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781A -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 Google Patents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781A
KR20080089781A KR1020070032359A KR20070032359A KR20080089781A KR 20080089781 A KR20080089781 A KR 20080089781A KR 1020070032359 A KR1020070032359 A KR 1020070032359A KR 20070032359 A KR20070032359 A KR 20070032359A KR 20080089781 A KR20080089781 A KR 20080089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rotrusion
push
lower member
out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숭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781A/ko
Publication of KR2008008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부재(1)와 상부 부재(2) 및 가이드 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부재(2)는 내부분(2c)과 외부분(2b)을 구비하며, 그 외부분(2b)은 상기 가이드 부재(3)를 매개로 상기 하부 부재(1)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부 부재(1)와 인접하거나 하부 부재(1)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내부분(2c) 표면에는 구멍(2c')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1) 또는 내부분(2c) 내에는 돌기(1a)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분(2b)이 하부 부재(1)에 인접할 때, 상기 돌기(1a)가 구멍(2c')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부분(2b)이 하부 부재(1)로부터 이격할 때, 상기 돌기(1a)가 구멍(2c') 내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가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콘센트, 멀티탭, 단자.

Description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PUSH-UP RECEPTACLE AND MULTITAP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 및 멀티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 및 멀티탭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 및 멀티탭에 플러그가 삽입되거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상부 부재의 외부분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상부 부재의 외부분을 축 회전시키고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 하부 부재, 1a: 돌기,
2: 상부 부재, 2a: 돌출부,
3: 가이드 부재.
본 발명은 전자기기 등의 플러그를 삽입해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플러그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푸쉬업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푸쉬업 콘센트를 복수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집안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전선을 매개로 벽면에 구비된 콘센트에 삽입해서 사용하는 멀티탭 형태의 콘센트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콘센트에 있어서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이탈시키는 일은 용이하지 않다. 즉, 통상적으로 플러그는 콘센트의 단자 삽입 구멍에 단단히 삽입되기 때문에, 콘센트 또는 콘센트가 설치된 벽면을 한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를 잡아당겨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이탈시켜야만 플러그가 용이하게 이탈되며, 만일 플러그 몸체 또는 몸체에 연결된 전선만 잡아당겨서 이탈시킬 경우는 플러그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거나, 플러그 내의 전선이 단선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플러그가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된 푸쉬업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푸쉬업 콘센트를 복수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하부 부재와 상부 부재 및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부재는 내부분과 외부분을 구비하며, 그 외부분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매개로 상기 하부 부재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부 부재와 인접하거나 하부 부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내부분 표면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 또는 내부분 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분이 하부 부재에 인접할 때, 상기 돌기가 구멍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부분이 하부 부재로부터 이격할 때, 상기 돌기가 구멍 내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내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분이 가이드 부재를 중심으로 축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푸쉬업 콘센트를 복수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멀티탭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 및 멀티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 및 멀티탭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 및 멀티탭에 플러그가 삽입되거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3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를 복수개 결합하여 멀티탭 형태를 구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10)는 하부 부재(1)와 상부 부재(2) 및 가이드 부재(3)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부재(1) 내에는 도시 생략된 단자 또는 전선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은 상기 가이드 부재(3)를 매개로 상기 하부 부재(1)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부 부재(1)와 인접하거나 하부 부재(1)로부터 이격되며(도 1 및 도 3 참조), 가이드 부재(3)를 매개로 화살표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하부 부재(1)의 내부 또는 상부 부재(2)의 내부에는 대략 중앙 부분에는 돌기(1a)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돌기(1a)는 중앙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는 대략 원 형상 또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돌기(1a)를 에워싸면서 상기 하부 부재(1)에 부착된다. 필요에 따라서, 이러한 원형 또는 원통 형상 이외에 다각형 또는 내부가 중공인 다각형 기둥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반듯이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돌기(1a)를 중심 으로 한 축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2부분 또는 다수 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재(2)는 상기 원형의 가이드 부재(3)와 접촉하는 동시에 이 가이드를 중심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부 부재(2)는, 상기 가이드 부재(3)의 외측 부분에서 접촉하여 둘러싸면서 위치되며,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2a)를 구비하는 외부분(2b)과, 가이드 부재(3)의 내측에 위치한 그 내부분(2c)을 구비한다.
