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652A -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652A
KR20080090652A KR1020070033738A KR20070033738A KR20080090652A KR 20080090652 A KR20080090652 A KR 20080090652A KR 1020070033738 A KR1020070033738 A KR 1020070033738A KR 20070033738 A KR20070033738 A KR 20070033738A KR 20080090652 A KR20080090652 A KR 2008009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rrugated conduit
coupled
corrugat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주)태경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경산전 filed Critical (주)태경산전
Priority to KR102007003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0652A/ko
Publication of KR2008009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는, 케이블을 내장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파상형 전선관과 맨홀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파상형 전선관 연결부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케이블을 내장하여 매설되는 파상형 전선관의 길이 방향 중 한쪽으로 돌출되고, 양 쪽 파상형 전선관들 사이에 설치되는 맨홀의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반대 쪽으로 돌출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상기 연결구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길이 방향 중 한쪽으로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으로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파상형 전선관에 결합된다.
케이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맨홀

Description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CORRUGATED HARD POLYETHYLENE PIPE JOINT AND DEVICE OF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저면도이다.
도8은 제1 연결구의 막음 상태 단면도이다.
도9는 제2 연결구의 막음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120 :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200 : 맨홀
210, 220 : 제1, 제2 맨홀 2 : 케이블
4 : 파상형 전선관 14, 24 : 제1, 제2 파상형 전선관
211 : 돌기 212 : 결합 홈
230 : 뚜껑 240 : 연결구
241, 242 : 제1, 제2 연결구 10, 30 : 제1 부재
20 : 제2 부재 11, 31 : 제1 결합부
12 : 제2 결합부 13 : 플랜지
41, 121, 21 : 제1, 제2, 제3 나선형 주름부 14, 34 : 관통구
131, 213, 215 : 실링홈 132, 214, 216 : 실링
35, 36 : 제11, 제21 부재 135 : 수나사부
136 : 암나사부 217 : 접지 단자대
218 : 접지판 219 : 접지선
51, 52 : 제1, 제2 막음부재 511, 523 : 실링
521, 522 : 제21, 제22 막음부재
본 발명은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지중 매설 케이블을 내장하는 파상형 전선관과 맨홀을 연결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용 광 케이블은 지중에 매설된다.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거리 단위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즉 일정 거리 단위로 조인트 장치가 설치된다.
케이블은 지중 습기의 침투 및 외부 충격의 전달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파상형 전선관에 내장되어 매립된다. 파상형 전선관은 조인트 장치에 연결된다.
조인트 장치는 매립되는 파상형 전선관의 서로 마주하는 양단 사이에 설치되는 맨홀과, 이 맨홀에 연결되고 파상형 전선관에 결합되는 조인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을 내장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파상형 전선관과 맨홀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파상형 전선관 연결부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케이블을 내장하여 매설되는 파상형 전선관의 길이 방향 중 한쪽으로 돌출되고, 양 쪽 파상형 전선관들 사이에 설치되는 맨홀의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반대 쪽으로 돌출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상기 연결구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길이 방향 중 한쪽으로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으로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파상형 전선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상형 전선관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제1 나선형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나선형 주름부와 같은 직경 및 피치를 가지는 제2 나선형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나선형 주름부와 상기 제2 나선형 주름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직경 및 피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나선형 주름부와 상기 제2 나선형 주름부에 결합되는 제3 나선형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맨홀의 측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 작용하는 실링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맨홀 내에서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1 부재, 상기 맨홀 외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1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21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부재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1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는, 케이블을 내장하여 매설되고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 배치되는 제1 파상형 전선관 및 제2 파상형 전선관, 상기 제1 파상형 전선관과 상기 제2 파상형 전선 관 사이에 배치되어 매설되는 맨홀, 상기 맨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구에 제1 결합부로 결합되고,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반대 쪽의 상기 파상형 전선관으로 향하게 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상기 연결구 주위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블을 내장하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1 부재,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맨홀은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맨홀과, 상기 제1 맨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2 맨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맨홀은 상단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맨홀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함 홈을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맨홀의 연결구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 결합부는 수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맨홀 내에서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1 부재, 상기 맨홀 외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1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21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부재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1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맨홀은 접지 단자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맨홀은 외측 저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접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대 및 상기 접지판은 접지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맨홀은 상단에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홈에 결합되 고 상기 제2 맨홀 하단에 의하여 압축되는 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맨홀은 상단에 형성되는 실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홈에 결합되는 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맨홀을 덮는 뚜껑은 상기 실링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파상형 전선관은 경질 폴리에틸렌(hard poly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는 맨홀과 함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를 형성한다. 편의상, 여기서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와 관련된 부분에서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00)와 맨홀(200)를 포함한다.
