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699A -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 Google Patents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699A
KR20080089699A KR1020070032192A KR20070032192A KR20080089699A KR 20080089699 A KR20080089699 A KR 20080089699A KR 1020070032192 A KR1020070032192 A KR 1020070032192A KR 20070032192 A KR20070032192 A KR 20070032192A KR 20080089699 A KR20080089699 A KR 20080089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mart display
thin film
charging
displa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이상억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에스 filed Critical (주)아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07003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699A/ko
Publication of KR2008008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 G06K19/0770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the visual interface being a display, e.g. LCD or electronic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 모듈에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시키고,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패드 또는 충전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카드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있어서, 각 종 부품이 탑재되고, 상기 각 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카드모듈과, 상기 카드모듈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 패드가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인쇄층 밖으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드, 충전

Description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smart display card having recharg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의 외부 모습과 내부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구비되는 충전 패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으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부 20 : RFID
30 : 연성인쇄회로기판 40 : MCU
50 : IC 컨택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스위치 100 : 카드 모듈
200 : 플라스틱 바디 210 : 바디홀
300 : 인쇄층 310 : 인쇄층홀
400 : 충전패드 450 : 충전코일
1000 :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 모듈에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시키고,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패드 또는 충전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카드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각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서의 사용자 확인 방법으로서, 아이디/패스워드 방식은 이용하는 서비스마다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기억하여야 하여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분실한 경우 이를 되찾는 과정도 번거롭고, 사용자들은 대부분의 사이트를 동일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하나의 패스워드가 유출되면 다른 모든 사이트의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인터넷이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전자 금융, 전자 결제 등의 보안이 매우 중요한 각종 서비스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유출이 힘든 패스워드를 설정하거나, 인증서를 발급하여 설치하고, 패스워드 카드 등을 통하여 본인 확인 과정을 여러 번 수행한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서비스의 이용에 상당한 불편함을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 사용자가 인증을 요구할 경우 비밀 번호(패스워드)를 수시로 바꿔주는 보안 솔루션(security solution)으로서 시간 동기 방식, 챌린지/레스펀스(challenge/response) 방식 또는 호스트 난수 입력 방식 등의 원타임 패스워드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원타임 패스워드 시스템은 공중망 상에서 패스워드가 누출되더라도 패스워드의 유효 시간을 1회로 한정했기 때문에 더 이상 오용할 수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국내외 금융계가 추진하고 있는 버추얼 뱅킹 서비스나 원격 금융 서비스의 성공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대형 정보 시스템 운영 업체나 서비스 사업자들로부터 새로운 개념의 보안 솔루션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타임 패스워드 시스템은 보안이 중요한 일부 금융 서비스 서버 등에서 원타임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 방식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의 원타임 패스워드의 이용 방식은 사용자가 인증 서버와의 통신을 통
해 가변적인 인증 암호를 발생하도록 된 휴대형 인증 토큰 카드를 휴대하여 상기 인증 토큰 카드에 챌린지 값을 입력하고, 인증 토큰 카드로부터 상기 챌린지 값에 대한 레스펀스 값이 발생되면 이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한편, 최근에는 원타임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 디스플레이 카드 를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의 기능 개선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의 기능 개선 중, 배터리 기능의 개선은 수명 확대를 위하여 중요한 부분으로 해석된다.
