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907A -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 Google Patents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907A
KR20080089907A KR1020070032664A KR20070032664A KR20080089907A KR 20080089907 A KR20080089907 A KR 20080089907A KR 1020070032664 A KR1020070032664 A KR 1020070032664A KR 20070032664 A KR20070032664 A KR 20070032664A KR 20080089907 A KR20080089907 A KR 20080089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output
signal
signals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25030B1 (en
Inventor
신범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3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030B1/en
Publication of KR2008008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3Control signal output circuits, e.g. status or busy flags, feedback comman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A signal selecting circuit and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reduce loading of an output stage even though a signal is selected among a number of signals. A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parts(411,412,413) select an output enable signal proper for CAS latency among a number of output enable signals with different timing. A second selection part(430) selects an output proper for CAS latency among outputs of the first selection parts. A latch part(420) latches more than one of the outputs of the first selection parts and outputs them to the second selection part.

Description

신호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Signal selec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sam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DDR2)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utput enable signal in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DR2.

도 2는 도 1에서 생성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OE0,1,2...) 중 메모리장치에서 사용할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선택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for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for use in a memory device among the output enable signals OE0, 1, 2.

도 3에는 DDR3, GDDR3, GDDR4와 같은 고속의 메모리장치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부분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3 is a circuit diagram of a portion for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in a high speed memory device such as DDR3, GDDR3, and GDDR4.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 래치부(420)를 다르게 구성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the latch unit 420 is configured differently in FIG. 4.

도 6은 도 4의 제1선택부(411)의 일실시예 구성도.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selector 411 of FIG. 4.

도 7은 도 4의 제2선택부(430)의 일실시예 구성도.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selector 430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11, 412, 413, 414: 제1선택부 420: 래치부411, 412, 413, 414: first selection part 420: latch part

430: 제2선택부430: second selection unit

본 발명은 신호 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여러 개의 신호를 멀티플렉싱(multuplexing) 하여 출력할 때 출력단의 로딩(loading)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selection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solve a problem in that loading of an output stage increases when multiple signals are output by multiplexing.

신호 선택회로는 각종 집적회로에서 여러 개의 신호를 멀티플렉싱 하는데 사용되어지며 그 응용분야는 다양하지만, 이하에서는 반도체 메모리장치(DRAM)에서 응용되는 예에 대해 살펴본다.The signal selection circuit is used to multiplex multiple signals in various integrated circuits and its application fields are various. Hereinafter, examples of applications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RAM) will be described.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카스 레이턴시(CL: Cas Latency)에 맞춰서 데이터(data)를 출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카스 레이턴시(CL)의 정보를 가지는 리드(Read) 명령이 필요한데, 출력 인에이블 신호(OE: Output Enable)가 바로 그 신호이다.As is well know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s data in accordance with Cas Latency (CL). To do this, a read command having information of the cascade latency CL is required, and an output enable signal (OE) is such a signal.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DDR2)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for generating an output enable signal in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DR2.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리드 명령을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등으로 쉬프트 하면서 발생된다. 메모리장치에서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인 OE0, OE1, OE2, OE3...등을 생성하고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여기서의 카스 레이턴시(CL)란 메모리장치의 리드 명령이후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CL=3은 리드 명령 이후 3*tck 있다가 데이터가 출력됨을 의미한다.The output enable signal is generated by shifting the read command to a shift register or the like. The memory device generates output enable signals OE0, OE1, OE2, OE3, etc., and selects and uses an output enabl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The CAS latency CL here means a time taken for data to be output after a read command of the memory device, and CL = 3 means that data is output after 3 * tck after the read command.

메모리장치의 리드(Read) 명령은 클럭(clock) 도메인(domain)에서 입력된다. 그러나 데이터 리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클럭은 메모리장치 내부의 DLL(지연 고정 루프: Delay Locked Loop)에서 출력되는 DLL클럭(RCLKDLL)이다. 따라서 클럭 도메인에 있는 리드 명령을 DLL클럭(RCLKDLL) 도메인으로 넘겨줘야 하는데, 이 과정을 도메인 크로싱(domain crossing)이라 한다. 도 1에서는 OE0 신호로부터 OE1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이 여기에 해당한다. 즉, 클럭 도메인에 있던 OE0 신호가 DLL클럭(RCLKDLL) 도메인으로 넘어오면서 OE1이 된다.The read command of the memory device is input in a clock domain. However, when the data is read, the clock that outputs the data is the DLL clock RCLKDLL output from the DLL (Delay Locked Loop) in the memory device. Therefore, the read command in the clock domain must be passed to the DLL clock (RCLKDLL) domain. This process is called domain crossing. In FIG. 1,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OE1 signal from the OE0 signal corresponds to this. That is, the OE0 signal in the clock domain is transferred to the DLL clock (RCLKDLL) domain to become OE1.