케이블(2)을 지중에 매설할 때, 파상형 전선관(4)이 사용된다. 즉 케이블(2) 은 파상형 전선관(4)에 삽입 내장되고, 파상형 전선관(4)은 지중에 매설된다. 따라서 케이블(2)은 간접적으로 지중에 매설된다.
파상형 전선관(4)은 케이블(2)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여, 물리적인 외부 환경으로부터 케이블(2)을 보호하고, 장기적으로 케이블(2)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케이블(2)은 분기(分岐), 연결, 및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필요에 따라 파상형 전선관(4)은 일정한 거리 단위로 연결된다. 거리 단위는 케이블(2)의 용도 및 관련 법규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파상형 전선관(4)은 길이 방향을 따라 지중에 매설된다. 따라서 파상형 전선관(4)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을 포함하며,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의 서로 마주하는 끝들 사이에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가 배치된다.
즉, 제1 파상형 전선관(14) 끝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의 끝이 서로 마주하는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 사이에 맨홀(200)이 매설된다. 맨홀(200)의 양쪽에는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이 배치된다.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맨홀(200) 사이 제2 파상형 전선관(24)과 맨홀(200) 사이에 각각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00)가 배치된다.
맨홀(200)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2) 및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을 파헤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2)의 분기, 연결 및 유지 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맨홀(200)은 적어도 1층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는 2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맨홀(200)은 지중에서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맨홀(210)과, 제1 맨홀(2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2 맨홀(220)을 포함한다.
맨홀(200)은 설치되는 케이블(2) 및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의 개수에 따라 적절한 층 수로 형성된다. 또한 맨홀(200)에서 층간 결합은 상하 방향보다는 측방향에 대하여 강한 체결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제1 맨홀(210)은 상단에 돌기(211)를 형성하고, 제2 맨홀(220)은 돌기(211)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 홈(221)을 하단에 형성한다.
돌기(211)와 결합 홈(221)은 직사각 관 형상의 제1 맨홀(210) 및 제2 맨홀(220)에서는 파상형 전선관(4)의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맨홀(210)과 제2 맨홀(220)은 파상형 전선관(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강한 체결력을 가진다.
제1 맨홀(210)과 제2 맨홀(220)의 길이 방향으로 강향 체결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제1 맨홀(210)과 제2 맨홀(220)에서, 파상형 전선관(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측에 돌기와 결합 홈을 형성할 수 있다(미도시).
제1 맨홀(210)과 제2 맨홀(220)에서, 파상형 전선관(4)의 길이 방향 양쪽과 파상형 전선관(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양쪽, 즉 4방향 모두에 돌기와결합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미도시).
제1 맨홀(210)은 상단에 실링홈(213)을 형성하며, 실링홈(213)에는 실링(214)이 삽입된다. 예를 들면, 실링(214)은 고무로 형성되어 제1 맨홀(210)에 제 2 맨홀(220)가 놓일 때, 결합되는 경계에서 방수 작용한다(도6 참조). 또한, 맨홀(200)은 최상단 개구를 덮는 뚜껑(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뚜껑(230)은 제2 맨홀(220)의 개구를 덮고 있다.
제2 맨홀(220)은 상단에 실링홈(215)을 형성하며, 실링홈(215)에는 실링(216)이 삽입된다. 예를 들면, 실링(216)은 고무로 형성되어 제2 맨홀(220)에 뚜껑(230)이 놓일 때, 결합되는 경계에서 방수 작용한다(도6 참조).
맨홀(200)에 케이블(2)이 관통 설치되며, 맨홀(200)은 케이블(2)을 내장하고 있는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을 결합시키는 연결구(240)를 구비한다. 연결구(240)는 맨홀(200)에서 파상형 전선관(4) 길이 방향, 즉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 쪽에 각각 구비된다.
연결구(240)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0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1에는 연결구(240)로서 서로 다른 구조의 제1 연결구(241)와 제2 연결구(242)가 예시되어 있다.
제1 연결구(241)는 제1 맨홀(210)에서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 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2 연결구(242)는 제2 맨홀(220)에서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 쪽에 각각 형성된다.
도1에서,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고, 제2 맨홀(220)의 연결구(240)는 암나사부를 가지지 않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맨홀(200)에 형성되는 연결구(240)의 구조에 따라, 파상형 전선관 조인 트(100)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00)는 도2 및 도3의 제1 실시예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10)와 도4 및 도5의 제2 실시예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조립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10)는 서로 결합되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11), 제2 결합부(12), 플랜지(13) 및 관통구(14)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1)는 파상형 전선관(4)의 길이 방향 중 제1 맨홀(210) 쪽으로 돌출되고, 양 쪽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4)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에 연결된다.
