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205A - 고속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 Google Patents

고속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205A
KR20080091205A KR1020087019161A KR20087019161A KR20080091205A KR 20080091205 A KR20080091205 A KR 20080091205A KR 1020087019161 A KR1020087019161 A KR 1020087019161A KR 20087019161 A KR20087019161 A KR 20087019161A KR 20080091205 A KR20080091205 A KR 2008009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terminal
step size
network entity
cond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564B1 (ko
Inventor
김상국
윤영철
슈 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2Aspects of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한다. 이를 통해 고속으로 변하는 채널 조건에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전력 제어를 시행할 수 있다.
Fast power control, cdma2000, 1xEVDO,CDMA, 역방향 링크

Description

고속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Fast power control step-size adapta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들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다수의 사용자들이 통신 매체를 공유하기 위한 여러 접속 기법들이 존재한다. 그러한 접속 기법 중 하나로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가 알려져 있다. CDMA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를 공유하고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CDMA 시스템들을 위한 현재 표준은 통시 산업 협회 및 전자공학 산업 협회(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and Electronics Industry Association;TIA/EIA)에 의해 편찬된 표준규격에 포함되어 있고 IS-95A,IS-95B 및 다른 CDMA 타입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광대역 CDMA를 위한 새로운 표준들은 개발중이며 현 CDMA 표준규격에 비해 현저한 성능 향상을 제공한다. 그 일례로 CDMA2000가 알려져 있다. CDMA2000은 삼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CDMA 기술을 사용하는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CDMA2000 표준규격의 여러성능 향상 기술들이 삼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점진적인 진화를 촉진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1xEVDO로 알려진 CDMA2000의 변종규격이 현존하는 회선 스위치 방식의 네트워크들에의 오버레이(overlay)로서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기위해 개발되고 있다.
CDMA 시스템의 일 기능적 양상은 전력 제어와 관련되어 있다. 전력 제어는 이동국들로부터 각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CDMA 시스템들 내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사용된다. 전력 제어의 일 목적은 특정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는 이동 단말이 섹터에서 수신기에게 대략적으로 동일한 신호 레벨을 제공하는 것을 보증하는 것이다. CDMA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용량은 각 이동 단말의 신호들이 최소로 요구되는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SNR) 또는 신호대 잡음비(Signal-to-Interference;SIR)로 기지국 수신기에 도달하도록 각 이동 단말의 전송 전력 레벨이 제어되면 최대화된다. 수신된 전력 레벨의 목표 값은 상기 링크가 선결정된 성능 목표들을 만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최소 레벨이다.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채널 조건드들이 고속 및 저속 페이딩, 쉐도잉(shadowing), 다수의 사용자들, 외부 인터페이스 및 다른 요인들에 의해 계속적으로 변경된다. 종래 전력 제어 알고리즘들은 기지국에서 최소 SNR 또는 SIR을 유지지하기 위해 역방향 링크상의 전송된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한다. 개루프 및 페루프 전력 제어 모두 역방향 링크상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개루프 제어에서, 이동 단말은 순방향 링크상으로 수신된 신호 세기를 모니터라고 그 측정된 신호 세기에 비례하여 역으로 그 전송 전력을 변동시킨다. 고속 전력 제어는 폐루프 전력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된다. 폐루프 전력 제어에서는,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동 단말로 하여금 그 전송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요구하는 전력 제어 명령들을 상기 이동 단말에게 보낸다.
현재의 표준규격들은 예를 들어 정의된 스텝 크기들에 따라 이동 단말의 전송 전력의 조정을 허락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는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상승 명령, 또는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을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전력 레벨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은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 및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감소 명령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Negative-acknowledgement) NACK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부정 혹인 N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K/NACK 신호는 ARQ를 지원하기 위해 (순방향 패킷 데이터 채널에 응답하기 ACK/NACK) 해당하는 링크 상의 패킷 데이터 채널에 응답하기 위한 것이다. ACK/NACK은 각각 패킷이 성공적 또는 비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를 지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증가 명령;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레벨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고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 및 제 3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고 제 4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락(lock) 또는 비락(no lock) 조건을 포함하는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가 제 1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노락(no lock) 조건을 지시하면 사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가 제 2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락(lock) 조건을 지히사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시스템에서는, 이것은 데이터 레이트 제어(data rate control) 락 지시자로 칭해질 수 잇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 전송들에서 전송되는 서브패킷들을 위한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 각각을 위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 각각을 위한 전력 레벨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의 각각은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증가 명령 또는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 단계는 또한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 중 하나의 제 1 또는 제 2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 전송 확인 ACK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복수의 패킷 전송들과 연관된 전력 레벨 명령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 단계는 또한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마지막 수신된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 전송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수신된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력 레벨 명령이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 전송들에서 전송되는 서브패킷들을 위한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각각을 위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제1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 전송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줄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 전송들에서 전송되는 서브패킷들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각각을 위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제 1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가 전송 확인 ACK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력 레벨 명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시스템 부하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부하 지시자가 선결정된 문턱값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로딩(loading)을 지시할때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여기서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부하가 크면, 전력 제어 스텝 크기 변화는 시스템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부하가 작다면, 전력 제어 스텝 크기 변경은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해서 복수의 스텝 크기들의 각각에 대한 스텝 크기 전이 확률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 확률들에 기반해서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과 관련된 신호 조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에게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 대해 기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기 위한 RF 모듈,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해서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묘사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전력 제어 명령 값들과 관련된 다양한 확인 채널 응답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4는 시스템 부하 지시자들과 관련된 다양한 확인 채널 응답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5는 채널 품질 지시자들과 관련된 다양한 확인 채널 응답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6은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보내진 다양한 전력 제어 명령 및 이동 단말이 응답할 수 있는 가능한 스텝 크기의 테이블을 묘사한다.
