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920A -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 Google Patents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920A
KR20080089920A KR1020070032694A KR20070032694A KR20080089920A KR 20080089920 A KR20080089920 A KR 20080089920A KR 1020070032694 A KR1020070032694 A KR 1020070032694A KR 20070032694 A KR20070032694 A KR 20070032694A KR 20080089920 A KR20080089920 A KR 2008008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unit
learning
out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아람
박주은
Original Assignee
손아람
박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아람, 박주은 filed Critical 손아람
Priority to KR102007003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920A/en
Publication of KR2008008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9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A foreign language study medium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study efficiency of the foreign language by enabling a user to freely add, delete, and edit study contents, such as sentences and voices. A foreign language study medium stores study contents including photos, images, foreign language sentences, foreign language voices, Korean sentences, and Korean voices. The study contents are selectively outputted according to an index. The study contents are stored in an image data unit, a Korean sentence unit, a Korean voice unit, a foreign language sentence unit, a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unit, a foreign language low speed voice unit, and a foreign language chant type voice unit. The various contents are selected and mixed with each other by a controller and the result is transferred to an indexing unit.

Description

외국어를 자동 암기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학습기 및 학습방법{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Automatic storage order and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도 1 은 종래의 학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learner.

도 2 는 종래의 학습기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ventional learner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도 3 은 종래의 학습기의 학습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earning step of a conventional learner.

도 4 는 본 발명의 학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동 실시예의 학습기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arner of the embodiment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도 6 은 동 실시예의 학습기의 학습콘텐츠의 설정을 나타낸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setting of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er of the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학습기 100 : 학습저장매체 110 : 학습콘텐츠10: learner 100: learning storage medium 110: learning content

111 : 색인부 120 : 데이터부 121 : 영상 데이터부111 index unit 120 data unit 121 image data unit

122 : 한글 문장 데이터부 123 : 한글 음성 데이터부122: Hangul sentence data portion 123: Hangul voice data portion

124 :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 125 :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124: foreign language sentence data section 125: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section

126 :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 127 :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126: Foreign language low-speed voice data section 127: Foreign language chant-type voice data section

128 : 색인부 200 : 마이컴128: index 200: microcomputer

210 : 제어부 220 : 데이터입출력부210: control unit 220: data input / output unit

230 : 번호입력부 240 : 음성출력부230: number input unit 240: voice output unit

250 : 영상출력부250: video output unit

본 발명은 외국어를 자동 암기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학습콘텐츠를 다양한 형태의 출력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데이터부를 색인부로 지정하여 제어부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학습기 및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er for automatically memorizing a foreign language, and more specifically, to designate each data unit as an index unit so that learning contents can be output in various forms of output, optionally mixed by setting a control program of a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torage medium capable of automatically memorizing a foreign language that can be outputted or arranged and a learner and a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영상과 음성의 출력을 통해 외국어를 습득하기 위한 학습기는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비디오테이프(video tape), CD(compact disk), 하드디스크(hard disk), 메모리(memory)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이를 재생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기 즉, 리모컨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학습기(player)를 동작하여 디스플레이/ 오디오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Generally, a learner for acquiring a foreign language through the output of video and audio includes data of video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s / voice, and Korean sentence / audio data such as a video tape, a CD (compact disk), A learner that stores the data on a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or a memory, and then plays back the same, that is, to operate the player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output it through the display / audio device. is average.

하지만, 상기와 같은 학습기는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단순한 순서에 의해 저장되는 것으로 학습자가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이를 재생하게 되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오디오 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출력되어 학습을 하는 것으로 학습교재와 유사한 형태인 단순한 학습방법만을 취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However, the learner such as the image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s / voice data, Korean sentences / audio data is stored in a simple order in the storage medium.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s continuously output through the display / audio device for learning, so that a simple learning method similar to a textbook is taken.