여기서, 만곡된 가이드 부재(3)와 접하는 외부분(2b)도 가이드 부재(3)의 곡률에 따라 만곡되므로, 가이드 부재와 용이하게 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의 돌출부(2a)를 하부 부재(1) 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이 가이드 부재(3)를 따라 이동하여 하부 부재(1)와 접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의 이동에 연동해서, 하부 부재(1)에 구비된 돌기(1a)가 상방향으로 돌출하게 된다. 즉, 상기 내부분(2c)에는 상기 돌기(1a)가 관통하는 구멍(2c')과 플러그(20)의 전기 단자(21)가 삽입되는 구멍(2c")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1a)는 상기 구멍(2c')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부재(2)의 내부분(2c)은 외부분(1b)의 운동에 연동하지 않 는 부분으로, 하부 부재(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하부 부재(1)의 내부와 상기 부재(2)의 내부분(2c)이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있어서는 플러그(20)가 콘센트(10)에 삽입된 상태와 콘센트(1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플러그(20)가 콘센트(10)에 삽입될 때는 상기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1)는 중간에 가이드 부재(3)를 매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가 플러그(20)를 상기 내부분(2c)의 구멍에 끼우면, 상기 상부 부재(2)와 하부 부재(1)는 중간에 가이드 부재(3)를 매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가이드 부재(3)가 상부 부재(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의 최좌측 및 도 1의 최우측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20)는 콘센트(10)로부터 이탈한다.
예를 들면, 플러그(20)가 상기 내부분(2c)의 구멍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외부분(2b)의 돌출부(2a)를 누르면, 일례로서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2a)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돌출부(2a)를 누르면, 상기 상부 부재의 외부분(2b) 및 돌출부(2a)가 하방향, 즉 하부 부재(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는 가이드 부재가 보이지 않게 되고, 가이드 부재가 상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부재(2)의 하방향으로의 이동과 연동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내부분의 구멍으로부터 돌출하게 되어 플러그(20)를 누르게 된다.
도 4는 상기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을 누름에 따라 외부분(2b)이 하부 부재(1)를 향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을 상기 돌기(1a) 축에 대해서, 예를 들면 90° 회전한 후, 돌출부(2a)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돌출부(2a)의 이점을 설명하면, 상기 하부 부재(1)와 상부 부재(2) 및 가이드 부재(3)로 이루어지는 콘센트를 멀티탭 형태로 다수개 구비하는 경우, 연속적인 상부 부재의 측단면(S)으로부터 소정 각도 돌출부(2a)를 회전시켜 돌출시킴에 따라, 인접한 콘센트 또는 플러그의 코드 선 등의 간섭 없이 돌출부(2a)를 누르기 용이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20)의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부재(1) 및 상부 부재(2)의 형상을 설명하면, 상부와 하부 부재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즉, 상부 부재는 돌출부(2a)와 만곡된 측면(2d)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서 하부 부재 역시 상기 돌출부(2a)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1b)와 상기 만곡된 측면(2d)에 대응하는 형상의 만곡된 측면(1d)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부재(2)가 축 회전할 때, 상부 부재(2)의 돌출부(2a)는 하부 부재(1)의 돌출부(1b)로부터 소정 각도 축 회전하여 이격되는 한편, 축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돌출부(1b, 2a)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도 2 참조).