이렇게 OE1신호가 생성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or)를 사용하여 OE1신호를 한 클럭씩 쉬프트 시켜 나간다. 이렇게 생성되는 OE1, OE2, OE3...신호들이 바로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이 된다.When the OE1 signal is generated in this way, as shown in the figure, the OE1 signal is shifted by one clock using a shift register composed of D flip flops. The generated OE1, OE2, OE3 ... signals are the output enable signals.

도 2는 도 1에서 생성된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OE0,1,2...) 중 메모리장치에서 사용할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선택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for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to be used in a memory device among the output enable signals OE0, 1, 2...,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멀티플렉서(200)(Multiplexer)를 이용해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서 메모리장치에 사용할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한다. 도면의 우측에는 멀티플렉서(200)의 상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메모리장치의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인에이블 되는 신호인 CL<2>, CL<3>, Cl<4>...의 신호에 따라 출력 인에이블 신호(OE0,1,2,3...)를 선택하기 위한 패스게이트들(PG21, PG22, PG23, PG24, PG25, PG26)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simple multiplexer 200 (multiplexer) is used to select an output enable signal for use in th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A detailed view of the multiplexer 200 is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signals of CL <2>, CL <3>, Cl <4>, which are signals that are enabled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of the memory device. As shown in FIG. 2, pass gates PG21, PG22, PG23, PG24, PG25, and PG26 for selecting the output enable signals OE0, 1, 2, 3.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카스 레이턴시가 3이어서 CL<3>이 인에이블 되면 OE1이 선택되고, 카스 레이턴시가 6이어서 CL<6>이 인에이블 되면 OE4가 인에이블 된다. 즉,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서 1:1로 대응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가 선택되어 출력단(OUTEN)으로 출력된다.Explaining the operation, OE1 is selected when the cas latency is 3 and CL <3> is enabled, and OE4 is enabled when CL <6> is enabled because the cas latency is 6. That is, the output enable signal OE corresponding to 1: 1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is selected and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UTEN.

도면에는 6개의 신호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신호를 선택할 경우 출력단의 로딩(loading)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도면과 같은 경우 6개의 패스게이트의 접합 캐패시터(junction cap)에 의한 로딩이 출력단에 몰려있기 때문이다.In the drawing, a case in which one signal of six signals is selected and outputted is illustrated. However, when a signal is select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the loading of the output stage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loading by the junction cap of six passgates is concentrated at the output stage as shown in the drawing.

메모리장치는 보다 높은 주파수(high frequency)에서 동작하도록 점점 발전하고 있는데, DDR3, GDDR3, GDDR4 등과 같은 고속의 메모리장치로 갈수록 출력단의 로딩은 더욱 부담이 된다. 그 이유는 고속의 메모리장치로 갈수록 메모리장치의 카스 레이턴시 값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Memory devices are evolving to operate at higher frequencies, and the loading of output stages becomes more burdensome toward high speed memory devices such as DDR3, GDDR3, and GDDR4.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ascade latency value of the memory device tends to increase gradually toward the high speed memory device.

도 3에는 DDR3, GDDR3, GDDR4와 같은 고속의 메모리장치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부분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portion for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in a high speed memory device such as DDR3, GDDR3, and GDDR4.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의 메모리장치로 갈수록 더욱 많은 수의 출력인에이블 신호들(OE3, OE4, OE5...)을 생성하고 이 중에 메모리장치에서 사용할 출 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출력단의 로딩이 더욱 많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the figure, generating a larger number of output enable signals (OE3, OE4, OE5 ...) toward the high speed memory device, and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for use in the memory device. As you can see, this means that the loading of the output stage will increase even more.

