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118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118A
KR20080092118A KR1020070035582A KR20070035582A KR20080092118A KR 20080092118 A KR20080092118 A KR 20080092118A KR 1020070035582 A KR1020070035582 A KR 1020070035582A KR 20070035582 A KR20070035582 A KR 20070035582A KR 20080092118 A KR20080092118 A KR 2008009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pdu
value
exists
pay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388B1 (ko
Inventor
이준성
김혜정
이도영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3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38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95,432 priority patent/US9019901B2/en
Priority to PCT/KR2008/002053 priority patent/WO2008127034A1/en
Priority to EP18205968.3A priority patent/EP3461032B1/en
Priority to CA2683162A priority patent/CA2683162C/en
Priority to RU2009137596/07A priority patent/RU2442282C2/ru
Priority to EP08741298.7A priority patent/EP2135365B1/en
Priority to CN2008800117126A priority patent/CN101657981B/zh
Priority to JP2009554459A priority patent/JP5054126B2/ja
Priority to AU2008240010A priority patent/AU2008240010B2/en
Publication of KR2008009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388B1/ko
Priority to US14/528,412 priority patent/US95215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7Signalling methods or messages providing extensions to protocols defined by standard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또는 기지국에서 확장 비트 필드 및 길이 지시자 필드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PDU의 페이로드에 삽입하여 상기 PDU를 구성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를 삽입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SDU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I 필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상기 PDU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터티와, 상기 송신된 PDU를 수신하여, 상기 PDU의 상기 헤더로부터 상기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LI 필드가 포함된 정보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필드 값에 따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 필드에 남겨진 상기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하는 수신측 엔터티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측 RLC 엔터티에서 수신된 RLC PDU의 헤더로부터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비교 및 마스킹 동작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으로 LI 값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35582
RLC SDU, RLC PDU, LI, 확장 비트.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비트 필드 및 길이 지시자 필드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CLUDING EXTENSION BIT FIELD AND LENGTH INDICATE FIELD IN ASYNCHRONOUS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THEREOF SYSTEM}
도 1은 차세대 3GPP LTE 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수신하여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는 종래 여러 개의 LI 필드가 하나의 RLC PDU에 전송될 경우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적용하여 여러 개의 LI 필드가 하나의 RLC PDU에 전송될 경우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수신하여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또는 기지국에서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 이하 'RLC'라 한다) 헤더(Header)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이하 'PDU'라 한다)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UMTS 시스템이 후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표준논의가 진행 중이다. LTE는 2010년 정도를 상용화 목표로 해서, 100 Mbps 정도의 고속 패킷 전송을 위한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RNC의 무선 프로토콜 기능을 e-NodeB로 옮겨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논의 중에 있다.
도 1은 차세대 LTE이동통신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Radio Access Network: 이하 'E-UTRAN'이라 한다)(110, 112)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120, 122, 124, 126, 128)과, 상위 노드(anchor node)(130, 132)의 2 노드 구조로 단순화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한다)(101)은 E-UTRAN(110, 112)에 의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한다) 네트워크로 접속한다.
ENB(120 내지 128)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되며, UE(101)와 무 선 채널로 연결된다. 기존 노드 B와 달리 상기 ENB(120 내지 128)는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20 내지 128)가 담당한다.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마찬가지로 LTE에서도 ENB(120 내지 128)와 UE(101) 사이에 HARQ(Hybrid ARQ)가 수행되지만, HARQ만으로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의 요구(requirement)를 충족할 수 없으므로, 상위 계층에서 별도의(Outer) ARQ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ARQ(이하 'outer-ARQ'라 한다)도 역시 단말(101)와 ENB(120 내지 128)사이에서 수행된다.
최대 100 Mbps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는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율(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이 적용될 것이다.
LTE를 비롯해 많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오류 정정 기법으로 HARQ와 ARQ를 모두 사용한다.
여기서 HARQ란,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를 폐기하지 않고, 재전송된 데이터와 소프트 컴바이닝함으로써, 수신 성공률을 높이는 기법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 면, HARQ 수신측은 수신한 패킷의 오류 존재 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오류 존재 확인 여부에 따라 HARQ 긍정적 인지(positive Acknowledgement: 이하 ‘HARQ ACK’라 한다) 신호, 또는 HARQ 부정적 인지(negative Acknowledgement: 이하 ‘HARQ NACK’라 한다)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측은 상기 HARQ ACK/NACK 신호에 따라 HARQ 패킷의 재전송이나 또는 새로운 HARQ 패킷의 전송을 실행한다. 그리고, HARQ 수신측은 재전송된 패킷을 이전에 수신한 패킷과 소프트 컴바이닝하여 오류 발생 확률을 줄인다.