도 7은 두 개의 별개 네트워크 엔터티들에 의해 보내진 다양한 전력 제어 명령들 및 이동 단말이 응답하는 가능한 스텝 크기 조절의 테이블을 묘사한다.
도 8은 확률적인 스텝 크기 변화들을 보여주는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이동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부분을 이루는 동반하는 도면들에 대해 살펴본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른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절차적인 변경들뿐만 아니라 구조적, 전기적 변경들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이 도시되어 있다. 가입자는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접속하기 위해 이동 단말 2를 사용한다. 이동 단말2는 휴대폰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 차량에 설치되는 통신 기기 또는 고정 통신 기기일 수 있다.
이동 단말 2로부터의 전자기파는 노드 B(Node B)라고도 알려진 BTS(Base transceiver system) 3에게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BTS는 무선 파들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들 및 장비 같은 무선 기기들을 포함한다. 접속 네트워크 6는 하나 또는 더 많은 BTS들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4를 포함한다. BSC는 BTS 및 MSC(Mobile Switching center) 5 또는 내부 IP 네트워크 17과 메시지들을 교환함에 의해 각 BTS로부터의 무선 전송의 제어 및 관리를 제공한다.
접속 네트워크 6는 회선 교환 핵심망(Circuit switched core network;CSCN) 7 및 패킷 교환 핵심망(Packet switched core network;PSCN) 8과 메시지를 교환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CSCN은 종래의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CSCN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MSC 5는 이동 단말 2에게의 종래의 음성 통신에 대한 스위칭(switching) 및 이동 단말 2로부터의 음성 통신을 위한 스위칭을 제공하고 이러한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MSC는 예를 들어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도시안됨) 또는 통합 서비스 디지털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ISDN)과 같은 다른 공중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6와 연결될 수 있다.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9는 음성 통신을 방문하는 가입자에게 또는 가입자로부터의 음성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독출한다(retrieve).
사용자 식별은 HLR(Home location register) 10에게 할당되고, 가입자 정보(즉, 전자 시리얼 번호(electric serial number)), 이동성 디렉토리(directory) 번호, 프로파일(profile) 정보, 현재 위치 및 인증 주기와 같은 기록 목적 데이터를 유지한다. AC(Authentication center) 11은 이동 단말 2와 관련된 인증 정보를 관리한다. AC는 HLR 10 내에 있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HLR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MSC 5 및 HLR 10 및 AC 1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S-41 규격 인터페이스 18에 보여진다.
PSCN 8의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12는 이동 단말 2로의 및 이동 단말 2로부터의 패킷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라우팅(routing)을 제공한다. PDSN 12는 이동 단말 2로의 링크 계층 세션들을 설정하고 유지하면 종료시키고 하나 이상의 접속 네트워크 6 및 하나 이상의 PSCN 8와의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13 서버는 패킷 데이터 트래픽과 관련된 인터넷 프로코콜 인증, 보안 및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HA(Home agent) 14는 이동 단말 IP 등록의 인증, FA(foreign agent) 15에게의/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리디렉트(redirect)하고 AAA 서버 13으로부터의 사용자들을 위한 예비(provisioning) 정보를 수신한다. HA 14는 또는 PDSN 12로의 안정한 통신을 설립, 유지 및 종료하고 동적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PDSN은 내부 IP 네트워크 17을 통한 AAA 서버 13, HA 14 및 인터넷 16과의 통신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1은 CDMA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1xEVDO를 위한 알려진 표준규격들에 따란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동작은 다른 타입의 무선 및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서도 유사하게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1xEVDO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른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시스템들에 관해서도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xEVDO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 2의 일례는 이후 도면과 연계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BTS 3으로부터 이동 단말 2로의 전송은 순방향 링크 전송이라 불리우고 이동 단말 2로부터 BTS 3에게로의 전송은 역방향 링크 전송이라 불리운다. 일반적으로, 순방향 링크 전송은 시스템 규격들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에서는, 신호들은 파일롯 채널, 제어 채널, 보조(supplemental) 채널 및 전용 채널을 위한 신호를 일반적으로 가지는 복수의 채널들(순방향 링크 채널들)상에서의 프레임의 수신 동안 사실상 수신된다. 보조 채널들은 인터리빙되고(interleaved) 확산된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한다. 전용 채널은 보조 채널들 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신호 정보를 포함한다.