그러므로, 학습자는 집중하지 않으면 학습을 습득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력 및 집중력을 기울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속 출력되는 데이터 중 중요부분에 대해서 반복 학습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구간 반복을 지정해 주어야 함으로 번거롭고 이로 인해 학습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learn without focusing, which causes a lot of time, effort, and concentr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repeatedly learn the important part of the continuous output data, it is cumbersome to specify the interval repetition one by one,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is reduced.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출원 제10-2000-0001667호 (외국어 문장 자동암기 학습방법)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01990호(임의의 외국어 문장 기록장치)를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선출원은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게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된 학습콘텐츠를 다수 구비하되, 입력된 번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학습콘텐츠를 색인부로 지정하여 된 학습저장매체; 상기 다수의 학습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와, 상기 번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데이터입출력부와, 상기 학습콘텐츠의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부/음성출력부와, 상기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의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선출원은 학습자가 별도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반복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도록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가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므로 학습자는 보다 편리하게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각각의 학습콘텐츠가 색인부로 지정되어 있어 리모컨의 번호 입력을 통해 간편하게 학습자가 원하고자하는 학습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is regard, the applicant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01667 (a foreign language sentence automatic memorization learning method)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0001990 (any foreign language sentence recording device).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stored in order to output images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s / voice, and Korean sentences / audio so that the foreign languages can be memorized or enumerated automatically. A learning storage medium in which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are designated as an index unit so as to be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number; A numb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number to outpu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a data input / output unit for outputting data of the lear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number input unit, and image data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a microcomputer comprising a video output unit /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ata and audio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Likewise, the elected applicants can mix or list the data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 / voice, and Korean sentence / voice data in order to automatically memorize a foreign language even if the learner does not separately operate the remote control. Learners can memorize foreign languages more conveniently by providing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printed. It is possible to amplify the learning effect, and each learning content is designated as an index unit, so that the learner can easily learn by selecting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by inputting the number of the remote controller. It becomes possibl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출원 또한, 제작시에 제공되는 단 하나의 제어프로그램인 외국어를 자동 암기하도록 하는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출력 가능한 것으로 상기 학습 프로그램은 1단계에서 6단계까지 출력할 수 있도록 하되, 단계별로 출력방식이 정해진 학습콘텐츠를 출력하는 고정된 형태의 출력방식으로 외국어 문장의 난이도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고자 하는 문장/음성의 반복횟수 및 영상, 문장/음성의 삭제, 추가 등의 학습콘텐츠의 출력방식을 편집하기 어려워 학습자가 원하는 다양한 출력방식의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can also be output only through a learning program for automatically memorizing a foreign language, which is the only control program provided at the time of production. The learning program can be outputted from step 1 to step 6, but step by step. It is a fixed type output method that outputs the learning content with the specified output method. The method of outputting the learning content such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sentences / voices and images, sentences / voices deleted and add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edit the learning program of various output methods desired by the learner, an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learner and thus did not improve the learning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간편하게 학습자가 원하고자하는 학습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 며 상기 학습콘텐츠를 통해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도록 하되, 외국어 문장의 난이도에 따라 상기 학습콘텐츠를 다양한 형태의 출력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학습콘텐츠의 문장/음성의 반복횟수 및 영상, 문장/음성의 삭제, 추가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편집된 학습콘텐츠를 학습자가 원하는 단계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 및 이를 이용한 학습기 및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is to allow the learner to simply select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to learn and to automatically memorize the foreign language through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the learner can edit the repetition frequency and the image, the deletion of the sentence / voice, and the addition of the sentence / voice, so that the learner can output the learning content in various forms. To provide a learning storage medium, a learner and a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to automatically memorize the foreign languag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 satisfying the various needs of the learner by outputting the edited learning content in the desired step by the learner It 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각각 상응되게 영상 데이터부, 한글 문장 데이터부, 한글 음성 데이터부,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 등에 저장하되, 상기 각각의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데이터부를 색인부로 지정하여 제어부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다양한 형태로 학습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ata part, a Korean sentence data part, a Korean voice data part, a foreign language sentence corresponding to an image (Photo / Image), a foreign language sentence / audio, and a Korean sentence / audio data. Data unit,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unit, foreign language low speed voice data unit, foreign language chant type voice data unit, etc., so that the data of each data unit can be selectively mixed or arr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Each data unit is designated as an index unit so that the data can be output in various forms by selectively mixing or arranging data of each data unit through the setting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ler. 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즉, 도 4 에는 본 발명의 학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동 실시예의 학습기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한 예를 나 타낸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동 실시예의 학습기의 학습콘텐츠의 설정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학습저장매체는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게 출력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된 학습콘텐츠(110); 상기 학습콘텐츠(110)를 다수 구비하되, 입력된 번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색인부(111)로 지정하여 된 학습저장매체(100)에 있어서, 상기 학습콘텐츠(110)의 각각의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부(121), 한글 문장 데이터부(122), 한글 음성 데이터부(123),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124),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125),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126),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127)에 각각 상응되게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데이터부(120)는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선택되어 혼합하거나 나열되어 출력할 수 있게 색인부(128)로 지정하여 된 것이다.That is,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arner of the embodiment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FIG.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etting of the learning content of the learner of the embodiment is shown. The learning storage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memorize a foreign language by using images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s / audio, and Korean language sentences / voice data. Learning contents 110 which are stored to be outputted in stages by mixing or arranging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be outputted; In the learning storage medium 100 having a plurality of the learning content 110, and designated by the index unit 111 to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number, each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110 is an image Data unit 121, Hangul sentence data unit 122, Hangul voice data unit 123, Foreign language sentence data unit 124,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unit 125, Foreign language low speed voice data unit 126, Foreign language chant Respectively stored in the expression voice data unit 127, the data unit 12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210 to the index unit 128 to be mixed or listed and outputted. It was designated.