반면에 ARQ란, 수신한 패킷의 일련 번호를 검사해서, 수신하지 못한 패킷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법이며, 이전에 수신한 패킷과 재전송된 패킷들을 소프트 컴바이닝 하지 않는다.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 ARQ 동작은 RLC라는 프로토콜 계층에서, HARQ 동작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 이하 'MAC'이라 한다) 또는 물리(Physical : PHY) 계층에서 담당한다.
도 2는 LTE 시스템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송신측 및 수신측의 계층들을 대칭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당 하나씩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터티들(201, 215)과, RLC 엔터티들(203, 213)들 포함한다.) PDCP 엔터티들(201, 215)는 IP 헤더의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RLC 엔터티(203)는 PDCP 엔터티(201)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인 RLC SDU(Service Data Unit)들(217)을 적절한 크기의 RLC PDU(219)로 재구성하고, RLC 엔터티(213)는 입력된 RLC PDU(225)를 결합하여 RLC SDUs(227)를 PDCP 엔터티(215)로 출력하며,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 엔터티들(205, 211)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엔터티들(203, 213)과 연결되며, 입력된 RLC PDU(219)들을 MAC PDU(221)에 다중화하고, 수신된 MAC PDU(223)로부터 RLC PDU(225)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07, 211)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변조하고 OFDM 심볼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볼들을 복조,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MAC 계층(205, 211)과 물리 계층(207, 2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HARQ 엔터티들은 소정의 HARQ 동작을 통해 MAC PDU(221, 223)를 서로 간에 송수신한다.
통상 2 계층(Layer 2 : L2)이란, PDCP, RLC, MAC 계층(201 내지 205, 211 내지 215)을 모두 포괄하며, 1계층(Layer 1 : L1)이란 물리 계층(207, 209)을 의미한다.
PDCP, RLC, MAC 엔터티들(201 내지 205, 211 내지 215)은 송신측과 수신측이 쌍으로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송신측 RLC엔터티(203)와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서로 일 대 일로 대응된다.
도 3은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송신측 RLC 엔터티(203)는 도 3과 같은 RLC PDU의 구조로 구성된 RLC PDU를 수신측 RLC 엔터티(213)에 전송한다. 종래 RLC PDU의 구조는 헤더(311, 313)에 D/C필드와,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필드와, P 필드와, HE 필드와, 길이 지시 자(Length Indicate : 이하 'LI'라 한다) 필드(321, 323, 325)와, 확장 비트(Extension Bit) 필드(322, 324, 326)를 포함한다.
상기 LI 필드(321, 323, 325)는 통상적으로 RLC PDU(312, 314)에 포함되는 각 RLC SDU(301 내지 304)의 끝을 알려주는 필드이고, 확장 비트 필드(322, 324, 326)는 이어지는 다음 필드가 LI 필드인지 혹은 데이터(즉 페이로드)인지를 알려주는 필드이다.
상기 D/C 필드는 전송되고 있는 PDU가 데이터 PDU인지 아니면 제어 PDU인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시퀀스 넘버 (Sequence Number)는 PDU의 송신순서에 따른 전송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P 필드는 풀링 동작을 위한 풀링 비트 이며 HE 필드는 다음에 전송되는 octet이 data의 시작인지 LI 필드인지를 나타낸다.
이하, 도 3에서 RLC SDU(301, 302)는 하나의 RLC PDU(312)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RLC SDU(302) 중 이전 전송에서 전송되지 못하고 잘려진 일부분(327)이 RLC SDU(303, 304)와 함께 다음 RLC PDU(614)에서 전송되는 경우, RLC PDU(312, 314)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여러 개의 RLC SDU(301,302)가 하나의 RCL PDU(312)에 포함되거나 혹은 이전 전송에서 전송되지 못하고 잘려진 RLC SDU(327)가 전송될 경우, 이를 나타내기 위해 헤더(311, 313)에 LI 필드(321, 323, 325)가 7비트로 구성되며, 이어지는 다음 필드가 LI인지 혹은 데이터 인지를 알려주는 확장 비트 필드(322, 324, 326)가 덧붙여진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헤더(311)에 포함된 LI 필드(321)은 RLC PDU(312)의 페이로드 내부에서 RLC SDU(301)의 끝 위치를 알려주며, 헤더(313)에 포함된 LI 필드(324)는 RLC PDU(314)의 페이로드 내부에서 RLC SDU(302)의 끝 위치를 알려주고, LI 필드(325)는 RLC PDU(314)의 페이로드 내부에서 RLC SDU(303)의 끝 위치를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LI 필드는 통상적으로 각 PDU의 페이로드 내부에 포함되는 SDU의 끝 위치를 알려주므로, 만약 여러 개의 SDU가 하나의 PDU에 함께 묶여 전송되는 경우, LI 필드의 개수는 PDU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RLC SDU들의 개수에 따라 비례하여 늘어나게 된다.