연결이 열리면, 이동 단말 2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트래픽 채널 및 역방향 전력 제어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다수의 연결이 하나의 세션동안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xEV-DO 시스템 내에는 두 개의 연결 상태, 즉 폐쇄 연결(closed connection) 및 개방 연결(open connection)가 있다.
폐쇄 연결은 이동 단말 2에게 어떠한 전용 무선 링크 자원들이 할당되어 있지 않고 이동 단말 2와 접속 네트워크 6 사이의 통신들이 접속 채널 및 제어 채널 사이에서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개방 연결은 이동 단말 2에게 순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전력 제어 채널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이 할당될 수 있고 이동 단말 2와 접속 네트워크 6 사이의 통신이 제어 채널 상으로는 물론 이 할당된 채널들 상에서 실행되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단말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거나 변동시키는 다양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3가지 일반화된 실시예들이 기재될 것이다. 이 실시예들은 점진적인 스텝 크기 변경, 순간의(instantaneous) 스텝 크기 변경을 위한 스텝 크기들의 급격한 변화 및 확률적인 스텝 크기 변화로 칭해진다.
다른 말로 하면, 스텝 크기의 셋(set)은 이동 단말마다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 좋은 채널 조건을 가진 이동 단말을 위해서, 상기 이동 단말에게는 큰 범위를 가지는 스텝 크기들의 큰 셋이 할당될 수 있다. 반대로, 좋은 채널 조건을 가지는 단말에게는, 스텝 크기 범위는 더 작게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조건에 부가해서, 스텝 크기 셋은 이동 단말의 클래스(즉 플래티넘 vs 실버) 또는 네트워 크 위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위치는 고속도로, 거주지 및 상업지역과 같은 다양한 위치들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스텝 크기의 셋은 이동 단말 전력 증폭기 설계에서 더 저렴한 이동 단말을 위한 감소된 요구사항들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100은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는 거슬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터티의 예들은 접속 네트워크 6(도 1)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블록 102는 수신된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해서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문서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네트워크로부터의 순방향 링크상에서 수신된 신호 조건 데이터의 다양한 타입들은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 조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력 레벨 명령 이력(전력 상승/ 전력 하강),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확인(Acknowledgement) 및 부정 확인(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 시스템 부하 지시자(즉, 역방향 활성화 비트(Reverse activity bit;RAB)), ROT(Rise-over-thermal) 및 IOT(Interference-over-thermal),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CQI)(즉, CQI lock 조건, DRC lock 조건(Lock 또는 no Lock), 또는 DRC lock 지시자), 이상의 것들의 조합 및 그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이와 별도로, 신호 조건 데이터는 이동 단말의 최근 전송 전력, 이동 단말의 속력, 수신된 순방향 링크 파일롯 전력의 이력(hystroy), 순방 향 링크 트래픽 채널의 비트오류율의 이력 및 순방향 링크 트래픽 채널의 패킷오류율의 이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요구되면, 이용 가능한 스텝 크기들의 셋이 스텝 크기들의 정의된 번호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외부 루프 스텝 크기 조절로도 일컬어 지는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절이 먼저 기재된다.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성취하기 위한 여러 다른 기법들이 있다. 첫번째로는 순방향 링크 상의 이동 단말 2에 의해 수신된 신호 조건 데이터가 전력 레벨 명령들(도 2의 블록 100)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이 전력 레벨 명령들은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상승 명령 또는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할 것이라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하강 명령을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레벨 명령들을 수신하고 고려할 때, 이동 단말은 전력 레벨 명령들의 선 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즉, 2,3,4 등)가 전력 상승 명령(도 2의 블록 102)을 포함하면 역방향 링크 전력 레벨 스텝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연속적인 번호는 또한 동작길이(runlength)라고도 일컬어 진다.