한편, 본 발명의 학습기는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임의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된 학습콘텐츠(110)를 다수 구비하되, 입력된 번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학습콘텐츠(110)를 색인부(111)로 지정하여 된 학습저장매체(100); 상기 다수의 학습콘텐츠(110)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230)와, 상기 번호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110)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데이터입출력부(220)와, 상기 학습콘텐츠(110)의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부(250)/음 성출력부(240)와, 상기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110)의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0)로 구성된 마이컴(200)을; 포함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게 출력하는 학습기(10)에 있어서, 상기 학습저장매체(100)는 영상 데이터부(121), 한글 문장 데이터부(122), 한글 음성 데이터부(123),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124),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125),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126),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127)에 각각의 데이터가 상응되게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데이터부(120)의 데이터를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데이터부(120)를 색인부(128)로 지정하여 된 것이고, 상기 마이컴(200)은 입력 버튼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부(120)의 테이터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 110 that is stored so that the image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s / audio, and Korean sentences / speech data can be randomly mixed or arranged to output step by step However, the learning storage medium 100 by designating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 110 to the index unit 111 to be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number; Number input unit 230 for inputting a number to outpu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 110 and to output the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1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number input unit 230 A data input / output unit 220, an image output unit 250 / audio output unit 240 for outputting the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110 in video and audio, and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A microcomputer 200 including a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data of the content 110 to be output as video and audio; In the learner 10 for automatically memorizing a foreign language, the learning storage medium 100 includes an image data unit 121, a Korean sentence data unit 122, a Korean voice data unit 123, and a foreign language. Respective data is stored in the sentence data unit 124, the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unit 125, the foreign language slow voice data unit 126, and the foreign language chant-type voice data unit 127, respectively. The data unit 120 is designated as the index unit 128 so that the data of 120 may be selectively mixed or arranged and output by setting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o the input button unit through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210 to selectively mix or list the data of each data unit 120 to output.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100" 디스플레이장치, "200" 리모컨이다.Reference numeral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100" display device and "200" remote contro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외국어를 자동 암기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를 이용한 학습기의 학습방법은 리모컨(20)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새로운 학습콘텐츠(110)의 출력방식을 설정하고자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S1) 상기 설정된 제어프로그램를 저장하는 단계;(S2) 리모컨(20)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학습콘텐츠(110)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3) 번호를 입력하여 다수의 학습콘텐츠(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4) 상기 선택된 학습콘텐츠(110)를 출력하되, 선택된 출력방식에 맞도록 학습콘텐츠(110)의 각각의 데 이터부(12)를 색인부(111)(121)를 참조하여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하는 단계;(S5) 상기 해당하는 학습콘텐츠(110)를 제어부(210)에 의해 영상/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method of the learner using the learning storage medium capable of automatically memorizing a foreign language is controlled by the learn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0 to set the output method of the new learning content 110. Setting a control program of the; (S1) storing the set control program; (S2) using a remote controller 20, a learner selecting an output method of the learning content 110; (S3) inputting a numbe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110; (S4) outputting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s 110, but each data unit 12 of the learning contents 110 is adapted to the selected output method. (S5)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110 by the control unit 210 through the video / audio output unit; (S6) Done including Wil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학습장치는 적외선(IrDA)통신 가능하도록 리모컨에 송신부가 구비되고 학습기에 수신부가 구비되어 리모컨의 입력 버튼에 따라 학습기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학습기는 영상 및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장치에 각종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학습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Le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unit in the remote control to enable infrared (IrDA)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r is provided in the learner to control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input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the learner is to It is connected to a display / audio device for outputting through various cables to output various learning contents. Hereinafter, specific operations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 5 의 설정창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모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화면의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창의 출력방식 선택 중 기본형을 선택하게 되면 도 2 와 같이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콘텐츠의 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이후 도 3 과 같이 기본형의 경우는 종래 방식과 같이 1 단계에서 6 단계까지의 학습콘텐츠를 제공받게 되는데, 1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한글문장을 1회 청취하고 이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국어 문장 1회 내지 10회까지 출력하여 문자와 발음 기억훈련을 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setting window of FIG. 5, when the basic type is selected from the output method selection of the setting window through the control program of the screen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the learner inputs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number as shown in FIG. 2. Thereafter, in the case of the basic type, as shown in FIG. 3,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first to sixth levels ar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Up to 10 times to print and memory and pronunciation memory training.