LI 값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PDU의 시작점에서 PDU의 페이로드 내부에서 함께 전송되고 있는 SDU의 끝점까지의 옵셋(offset)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LI 값은 단순한 지시자(Indicator)가 아닌 실제적인 값을 표현하며, 수신측 RLC 엔터티(213)에서는 LI 값을 이용하여 계산식에 따라 PDU로부터 각각의 SDU를 분리해낸다.
RLC PDU의 헤더에서 LI 와 확장 비트는 함께 하나의 바이트(byte)(즉 옥텟(octet))에 구성되며, LI 필드 뒤(다음)에 확장 비트 필드가 위치한다.
송신측 RLC 엔터티(203)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RLC PDU를 송신하는 경우, LI 값을 확인하기 위해 수신측 RLC 엔터티(213)에서 아래 도 4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종래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의 401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대측 RLC 엔터티(203)로부터 수신된 RLC PDU의 헤더로부터 LI 필드를 포함하는 옥텟을 추출하고, 먼저 확장 비트를 추출하기 위한 마스킹(making)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추출한 확장 비트가 1인지 확인하여 1인 경우 405 단계로 진행하고, 1이 아닌 경우 407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5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기 추출한 확장 비트가 1인 경우, 다음 옥텟(Octet)에 다른 RLC SDU의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409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7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기 추출한 확장 비트가 1이 아닌 경우, 다음 옥텟부터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409 단계로 진행한다.
409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기 추출한 확장 비트가 LI 필드의 뒤쪽에 존재하므로, 상기 LI 필드를 포함하는 옥텟을 1비트 오른쪽으로 시프트하여 상기 LI 필드를 추출하고, 411 단계에서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을 확인한다.
종래 비동기 시스템의 수신측 RLC 엔터티(213)에서 RLC PDU에 포함된 LI값을 확인하기 위해 확장 비트를 판단하기 위한 마스킹을 수행한 후 LI 값이 포함된 바이트를 읽어내어 LI 값을 위한 시프트 동작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시프트 동작은 확장 비트의 내용과 상관없이 LI 필드를 포함하는 매 옥텟마다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 RLC 엔터티(213)에서 LI 값을 확인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LI 값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RLC PDU에서 확장 비트 및 LI 필드를 설정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의 송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PDU의 페이로드에 삽입하여 상기 PDU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를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DU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I 필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상기 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의 수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페이로드 내에 포함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가 삽입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LI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가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된 PDU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PDU의 상기 헤더로부터 상기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LI 필드가 포함된 정보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필드 값에 따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필드에 남겨진 상기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하는 과 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PDU의 페이로드에 삽입하여 상기 PDU를 구성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를 삽입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SDU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I 필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상기 PDU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터티와, 상기 송신된 PDU를 수신하여, 상기 PDU의 상기 헤더로부터 상기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LI 필드가 포함된 정보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필드 값에 따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 필드에 남겨진 상기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하는 수신측 엔터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 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DU의 헤더를 구성함에 있어 확장 비트(EB) 필드를 LI 필드의 앞에 위치시켜 수신측의 효율적인 동작을 유도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UMTS를 기반으로 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인 WCDMA 시스템의 RLC 계층을 이용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확장비트의 효율적인 위치설정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 형태를 사용하는 여타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에서 RLC SDU(501, 502)는 하나의 RLC PDU(512)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RLC SDU(502) 중 RLC PDU(512)를 통해 전송되지 못하고 잘려진 일부분(527)은 다음 전송인 RLC PDU(514)를 통해 RLC SDU(503, 504)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 RLC PDU(512, 514)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RLC PDU(512, 514)에서 여러 개의 RLC SDU(501, 502)가 하나의 RCL PDU(512)에 포함되거나 혹은 이전 전송에서 전송되지 못하고 잘려진 일부분(527)이 전송될 경우, 이를 나타내기 위해 헤더(511, 513)에는 이어지는 다음 필드가 LI 필드인지 혹은 데이터(즉 페이로드)인지 알려주는 확장 필드(521, 523, 525)가 1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 필드(521, 523, 525) 다음에 LI 필드(522, 524, 526)가 7비트로 구성된다. 