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901A -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901A
KR20080092901A KR1020080093816A KR20080093816A KR20080092901A KR 20080092901 A KR20080092901 A KR 20080092901A KR 1020080093816 A KR1020080093816 A KR 1020080093816A KR 20080093816 A KR20080093816 A KR 20080093816A KR 20080092901 A KR20080092901 A KR 2008009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pparatus
clothes processing
air
clothes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주
최철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901A/ko
Publication of KR2008009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의류의 수용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또는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출입이 가능하며 의류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을 가진다.
또한, 복합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또는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한다.
의류처리장치, 보조 의류처리장치, 공기공급유닛

Description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처리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최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세탁기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세탁기만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하는 세탁기를 구비하여야 한 다.
또한,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들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도 대형화된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해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 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여 편리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그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보조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그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를 세탁 또는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출입이 가능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연통하여 상기 컨테이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을 구비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의류건조장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원발명의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측 하부면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본원발명의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덕트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본체와 연통하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공기공급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공급유닛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제1유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유입구를 가지는 커버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관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에 대해 건조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편리함을 가진다.
또한, 공기공급유닛이 보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보조 의류처리장치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류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20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의류처리장치(200)가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받침대 역할을 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류처리장치(100)를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세탁기로 하였으나,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세탁기뿐만 아니라 건조기 또는 건조기능을 가진 드럼세탁기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11)와, 상기 터브(111) 내에서 회전하는 드럼(1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는 컨트롤패널(120)이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컨트롤패널(120)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부와, 상기 의류처리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세탁행정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를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150)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15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151)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그(151)와 체결되는 체결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20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과 결합수단(150)에 의해 결합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에 출입이 가능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40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40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50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컨테이너(400)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지닌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면에 형성된 제1유입구(310)와, 상기 제1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된 제1유출구(320)를 구비한다.
상기 컨테이너(400)의 상면은 의류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전후방향 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본체(300)에 출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400)를 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400)의 전면에는 손잡이(40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400)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450)에 의해 덮여져 후술할 제2유입구(410)와 제2유출구(420)를 제외하고는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450)가 상기 컨테이너(400)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컨테이너(4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커버(450)가 상기 컨테이너(400)의 후측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40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450)에는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2유입구(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유입구(410)는 상기 본체(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3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400)의 후면에는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제2유출구(420)를 구비한다. 상기 제2유출구(420)는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유출구(320)와 대응하는 위치되어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출구(420)에는 제2유출구(420)를 통해 유출되는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43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430)는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의 냄새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탈취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400)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건조하거나 탈취하기 위한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캐비닛(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11)의 중심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터브(111)의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유닛(500)을 상기 터브(111)의 중심부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으로써 캐비닛(110)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도 기존의 캐비닛(110)의 내부공간에 공기공급유닛(5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을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400)에 설치하지 않고 내부에 여유공간을 가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100)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의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팬(520)과, 상기 송풍팬(52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본체(300)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덕트(530)와,상기 덕트(53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본체(300)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4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520)의 출구는 상기 덕트(530)의 입구와 밀착되어 있어 상기 송풍팬(52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모두 덕트(53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5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540)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은 송풍팬(520) 및 상기 덕트(530)를 감싸는 하우징(5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1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510)의 일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5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511)는 많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1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12)는 상기 송풍팬(5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10)의 하부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흡입구(511)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로 흡입되지 않도록 필터(515)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512)는 상기 덕트(530)에 형성된 배출구와 함께 하나의 배출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520)은 회전속도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양이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400)에 수용되는 의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컨테이너(400) 내부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가 빠른 시간 내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의류의 건조 또는 탈취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히터(530)는 전기식, 가스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특성을 고려할 때 소형인 전기식 히터가 바람직하다. 특히, 시즈 히터(Sheath Heater)나 PTC 히터(PTC Heater)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히터의 온도 조절이 가능한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의류의 재질이나 컨테이너(400)에 수용되 는 의류의 양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4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 특히 캐비닛(11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110)의 하부면과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상부면은 결합수단(150)에 의해 소정거리 이격되므로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의 배출구(512)와 상기 본체(300)의 유입구(31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재(610)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재(610)의 상단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부재(610)의 하단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보조 의류처리장치(200)가 결합수단(150)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보조 의류장치(200)의 상단과 밀착된다. 물론 상기 연통부재(610)의 하단이 상기 보조 의류장치(200)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보조 의류처리장치(200)가 결합수단(150)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연통부재(610)의 상단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단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새지 않고 상기 본체(300) 내부로 모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통부재(610)의 길이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 사이의 간격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부재(610)는 고무부재와 같이 탄성을 가져 밀착력이 좋은 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3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컨테이너(40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제1유입구(310)와 상기 제2유입구(410)를 연통시키는 안내관(620)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관(320)의 상단부는 상기 제1유입구(310)를 감싸며 상기 본체(3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관(320)의 하단부는 상기 컨테이너(400)가 상기 본체(300)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상기 커버(45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유입구(4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320)은 플렉시블(flexible)한 벨로우즈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400)가 상기 본체(300)에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안내관(3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컨테이너(400)가 상기 본체(3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신축성을 가지는 안내관(320)이 상기 커버(450)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유입구(310)와 제2유입구(410) 사이에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부, 제어부 및 표시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컨트롤패널(12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의 전면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컨트롤패널(1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보조 의류처리장치(200)를 모두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에 독립적으로 제어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부와 별도로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테이너(400)에 수용되는 의류의 양 또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공기공급유닛(500)에 설치되는 송풍팬(520)의 회전속도 및 히터(54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테이너(400)에 수용되는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제어부가 송풍팬(520)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고 히터(540)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많은 양의 의류를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킬 수 있다. 반대로 의류의 양이 적으며 섬세 의류가 상기 컨테이너(400)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송풍팬(520)을 느린 속도로 회전시키고 히터(530)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섬세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살균, 구김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200) 내부로 증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를 사용하여 의류를 세탁 및 탈수한 후, 건조하고자 하는 소량의 의류를 컨테이너(400) 내부로 투입한다. 의류를 컨테이너(400) 내부로 투입한 후 공기공급유닛(500)을 동작시키면 송풍팬(520)이 회전하면서 하우징(510)의 흡입구(511) 측에서 배출구(512)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와 같이 유동하는 공기는 히터(530)에 가열된 후 제2유입구(410)를 통해 컨테이너(40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400) 내부로 유입된 뜨겁고 건조한 공기는 컨테이너(400)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수분을 뺏은 뒤 제2유출구(420) 및 제1유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4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건조 또는 탈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원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원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원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Ⅰ-Ⅰ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공급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A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의류처리장치 150: 결합수단
200: 보조 의류처리장치 300: 본체
400: 컨테이너 500: 공기공급유닛
500: 공기공급유닛 610: 연통부재
620: 안내관