종래의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와 같이 외부에 마그네틱 띠를 부착한 방식이나 단순 스마트 칩만을 내장한 카드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필요성이 적었다. 그러나,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원타임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 디스플레이 카드와 같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의 경우에는 LCD나 e-paper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내장하고 있으며, 드라이버 IC 및 RFID 등 각 종 능동소자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필요하며, 카드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이 요구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카드 모듈에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시키고,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패드 또는 충전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카드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있어서, 각 종 부품이 탑재되고, 상기 각 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카드모듈과, 상기 카드모듈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 패드가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인쇄층 밖으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패드는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었다가, 접혀져서 상기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인쇄층 사이에 패드 끝단이 위치하되, 상기 패드 끝단은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인쇄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패드는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라스틱 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인쇄층 사이에 패드 끝단이 위치하고, 상기 패드 끝단은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인쇄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있어서, 각 종 부품이 탑재되고, 상기 각 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카드모듈과, 상기 카드모듈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공급 코일에 의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충전코일이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사이에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사이의 외곽을 따라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부착 형성되어 정전기를 흡수 및 분산시키는 제1 및 제2 실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은 얇은 박막 형태 또는 그물망(mesh) 형태를 가지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크롬,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몰리브덴, 인듐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혼합된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외장 모습과 내장의 카드 모듈(100) 모습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완성된 상태의 전면 모습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내부에 내장된 카드 모듈(10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박막 충전 배터리인 전원부(10), RFID(20), 연성인쇄회로기판(30), MCU(micro control unit)(40), IC 컨택부(50), 디스플레이부(60), 스위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0)는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구성요소이다. 종래에는 상기 전원부(1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1차 전지형 배터리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형 배터리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가 훼손되지 않는 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RFID(20)는 상기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가 시스템 또는 리더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FID(20)를 통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부(60)에 특정 정보를 표시하거나, 메모리에 소정 정보를 쓰거나, 메모리로부터 소정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은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가 동작하기 위한 각 종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이다. 따라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각 종 소자들이 실장되고, 상기 회로 패턴을 통해 각 종 소자들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MCU(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으로서,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각 종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디스플레이부(60)에 특정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MCU(40)가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에 소정 정보를 쓰거나, 메모리로부터 소정 정보를 읽어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IC 컨택부(50)는 ISO7816 규격에 따라 형성되는데, 파워, 리셋, 클럭, 예비접속단자, 그라운드를 위한 패드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IC 컨택부(50)의 패드들을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각 종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가 동작될 때,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스위치(70)는 상기 OTP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각 종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동작에 관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카드 모듈(100)은 플라스틱 바디에 의하여 보호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전원부(10)를 박막 충전 배터리로 구성하여 2차 전지형으로 사용한다. 즉,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전원을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충전시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는 카드 모듈(100)과, 상기 카드 모듈(100)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 상에 각각 형성되는 인쇄층(3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카드 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종 부품 및 구성 요소들이 탑 재되고, 상기 각 종 부품 및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로서의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는 전원이 소모되었을 때, 다시 충전될 수 있는 2차 전지 형태이다.
상기 카드 모듈(100)은 외부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양면에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다양한 내용이 인쇄된 인쇄층(300)이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 패드(400)가 상기 카드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충전 패드(400)는 상기 카드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인쇄층(3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 패드(400)가 상기 인쇄층(300)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전원공급 단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패드(400)는 상기 카드 모듈(100)에 포함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전원공급 단자(미도시)와 상기 충전 패드(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상기 충전 패드(400)를 통해 들어오는 전원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충전 패드(400)는 외부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되기 위하여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인쇄층(300)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패드(400)는 상기 카드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었다가, 접혀져서 상기 플라스틱 바디(200)와 상기 인쇄층(300) 사이에 충전 패드(400)의 끝단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충전 패드의 끝단은 상기 인쇄층(300)에 형성된 인쇄층홀(3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충전패드(400)가 상기 카드 모듈(100)의 두 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연장되어 접힌 모습을 보여주나, +극과 -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두 개의 충전 패드(400)가 상기 플라스틱 바디(200)와 상기 인쇄층(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면 그만이고, 상기 카드 모듈(100)의 어느 부분에서 연장되어도 무관하다.
도 3은 상기 충전 패드(400)가 도 2에 도시된 충전 패드(400)와 달리, 상기 카드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즉, 상기 도 3에 도시된 충전 패드(400)는 상기 카드 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라스틱 바디(200)에 형성된 바디홀(210)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바디(200)와 상기 인쇄층(300) 사이에 패드 끝단이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충전 패드의 끝단은 상기 인쇄층(300)에 형성된 인쇄층홀(3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충전 패드(400)가 구비된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완성된 상태의 전면을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의 모서리 부분에 충전 패드(400)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충전 패드(400)는 인쇄층홀(3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극과 -극으로 사용될 수 있는 두 개의 충전 패드(400)가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충전 패드(400)는 외부 전원공급 장치의 단자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달하여 전원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는 다른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충전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1000)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카드 모듈(100)과, 상기 카드 모듈(100)의 양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구조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다르다. 즉, 도 5에 도시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서는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 공급 코일에 의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충전 코일(450)이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 사이에 내재된다.