즉, 도 3의 종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RLC PDU의 구조와,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RLC PDU의 구조를 비교해 보면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의 위치가 바뀌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송신측 RLC 엔터티(203)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PDU의 페이로드에 삽입하여 상기 PDU를 구성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를 삽입한다. 그리고 송신측 RLC 엔터티(203)는 상기 PDU의 헤더 내에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SDU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I 필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포 함한 상기 PDU를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수신하여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에서 LI 필드는 RLC PDU 안에 묶여 전송되고 있는 각 RLC SDU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LI 값은 RLC PDU에 포함된 페이로드의 시작점에서 RLC SDU의 끝까지의 옵셋(offset)을 나타내는 일련의 수치값으로 설정되며, 확장 비트의 경우 다음 1 바이트가 LI 필드인지 페이로드의 시작점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601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대측 RLC 엔터티(203)로부터 수신된 RLC PDU의 헤더로부터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한 옥텟을 검출하고 상기 옥텟의 값이 일정 범위(즉 0x80)를 넘는지 판단한다. 상기 601 단계에서 수신측 엔터티(213)는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한 옥텟의 값이 0x80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603 단계로 진행하고, 0x80보다 작은 경우 607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3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다음 옥텟에 다른 RLC SDU에 대한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605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기 옥텟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 이하 'MSB'라 한다.)를 마스킹하여 확장 비트를 삭제하고, 609 단계에서 상기 옥텟에 남겨진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을 확인하여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한다.
상기 607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다음 옥텟부터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609 단계에서 상기 옥텟의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한 옥텟의 값이 0x80을 넘는 경우확장 비트를 1로 인식하고,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한 옥텟의 값이 0x80을 넘지 않는 경우확장 비트를 0으로 인식하여 확장 비트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확장 비트가 MSB에 오므로 0과 1의 경우 그 차이가 확실히 구분되기에 가능하다.
도 6에서는 LI 필드를 7비트(bit), 확장 비트를 1비트(bit)로 구성한 일반적인 UMTS의 RLC PDU 구조를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며, 만약 LI 필드의 비트(bit) 수에 따라 확장 비트의 값을 구하기 위한 비교 값(즉 0x80)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종래 여러 개의 LI 필드가 하나의 RLC PDU에 적용될 경우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여러 개의 LI 필드가 하나의 RLC PDU에 적용될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7a는 종래 여러 개의 LI 필드가 하나의 RLC PDU에 전송될 경우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적용하여 여러 개의 LI 필드가 하나의 RLC PDU로 전송될 경우의 RLC PDU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같이 N개의 LI 필드에 대해 도 4에서 설명한 종래 방식을 적용하면,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N번의 시프트와 N번의 비교와 N번의 마스킹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이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아래 도 8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적용하면,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N번의 비교와 N-1번의 마스킹(MSB 삭제를 위해 동작)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송신측 RLC 엔터티(203)에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로 RLC PDU를 생성하여 전송하면,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N이 클수록 종래에 비해 효율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에서 확장 비트의 의미에 대한 해석을 종래와 다르게 적용할 경우에 대해, 아래 <표 1> 및 <표 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표 1>은 확장 비트에 대한 의미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112007027754488-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장 비트가 1이면 다음 필드가 LI 필드임을 나타내며, 0이면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아래 <표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에서 확장 비트의 의미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27754488-PAT00002
상기 <표 2>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에서 확장 비트의 의미를 종래 확장 비트의 의미와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 <표 2>와 같이 확장 비트의 값이 0인 경우 다음 필드가 또 다른 LI 필드임을 나타내므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확장 비트의 삭제를 위한 마스킹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를 수신하여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LC PDU의 구조는, <표 2>의 확장 비트의 의미가 적용된 확장 비트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LC PDU 구조에 적용하여 구성된다.