방금 설명된 실시예의 특정 예제는 이동 단말 2가 세 개의 연속적인 전력 상승 명령들을 수신할 때 발생한다. 그러한 시나리오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에서 증가로 귀결될 수 있다. 반대로, 스텝 크기는 전력 레벨 명령들의 선 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즉, 2,3,4 등)가 전력 하강 명령을 포함하면 감소될 수 있다. 스텝 크기는 상기 전력 레벨 제어 명령들의 동작 길이가 정의된 번호보다 적으면 이와 달리 감소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 이하 (즉, 상승,하강,상승,하강) 연속적인 전력 레벨 제어 명령들이 스텝 크기에서 감소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절은 이와 달이 이동 단말에 의해 순방향 링크상에서 수신된 ACK/NACK 신호에 기반해서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신호 조건 데이터는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접속 네트워크 6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또는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Negative acknowledgement;NACK)와 같은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텝 크기는 첫번째 선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의 NACK들이 수신되면 따라서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두 번째로 선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의 ACK들이 수신되면 스텝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변동은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브패킷 전송들을 추적하거나 식별하는 것이다. 이 예제에서는, 스텝 크기는 상기 전송 제어 정보가 첫번째 서브패킷 전송에 확인 ACK을 포함하면 감소될 수 있다.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절을 제공하는 다른 기술은 전력 레벨 명령 이력(전력 상승/전력 하강) 및 ACK/NACK 신호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텝 크기는 첫번째 선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의 전력 상승 명령들 및 두번째 선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의 NACK들이 수신되면 증가될 수 있다. 반면에, 스텝 크기는 세번째 선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의 전력 하강 명령들 및 네번째 선결정된 연속적인 번호의 ACK들이 수신되면 감소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변동은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브패킷 전송을 추적하거나 또는 식별하는 것이다. 이 일례에서는 그러나, 전송 제어 정보가 첫번째 서 브패킷 전송 내에 ACK을 포함하고 전력 하강 명령이 수신되면 스텝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수신된 ACK의 타이밍(timing) 및 전력 레벨 명령들은 이러한 파라미터들과 일반적으로 연관된 지연들의 관점에서의 고려가 전형적으로 요구됨이 이해된다.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절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도 예를 들면, 역방향 활성화 비트(RAB)와 같은 시스템 부하 지시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텝 크기의 조절(도 2의 블록 102)는 특정한 네트워크 부하 레벨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활성화를 경험하고 있으면, 주의적으로 역방향 링크 전력 레벨들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의 조절은 RAB가 활성화의 문턱값(threshold) 레벌을 지시할 때는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러한 활성화의 문턱값 레벨에 도달하면, 스텝 크기는 스텝 크기 내에서 가장 작은 허용되는 증가를 사용하여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절은 예를 들면, DRC lock과 같은 채널 품질 지시자를 포함하는 신호 조건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 2는 접속 네트워크 6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지시자는 Lock 조건 또는 No Lock 조건 중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Lock 조건은 네트워크 엔터티가 이동 단말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있음을 지시하고, No Lock 조건은 이 접속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을 지시한다.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스텝 크기의 조정은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성취될 수 있다. 첫째로, 데이터 레이트(rate) 제 어 지시자가 첫번째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No Lock 조건을 지시하면 스텝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데이터 레이트 제어 지시자가 두번째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Lock 조건을 지시하면 스텝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점진적인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절을 위한 부가적인 옵션들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이 일례는 전력 레벨 명령 이력(전력 상승/선력 하강), ACK/NACK 신호 및 채널 품질 지시자(즉,DRC lock)같은 신호 조건 데이터를 이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텝 크기는 선결정된 연속적인 전력 상승 명령들, 선결정된 연속적인 개수의 NACK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레이트 제어 지시자가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No Lcok 조건을 지시하면 증가될 수 있다. 스텝 크기는 선결정된 연속적인 개수의 전력 하강 명령들, ACK(첫번째 또는 이후의 서브패킷 후에)을 수신하고 데이터 레이트 제어 지시자가 선결정된 시간 투기동안 LOCK 조건을 지시하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일 반송파로부터 순방향 링크에서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의 문맥(context)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중 반송파 1xEVDO(NxEVDO 또는 Rev.B로도 알려진)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결정된 연속된 개수의 부정 확인 NACK들을 수신하면 스텝 크기가 증가될 수 있는 실시예를 고려하자. 다중 반송파 구현에서, 논리 OR 동작은 하나 이상의 반송파들이 선결정된 연속적인 개수의 NACK들을 경험하면 스텝 크기가 증가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다중 반송파 구현은 여기서 공개 된 신호 조건 데이터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두번째 일반화된 실시예들은 즉시적인(instantanous) 스텝 크기 변화로도 일컬어 지는 스텝 크기 조절의 급격한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도 3에 보여진 표와 연계하여 설명된다. 이 표는 확인 채널(Acknowledgement channel;ACKCH) 상의 첫번째 세 개의 응답들에 대한 가능한 값들(ACK/NACK)을 포함한다. 이 예는 자동 재송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ARQ) 동작을 위해 최대 두 번의 재전송(또는 이와 동일하게 최대 세개의 서브패킷 전송)을 가정한다. 다양한 스텝 크기들은 다양한 ACK/NACK 응답들 및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들(상승/하강)과 관련하여 보여진다. 이러한 응답들 각각은 전형적으로는 복수의 별개의 패킷 전송들 중 하나에서 전송된 서브패킷 내에 포함된다. 전력 제어 명령은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된 패킷 전송에서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수신된다.
이 표가 도시하듯이, 스텝 크기는 두 조건들 중 하나에서 증가될 수 있다(0.5dB에서 1.0DB 또는 1.5dB). 첫째로, 첫번째 또는 두번째 서브패킷 내에서 ACK을 수신하고, 상기 첫번째 또는 두번째 서브패킷 중 하나와 연관된 전력 하강 명령을 수신한 경우이다. 둘째로, 마지막으로 수신한 서브패킷 내에서 NACK을 수신하고 상기 마지막 수신한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력 상승 명령을 수신한 경우이다.