이와 같이, 종래와 같은 스킴(scheme)의 신호 선택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선택해야 하는 신호의 수가 많아질수록 출력단의 로딩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단의 로딩(loading) 증가는 신호 선택회로를 사용하는 디바이스(device)의 동작 속도를 저하 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signal selection circuit, the loading of the output stage increases as the number of signals to be selected increa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ncrease in loading of the output stage decreases an operation speed of a device using a signal selection circui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여러 신호들 중에서 신호를 선택하더라도 출력단의 로딩이 크지 않은 신호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signal selection circuit and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in which the output of the output terminal is not large even if a signal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igna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다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 중에서 카스 레이턴시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1선택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에서 카스 레이턴시에 맞는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부를 포함한다.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for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from a plurality of output enable signals having different timings reed mace; And a second selector for selecting an output suitable for a cas latency from among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또한,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래치하여 상기 제2선택부로 출력하기 위한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atch unit configured to latch one or more outputs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to output the second selection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선택회로는, 서로 다른 다수의 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해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제1선택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하는 제2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 중 하나에서만 상기 신호의 선택이 이뤄지며, 상기 제2선택부는 선택이 이루어진 상기 제1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해 자신의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gnal selec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signal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signals; And a second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and output the selected signal, wherein the signal is selected only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and the second selector is configured to select the first signal. The output of the selection unit is selected and output to its output terminal.

또한, 상기 신호 선택회로는,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래치하여 상기 제2선택부로 출력하기 위한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ignal selection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 latch unit for latching one or more outputs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to output the second selection uni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부분,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로 따지면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신호 선택회로를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which selects an output enable signal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portion that plays the same role as the portion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other words, the signal selection circuit newl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다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OE2~13) 중에서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1선택부들(411, 412, 413); 및 복수의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출력들(OE_L, OE_M, OE_H) 중에서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부(4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enable signals for selecting the output enable signal suitable for the cascade latency CL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enable signals OE2 to 13 having different timings. First selection portions 411, 412, 413; And a second selector 430 for selecting an output matching the cas latency CL from among the outputs OE_L, OE_M, and OE_H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411, 412, and 413.

또한, 도면과 같이 복수의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출력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래치하여 제2선택부(430)로 출력하기 위한 래치부(42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latch unit 420 may be further included to latch and output one or more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411, 412, 413 to the second selection unit 430. It may be.

복수의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은 1차적으로 신호를 선택하는 부분이다. 각각의 제1선택부 마다 서로 다른 신호를 입력받는데,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신호 선택회로가 OE2~13까지의 12개의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제1선택부 하나마다 4개씩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른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을 하게 된다. OE2~13 중 카스 레이턴시에 맞는 신호는 실제로 하나 뿐이 없을 것이므로 실질적인 선택은 복수의 제1선택부 중에서 하나에서만 이루어진다. 다른 제1선택부에서는 그 어떤 신호도 자신의 출력부로 출력하지 않는다.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411, 412, and 413 primarily select a signal. Different signals are input to each first selector. For example, if a signal selection circuit needs to select one of 12 signals from OE2 to 13 as shown in the figure, four signals are selected for each first selector. Receive a signal.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is selected and output. Actually,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is selected since only on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s latency may be actually used among the OE2 to 13. The other first selector does not output any signal to its output.

예를 들어, 카스 레이턴시(CL)가 9인 경우 선택되어야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OE6에 해당한다. 이 경우 CL<9>가 인에이블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제1선택부 412의 출력단으로는 OE6가 출력될 것이다. 그러나 제1선택부 411, 413에서는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For example, if the cas latency CL is 9, the output enable signal that should be selected corresponds to OE6. In this case, CL <9> will be enabled, and accordingly, OE6 will be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elector 412. However, no selection is made in the first selection units 411 and 413.

이러한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은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selectors 411, 412, and 413 may be configured as a multiplex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제2선택부(430)는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출력들(OE_L, OE_M, OE_H, 래치부의 출력에 해당하지만 결과적으로 제1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가 출력되는 것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단(OUTEN)으로 출력한다. 제2선택부(430)에서는 선택이 이루어졌던 제1선택부(411, 412, 413)의 출력을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카스 레이턴시가 9인 경우 제1선택부 412에서만 선택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제2선택부는 제1선택부 412의 출력인 OE_M을 선택하게 된다.The second selector 430 corresponds to the outputs OE_L, OE_M, OE_H, and latch of the first selectors 411, 412, and 413, but as a result, a signal selected by the first selector is output. Select one and output it to the output terminal (OUTEN). The second selector 430 selects an output of the first selector 411, 412, 413 that has been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cas latency is 9, selection is made only in the first selector 412. In this case, the second selector selects OE_M, which is an output of the first selector 412.

