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034A -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034A
KR20080089034A KR1020070031997A KR20070031997A KR20080089034A KR 20080089034 A KR20080089034 A KR 20080089034A KR 1020070031997 A KR1020070031997 A KR 1020070031997A KR 20070031997 A KR20070031997 A KR 20070031997A KR 20080089034 A KR20080089034 A KR 20080089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exercise
information
measu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194B1 (ko
Inventor
박승훈
서상진
전융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디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디소프트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61B5/222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combined with detection 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e.g.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좌우측 신체 부위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운동 장치가 개시된다.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동력 측정부, 및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검출된 위치 및 측정된 구동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및 구동력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는,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와 소정의 위치 관련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지점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구동력 수용부가 구동됨에 따라서, 검출 지점 및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운동하는 좌우측 운동 정보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특화된 운동 처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및 방법{Exc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eft/right side excercise information of user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3d는 도 2a에 도시된 운동 장치에서 좌우측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e 및 도 3f는 도 2a에 도시된 운동 장치에서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장치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추출되는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 생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운동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차등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균형적으로 발달하도록 하기 위한 운동 처방을 제공하기 위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상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운동량은 부족하며, 특히,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현대인들은 컴퓨터 앞에서 생활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마우스 조작이나 키보드 조작과 같은 단순 반복적인 운동 외에는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현대인들의 컴퓨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운동 부족에 기인한 다양한 성인병이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된다.
특히, 생활 수준의 향상에 힘입어, 단지 의식주를 해결하면서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신체를 가지고 얼마나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느냐가 가장 커다란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최근의 웰빙 열풍은 이와 같은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지대한지를 보여주는 일 예이다.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서 다양한 운동 기구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운동 기구에는 아령과 같은 단순한 운동 보조 기구로부터, 피트니스 센터에서 볼 수 있는 전문 운동 장치까지 다양한 운동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운동 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가정에서 손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일반 가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장치들도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이러한 운동 장치들 중에 널리 이용되는 것 중에는 싸이클 타입의 운동 장치 및 러닝 머신이 포함된다. 러닝 머신의 경우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인 조깅, 파워 워킹, 및 노르딕 워킹을 적은 실내 공간에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된다. 특히, 싸이클 운동 장치는 러닝 머신과 달리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관절이 약한 사용자에게 널리 이용된다.
그런데, 사용자의 신체는 좌우측이 반드시 대칭적으로 안정되게 발달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장시간 책상에 앉아있거나 운전을 하는 등, 현대인들은 같은 자세를 오랫동안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잘못된 자세가 오랫동안 지속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는 치명적인 불균형이 초래된다.
그러나, 종래의 운동 기구는 단순 반복적인 운동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보조할 뿐, 사용자의 신체가 균형있게 발달하도록 돕지 못한다. 예를 들어, 척추가 측만되어 좌측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친 사람의 경우, 러닝 머신에서 오랫 동안 운동하는 것이 오히려 척추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싸이클 운동기구에서는, 사용자가 페달링을 하다가 멈추어도 싸이클 바퀴는 계속하여 공회전한다. 