상기 충전 코일(45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주변에 배치되는 별도의 전원 공급 코일에 의한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유도 전류에 의하여 상기 충전 코일(450)의 양 끝단과 연결되는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 코일(450)은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의 양단에 연결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 사이의 외곽을 따라 감겨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충전 패드 또는 충전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카드 모듈에 포함되는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종 부품이 탑재된 카드모듈(100)은 상기 두 개의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에 의하여 보호되는데, 정전기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200)와 인쇄층(300) 사이에 제1 및 제2 실드층(미도시)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실드층(미도시)은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된 정전기를 흡수 및 분산시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를 외부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얇은 박막 형태 또는 그물망(mesh) 형태를 가지는 금속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미도시)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은 정전기를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금속 에 의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크롬,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몰리브덴, 인듐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을 형성하거나, 상기 금속들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혼합된 합금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실드층을 더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는 필요에 따라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구조를 넘어서 외부 정전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구조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의하면, 카드 모듈에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시키고,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패드 또는 충전 코일을 구비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카드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있어서,
    각 종 부품이 탑재되고, 상기 각 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카드모듈과;
    상기 카드모듈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 패드가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인쇄층 밖으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2.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에 있어서,
    각 종 부품이 탑재되고, 상기 각 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박막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는 카드모듈과;
    상기 카드모듈의 양면에 부착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막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공급 코일에 의 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충전코일이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사이에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패드는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었다가, 접혀져서 상기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인쇄층 사이에 패드 끝단이 위치하되, 상기 패드 끝단은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인쇄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패드는 상기 카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라스틱 바디에 형성된 바디홀을 통해 상기 플라스틱 바디와 상기 인쇄층 사이에 패드 끝단이 위치하고, 상기 패드 끝단은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인쇄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사이의 외곽을 따라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라스틱 바디 상에 부착 형성되어 정전기를 흡수 및 분산시키는 제1 및 제2 실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드층은 얇은 박막 형태 또는 그물망(mesh) 형태를 가지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크롬, 니켈,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몰리브덴, 인듐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혼합된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KR1020070032192A 2007-04-02 2007-04-02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KR20080089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192A KR20080089699A (ko) 2007-04-02 2007-04-02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192A KR20080089699A (ko) 2007-04-02 2007-04-02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699A true KR20080089699A (ko) 2008-10-08

Family

ID=4015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192A KR20080089699A (ko) 2007-04-02 2007-04-02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6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0934A1 (en) * 2010-04-12 2011-10-13 Nicholas Clark Charging while wireless
US20120106103A1 (en) * 2010-06-23 2012-05-03 Tanios Nohra Radio frequency energy harvesting enclosure for radio frequency connected devices
KR20200057305A (ko) 2018-11-16 2020-05-26 (주)한국프레이밍연구소 역방향 누설 전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충전형 전자 장치
KR20200084837A (ko) 2020-07-01 2020-07-13 임희도 역방향 누설 전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충전형 전자 장치
WO2021251553A1 (ko) * 2020-06-12 2021-12-16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0934A1 (en) * 2010-04-12 2011-10-13 Nicholas Clark Charging while wireless
US20120106103A1 (en) * 2010-06-23 2012-05-03 Tanios Nohra Radio frequency energy harvesting enclosure for radio frequency connected devices
KR20200057305A (ko) 2018-11-16 2020-05-26 (주)한국프레이밍연구소 역방향 누설 전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충전형 전자 장치
WO2021251553A1 (ko) * 2020-06-12 2021-12-16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4544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KR20210156819A (ko) 2020-06-12 2021-12-27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스마트카드 제조방법
KR20200084837A (ko) 2020-07-01 2020-07-13 임희도 역방향 누설 전류 방지 기능이 구비된 충전형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0853T3 (es) Objeto portatil sin contacto que comprende uno o varios dispositivos perifericos sin contacto.
CN104756317B (zh) 接口、通信装置以及程序
TW200414064A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holder, IC module, IC card and IC card holder
EP3537337B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rolling fingerprint reference data
US7445158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761538B1 (ko)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080089699A (ko) 충전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카드
US8011590B2 (en) Assembly consisting of a micro-module and a reproduc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contact-free near-communication means
US20220058355A1 (en) Code generation device
JPH05294093A (ja) 携帯可能記憶媒体
KR20080089697A (ko) Otp 디스플레이 카드
EP3647916A2 (en) Code generation device
KR100814377B1 (ko) 다기능 오티피 토큰
KR20050092331A (ko) 편리성과 보안 기능을 강화한 전자식 신용 카드
CN210428508U (zh) 一种使用弹性导电装置的多功能卡片
KR100798682B1 (ko) 스마트 카드
JP2004252804A (ja) 端末装置及び電池パック
CN210466576U (zh) 一种移动电源pos机
CN107180183B (zh) 无线贴膜盾及移动终端设备
CN217955129U (zh) 柔性显示型发光智能卡
JP2005157927A (ja) 液晶ディスプレイ付きuimリーダライタ
CN216871182U (zh) 一种无线电子签名板
CN218920063U (zh) 一种电子设备、手写笔的无线充电耦合结构及供电器件
JP2015001797A (ja) smartSDカード及びその初期化方法
KR100736379B1 (ko)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 및 표시기능을 갖는 스마트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