방금 설명한 실시예의 변동이 가능한다. 예를 들면, 정의된 숫자의 전력 제어 명령들(즉, 2, 3 등) 또는 다른 신호 조건 데이터 파라미터들이 수신되면 스텝 크기는 이와 달리 증가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시스템 부하 지시자들(즉, 역방향 활성화 비트(RAB)) 및 채널 품질 지시자(즉, DRC lock)과 같은 대체적인 신호 조건 데이터 파라미터들로 전력 제어 명령들의 상기 상승/하강 파라미터들을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의 예들이 도 4 및 도 5의 표에 나타내져 있다. 특별히, 도 4는 시스템 부하 지시자들(고/저)에 관한 표를 설명하고 도 5는 채널 품질 지시자(LOCK/NO LOCK)에 관한 표를 설명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스텝 크기는 이전에 설명한 방식과 같이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전력 제어 명령들(도 3), 시스템부하 지시자들(도 4) 및 채널 품질 지시자들(도 5)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일 섹터(또는 단일 반송파)로부터 다양한 신호 조건 데이터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이동 단말의 문맥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은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중 섹터(또는 다중 반송파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에도 또한 적용된다. 예를 들면, 전력 제어 명령들(전력 증가/감소)이 사용된 실시예를 고려하자. 멀티 섹터 구현에서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섹터들로부터의 수신된 전력 명령들이 전력 하강 명령이면, 결과적인 셋(도 3)이 전력 감소 명령들이 되도록 논리적 OR 동작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신호 조건 데이터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에 이에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도 2-5와 함께 논의된 다양한 스텝 크기 조절을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순방향 링크 전력 제어의 스텝 크기의 조절은 확인된 도면들과 환해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대체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ACK/NACK 응답들이 역방향 링크 확 인 채널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전력 제어 명령들이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는, 접속 네트워크는 미래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들에게 보내진 전력 제어 명령드의 이력(history)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새로운 전력 출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전 전력 제어 명령들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이 부호화된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는 선결정된 연속된 개수(즉, 2,3,4 등)의 전력 레벨 명령들을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이동 단말은 그 후 연속적으로 수신된 전력 상승 명령들 각각을 따르는 상대적으로 더 큰 전력 상승 스텝 크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스텝 크기들은 네트워크와 협력하거나 또는 홀로 이동 단말에 의해 선결정될 수 있다. 유사한 기수들이 전력 하강의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예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특별히, 도 6은 접속 네트워크에 의해 보내진 다양한 전력 제어 명령들 및 이동 단말이 응답할 수 있는 가능한 스텝 크기 조절들을 설명하는 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로부터의 단지 두 개의 연속적인 전력 레벨 명령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된 전술들은 더 많은 개수의 명령들의 사용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두 개의 별개의 네트워크 엔터티들에 의해 보내진 다양한 전력 제어 명령들 및 이동 단말이 응답할 수 있는 가능한 스텝 크기 조절을 설명하는 표이다. AN1은 하나의 섹터 및 다른 섹터로부터의 명령인 AN2로부터의 명령들을 나타낸다. 이동 단말은 전형적으로는 서빙 네트워크 엔터티의 핸드오프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그러한 시나리오와 만나게 된다. 상기 아이디어는 두 개 이상의 섹터들(또는 AN)이 이동 단말의 액티브 셋(active set) 내에 있는 상황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세번째 일반화된 실시예는 확률적 스텝 크기 변화들과 관련되어 있고 도 8에 도시된 상태도와 결합하여 설명될 수 있다. 우선, Rev. A 1xEVDO에서, 예를 들면, 전력 제어 명령들의 레이트는 600회/초 에서 150회/초로 감소될 수 있다. 부정확한 정보로 인해 야기된 과다한 전력 변경들은 네트워크의 시스템 성능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예상보다 더 높은 RoT(Rise over thermal)의 변동 또는 이동 단말에서의 과도한 전력 소모로부터 유발될 수 있다. 전력 제어 스텝 크기의 결정에 있어서의 이러한 부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해, 가중 정보(weighted information)이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저차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이후 설명될 예제인 확률적 스텝 크기 변경으로서 칭해질 수 있다.
초기 확률은 예를 들어 세션이 협의될 때 MT에 의해 결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갱신된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갱신 확률(p) = 초기 확률 + 신호 조건 데이터의 이동 평균.
신호 조건 데이터가 예를 들면 전력 레벨 명령 이력(전력 상승/전력 하강), 이동 단말에 의해 수신된 ACK/NACK 신호, 시스템 부하 지시자(즉, RAB), 채널 품질 지시자(즉, DRC lock), 이들의 결합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상기하자.
도 8의 상태도를 참조하면, 네 개의 가능한 전력 제어 스텝 크기들 사이의 전이가 다양한 전이 확률들에 기반하여 나타내진다. 여기서, 스텝 크기 변경은 결정적(deterministic)하기보다는 확률적(probabilistic)이다. 도 8의 예제는 전력 제어 명령들에 관해 설명되어 있으나, 유사한 결과들이 신호 조건 데이터의 설명된 타입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스텝 크기들 사이의 전이들은 이웃하는 스텝 크기들에게로만 제한됨이 보여진다. 그러나, 이에 대신하여설명된 스텝 크기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의 전이가 가능한 대체적인 것도 가능하다.
전이 확률들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특별한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게 중요하지 않다. 예제들로서, 전이 확률들을 계산하는 두 개의 가능한 기술들이 이하 설명된다.