이렇게 여러 가지의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1선택부(411, 412, 413)와 제2선택부(430)로 단계를 나누어 신호를 선택하게 되면, 출력단(OUTEN) 측의 신호 선택부는 제2선택부(430)가 된다. 그리고 제2선택부(430)에서는 실질적으로 3개의 신호중 하나에 대해서만 선택을 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단(OUTEN)의 로딩(loading)이 신호 12개를 선택하기 위한 회로의 로딩에서 신호 3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의 로딩으로, 즉 1/4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various signal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gnal is selected by dividing the steps into the first selector 411, 412, 413 and the second selector 430, the output terminal OUTEN side. Signal selector becomes the second selector 430. The second selector 430 selects only one of the three signals. Therefore, the loading of the output terminal OUTEN is reduced from the loading of the circuit for selecting 12 signals to the loading of the signal for selecting three signals, that is, 1/4.

즉, 많은 수의 신호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 해야 할 때 본 발명에서는 단계를 나누어 멀티플렉싱을 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출력단(OUTEN)의 로딩을 줄인다.That is, when multiplexing a large number of signals,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loading of the output terminal OUTEN by using a method of multiplexing by dividing the steps.

제2선택부(430)도 제1선택부(411, 412, 413)와 마찬가지로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선택을 위한 디코딩(Decoding) 회로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Like the first selectors 411, 412, and 413, the second selector 430 may include a multiplexer. However, the second selector 430 may further include a decoding circuit for selec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래치부(420)는 제1선택부들(411, 412, 413)과 제2선택부(430) 사이에 구비되며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출력을 래치하여 제2선택부(430)로 출력한다. 래치부가 구비되는 이유는 신호의 마진(margin)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latch unit 42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lection units 411, 412, 413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430, and latches the output of the first selection units 411, 412, 413 to the second selection unit ( 430). The reason why the latch unit is provided is to secure a margin of the signal.

상세하게 래치부(420)는 메모리장치의 DLL클럭으로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선택을 래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출력은 1*tck만큼 딜레이 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제1선택부들(411, 412, 413)에서 선택되는 OE 신호들은 본래 선택되어야 할 OE신호들보다 한 클럭 빠른 OE신호이어야 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이미 래치부(420)가 구비되고 선택되는 OE신호들도 본래 선택되어야 할 OE신호들보다 한 클럭 빠른 신호가 선택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In detail, the latch unit 420 latches and outputs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ion units 411, 412, and 413 as a DLL clock of the memory device. In this case, since the output of the first selectors 411, 412, 413 is delayed by 1 * tck, the OE signals selected by the first selectors 411, 412, 413 are originally selected. The OE signal must be one clock faster. For reference, FIG.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latch unit 420 is already provided and a OE signal selected is one clock faster than an OE signal to be originally selected.

래치부(420)는 타이밍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서 추가로 구비되는 것으로 타이밍 마진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 생략되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은 메모리장치가 고속(high frequency)으로 동작할 때는 타이밍 마진이 넉넉하지 않아서 래치부(420)를 구비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저속(low frequency)으로 동작할 때는 고속일때 보다 마진이 넉넉하므로 래치부(4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래치부(420)는 제1선택부들(411, 412, 413) 중 일부의 제1선택부의 출력만 래치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The latch unit 4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secure the timing margin, and may be omitted if the timing margin is not important. For example, when the memory device shown in the figure is operated at high frequency, the timing margin is not sufficient, so it is ideal to include the latch portion 420, but when operating at low frequency, the margin is higher than at high speed. Since it is generous, the latch unit 420 may not be provided. Accordingly, the latch unit 420 may be configured to latch only the output of some of the first selection units 411, 412, and 4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이러한 래치부(4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L클럭(RCLKDLL)을 입력받아 제1선택부들(411, 412, 413)의 출력을 래치해 제2선택부(430)로 출력하는 D플립플롭들(421, 422, 423)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atch unit 420 receives the DLL clock RCLKDLL and latches the output of the first selection units 411, 412, and 413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second selection unit 4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lops (421, 422, 423).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선택회로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적용되어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신호 선택회로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신호 중에 신호를 선택할 필요가 있는 즉 멀티플렉싱이 필요한 모든 회로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signal sel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used to select an output enable signal. However, the signal selection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but also to any circuit that needs to select a signal among various signals, that is, multiplexing.