Claims (12)

  1. 의류를 세탁 또는 건조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출입이 가능하며 의류가 수용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연통하여 상기 컨테이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을 구비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의류건조장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측 하부면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유닛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덕트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상기 본체와 연통하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공기공급유닛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기공급유닛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와 상기 제1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제1유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유입구를 가지는 커버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연통시키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20080093816A 2008-09-24 2008-09-24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20080092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16A KR20080092901A (ko) 2008-09-24 2008-09-24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16A KR20080092901A (ko) 2008-09-24 2008-09-24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462A Division KR100873142B1 (ko) 2007-04-13 2007-04-13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901A true KR20080092901A (ko) 2008-10-16

Family

ID=4015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16A KR20080092901A (ko) 2008-09-24 2008-09-24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9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142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0830478B1 (ko) 보조건조기
US8413471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RU2405077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100964695B1 (ko) 건조기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1414625B1 (ko) 건조기
RU2405076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EP2041358B1 (en) Laundry dryer
KR101276811B1 (ko) 보조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세탁장치
US8250777B2 (en) Device of supplying water for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74217B1 (ko) 건조기
EP1900865A1 (en) Laundry dryer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CN106460301B (zh) 衣物处理装置
JP2018057413A (ja) 衣類処理装置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100934660B1 (ko) 건조기
KR20080092901A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1208531B1 (ko) 건조기
KR10170869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208534B1 (ko) 건조기
AU2006341533A1 (en) Device of supplying water for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