2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1단계보다 빠르게 출력하여 문자와 발음 기억훈련을 하게 하여 순발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The learning content of the second stage will be printed faster than the first stage, so that the letter and pronunciation memory training can be strengthened.

3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한글→공백→임의의 외국어→한글→공백→임의의 외국어 순으로 출력하여 한글 문장이 흘러나오면 두뇌에 그 뜻을 새기고 영문으로 큰 소리로 표현하고 바로 흘러 이어 흘러나오는 임의의 외국어와 함께 다시 한번 임의의 외국어로 표현하면서 자기진단할 수 있게 한다.The three levels of learning contents are printed in the order of Korean → blank → any foreign language → Hangul → blank → any foreign language. When a Korean sentence flows, the meaning is written in the brain, and it is loudly expressed in English. Together with the foreign language, it is possible to express self-diagnosis once again in any foreign language.

4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외국어→짧은공백 1회 또는 임의의 외국어→짧은공백 2회 출력하여, 학습자가 임의의 외국어를 청취함과 동시에 임의의 외국어를 표현하고 다음 대화로 넘어가기 전 임의의 외국어를 표현할 수 있게 한다.Four levels of learning content are printed in foreign language → one short blank space or any foreign language → two short blank spaces so that the learner can listen to the foreign language and express it at the same time. To express.

5단계의 학습콘텐츠는 한글→공백→임의의 외국어→한글→공백→임의의 외국어 순으로 출력하여 학습자가 한글을 들으면 즉시 임의의 외국어로 옮기고 이어 흘러나오는 임의의 외국어를 들으면서 자기진단과 함께 영문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The learning contents of the five levels are printed in the order of Korean → blank → any foreign language → Hangul → blank → any foreign language. When a learner hears Korean, the student immediately transfers them to any foreign language and listens to any foreign language that flows out. To express.