본 발명을 신호 선택회로의 관점에서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선택회로는, 서로 다른 다수의 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해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제1선택부들; 및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하는 제2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 중 하나에서만 상기 신호의 선택이 이뤄지며, 상기 제2선택부는 선택이 이루어진 상기 제1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해 자신의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back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ignal selection circuit, the signal sel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signal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signals; And a second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and output the selected signal, wherein the signal is selected only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and the second selector is configured to select the first signal. The output of the selection unit is selected and output to its output terminal.

물론, 신호의 타이밍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래치부가 추가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 4에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신호만 다른 신호들로 대체되기만 하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신호 선택회로에서는 OE신호들이 아닌 다른 여러 가지의 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Of course, the latch unit may be additionally implemented to secure a timing margin of the signal, and the sam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as long as only the signal related to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replaced with other signals. For example, in a general signal selection circuit, one signal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signals other than the OE signals.

도 5는 도 4에서 래치부(420)를 다르게 구성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the latch unit 420 is configured differently in FIG. 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상 래치부(420)와 함께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타이밍 마진의 확보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하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제1선택부 412, 413의 출력만을 래치부(420)가 래치하여 제2 선택부(430)로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lways to be implemented with the latch portion 420, and may be omitted if the timing margin is not important. In FIG. 5, only the outputs of the first selectors 412 and 413 are latched by the latch unit 420 and output to the second selector 430.

제1선택부 411은 낮은 카스 레이턴시(CL3~6) 시에 출력 인에이블 신호(OE3~6)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낮은 카스 레이턴시를 사용한다는 것은 낮은 속도(low frequency)에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마진에 더욱 여유가 있으므로 래치부(420)를 통하지 않고 바로 제2선택부(430)로 자신이 선택한 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selector 411 is for selecting the output enable signals OE3 to 6 at a low cascade latency (CL3-6). In general, the use of a low cascade latency means that it operates at a low frequency. In this case, since there is a margin in the margin, the signal selected by the user is directly output to the second selection unit 43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latch unit 420.

도 6은 도 4의 제1선택부(411)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selector 411 of FIG. 4.

도 6에는 제1선택부 411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나머지 제1선택부 412, 413도 입력되는 신호만 달라질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first selector 411. The remaining first selectors 412 and 413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except that only the input signal is chang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택부 411은 일반적인 멀티플렉서(Multiplexer)와 같이 복수 개의 패스게이트(PG1, PG2, PG3, PG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각각의 CL<5>, CL<6>, CL<7>, CL<8> 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이에 해당하는 OE2, OE3, OE4, OE5 신호가 제1선택부 411의 출력단으로 출력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selector 4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ssgates PG1, PG2, PG3, and PG4 like a general multiplexer.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signals CL <5>, CL <6>, CL <7>, and CL <8> are enabled, the corresponding OE2, OE3, OE4, and OE5 signals are first selected.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도 7은 도 4의 제2선택부(43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selector 430 of FIG. 4.

제2선택부(430)는 일반적인 멀티플렉서와 같이 복수 개의 패스게이트(PG5, PG6, PG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디코딩(decoding) 회로가 추가되는데 이러한 디코딩 회로는 도면과 같이 복수의 오아(or) 게이트들(701, 702, 703)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lector 4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ss gates PG5, PG6, and PG7 like a general multiplexer. However, a decod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m is added, which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R gates 701, 702, and 703 as shown in the figure.

패스게이트(PG5, PG6, PG7)는 오아게이트(701, 702, 703)에 입력되는 신호 (CL<5:8>, CL<9:12>, CL<13:16>)중 하나라도 인에이블 되면 턴온 된다. 예를 들어 오아게이트 701로 CL<5:8>의 신호 중 하나라도 인에이블 되면 패스게이트 PG5는 턴온 된다. 또한, 나머지 패스게이트들(PG6, PG7)도 PG5와 동일하게 동작한다.The passgates PG5, PG6, and PG7 enable any one of the signals CL <5: 8>, CL <9:12>, and CL <13:16> input to the oragates 701, 702, and 703. It turns on. For example, if any of the signals of CL <5: 8> is enabled with oragate 701, passgate PG5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remaining passgates PG6 and PG7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PG5.