그러므로, 단지 싸이클 바퀴의 회전량을 이용하여 이동 거리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각각 정밀하게 검출함으로써, 자신에게 최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차등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좌우측 발달 상태 또는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균형 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하기 위한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운동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운동하는 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적어도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동력 측정부, 및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검출된 위치 및 측정된 구동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및 구동력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검출부는, 구동 력 수용부의 위치와 소정의 위치 관련성(positional relationship)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지점 및 검출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구동력 수용부가 구동됨에 따라서, 검출 지점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검출 지점은 구동력 수용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 상에 형성되고, 근접 센서는 회전체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운동 정보 생성부는, 신체 부위 각각의 위치에 따른 구동력의 변화 혹은 구동력의 극대점, 극소점 및 구동력이 증가하는 상승 기간 및 구동력이 감소하는 하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속도, 최대 근력, 일의 양, 및 근 지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운동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동력 측정 단계, 및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검출된 위치 및 측정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 단계는, 구동력 수용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디스크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 지점 및 구동력 수용부 간의 소정의 위치 관련성에 기반하여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검출 지점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며, 상호 소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동심적으로 형성 되고, 운동 정보 생성 단계는, 근접 센서에 의하여 검출 지점이 검출되는 시간 간격에 기반하여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더욱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근접 센서는 상호 소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동심적으로 형성되고, 운동 정보 생성 단계는, 근접 센서가 검출 지점을 검출하는 순서에 기반하여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더욱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운동 정보 생성 단계는, 신체 부위 각각의 위치에 따른 구동력의 변화 혹은 구동력의 극대점, 극소점 및 구동력이 증가하는 상승 기간 및 구동력이 감소하는 하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신체 부위 각각의 속도, 최대 근력, 일의 양, 및 근 지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운동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면은,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운동 처방을 제공하기 위한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동력 측정부,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검출된 위치 및 측정된 구동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및 구동력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 정보 생성부, 및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신체 부위 각각에 상응하는 운동 처방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공하기 위한 운동 처방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한 운동 장치는, 스테퍼(stepper), 노젓기 기구(rowing machine), 바이크, 걷기 운동 기구 및 손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측정된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100)는 위치 검출부(110), 좌측 구동력 수용부(130), 우측 구동력 수용부(150), 구동력 측정부(170) 및 운동 정보 생성부(19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면, 위치 검출부(110)는 사용자가 구동력을 인가하는 신체 부분이 좌측 및 우측 부분 중에서 어느 부분인지를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란 좌우측 손 및 좌우측 발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좌우측 손과 좌우측 모두로부터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좌측 손과 우측 발 및 우측 손과 좌측 발이 각각 한 쌍을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쌍을 이루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합은 사 용자가 이용하는 운동 장치에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싸이클 운동 장치를 이용할 경우 쌍을 이루는 신체 부위는 좌우측 발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터플라이와 같은 운동 장치를 이용한다면, 좌우측 팔이 한 쌍을 이루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손과 발을 모두 이용하는 걷기 운동 기구를 이용할 경우, 좌측 손과 발 모두와 우측 손과 발 모두가 한 쌍을 이룰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싸이클 운동 장치에 탑승하여 페달을 돌린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예는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싸이클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을 시작하면, 위치 검출부(110)는 사용자의 좌측 발 또는 우측 발이 각각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좌우측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검출부(110)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위치 검출부(110)에서 생성된 좌우측 위치 정보는 운동 정보 생성부(190)로 제공된다.
도 1에서, 좌측 구동력 수용부(130) 및 우측 구동력 수용부(150)는 각각 싸이클 운동 장치의 좌측 페달 및 우측 페달일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발을 이용하여 좌측 페달에 구동력을 인가하고, 우측 발을 이용하여 우측 페달에 구동력을 인가한다. 그러면, 좌측 구동력 수용부(130) 및 우측 구동력 수용부(150)가 각각 좌우측 구동력을 수용한다.
좌우측 구동력 수용부에 의하여 수용된 좌우측 구동력은 구동력 측정부(170)에 의하여 측정된다. 구동력 측정부로는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력 측정부(170)는 좌측 구동력 수용부(130) 및 우측 구동력 수용부(15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 셀(미도시)일 수 있다. 구동력 측정부(170)는 종래의 모든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따라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구동력 측정부(170)는 좌우측 구동력을 측정하여 운동 정보 생성부(190)로 전달한다.