제 1 기술에서는, 전이 확률들이 전력 제어 명령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별히, 첫번째 동작은 전력 제어 명령 관찰 윈도우를 설정하고 그 후 이 시간 동안에 발생하는 그 후 전력 제어 명령들을 페어링(pair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 동작은 (상승,하강) 또는 (하강,상승)과 같은 번갈아 나타나는 전력 제어 명령들의 짝(pair)의 개수를 세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동작은 다음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확률(α)를 결정한다.
확률(α) = (번갈아 나타나는 전력 제어 명령들의 짝 개수)/(짝들의 총 개 수)
다음 동작은 네 개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그룹핑하고 그 후 (상승,상승,상승,상승) 또는 (하강,하강,하강,하강) 같은 동일한 전력 제어 명령들의 4 개의 연속적인 발생의 개수를 세는 것을 제공한다.
다른 동작은 다음과 같이 확률을 결정한다.
확률(λ) =( 동일한 전력 제어 명령들의 그룹 개수)/(네 개의 요소들을 가지는 그룹들의 총 개수)
다른 동작은 예를 들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전이 확률 행렬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Figure 112008056081024-PCT00001
α=P0 .5/0. 5 이고 λ=P2 / 2 인 경우이다.
위 동작들은 선결정된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의해 관찰 윈도우를 슬라이딩 시킴에 의해(관측 윈도우의 설정을 제외하고) 반복될 수 있다. 마지막 동작은 이전에 획득된 전이 확률로 이동 평균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이 확귤을 계산하는 두 번째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첫번째 동작은 전력 제어 명령 관측 윈도우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동일한 전력 제어 명령들의 동작 길이가 계산된다. 예를 들어 (상승,하강, 상승)의 동작길이는 일이고, (상승,상승,상승)의 동작 길이는 삼이다.
관측된 동작 길이가 일과 같으면,
α=1 또는 더 적음.
관측된 동작 길이가 관측 윈도우 내의 전력 제어 명령들의 카디낼러티(cardinality)와 동일하면,
α=0 또는 더 큼.
다른 동작은 1을 동작 길이 일로 연결하고 0을 관측 윈도우 내의 전력 제어 명령들의 카디낼러티의 동작 길이로 연결하는 함수로부터 각 동작 길이에 확률들을 할당한다.
상기 함수는 일례로 다음과 같은 선형 함수일 수 있다.
확률 = -(1/2)(동작길이 -1)+1
상기 함수는 또한 일례로 다음과 같은 지수 함수 일수 있다.
확률 = e-(동작길이-1)U(1-동작길이)
여기서 U는 단위 계단 함수이다.
다른 동작은 선결정된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의해 관측 윈도우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확률은 재계산될 수 있고 평균은 이전에 획득된 확률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위 두 개의 예제들에서, 두개 및 네개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그룹핑하고 동작 길이는 3인 것이 가정되었다. 그러나 그룹핑 및 동작 길이는 정확성 및 복잡성 사이의 요구되는 절충을 수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초기 확률은 사용자 등급(즉, 플래티넘, 골드, 실버, 또는 브론즈) 또는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에 기반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다르게 할당될 수 있고(즉, 전용 확률 전력 제어), 사용자들 그룹(즉, 그룹 경향(group-wise)의 확률 전력 제어)에 다르게 할당될 수있고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일하게 할당될 수 있다(공통 확률 전력 제어).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다수의 대안들이 가능한다. 일 옵션은 소프트 또는 소프터 핸드오프 시나리오를 수용하도록 설명된 기술들을 일반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어진 세 방향 핸드 오프(three-way hand off)에서, 이동 단말은 세개의 다른 전력 레벨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된 스텝 크기는 그러므로 세 개의 명령들의 일부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세 개의 전력 하강 명령들을 받는 특정한 경우, 스텝 크기는 가장 큰 절대 값을 가지는 스텝 크기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세 개의 전력 상승 명령들이 수신되면, 서빙 섹터와 연계된 스텝 크기가 사용된다.
일 양상에서, 스텝 크기들의 다른 셋들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셋들은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트래픽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VoIP d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셋의 스텝 크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텝 크기의 더 작은 셋들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면, 다른 스텝들을 위한 더 상세 한 양자화(quantization) 레벨(즉, 0.1dB 또는 더 작은)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스텝 사이즈들의 셋은 또한 다른 기술들을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실제 크기들이 특정될 수 있고(즉, 0.5,1,1.5,2) 또는 예를 들면 0.5dB의 차등의(differential) 스텝 크기와 함께 크기의 최대가 최대 스텝 크기(즉,2)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어떠한 접근 방식도 스텝 크기의 유용한 셋들을 제공한다.
네트워크가 이동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스텝 크기를 아는 것이 필요하면, 이는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텝 크기의 변화는 상위 계층 메시지를 통해 이동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로 보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단말은 단지 서빙 섹터(즉, 비서빙 섹터로부터의 통계들을 무시하고)로부터 관찰된 통계에 기반한 스텝 크기를 결정하도록 강제 될 수 있다. 신호 조건 데이터(즉, 전력 제어 명령들, ACK/ACKS, 등)가 정확히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네트워크는 MT가 스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하는 것과 동일한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이 또한 이 문서에 공개된 어떠한 기술들을 사용하여서 스텝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이 특정한 스텝 크기 제어를 가지는 것에 부가하여, 스텝 크기는 이와 달리 섹터-특이 또는 네트워크-특이일 수 있다.