또한, 서로 접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3)와 외부분(2b)의 표면에는 가이드 수단, 예를 들면 나선의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수단이 양 표면에 형성되며, 외부분(2b)이 가이드 부재(3) 상에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는데, 그 한 예로서, 사용자가 외부분(2b)을 누름에 따라, 외부분(2b)이 나선의 가이드 수단을 운동함에 따라, 하강하면서 축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부재(2)의 돌출부(2a)를 누름에 따라서, 돌기(1a)가 상부 부재의 내부분(2c)의 구멍(2c')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은, 통상의 탄성수단, 예를 들면 판스프링 또는 용수철이나 운동 방향 전환 수단, 예를 들면 축 또는 축 회전 하는 로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에 삽입된 플러그가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부 부재(1)와 상부 부재(2) 및 가이드 부재(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부재(2)는 내부분(2c)과 외부분(2b)을 구비하며, 그 외부분(2b)은 상기 가이드 부재(3)를 매개로 상기 하부 부재(1) 상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하부 부재(1)와 인접하거나 하부 부재(1)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내부분(2c) 표면에는 구멍(2c')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1) 또는 내부분(2c) 내에는 돌기(1a)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분(2b)이 하부 부재(1)에 인접할 때, 상기 돌기(1a)가 구멍(2c')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외부분(2b)이 하부 부재(1)로부터 이격할 때, 상기 돌기(1a)가 구멍(2c') 내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2)의 외부분(2b)은 상기 가이드 부재(3)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하부 부재(2, 1)는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상기 상부 부재(2)는 돌출부(2a)와 만곡된 측면(2d)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부재(1)는 상기 돌출부(2a)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1b)와 상기 측면(2d)에 대응하는 형상의 만곡된 측면(1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분(2b)은 가이드 부재(3)를 중심으로 축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접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3)와 외부분(2b)의 표면에는 각각 나선의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1)와 상기 내부분(2c)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1) 또는 내부분(2c) 내에는 전기 소자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업 콘센트.
  8. 제1항 내지 제7항에 따른 푸쉬업 콘센트를 복수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KR1020070032359A 2007-04-02 2007-04-02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KR20080089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359A KR20080089781A (ko) 2007-04-02 2007-04-02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359A KR20080089781A (ko) 2007-04-02 2007-04-02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781A true KR20080089781A (ko) 2008-10-08

Family

ID=4015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359A KR20080089781A (ko) 2007-04-02 2007-04-02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7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472B1 (ko) * 2012-09-27 2013-07-26 강승한 멀티탭
KR101450442B1 (ko) * 2012-04-05 2014-10-14 김진만 절전형 전기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42B1 (ko) * 2012-04-05 2014-10-14 김진만 절전형 전기 콘센트
KR101288472B1 (ko) * 2012-09-27 2013-07-26 강승한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276B1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structure
KR101336335B1 (ko)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101403889B1 (ko) 전원어댑터플러그
EP2385588A1 (en) Safe electrical outlet
WO2012063528A1 (ja) コネクタ及びスイッチ
US9728879B2 (en) Sealed connector
AU2010244965B2 (en) Socket switch
WO2010138235A4 (en) Wir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306746B2 (ja) 分離が容易な電源プラグ及び電源プラグアダプター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CN104584336A (zh) 容易分离插头的插座单元以及利用该插座单元的多功能插座装置
KR101123986B1 (ko) 회전식 멀티탭
KR20080089781A (ko) 푸쉬업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KR101445273B1 (ko) 원터치형 콘센트
US8475202B1 (en) Detection terminal with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both facing a side wall of a tongue of a housing
CN104319516A (zh) 隐形磁力插头装置和磁力插座装置
CN209378309U (zh) 颈部按摩装置
WO2016088869A1 (ja) コネクタ
CN102074389A (zh) 多级调节开关
EP2951890A1 (en) Connector assembly
EP3255738B1 (en) Smart plug socket device
KR200468109Y1 (ko)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US8926374B2 (en) Electronic connection unit and socket thereof
KR101261630B1 (ko) 단자접속 장치
KR101925207B1 (ko) 원터치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