 수직으로 위치되어 공간을 더욱 줄이는 문제가 있으며, 근본적으로 창호가 일정 각 이상 개폐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창호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여닫을 시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가하여도 창호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창호가 열림될 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열리고 멈춤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창호가 열림될 시 완전개폐가 가능하며, 실외 또는 실외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는, 창틀에 창문과 붙박이창이 짝을 이루게 장착되어 일측 창문이 상하로 개폐되게 한 창호에 있어서, 창틀로부터 전후방 일정 폭 밀리거나 당겨지는 창문을 구비하고, 상기 창문이 밀리거나 당겨지고 상하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왕복이동되는 로드를 갖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창문과 이동부 및 구동장치를 구비한 창호는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소정 압력을 가하면 구동장치의 힘에 의해 추가적인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완전히 열리고, 사용자가 하향 압력을 가하여 창문을 닫을 시 창문의 무게로 인해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창문과 창틀에 각각 일정 폭을 갖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일정 깊이를 갖는 요홈을 구비하여 상하로 길이를 갖는 레일을 형성한다. 여기서 창문은 레일을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되도록 지지바와 레일바를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소정 압력을 가하면 추가적인 압력 없이 자동으로 완전 인입되는 로드로 갖는 실린더로 실시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서 소정 압력에 의해 자동 인입될 시 적어도 1번 이상 정지되게 하여 창문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최초 인가 압력을 사용자가 아닌 기계적 힘으로 대체하고, 이를 통해 스위치조작만으로 개폐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 도시와 같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창틀(10)을 구비하고, 상기 창틀(10)의 일측에 위치되어 일정 크기를 갖고 개폐가능한 창문(20)과, 상기 창문(20)과 짝을 이루어 고정되는 붙박이창(1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창문(20)의 양측에 창문(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부(30)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30)와 연동되며 창틀(10)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창문(2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붙박이창(11) 부위와 일정 폭 겹쳐져 개폐된다. 이때 창문(20)은 전후방 일측으로 평행하게 밀거나 당겨 창틀(10)로부터 일정 폭 이격되게 함으로써 상하이동된다.
이렇게 창문(20)을 창틀(10)로부터 일정 폭 이격시키면 이동부(30)가 도 3a와 도 3b 도시와 같이 양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이동부(30)는 창틀(10)과 창문(20)에 각각 고정되어 회동되는 지지바(34)와, 일단이 상기 지지바(34)의 중심측에 결속되며 타단이 창틀(10)의 가이드레일(33) 또는 창문(20) 요홈(32A)에 장착되 어 일정 폭 슬라이드되는 레일바(3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34)와 레일바(35)는 창문(20)의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 장착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바(34)와 레일바(35)의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변형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이와 같은 지지바(34)와 레일바(35)는 창문(20)이 전방 또는 후방 일측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면 접혀져 있던 지지바(34)가 회동되어 세워지고, 이때 레일바(35)의 일측이 슬라이드 되면서 창문(20)을 평행하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지지바(34)와 레일바(35)를 창문(20)의 좌우측 상하단에 각각 구비하여 창문(20)의 전후방 돌출시 비틀리지 않고 