그러면, 운동 정보 생성부(190)는 위치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된 좌우측 위치 정보 및 구동력 측정부(170)로부터 수신된 좌우측 구동력을 분석하여 좌측 발이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였는지, 얼마나 빨리 운동하였는지와 같은 다양한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운동 정보 생성부(19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6a, 도 6b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생성된 운동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가 각각 어느 정도 발달하였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신체의 균형도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 측정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싸이클 운동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2a에서 싸이클 운동 장치는 페달(130, 150), 크랭크(220), 스프로켓(205), 구동 체인(260) 및 부하 발생부(270)를 포함한다. 페달(130, 150)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력 수용부로서 동작한다. 구동 체인(260)은 스프로켓(205)에 감기며, 부하 발생부(270) 및 스프로켓(205)을 상 호 연동시킨다. 사용자가 페달에 인가한 구동력은 구동 체인(260)을 통하여 부하 발생부(270)로 제공된다. 부하 발생부(270)는 사용자가 인가한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 셀(170)을 포함한다. 로드 셀(170)은 도 1에 도시된 구동력 측정부로서 동작한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싸이클 운동 장치는 좌우측 페달(130, 15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근접 센서(240, 250) 및 홀(230)을 포함한다. 홀(230)은 스프로켓(205) 상에 생성되며, 근접 센서(240, 250)는 스프로켓(205)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된다. 도 2a에서, 홀(230)은 구동력 수용부(130, 150)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홀(230)은 구동력 수용부(130, 150)와 180도 또는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 및 구동력 수용부의 이러한 상대적 위치 관련성에 기반하여, 홀이 검출되는 지점으로부터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페달(130, 150)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프로켓(205)의 회전력은 구동 체인(260)을 통하여 부하 발생부(270)로 전달된다. 구동 체인은(260)은 스프로켓(205) 및 부하 발생부(270) 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기어 군일 수도 있다. 즉, 스프로켓(205)에 걸리는 강한 회전력을 회전수를 제어하는 기어군을 통해 고속으로 약하게 부하 발생부에 전달함으로써 낮은 출력의 부하 발생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프로켓(205)은 저속 회전하고, 부하 발생부는 고속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되는 일률은 같기 때문에 부하 발생부에서의 토크는 스프로켓(205)에 걸리는 토크에 비해 속도의 비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스프로켓(205) 및 부하 발생부(270) 간의 회전수 비를 조절함으로써 부하 발생부(270)의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싸이클 운동 장치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회전체(205)는 스프로켓(sprocket)일 수 있다.
부하 발생부(270)는 0.2mm 정도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동축 형성되는 전자석 및 플라이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하는 플라이휠 및 전자석 간의 인력 및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석의 자기력이 증가되면, 전자석 및 플라이휠 간의 인력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전자석 및 플라이휠 간에 작용하는 인력은 플라이휠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counterforce)으로서 동작하며, 이러한 인력이 클수록 사용자는 더 큰 힘을 가하여 페달링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동 장치의 부하가 증가된다. 또한, 만약 플라이휠이 고속으로 회전한다면, 전자석을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량이 증가되므로 운동 장치의 부하가 증가된다.
로드 셀(170)은 부하 발생부(270)에 작용되는 부하를 측정한다. 도 2a에 도시되는 로드 셀(170)은 전자석으로부터 작용되는 가압력을 직접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240, 250)는 싸이클 운동 장치의 몸체에 고정되어, 스프로켓(205)이 회전됨에 따라서 홀(230)을 검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홀(230)은 페달의 소정 위치에 대한 관련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근접 센서(240, 250)들에 의하여 검출된다. 근접 센서란 평소에 0V의 전압을 출력하다가 금속이 접근하면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센서이다. 홀(230)이 근접 센서(240, 250)에 근접하지 않는 동안에는 근접 센서(240, 250)의 출력 전압은 24V이다. 만약 홀(230)이 근접 센서(240, 250)에 접근한다면 근접 센서에는 도체가 가까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근접 센서(240, 250)의 출력은 0V가 된다. 