패스게이트들(PG5, PG6, PG7)은 오아게이트(701, 702, 703)에 입력되는 신호들(CL<5:8>, CL<9:12>, CL<13:16>) 중 하나만 인에이블 되면 턴온되기 때문에,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선택부(230)는 선택이 이루어졌던 제1선택부(411, 412, 413)의 출력을 선택하게 된다.The passgates PG5, PG6, and PG7 may have only one of the signals CL <5: 8>, CL <9:12>, and CL <13:16> input to the oragates 701, 702, and 703. When enabled, since it is turned 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econd selector 230 selects the outputs of the first selectors 411, 412, and 413 that have been sel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여러 개의 신호를 선택함에 있어서 단계를 나누어 멀티플렉싱 동작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출력단의 로딩(loading)을 종래보다 크게 줄여 적용되는 디바이스(device)의 동작 속도 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sel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perform a multiplexing operation by dividing the steps in selecting a plurality of signals, thereby reducing the loading of the output stag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speed of the device to be reduced.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선택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다수개의 신호를 멀티플렉싱(Multiplexing) 하는데 있어서, 종래보다 출력단의 로딩(loading)을 크게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device)의 동작 속도 저하를 막는다는 효과가 있다.The signal selection circuit and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an advantage in that loading of an output stage can be greatly reduced than in the prior art in multiplexing a plurality of signal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speed of the device is prevented from falling.

또한, 래치부와 함께 실시될 경우 신호의 타이밍 마진(margin)도 확보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iming margin of the signal is also secured when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latch unit.