스텝 크기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접속 네트워크로 하여금 이 계산을 하고 그 후 그 계산된 스텝 크기를 상위 계층 또는 MAC 메시지들을 통해 이동 단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콜 세션(call session)동안, 접속 네트워크는 여기서 공개된 임의의 기술들을 사용하여 스텝 크기를 결정할수 있고 그 후 적절한 메시지 내에 이동 단말에게 그 요구되는 스텝 크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이동 단말 2의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은 처리기(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110, RF 모듈 135, 전력 관리 모듈 105, 안테나 140, 배터리 155, 디스플레이 115, 키패드 120, 메모리 130,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SIM) 카드 125(옵션 사항일 수 있음), 스피커 145 및 마이크로폰 15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패드 120을 누른다든지 마이크로폰 150을 사용하여 음성 활성화함에 의하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전화 번호와 같은 지시 정보를 입력한다. 처리기 110은 전화 번호를 다이얼 하는 것과 같은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동작 데이터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SIM 카드 125 또는 메모리 모듈 130로부터 독출된다. 또한, 처리기는 사용자의 참조 및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115 상의 지시 및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처리기 110은 통신을 시작하고 예를 들면 음성 통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고 RF 모듈 135에게 지시 정보를 보낸다. RF 모듈 135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기 위한 수신기 및 전송기를 포함한다. 안테나 140은 무선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을 활성화 시킨다.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면, RF 모듈은 처리기 110에 의한 처리를 위해 기저대역 주파수로의 신호를 전달하고 변환할 수 잇다. 처리된 신호들은 예를 들면 스피커 145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성 정보로 변형될 수 있다. 처리기는 또한 cdma2000 또는 1xEVDO 시스템들에 관해 이 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처리들을 수행하도록 필요한 프로토콜 및 기능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 및 장점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른 타입들의 장치 및 처리기들에 즉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 당해 기술의 당업자들에게 여러 대체물, 변경 및 변동은 명백하다.

Claims (17)

  1.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상승 명령,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을 개별적으로 포함하는 전력 레벨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은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 및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감소 명령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Negative-acknowledgement) NACK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부정 혹인 N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의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상승 명령;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레벨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고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및
    제 3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고 제 4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락(lock) 조건;또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노락(no lock) 조건을 포함하는 채널 품질 지시자(즉, 데이터 레이트 제어 락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가 제 1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노락(no lock) 조건 을 지시하면 사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및
    상기 채널 품질 지시자가 제 2 선결정된 시간 주기동안 락(lock) 조건을 지히사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 전송들에서 전송되는 서브패킷들을 위한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 각각을 위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의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 각각을 위한 전력 레벨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의 각각은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증가 명령;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 중 하나의 제 1 또는 제 2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 전송 확인 ACK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복수의 패킷 전송들과 연관된 전력 레벨 명령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마지막 수신된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 전송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고 상기 마지막 수신된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력 레벨 명령이 전력 상승 명령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 전송들에서 전송되는 서브패킷들을 위한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각각을 위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제1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 전송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줄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복수의 패킷 전송들에서 전송되는 서브패킷들에 대한 전송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각각을 위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킷 전송들의 제 1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송 제어 정보가가 전송 확인 ACK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패킷과 연관된 전력 레벨 명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시스템 부하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 부하 지시자가 선결정된 문턱값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로딩(loading)을 지시할때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해서 복수의 스텝 크기들의 각각에 대한 스텝 크기 전이 확률들을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전이 확률들에 기반해서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방법.
  11.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관련된 신호 조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및
    상기 이동 단말에게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계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증가 명령,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할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을 개별적으 로 포함하는 전력 레벨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계산 방법은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증가 명령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는 단계;및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계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니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단계는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하고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계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확인 ACK,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이전 전송이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의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증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증가 명령,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전력을 감소하는 것을 지시하는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의 전력 레벨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및
    제 1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증가 명령을 포함하고 제 2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부정 확인 N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및
    제 3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력 레벨 명령들이 전력 감소 명령을 포함하고 제 4 선결정된 연속적인 갯수의 상기 전송 제어 정보 파라미터들이 확인 ACK을 포함하면 상기 스텝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계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는 시스템 부하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부하 지시자가 선결정된 문턱값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상기 네트워크의 로딩(loading)을 지시하면 상기 조정이 오로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계산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해서 복수의 스텝 크기들의 각각을 위한 스텝 크기 전이 확률들을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전이 확귤들에 기반해서 상기 스텝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스텝 크기 계산 방법.