6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한글→공백→한글→공백→순으로 출력하여, 이를 계속적으로 임의의 외국어로 바꾸도록 있게 한다. The learning content of step 6 is output in the order of Korean → blank → Hangeul → blank → in order to continuously change it to any foreign language.

한편, 상기에서 기본형은 학습기를 제작시에 마이컴의 제어부에 제공되어지는 학습 제어프로그램으로 이는 종래방식과 같은 학습콘텐츠의 출력방식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출력방식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ic type is a learning control program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microcomputer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learner, which is not limited to the output method of learning contents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can be modified as many times as possible to output in a predictable output method. Can be.

또한, 도 5 의 설정창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모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화면의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창의 출력방식 선택 중 학습자 설정을 선택하게 되면 도 6 과 같이 1단계에서 n단계까지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콘텐츠의 각각의 데이터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문장/음성의 반복횟수 및 영상, 문장/음성의 삭제, 추가 등의 학습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편집되는 학습콘텐츠를 원하는 단계인 1단계에서 n번째 단계까지 설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출력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데, 1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한글문장-한글음성-외국어문장-외국어음성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문자와 발음 기억훈련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setting window of FIG. 5, when the learner setting is selected from among the output method selection of the setting window through the control program of the screen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the learner desires from step 1 to step n as shown in FIG. 6. It can be set to output each data part of the learning contents, and it is also possible to edit the learning contents such as the repetition frequency of sentences / voices and the deletion of video, sentences / voices, addition, etc. By setting the desired level from 1st step to nth level, it is possible to output in various forms.However, the learning content of 1st step is mixed or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ith Hangul sentence-Hangul voice-Foreign sentence-foreign language voice The learner repeatedly prints out the desired number of times to perform the letter and pronunciation memory training.

2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영상-외국어 문장-외국어 음성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영상을 기억해두었다가 상황에 맞는 외국어 문장을 떠오르게 하는 기억훈련을 하게 된다.The learning content of the 2nd stage is to mix or arrange the video-foreign sentence-foreign language voice at regular intervals and to repeatedly output the desired number of times for the learner to memorize the video and to recall the foreign-language sentenc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3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영상-공백-영상-외국어 음성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학습자가 영상을 보고 상황에 맞는 외국어 문장을 소리내어 말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게 된다.In the 3rd level learning contents, the video-blank-video-foreign language voice is mixed or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earner repeatedly outputs the desired number of times, so that the learner can watch the video and speak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Done.

4 단계의 학습콘텐츠는 한글문장-한글음성-공백-외국어문장-외국어음성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학습자가 한글문장을 보고 외국어를 소리내어 말할 수 있는 훈련을 하게 된다.4 levels of learning content is Hangul sentence-Hangul voice-Blank-Foreign sentence-Foreign language voice mixed or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printed repeatedly as many times as the student wants, so that the learner can see the Hangul sentence and speak the foreign language aloud. You will be training.

이와 같이 계속적으로 1단계에서 n단계까지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정창의 각종 데이터부를 선택하거나 반복횟수를 선택하여 제어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학습콘텐츠의 각각의 데이터부가 색인부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방식 즉, 다양한 출력방식으로 학습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rogram can be set continuously by using the remote control from step 1 to step n by selecting various data parts of the setting window or by selecting the number of repetitions. Since each data part of the learning content is designated as the index part, the control program is set. According to the learner desired learning method, that is,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learning content in a variety of output methods.