따라서, 근접 센서의 출력 전압을 분석함으로써 홀(230)을 검출할 수 있고, 홀(230)이 검출되면 홀(230) 및 페달(130, 150) 간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페달이 왼쪽 발에 의하여 구동되는지 오른 발에 의하여 구동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230) 및 페달(130, 150)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3a 및 3b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도 2a에 도시된 로드 셀(170) 및 근접 센서(240, 25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ADC(미도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전달된다. 또는, 로드 셀(170) 및 근접 센서(240, 250)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처리 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다. ADC 및 신호 처리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도 2b는 사용자가 좌우측 팔을 이용하여 중량체(210)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는 운동 장치를 예시한다. 도 2b에서 구동력 수용부는 페달이 아닌 사용자가 끌어당기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30, 150)로서 구현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30, 150)를 당기면 회전체(205)가 회전된다. 그러면, 운동 기구에 생성된 근접 센서(280, 290)들이 회전체(205)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280, 290)의 출력으로부터, 사용자가 어느 손을 이용하여 중량체(210)를 들어올리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판단 결과는 신호 처리부(미도시)로 제공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 생성 장치는 싸이클 운동 장치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양손 또는 양 발을 교대로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다양한 운동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정보 생성 장치는 스테퍼(stepper), 노젓기 기구(rowing machine), 걷기 운동 기구 및 손 운동 기구 등, 좌우측 신체 부위를 교대로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운동 장치에서 좌우측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는 크랭크(도 2a의 220 참조)가 어느 위치에 있을 때 근접 센서가 위치를 검출하는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근접 센서(도 2a의 240 및 250 참조)는 A1 내지 A8의 위치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구현되어, 홀(도 2a의 230 참조)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가 A1의 위치를 검출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어느 쪽 페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지는 사용자의 자세 및 운동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싸이클 운동 기구일 경우 A1 위치는 우측 발이 구동력을 인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A1->A2->A3->A4 지점까지는 우측 발을 이용하여 점점 상승하는 구동력을 인가하고, A5->A6->A7->A8 지점까지는 점점 감소하는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A8 지점이 통과되면, 이제는 좌측 발을 이용하여 상승하는 구동력 및 하강하는 구동력을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검출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의 부하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면 좌측발 및 우측발이 각각 어느 정도의 부하를 인가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a에서, 만일 사용자가 누워서 페달을 굴리도록 구현되는 운동 장치를 이용한다면 사용자가 최대의 힘을 가하기 시작하는 위치는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페달의 위치(또는 홀의 위치) 및 그 때 이용하는 신체 부위 간의 위치 관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로켓 또는 회전체와 같은,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력 수용부에 검출 위치로서 홀이 형성되고, 운동 기구의 본체에 근접 센서가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근접 센서가 스프로켓에 형성되고, 홀이 본체에 구동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홀 및 근접 센서의 위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홀 및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현되면 족하다. 또한, 홀 또는 근접 센서는 반드시 스프로켓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되는 크랭크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구동력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이 한번 회전하는 동안에 8 지점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그래프는 좌측 발을 이용하여 인가한 구동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페달이 A4 지점에 위치할 때 최대의 구동력을 인가하며, A1 및 A8 위치에 있을 때에 최소의 구동력을 인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도 3b가 좌우측 발 모두를 이용하여 인가한 구동력을 측정한 그래프라면, A1 내지 A8 지점은 각각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이 반바퀴 회전하는 동안의 페달의 각 위치를 측정한 결과일 수도 있다.
도 3c 및 도 3d는 근접 센서의 출력을 예시하는 그래프들이다.