  17.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와 통신하기 위한 RF 모듈;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신호 조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조건 데이터에 기반해서 상기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의 전력 제어 스텝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KR1020087019161A 2006-01-04 2007-01-04 고속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KR100966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635006P 2006-01-04 2006-01-04
US60/756,350 2006-01-04
US78692006P 2006-03-28 2006-03-28
US60/786,920 200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205A true KR20080091205A (ko) 2008-10-09
KR100966564B1 KR100966564B1 (ko) 2010-06-29

Family

ID=3822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161A KR100966564B1 (ko) 2006-01-04 2007-01-04 고속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78658B2 (ko)
EP (1) EP1980034B1 (ko)
JP (1) JP4903813B2 (ko)
KR (1) KR100966564B1 (ko)
CN (1) CN101553997B (ko)
WO (1) WO20070781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8596B2 (en) * 2004-07-29 2010-08-17 Qualcomm Incorporated Airlink sensing watermarking repeater
US8098643B2 (en) 2006-08-24 2012-01-17 Alcatel Lucent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forward link MAC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81623A1 (en) * 2006-09-29 2008-04-03 Motorola, Inc. Priority handoff based on battery charge level
KR100819294B1 (ko) * 2006-12-04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무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65681B2 (en) * 2007-09-12 2012-09-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uter loop transmit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99748B2 (en) * 2008-03-25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ng decision parameter for reacting to resource utilization messages
US8498247B2 (en) 2008-03-25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ly reacting to resource utilization messages including channel gain indication
US8514794B2 (en) * 2009-03-17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Loop power controls for multi-carrie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US8437292B1 (en) * 2009-06-09 2013-05-07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link packet transmission latency based on air-interface loading
US9674800B2 (en) * 2009-06-18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caling for multi-carrier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JP5573053B2 (ja) * 2009-09-04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094920B2 (en) 2010-08-16 2015-07-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es for power control using variable step size
US20130157671A1 (en) * 2011-06-20 2013-06-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a scheduled load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849339B2 (en) * 2011-08-12 2014-09-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a heterogeneous network by selecting among sets of accumulative power step values
US11290896B2 (en) * 2012-11-01 2022-03-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new carrier 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332509B2 (en) * 2013-02-10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contro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140226499A1 (en) * 2013-02-10 2014-08-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contro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N104955142B (zh) * 2014-03-27 2019-01-04 大唐电信科技产业控股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和装置
US20160183238A1 (en) * 2014-12-23 2016-06-23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ing packets
CN105992322B (zh) * 2015-01-30 2019-04-19 大唐电信科技产业控股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16996981A (zh) 2017-09-28 2023-11-03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于传输功率调整的发送功率控制命令
CN111355563B (zh) * 2018-12-24 2023-04-18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US11991641B2 (en) * 2019-09-09 2024-05-21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controlled power control on side-link communications
US11277800B1 (en) * 2020-03-19 2022-03-1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access node uplink power control based on uplink error rat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0156B2 (ja) * 1994-05-12 1999-11-22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該制御方法を用いた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US5896411A (en) * 1997-05-05 1999-04-20 Northern Telecom Limited Enhanc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389296B1 (en) * 1997-10-08 2002-05-1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JP2000349704A (ja) * 1999-06-03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10038528A (ko) * 1999-10-26 2001-05-15 조정남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링크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6587442B1 (en) * 1999-10-28 2003-07-01 Nortel Networks Limited Enhanced power control algorithms for fixed wireless access systems
US6801759B1 (en) * 2000-09-25 2004-10-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72306B2 (en) * 2001-10-05 2006-07-04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outer loop optimization for communication channels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US6754254B2 (en) * 2001-11-09 2004-06-22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transit power during out-of-lock condition
KR100850989B1 (ko) * 2002-01-05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반복 요청(arq)시스템에서응답정보(ack/nack)신호에 대한 전력제어 방법
US7170876B2 (en) * 2002-04-30 2007-01-30 Qualcomm, Inc. Outer-loop scheduling design for communication systems with channel quality feedback mechanisms
JP2004208177A (ja) * 2002-12-26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20050152320A1 (en) * 2004-01-08 2005-07-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the loads of access points by controlling access point transmission power levels
US7496070B2 (en) * 2004-06-30 2009-02-24 Symbol Technologies, Inc. Reconfigureable arrays of wireless access p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73278A1 (en) 2007-07-26
JP4903813B2 (ja) 2012-03-28
US7778658B2 (en) 2010-08-17
EP1980034A2 (en) 2008-10-15
KR100966564B1 (ko) 2010-06-29
WO2007078160A3 (en) 2008-09-25
EP1980034B1 (en) 2018-03-21
EP1980034A4 (en) 2014-09-17
CN101553997A (zh) 2009-10-07
WO2007078160A2 (en) 2007-07-12
CN101553997B (zh) 2012-08-29
JP2009522913A (ja)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564B1 (ko) 고속 전력 제어 스텝 크기 조정
US8014812B2 (e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it power control based on received transmission
US78528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link data transmission rate during handoff
EP13744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21851B2 (ja) 情報通信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する装置
US9629030B2 (en) Data rate control in soft handoff and during cell-switching
AU2002304333A1 (en)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8542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uplink relative path gain related measurements to support uplink resource management
JP2008529452A (ja) チャネル条件に関連するフィードバックに基づいて、送信データレー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JP4838840B2 (ja) E−dchチャネルをスケーリングする方法
RU2380842C2 (ru) Способ,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ая станция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диосвязи, в частности, в рамках услуги hsdpa
RU23481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KR100583584B1 (ko) 고속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전송속도제어 장치 및 방법
CN1914826A (zh) 使用多信道的外环功率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