또한, 외국어 문장의 난이도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foreign language sentence, learners can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learner wants to obtain a learning effect.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콘텐츠의 각각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부, 한글 문장 데이터부, 한글 음성 데이터부,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 등에 각각 상응되게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데이터부를 색인부로 지정하여 학습자가 제어프로그램의 편집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출력방식으로 학습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가 간편하게 원하고자하는 학습콘텐츠를 선택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통해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음은 물론, 외국어 문장의 난이도에 따라 학습자가 원하고자 하는 문장/음성의 반복횟수 및 영상, 문장/음성의 삭제, 추가 등의 학습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편집된 학습콘텐츠를 원하는 단계인 1단계에서 n번째 단계까지 설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출력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어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학습효과를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 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f each of the learning contents is converted into an image data part, a Korean sentence data part, a Korean voice data part, a foreign language sentence data part, a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part, a foreign language low speed voice data part, and a foreign language chant type voice. Each data section is designated as an index section so that the data section can be stored correspondingly, and the data can be selectively mixed or arr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le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learning conten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learning content and automatically memorize the foreign language through the video and audio output. What students want to learn based on their difficulty You can not only edit the learning contents such as the repetition number of chapters / voices, videos, sentences / voices, and add them, but also set various types of outputs by setting the learners' edited learning contents from step 1 to n It can be output in such a way that it can meet various needs of learners and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ect.

Claims (3)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게 출력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된 학습콘텐츠(110); 상기 학습콘텐츠(110)를 다수 구비하되, 입력된 번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색인부(111)로 지정하여 된 학습저장매체(100)에 있어서,It is a learning that is saved to output the image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 / audio, and Korean sentence / audio so that the foreign language can be automatically memorized. Content 110; In the learning storage medium 100 having a plurality of the learning content 110, and designated by the index unit 111 to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number, 상기 학습콘텐츠(110)의 각각의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부(121), 한글 문장 데이터부(122), 한글 음성 데이터부(123),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124),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125),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126),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127)에 각각 상응되게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데이터부(120)는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선택되어 혼합하거나 나열되어 출력할 수 있게 색인부(128)로 지정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Each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110 includes an image data unit 121, a Hangul sentence data unit 122, a Hangul voice data unit 123, a foreign language sentence data unit 124, and a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unit 125. , The foreign language low speed voice data unit 126 and the foreign language chant type voice data unit 127 are respectively stored, and each data unit 120 is selected and mix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ler 210. Learning storage medium to enable automatic memorization of a foreign langu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ignated by the index unit 128 to be listed and output. 영상(Photo/Image)과, 외국어 문장/음성과, 국어 문장/음성의 데이터를 임의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 된 학습콘텐츠(110)를 다수 구비하되, 입력된 번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학습콘텐츠(110)를 색인부(111)로 지정하여 된 학습저장매체(100);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110, which are stored to be output step by step by randomly mixing or arranging images (Photo / Image), foreign language sentences / audio and Korean sentences / audio, and according to the input number. A learning storage medium (100) designated by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110) as the index unit (111) to be selectively outputted; 상기 다수의 학습콘텐츠(110)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부(230)와, 상기 번호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110)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데이터입출력부(220)와, 상기 학습콘텐츠(110)의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출력부(250)/음성출력부(240)와, 상기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학습콘텐츠(110)의 데이터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0)로 구성된 마이컴(200)을; 포함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할 수 있게 출력하는 학습기(10)에 있어서,Number input unit 230 for inputting a number to outpu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 110 and to output the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1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nput through the number input unit 230 A data input / output unit 220, an image output unit 250 / audio output unit 240 for outputting the data of the learning content 110 in video and audio, and th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A microcomputer 200 configured as a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the data of the 110 to be output as video and audio; In the learner 10 for automatically memorizing the foreign language to be included, 상기 학습저장매체(100)는 영상 데이터부(121), 한글 문장 데이터부(122), 한글 음성 데이터부(123), 외국어 문장 데이터부(124), 외국어 표준 음성 데이터부(125), 외국어 저속 음성 데이터부(126), 외국어 챈트식 음성 데이터부(127)에 각각의 데이터가 상응되게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데이터부(120)의 데이터를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데이터부(120)를 색인부(128)로 지정하여 된 것이고,The learning storage medium 100 includes an image data unit 121, a Korean sentence data unit 122, a Korean voice data unit 123, a foreign language sentence data unit 124, a foreign language standard voice data unit 125, and a foreign language low speed. The respective data is stored in the voice data unit 126 and the foreign language chant type voice data unit 127 correspondingly, and the data of each data unit 120 is selectively set by setting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210. Each data portion 120 is designated as the index portion 128 to be mixed or listed and outputted. 상기 마이컴(200)은 입력 버튼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부(120)의 테이터를 선택적으로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를 이용한 학습기.The microcomputer 2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ix or list the data of each data unit 120 through a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o the input button unit to output the mixed information. Learner using a learning storage medium to automatically memorize foreign languages. 리모컨(20)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새로운 학습콘텐츠(110)의 출력방식을 설정하고자 제어부(210)의 제어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단계;(S1)Setting a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ler 210 to set the output method of the new learning content 110 by the learn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0; (S1) 상기 설정된 제어프로그램를 저장하는 단계;(S2)Storing the set control program; (S2) 리모컨(20)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학습콘텐츠(110)의 출력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3)Learner using the remote control 20 to select the output method of the learning content 110; (S3) 번호를 입력하여 다수의 학습콘텐츠(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4)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110 by inputting a number; (S4) 상기 선택된 학습콘텐츠(110)를 출력하되, 선택된 출력방식에 맞도록 학습콘텐츠(110)의 각각의 데이터부(12)를 색인부(111)(121)를 참조하여 혼합하거나 나열하여 출력하는 단계;(S5)Outputting the selected learning content 110, and mixing or arranging each data part 12 of the learning content 110 with reference to the index parts 111 and 121 so as to match the selected output method; (S5) 상기 해당하는 학습콘텐츠(110)를 제어부(210)에 의해 영상/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를 자동 암기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저장매체를 이용한 학습기의 학습방법.Outputting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110 through the image / audio output unit by the controller 210; (S6) of the learner using a learning storage medium to enable automatic memorization of a foreign langu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arning method.
KR1020070032694A 2007-04-03 2007-04-03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KR200800899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94A KR20080089920A (en) 2007-04-03 2007-04-03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94A KR20080089920A (en) 2007-04-03 2007-04-03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920A true KR20080089920A (en) 2008-10-08