제1 연결구(241)는 암나사부를 형성하므로 제1 결합부(11)는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수나사부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11)의 수나사부는 제1 연결구(241)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케이블(2)을 내장하는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제1 나선형 주름부(41)를 적어도 제2 결합부(12) 쪽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은 전 범위에 걸쳐 나선형 주름부를 가지는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는 제1 결합부(11)의 반대 쪽 즉, 제1 파상형 전선관(14)과 제2 파상형 전선관(24) 쪽으로 돌출된다. 제2 결합부(12)는 제1 나선형 주름부(41)와 같은 직경 및 피치를 가지는 제2 나선형 주름부(121)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결합부(12)는 전 범위에 걸쳐 나선형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13)는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12) 사이에서 연결구(240), 즉 제1 연결구(241) 보다 크게 형성된다. 플랜지(13)는 제1 부재(10)가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에 삽입되는 최대 범위를 한정한다.
플랜지(13)는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 맞은 면에 실링홈(131)을 형성한다. 실링홈(131)에는 실링(132)가 삽입되어, 제1 맨홀(210)의 측면과 플랜지(13) 사이에서 기밀 구조를 형성한다. 실링홈(131) 및 실링(132)은 제1 파상형 전선관(14) 및 제2 파상형 전선관(24) 연결부에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관통구(14)는 제1 결합부(11)와 플랜지(13) 및 제2 결합부(1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관통구(14)를 통하여 케이블(2)이 내장되며, 관통구(14)는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에서 케이블(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부재(2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부재(10)와 파상형 전선관(4)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의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며, 제1 부재(10)의 제2 결합부(12)에서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파상형 전선관(14)에 결합됨으로써 제1 부재(10)와 제1 파상형 전선관(14)을 서로 연결한다.
즉,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의 제2 결합부(13) 일부와 제1 파상형 전선관(14)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2 부재(20)는 제2 결합부(12)의 제2 나선형 주름부(121)와 제1 파상형 전선관(14)의 제1 나선형 주름부(41)의 피치에 대응하는 직경 및 피치를 가지는 제3 나선형 주름부(21)를 포함한다.
제3 나선형 주름부(21)는 제1 부재(10)의 제2 나선형 주름부(121)와 제1 파상형 전선관(14)의 제1 나선형 주름부(41)에 같이 결합된다.
제3 나선형 주름부(21)는 암나사로 형성되고, 제1 부재(10)의 제2 나선형 주름부(121)와 제1 파상형 전선관(14)의 제1 나선형 주름부(41)는 수나사로 형성된다.
제2 부재는 제2 파상형 전선관(24)과 제1 부재(10) 사이에서도 제2 파상형 전선관(24)과 제1 부재(10)를 동일하게 연결한다(미도시).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조립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10)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에 결합되고, 제2 실시예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120)는 암나사부를 가지지 않는 제2 맨홀(220)의 제2 연결구(242)에 결합된다.
제1 부재(30)에서, 제1 결합부(31)는 제11 부재(35)와 제21 부재(3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1 부재(35)는 제2 맨홀(220) 내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제2 연결구(242)에 결합된다. 제21 부재(36)는 제2 맨홀(220) 외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1 부재(35)에 나사 결합된다.
제11 부재(35)는 수나사부(135)를 형성하고, 제21 부재(36)는 수나사부(135)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136)를 포함한다.
관통구(34)는 제1 결합부(31)의 제11 부재(35)와 제21 부재(36)의 내측과 플랜지(13) 및 제2 결합부(1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케이블(2)을 내장 설치한다.
도6은 도1의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7은 도1의 저면도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제1 맨홀(210)은 접지 단자대(217)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맨홀(210)은 외측 저면에 접지판(218)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접지판(218)은 동판으로 형성된다.
접지판들(218)은 제1 맨홀(210)의 4모퉁이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촉되고, 접지선(21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접지판들(219)은 접지선(219)에 의하여 접지 단자대들(217)에 연결된다. 접지선(219)은 제1 맨홀(210)에 내장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2)에서 누전된 전류는 접지 단자대(27), 접지선(219), 및 접지판(218)을 통하여 지중으로 유도된다.
도8은 제1 연결구의 막음 상태 단면도이다. 제1 맨홀(210)의 제1 연결구(241)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막음부재(51)는 제1 연결구(241)에 나사 결합되어 제1 연결구(241)를 막는다. 제1 막음부재(51)는 실링(511)을 더 구비하여 제1 맨홀(210)의 방수 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도9는 제2 연결구의 막음 상태 단면도이다. 제2 맨홀(220)의 제2 연결구(242)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막음부재(52)는 제2 연결구(242) 에 결합되어 제2 연결구(242)를 막는다.
제2 막음부재(52)는 제21 막음부재(521)와 제22 막음부재(522)를 포함한다. 제21 막음부재(521)은 제2 연결구(242)에 삽입되고, 제22 막음부재(522)는 제21 막음부재(522)에 나사 결합되므로, 제2 막음부재(52)는 제2 연결구(242)를 막는다.