도 3c는 한 개의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스프로켓 상에 형성된 홀을 검출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c와 같이, 크랭크(또는 스프로켓)가 회전할 때마다 근접센서에 한 개의 펄스가 존재한다. 그러면, 펄스의 지속 구간(duration)인 T1이 홀이 근접 센서를 통과하는 지점으로서 검출된다. 본 발명에서, 홀 및 근접 센서의 개수는 많을수록 정밀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어, 2개의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스프라켓 상에 형성된 하나의 홀을 검출하면, 크랭크가 회전할 때마다 각 근접센서에서 한 개의 펄스가 출력된다. 그러면, 출력된 펄스를 검출하여 그 시점에서 크랭크가 해당 근접센서의 위를 지난다는 것을 알아낸다. 이 경우, 크랭크의 회전 위치를 한 회전 당 2곳의 위치에서 알 수 있기 때문에 한 회전에서 속도의 변화를 더 정밀하게 알 수 있다. 회전할 때 속도의 변화를 매우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근접센서를 동심원 상에 여러 개 설치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해당 위치를 지나는 시점을 알아내고 이를 처리하여 각 위치에서 크랭크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d는 한 개의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스프로켓의 동심원 상에 여러 개의 여러 개의 홀을 만들어 1회전을 할 때 여러 개의 출력 펄스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출력 펄스는 지속 구간이 상이하다. 이 경우에는, 기준 위치(예를 들어 크랭크 바로 밑에 위치하는 스프로켓 상의 기준 홀의 위치)가 근접 센서를 통과할 때를 식별할 수 있도록 기준 홀의 크기를 다른 홀들과 다르게 함으로써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 근접센서에서 나오는 펄스의 폭이 달라지므로, 위치 측정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만일, 2개의 근접센서를 설치한 경우에는 1/2의 홀 수로 동일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도 3e 및 도 3f는 도 2a에 도시된 운동 장치에서 회전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e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근접 센서들(240, 250)이 동축 형성된다. 도 3e에서, 홀(230) 및 근접 센서들(240, 250)이 모두 스프로켓(205) 상에 형성되면, 스프로켓(205)이 회전됨에 따라서 홀(230) 및 근접 센서들(240, 250)가 모두 회전되므로 홀(230)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근접 센서들(240, 250)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로켓(205)이 A 방향으로 회전되면, 홀(230)은 제1 근접 센서(240)에 의하여 검출된 후 제2 근접 센서(250)에 의하여 검출된다. 즉, (b)를 참조하면, 홀(230)은 T3 기간 동안 제1 근접 센서(240)에 의하여 검출되고, T4 기간 동안 제2 근접 센서(250)에 의하여 검출된다. 근접 센서들(240, 250)은 상호 소정의 각도만큼(예를 들어, 30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홀(230)은 제1 및 제2 근접 센서들(240, 25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검출된 후, 한 주기 내의 오랜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다. 만일 스프로켓(205)이 B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홀(230)은 제2 근접 센서(250)에 의하여 T3 기간 동안 검출된 후 T4 기 간 동안 제1 근접 센서(240)에 의하여 검출된다. 만일, 스프로켓(205)가 A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근접 센서(240)에서 홀(230)이 검출된 이후 제2 근접 센서(250)에 의하여 홀이 검출될 때까지는 회전 속도가 매우 낮고, 제2 근접 센서(250)에서 홀이 검출된 이후에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제1 근접 센서(240)까지 330도 만큼 회전할 때의 회전속도가 위의 11배 이상 증가한다면 2개의 근접센서 검출 신호가 검출되는 시간 간격이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근접 센서들(240, 250) 간의 각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근접 센서들(240, 250)을 이용하여 스프로켓(205)의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f의 (a)를 참조하면, 근접 센서(240)는 하나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 홀들(230, 235)이 형성된다. 홀들(230, 235)의 크기는 상호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스프로켓(205)이 A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근접 센서(240)의 출력은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1 홀(230)이 먼저 근접 센서(240)에 의하여 T5 동안 검출되고, 제2 홀(235)이 T6 동안 검출된다. 이 경우는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반면에, 스프로켓(205)이 B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2 홀(235)이 먼저 T7 동안 근접 센서(240)에 의하여 검출되고, 제1 홀(230)이 T8 동안 검출된다. 이는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만일, 홀들(230, 235)의 크기가 같다면, T5 및 T6의 간격은 동일하므로, 근접 센서(240)에 의하여 먼저 인식된 홀이 어느 것인지 식별하기가 힘들다. 스프로켓(205)의 회전 속도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홀들(230, 235)은 상호 근접하여 형성되거나, 크기의 차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센서가 1개 설치되고, 스프라켓에 2개의 홀이 한쪽에 치우치게 뚫어지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원리로 근접센서의 신호에서 시간간격의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장치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크랭크 및 근접 센서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좌측 발의 데이터를 추출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b는 크랭크 및 근접 센서의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우측 발의 데이터를 추출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발들이 페달을 구동하는 힘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변화된다. 또한 도 4a의 최대점은 도 4b의 최대점보다 높다. 그러므로 좌측 발의 구동력이 우측 발의 구동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운동 중에 피로를 줄이기 위하여 페달을 돌리지 않는다면, 그래프는 평행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 경우, 비록 페달이 연결된 스프로켓은 회전하지만,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지 않는 구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좌측 및 우측 발 데이터를 통합한 그래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발은 서로 대략적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구동력을 번갈아 가면서 인가한다.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한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좌우측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가 검출된다(S510). 좌우측 구동력 수용부로는 도 2a에 도시된 페달 또는 도 2b에 도시된 손잡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좌우측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는 각각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그러면, 로드 셀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좌우측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한다(S520). 그러면, 측정된 구동력을 분석하여(S530) 다양한 운동 정보를 좌우측 신체 부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획득한다(S540). 운동 정보의 종류 및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은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된다.