Family

ID=4015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94A KR20080089920A (en) 2007-04-03 2007-04-03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92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673B1 (en) * 2012-12-20 2013-09-04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Note method of study for smart device with flashcard
WO2016028008A1 (en) * 2014-08-21 2016-02-25 최병기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partial control of audio-visual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673B1 (en) * 2012-12-20 2013-09-04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Note method of study for smart device with flashcard
WO2016028008A1 (en) * 2014-08-21 2016-02-25 최병기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partial control of audio-visual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bro et al. From spelling pronunciation to lexical access: A second step in word decoding?
KR100900085B1 (en) Language learning control method
McCollin et al. Increasing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KR100900081B1 (en) Language learning control method
CN109389873B (en) Computer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system
JP2018180299A (en) Word learning training system
US20180158361A1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Nash Attending to the Sounds of Stories: The Affordances of Audiobooks in the English Classroom
KR100476760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the english sentence with particular key word
KR20080089920A (en) Automatic in order to memorize an outside national language, the studying store medium and will reach and the learning machine which it uses and studying method
KR101309105B1 (en) English learning device using a multi media image
JP7093099B2 (en) Audio playback device and music playback program
KR20030049791A (en) Device and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s using sentence hearing and memorization and Storage media
US20220036759A1 (e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reading system
JP6628357B2 (en) Kanji guidance system
KR200471528Y1 (en) English Learning Material
Sullivan Phonics for Pupil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Book 7: Multisyllable Magic: Revising the Main Sounds and Working on 2, 3 and 4 Syllable Words
Lewis 16. Using graphic novels and comics with ELT learners
KR101116837B1 (en) Broadcasting system for school
Alimin Developing a Mobile Apps as Media for Learning Vocabulary
Alexander et al. Parents as partners in their children's Chinese immersion education: Making decisions and providing support
JP2005242107A (en) Learning system
JP2016218229A (en)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terminal device
JP695382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program
KR101512553B1 (en) Ecucational teaching book for foreign language ex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