또한, 제21 막음부재(521) 및 제22 막음부재(522)는 실링(523)을 구비하여 제2 맨홀(220)의 방수 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및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제1 부재와 파상형 전선관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부재에서, 제1 결합부는 맨홀의 연결구에 결합되고 제2 결합부는 파상형 전선관으로 향하며, 제2 부재는 제2 결합부와 파상형 전선관에 결합된다.
제1 부재의 제1 결합부는 맨홀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제1 부재의 제2 결합부와 제2 부재는 케이블을 내장하여 매설되는 파상형 전선관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플랜지의 실링홈에 결합된 실링은 제1 결합부를 맨홀의 연결구에 결합할 때, 플랜지와 맨홀 사이에서 기밀 구조를 형성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Claims (18)

  1. 서로 결합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케이블을 내장하여 매설되는 파상형 전선관의 길이 방향 중 한쪽으로 돌출되고, 양 쪽 파상형 전선관들 사이에 설치되는 맨홀의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의 반대 쪽으로 돌출되는 제2 결합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상기 연결구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제2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길이 방향 중 한쪽으로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으로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파상형 전선관에 결합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상형 전선관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제1 나선형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나선형 주름부와 같은 직경 및 피치를 가지는 제2 나선형 주름부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나선형 주름부와 상기 제2 나선형 주름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직경 및 피치를 가지고,
    상기 제1 나선형 주름부와 상기 제2 나선형 주름부에 결합되 제3 나선형 주름부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맨홀의 측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 작용하는 실링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맨홀 내에서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1 부재,
    상기 맨홀 외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1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21 부재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부재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1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8. 케이블을 내장하여 매설되고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 배치되는 제1 파상형 전선관 및 제2 파상형 전선관;
    상기 제1 파상형 전선관과 상기 제2 파상형 전선관 사이에 배치되어 매설되는 맨홀;
    상기 맨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결구에 제1 결합부로 결합되고, 제2 결합부를 상기 제1 결합부 반대 쪽의 상기 파상형 전선관으로 향하게 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상기 연결구 주위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블을 내장하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1 부재;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파상형 전선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은,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맨홀과,
    상기 제1 맨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2 맨홀을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맨홀은, 상단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맨홀은, 상기 돌기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 홈을 하단에 형성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맨홀의 연결구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 결합부는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맨홀 내에서 외측으로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는 제11 부재,
    상기 맨홀 외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1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21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부재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1 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맨홀은 접지 단자대를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맨홀은 외측 저면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단자대 및 상기 접지판은 접지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맨홀은 상단에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맨홀 하단에 의하여 압축되는 실링을 포함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맨홀은 상단에 형성되는 실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홈에 결합되는 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맨홀을 덮는 뚜껑은 상기 실링을 압축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18. 제8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상형 전선관은 경질 폴리에틸렌(hard polyethylene)으로 형성되는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장치.
KR1020070033738A 2007-04-05 2007-04-05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KR20080090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738A KR20080090652A (ko) 2007-04-05 2007-04-05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738A KR20080090652A (ko) 2007-04-05 2007-04-05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652A true KR20080090652A (ko) 2008-10-09

Family

ID=4015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738A KR20080090652A (ko) 2007-04-05 2007-04-05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06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65B1 (ko) * 2010-09-29 2012-03-27 한국전력공사 접지일체형 맨홀
KR20210039046A (ko) * 2019-10-01 2021-04-09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배전용 접지극부 전력기기 경량 기초대 및 그 기초대를 이용한 지중 전력 케이블 포설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65B1 (ko) * 2010-09-29 2012-03-27 한국전력공사 접지일체형 맨홀
KR20210039046A (ko) * 2019-10-01 2021-04-09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배전용 접지극부 전력기기 경량 기초대 및 그 기초대를 이용한 지중 전력 케이블 포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581Y1 (ko) 케이블 그랜드
CN103683145A (zh) 一种接线盒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110126634A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블록
JP2013542560A (ja) 電気ケーブルコネクタ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N1161762A (zh) 电连接器的防护盖
KR100884331B1 (ko)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JP2005123195A (ja) 改善されたケーブルシール部を備えたプラグケーシング
JP639871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0674262B1 (ko) 변전소 고압케이블 접속부 누수방지구조
KR20080090652A (ko) 파상형 전선관 조인트 및 그 장치
KR10081832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101222614B1 (ko)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KR101407928B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2101717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 연결장치
KR10175973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JP4609859B2 (ja) 管継手付き波付き管及び管継手付き波付き管ユニット
KR200458461Y1 (ko) 방폭 커넥터
CN105207143B (zh) 一种地下线缆分线盒用连接器
CN102570095A (zh) 一种接线插头
KR20080046465A (ko) 방수플러그
KR100717422B1 (ko) 공동주택 구조물바닥 고압전기관로 누수방지를 위한이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