평행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지지바(34)와 레일바(35)는 창문(2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붙박이창(11) 또는 걸림장치의 고정을 해소함과 동시에 돌출되는 창문(20)의 평행을 유지하여 비틀림 없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레일바(35)의 상하이동은, 도 4 도시와 같이 창틀(10)과 창문(20)의 접면부 상측에 일정 크기를 갖는 돌출부(31,3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32)에 일정 깊이의 요홈(31A,32A)이 형성하여 상하로 레일을 형성한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요홈(31A,32A)에 지지바(34)와 레일바(35)가 각각 삽입 장착되어 회동고정 또는 슬라이드되는 것으로, 상기 창틀(10)의 요홈(31A)은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33)이 삽입 장착되어 이에 고정된 지지바(34)와 레일바(35)가 가이드레일(33)의 상하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한편, 도 5 도시와 같이 가이드레일(33)이 고정되는 로드(41)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41)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구동장치(40)는, 붙박이 창(11)의 양측면부 내측에 삽입장착되고, 창문(20)을 걸림고정하던 고정력이 전후방 일측으로 평행 이동됨에 따라 해소되어 창문(20)의 측면에 장착된 가이드레ㅣ일(33)를 자동으로 끌어당겨 창문(20)의 반자동 개폐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창문(20)을 닫을 시, 상승된 창문(20)을 잡고 일정 하향 압력을 가하면 창문(20)의 무게와 수동 힘이 실린더의 인입력 보다 크게 작용하여 실린더의 상승력을 극복하고 하향된다. 이때 실린더 로드(41)의 최대 인출길이에 도달하면 가이드레일(33)의 하향이동이 정지되고, 지지바(34)와 레일바(35)는 창문(20)의 하향력에 의해 세워진 레일바(35)를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따라서, 세워진 레일바(35)의 슬라이딩으로 지지바(34)가 회동되어 눕혀지고, 결과적으로 창문(20)이 창틀(10)에 안착되어 상측의 붙박이창(11)의 하측턱 또는 걸림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20)의 고정은 손잡이에 걸림쇠를 장착하여 손잡이의 누름을 통해 고정/해제되는 걸림장치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은 상하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상측에 붙박이창(11)이 구비된 창틀(10)을 구비하며, 상기 붙박이창(11) 하부측에 개폐되는 창문(20)을 장착하여 실시된다. 이때 상기 창문(20)의 양측에 절첩되는 지지바(34)와 레일바(35)를 각각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 것으로, 상기 지지바(34)와 레일바(35)는 창틀(10)과 창문(20)에 각각 회동되게 고정되며, 특히 레일바(35)는 일측단이 창틀(10) 또는 창문(20)에 삽입장착되어 일정 폭 슬라이딩 되며, 타측단은 지지바(34)의 중심측에 회동가능케 장착고정된다.
한편, 상기 창틀(10)의 상부 내측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구동장치(40) 즉,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41)를 하측의 레일바(34)와 지지바(35)와 연결하여 장착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40)는 공압실린더를 통해 전력의 공급 없이 자동으로 로드(41)가 인출되도록 구성하고, 이를 통해 창문(20)의 고정력이 해소되면 별도의 전력공급없이 상승되는 것으로 실시된다.
또한, 상기 공압 실린더가 상승될 시 일정 위치에 정지된 후 추가적인 압력에 의해 개폐동작의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도 6 도시와 같이 별도의 컨트롤러(50)를 장착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정지된 공압실린더의 로드(41)에 압력을 가하여 인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창문(20)을 원하는 만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컨트롤러(50)는 벽면에 제어부를 구비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리모트컨트롤러로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40)의 실린더는 공압실린더로 실시되는 것으로 명시되었으나, 이는 전기적 에너지 공급 없이 자동으로 인입되는 실린더의 일 예로서, 경우에 따라서 전기 공급에 따라 인입/인출되는 실린더로 사용되어도 무관하며 이러한 실린더의 선택은 모두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형되는 것에 속한다.