도 8의 801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대측 RLC 엔터티(203)로부터 수신된 RLC PDU의 헤더로부터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한 옥텟을 검출하고 상기 옥텟의 값이 일정 범위, 즉 0x80을 넘는지 판단한다. 상기 801 단계에서 수신측 엔터티(213)는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한 옥텟의 값이 0x80보다 작은 경우 803 단계로 진행하고, 0x8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80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03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다음 옥텟에 다른 RLC SDU의 LI 필드와 확장 비트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여, 809 단계에서 상기 옥텟에 남겨진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한다.
상기 805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다음 옥텟부터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807 단계에서 수신측 RLC 엔터티(213)는 상기 옥텟의 MSB를 마스킹하여 확장 비트를 삭제하고, 809 단계에서 상기 옥텟에 남겨진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한다.
따라서, 송신측 RLC 엔터티(203)에서 상기 <표 2>와 같은 확장 비트의 의미가 포함된 RLC PDU 구조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LI 필드를 하나의 RLC PDU에 전송하는 경우, 수신측 RLC 엔터티(213)에서 상기 RLC PDU의 헤더에 대해 LI 필드의 개수(N)만큼의 비교와 1번의 마스킹만을 수행하여, 각 확장 비트 및 각 LI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LTE와 같은 차세대 비동기 시스템에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RLC PDU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LTE에서는 LI 필드와 확장 비트가 존재하며, 광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를 사용하는 기존의 비동기 시스템과 달리 LI 필드가 해당 RLC PDU내에서 각 RLC SDU의 길이를 나타내는 값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렇다 해도, LTE에서의 LI 필드 역시 특정 값을 표시하므로, RLC PDU 구조에서 LI 필드와 한 바이트 내에서 함께 구성되어 전송되고 있는 확장 비트의 위치를 LI 필드의 앞으로 위치시키도록 도 5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신측 RLC 엔터티에서 수신된 RLC PDU의 헤더로부터 확장 비트 및 LI 값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비교 및 마스킹 동작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으로 LI 값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3)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PDU의 페이로드에 삽입하여 상기 PDU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를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DU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I 필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상기 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PDU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트 필드는,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1로 설정되는 PDU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트 필드는,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1로 설정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는 PDU 송신 방법.
  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페이로드 내에 포함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가 삽입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LI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가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된 PDU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PDU의 상기 헤더로부터 상기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LI 필드가 포함된 정보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필드 값에 따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필드에 남겨진 상기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PDU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트 필드는,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1로 설정되는 PDU 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최상위 비트를 마스킹하여 상기 확장 비트를 삭제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PDU 수신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트 필드는,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1로 설정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는 PDU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최상위 비트를 마스킹하여 상기 확장 비트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PDU 수신 방법.
  9.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 PDU)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 SDU)을 PDU의 페이로드에 삽입하여 상기 PDU를 구성하고, 상기 PDU의 헤더 내에 상기 각 SDU의 끝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지시자(Length Indicate : LI) 필드를 삽입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상기 LI 필드 이전에 삽입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SDU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LI 필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비트 필드를 포함한 상기 PDU를 송신하는 송신측 엔터티와,
    상기 송신된 PDU를 수신하여, 상기 PDU의 상기 헤더로부터 상기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LI 필드가 포함된 정보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필드 값에 따라 상기 LI 필드 이후에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 필드에 남겨진 상기 LI 필드에 포함된 LI 값에 따라 상기 각 SDU를 분리하는 수신측 엔터티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트 필드는,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1로 설정되는 송수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엔터티는,
    상기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최상위 비트를 마스킹하여 상기 확장 비트를 삭제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확인하는 송수신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비트 필드는,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1로 설정되고,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0으로 설정되는 송수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엔터티는,
    상기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 범위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작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상기 다른 확장 비트 필드와 상기 다른 LI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값이 상기 일정 범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LI 필드 이후에 페이로드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상기 정보 필드의 최상위 비트를 마스킹하여 상기 확장 비트를 삭제하는 송수신 시스템.