Claims (20)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는 다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 중에서 카스 레이턴시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1선택부들; 및A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for selecting an output enable signal suitable for cas latency among a plurality of output enable signals having different timings; And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에서 카스 레이턴시에 맞는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부A second selector for selecting an output suitable for a cas latency from among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도체 메모리장치는,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래치하여 상기 제2선택부로 출력하기 위한 래치부A latch unit for latching one or more outputs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to output the second selection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은,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각각의 제1선택부 별로 입력되는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the output enable signals inputted to respective first selecto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선택부들은,The first selection unit, 상기 제1선택부들 중 하나만 카스 레이턴시에 따른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And one of the first selectors selects the output enable signal according to a cas latenc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선택부는,The second selection unit, 상기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 상기 선택이 이루어졌던 제1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selecting an output of the first selector from which the selection is made among the outputs of the first selector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래치부의 래치는 한 클럭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latching the latch unit for one clock.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선택부들 중 자신의 출력이 상기 래치부를 통해 상기 제2선택부로 입력되는 제1선택부들은,Among the first selectors, first selectors whose outputs are input to the second selector through the latch unit,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을 입력받을 때 본래 선택되어야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보다 한 클럭 빠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들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receiving output enable signals one clock faster than the output enable signals that should be originally selected when the output enable signals are inpu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래치부는,The latch unit, 상기 제1출력부들의 출력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클럭에 응답해 래치하는 하나 이상의 D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at least one D flip-flop for latching at least one of the outputs of the first outputs in response to a clock.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클럭은,The clock is, 메모리장치 내의 DLL에서 출력되는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a clock output from a DLL in the memor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선택부는,The first selection unit, 메모리장치가 해당 카스 레이턴시로 동작할 때 인에이블 되는 카스 레이턴시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A multiplexer that selects the output enable signal in response to the cas latency signals that are enabled when a memory device operates in a corresponding cas latenc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선택부는 메모리장치가 해당 카스 레이턴시로 동작할 때 인에이블 되는 카스 레이턴시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며,The first selector includes a multiplexer that selects the output enable signal in response to cas latency signals that are enabled when a memory device operates at a corresponding cas latency. 상기 제2선택부는 상기 카스 레이턴시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이 이루어졌던 제1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the second selector comprises a multiplexer configured to select an output of the first selector from which the selection is made in response to the cascade latency signals.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2선택부는,The second selection unit, 상기 카스 레이턴시 신호들을 다수 개씩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자신의 멀티플렉서가 선택을 하게 하는 복수의 오아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a plurality of oragates which receive and decode a plurality of cas latency signals so that a multiplexer selects th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The output enable signal,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리드 동작시 카스 레이턴시에 맞게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And a signal for outputting data in accordance with cas latency during a read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서로 다른 다수의 신호들 중에서 하나의 신호를 선택해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제1선택부들; 및A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sig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signals; And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하는 제2선택부를 포함하며,A second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nd output one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ors;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 중 하나에서만 상기 신호의 선택이 이뤄지며, 상기 제2선택부는 선택이 이루어진 상기 제1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해 자신의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신호 선택회로.The signal selection circuit selects the signal only in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selects an output of the selected first selection unit and outputs the output to its output terminal.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신호 선택회로는,The signal selection circuit,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의 출력들 중 하나 이상의 출력을 래치하여 상기 제2선택부로 출력하기 위한 래치부A latch unit for latching one or more outputs of 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to output the second selection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회로.Signal selection circuit further comprises.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래치부의 래치는 신호의 타이밍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회로.The latch of the latch unit is for securing a timing margin of the signal.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복수의 제1선택부들은,The plurality of first selection units, 각각의 제1선택부 별로 입력되는 상기 다수의 신호들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회로.And a plurality of signals inputted to each first selector are different.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선택부는,The first selection unit, 선택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A multiplexer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s in response to selection signal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회로.Signal selection circuit comprising a. 제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2선택부는,The second selection unit, 상기 선택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이 이루어진 제1선택부의 출력을 선택해 출력하는 멀티플렉서A multiplexer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of the first selection unit in which the selection is made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회로.Signal selection circuit comprising a.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2선택부는,The second selection unit, 상기 제2선택부의 선택을 하기 위해 상기 선택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복수의 노아게이트A plurality of non-gates for decoding the selection signals to select the second selecti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선택회로.Signal selection circuit comprising a.
KR1020070032664A 2007-04-03 2007-04-03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KR100925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64A KR100925030B1 (en) 2007-04-03 2007-04-03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64A KR100925030B1 (en) 2007-04-03 2007-04-03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907A true KR20080089907A (en) 2008-10-08
KR100925030B1 KR100925030B1 (en) 2009-11-03

Family

ID=4015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64A KR100925030B1 (en) 2007-04-03 2007-04-03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0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67B1 (en) * 2008-11-06 2010-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hereof control method
US8411514B2 (en) 2010-03-31 2013-04-02 SK Hynix Inc. Multi-chip package including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data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645B1 (en) * 2002-10-17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Output driver capable of controlling slew rate of output signal according to operating frequency information or CAS latency information
KR100543930B1 (en) * 2003-10-31 2006-01-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write recovery about cas latenc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67B1 (en) * 2008-11-06 2010-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iconductor memory device and thereof control method
US8411514B2 (en) 2010-03-31 2013-04-02 SK Hynix Inc. Multi-chip package including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data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030B1 (en)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605B1 (en) Apparatus of reduced power consumption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353441B2 (en) Flip flop circuit and apparatus using a flip flop circuit
US7668022B2 (en) Integrated circuit for clock generation for memory devices
KR100540487B1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JP4824274B2 (en)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control signal of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7166623A (en) Delay cell and delay line circuits having same
CN111435602A (en) Signal generating circuit synchronized with clock signal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8295100B2 (en) Pipe latch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356132B1 (en) Programmable delay cell
JP2007052910A (en) Wave pipelined output circuit of synchronous memory device
KR100498473B1 (en)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data transmission circuit having the same
US76529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80285371A1 (en) Wide window clock scheme for loading output fifo registers
US71780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synchronization based on plural clock signals
KR100925030B1 (en) Singnal Sel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reof
JP2002182777A (en) Clock switching circuit
US7447108B2 (en) Output controller for controlling data output of a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953998B2 (en)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28556B1 (en) Circuit for Outputting Data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101096267B1 (en) Multi chip pakage comprsing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data ouput control method of multi chip pakage
US8189400B2 (en) Data alignmen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100656444B1 (en) Circuit for outputting data i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JP2008123604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090338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7508271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having phase locked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