한편, 창문을 닫을 시는, 상승된 창문(20)을 사용자가 일정 하향 압력을 가하고, 이를 통해 일정 속도로 하향되어 구동장치(40)의 로드(41)가 끝까지 하향되 면 창문(20)의 하향속도에 의해 세워진 지지바(34)와 레일바(35)가 접히게되며, 이를 통해 일측방으로 돌출된 창문이 붙박이창(11)의 하측턱 또는 별도의 걸림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창문(20)의 개폐는 상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명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구성의 변동 없이 좌우측으로 개폐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창호의 창문(20)을 개폐하기 위해 전후방 일측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면, 구동장치(40)의 인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창문(20)의 상측하여 개폐되고, 상승된 창문(20)을 잡고 일정 하향 압력을 가하면 창문(20)의 무게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창문(20)이 하향된 후 창틀(10)에 안착되어 닫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문의 사용으로, 창호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여닫을 시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가하여도 창호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창호가 열림될 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열리고 정지되어 창문의 개폐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창호가 열림될 시 창문의 완전개폐가 가능하며, 창문이 전후방측으로 회전되지 않아 실외 또는 실내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목적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 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등록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5)

  1.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장착되어 상하 일측면을 개폐하는 창문과, 상기 창문과 짝을 이루어 타측면에 고정되는 붙박이창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창호에 있어서,
    창틀(1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평행하게 일정 폭 밀리거나 당겨지는 창문(20)과;
    상기 창문(20)과 창틀(10)에 각각 구비되어 창문(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 및;
    상기 창틀(10)의 일측 내부에 장착되어 이동부(30)를 상하로 밀거나 당기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동장치(40)로 구성되어 창문(20)을 전후방 일측으로 일정 폭 당기거나 밀면 차후 과정이 상기 구동장치(40)에 의해 상승되어 개폐되고, 상승된 창문(20)에 소정 하향 압력을 가하면 창문(20)의 무게로 인해 하향되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창틀(10)과 창문(20)의 전후방 일측에 위치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일측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요홈(31A,32A)이 형성되는 돌출부(31,32)와;
    상기 돌출부(31)의 요홈(31A,32A)에 삽입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일드레 일(33)과;
    상기 가이드레일(33)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동되며, 타측이 창문(20)측 요홈(32A)에 삽입되어 회동가능케 고정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바(34)와;
    상기 지지바(34) 각각의 중간부에 일단이 회동되게 결속되며 타단이 창틀(10) 또는 창문(20)에 각각 장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레일바(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창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창틀(10) 내측에 장착되어 자동 인입되는 로드(41)를 구비한 실린더로써, 창문(20)의 고정이 해소되면 로드(41)가 추가적인 압력 없이 자동으로 인입되는 반자동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창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창틀(10) 내측에 장착되어 자동 인입되는 로드(41)를 구비한 실린더로써, 상기 로드(41)가 완전 인입되기 위해 적어도 1번 이상의 정지구간을 갖고, 이를 통해 창문(2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창호.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더 포함하여 창문(20)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개폐형 창호.
KR1020070036679A 2007-04-14 2007-04-14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KR20080092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79A KR20080092992A (ko) 2007-04-14 2007-04-14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79A KR20080092992A (ko) 2007-04-14 2007-04-14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992A true KR20080092992A (ko) 2008-10-17

Family

ID=4015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679A KR20080092992A (ko) 2007-04-14 2007-04-14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9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83A1 (ko) 2016-11-23 2018-05-31 이스트바이크 주식회사 무단변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83A1 (ko) 2016-11-23 2018-05-31 이스트바이크 주식회사 무단변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53933A1 (zh) 冰箱门体
KR100811621B1 (ko)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ATE402313T1 (de) Motorisch angetriebene fenstereinheit mit schwenkbarer öffnung
KR101160093B1 (ko) 무전원 파티션 승강기능을 갖는 책상
CN108756561B (zh) 用于多部件门的滑动的家具配件及具有该家具配件的家具
KR20080092992A (ko) 자동 및 반자동 개폐형 창호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825080B1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KR101045050B1 (ko)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KR200397638Y1 (ko) 자력을 이용한 단차 없는 미닫이문
CN208184620U (zh) 内置帷幕的中空玻璃窗户
CN209494487U (zh) 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外操控器与外操控器导轨配合结构
CN220687134U (zh) 一种方便安装静音玻璃的玻璃推门
KR20180033773A (ko) 댐핑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도어
KR20110011771A (ko) 롤권취 도어
KR101274221B1 (ko) 온돌침대 보온막의 개폐장치
KR101667497B1 (ko) 권취형 스크린 도어
KR102340826B1 (ko) 슬라이드 개폐도어
CN219679447U (zh) 一种车载宠物笼
KR200481678Y1 (ko)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CN215804110U (zh) 一种阳台门
CN105804593B (zh) 一种平移门连动控制方法和连动式平移门
CN216341663U (zh) 一种联合控制双门结构
CN213359944U (zh) 一种内置百叶中空玻璃内提滑块
CN214117836U (zh) 一种门窗用斜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