KR1020070035582A 2007-04-11 2007-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02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82A KR101023388B1 (ko) 2007-04-11 2007-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CT/KR2008/002053 WO2008127034A1 (en) 2007-04-11 2008-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8205968.3A EP3461032B1 (en) 2007-04-11 2008-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683162A CA2683162C (en) 2007-04-11 2008-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595,432 US9019901B2 (en) 2007-04-11 2008-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009137596/07A RU2442282C2 (ru) 2007-04-11 2008-04-11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пакетного модуля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08741298.7A EP2135365B1 (en) 2007-04-11 2008-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08800117126A CN101657981B (zh) 2007-04-11 2008-04-11 在移动通信系统中用于发送和接收分组数据单元的方法和装置
JP2009554459A JP5054126B2 (ja) 2007-04-11 2008-04-11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ユニット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AU2008240010A AU2008240010B2 (en) 2007-04-11 2008-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4/528,412 US9521582B2 (en) 2007-04-11 2014-10-3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82A KR101023388B1 (ko) 2007-04-11 2007-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18A true KR20080092118A (ko) 2008-10-15
KR101023388B1 KR101023388B1 (ko) 2011-03-18

Family

ID=3986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82A KR101023388B1 (ko) 2007-04-11 2007-04-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019901B2 (ko)
EP (2) EP2135365B1 (ko)
JP (1) JP5054126B2 (ko)
KR (1) KR101023388B1 (ko)
CN (1) CN101657981B (ko)
AU (1) AU2008240010B2 (ko)
CA (1) CA2683162C (ko)
RU (1) RU2442282C2 (ko)
WO (1) WO2008127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7775B2 (en) * 2009-01-14 2014-07-01 Lg Electronics Inc. Efficient MAC header design and communication using same
CN101932004B (zh) * 2009-06-25 2012-07-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链路层的数据发送处理方法及设备
CN103875261B (zh) * 2012-08-23 2018-06-05 高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使用带内信令来指示数据流的结尾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WO2016161648A1 (zh) * 2015-04-10 2016-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的传输方法和基站以及终端
EP3319252A1 (en) * 2016-11-04 2018-05-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multiplexing of control information in transport block
US10104579B1 (en) * 2017-04-13 2018-10-16 Mediatek Inc. User equipment and flexible protocol data unit packag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545B2 (ja) 1996-11-29 2000-01-17 株式会社超高速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技術研究所 輻輳制御方法
FI106504B (fi) * 1998-10-06 2001-02-15 Nokia Networks Oy Datan segmentointimenetelmä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R100447162B1 (ko) 2000-08-1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정보의 길이 지시자(li) 처리방법
US6765885B2 (en) * 2001-02-09 2004-07-20 Asustek Computer Inc. Determination of acceptable sequence number ranges in a communications protocol
US6788944B2 (en) * 2001-04-02 2004-09-07 Asustek Computer Inc. Length indicator for a protocol data uni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US7079542B2 (en) * 2002-07-02 2006-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net protocol address look-up method
KR100926707B1 (ko) 2002-11-05 2009-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방법
KR20050095419A (ko) 2004-03-26 2005-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망을 이용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KR20050118591A (ko) 2004-06-14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링크제어(rlc) 데이터처리방법
KR100913900B1 (ko) 2005-05-0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정의된 길이 지시자를 이용해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0843B1 (ko) 2005-08-23 2010-04-02 노키아 코포레이션 무선 링크 제어 비인지 모드 헤더 최적화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4751784B2 (ja) * 2006-07-31 2011-08-17 富士通株式会社 経路制御装置およびテーブル更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40010B2 (en) 2011-08-25
EP3461032B1 (en) 2020-06-03
US9019901B2 (en) 2015-04-28
CN101657981B (zh) 2013-01-02
WO2008127034A1 (en) 2008-10-23
RU2442282C2 (ru) 2012-02-10
EP3461032A1 (en) 2019-03-27
US20100111016A1 (en) 2010-05-06
US20150049675A1 (en) 2015-02-19
JP2010521918A (ja) 2010-06-24
EP2135365B1 (en) 2018-11-14
RU2009137596A (ru) 2011-04-20
CA2683162C (en) 2014-12-09
JP5054126B2 (ja) 2012-10-24
AU2008240010A1 (en) 2008-10-23
US9521582B2 (en) 2016-12-13
EP2135365A4 (en) 2014-03-19
EP2135365A1 (en) 2009-12-23
CN101657981A (zh) 2010-02-24
KR101023388B1 (ko) 2011-03-18
CA2683162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206B2 (en) Method for processing radio protocol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transmitt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KR100651344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이동통신시스템
KR101635433B1 (ko) 재전송 요청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U20073116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reord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6275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08005468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124494A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performing status report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1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 data un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19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3067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cluded in data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9557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003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 시 데이터 포워딩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0800522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서가 재정렬되지 않은 패킷의 제어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94587A (ko)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수신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