측정된 운동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며(S550),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S560). 운동 처방이란 개인의 건강과 체력 수준과 같은 신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운동의 종류와 강도, 시간, 및 빈도 등을 결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운동의 진행 단계에 따라 운동의 질과 양을 적절히 조절해 주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건강 증진 활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운동 처방은 의학적 전문지식을 가지고 운동 과학적 토대 위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 측정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운동 정보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신체 균형도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화된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균형이란, 일상생활의 모든 동작수행에 주요한 영향을 주며 신체를 평형상태로 유지시키는 능력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균형은 감각 정보의 통합, 신경계 처리, 생체역학적 요인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운동조절 작업을 나타낸다. 따라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합적인 감각 및 운동기능이 관여하며, 흔들림(sway)을 최소화하고 지지면 상에서 신체무게중심을 유지하려는 총체적인 협응 과정이 필요하다.
만약, 중추신경계 손상이나 관절 및 근육 질환, 시각 및 전정 기관 질환으로 균형 유지력이 저하된다면, 안정성 유지, 체중 부하 조절 및 보행 능력에 지장을 초래하며 재활의 큰 걸림돌이 된다. 다만, 인간의 운동은 단지 신경 생리학적이거나 기계적인 요인으로만 나눌 수 없으며, 서로 중복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균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신체가 고르게 발달하도록 특화된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운동 처방은 반드시 균형 유지력에 문제가 있거나, 좌우측 근력에 불균형이 있는 등의 증상을 가진 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록 향상을 위하여 근력을 향상시키려는 싸이클 선수를 가정한다. 종래의 운동 처방을 이용하면, 싸이클 선수의 전체 근력 및 전체 근 지구력 등을 측정하여 운동 처방을 생성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면 싸이클 선수의 좌우측 근력 뿐만 아니라, 근 지구력, 최대 근력 및 민첩성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는, 페달에 힘을 가하는 시점과 각도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싸이클 선수가 기록 단축을 하기 위하여 어떠한 시점에 페달에 힘을 가하는 것이 좋은지 판단할 수 있으며, 좌우측 근력이 차이날 경우에는 약한 신체 부위에 집중적으로 근력 보강 운동을 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우측 발 이 구동력을 인가하는 시점에 따라 부하 발생부(도 2a의 270 참조)에서 차등적인 부하를 발생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좌우측 근력을 보강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추출되는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그래프에서 좌우측 발의 구동 주기 내의 극대점 및 극소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극대점 및 극소점은 각각 좌우측 발의 최대 근력에 상응할 수 있다.
도 6b는 좌우측 신체 부위 각각에 의하여 작용되는 구동력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소점 및 극대점 간에 소요된 시간인 구동력 상승 시간(rising time), 극대점 및 극소점 간에 소요된 시간인 구동력 하강 시간(falling time)은 물론, 그래프의 면적을 이용하여 일의 양도 측정할 수 있다.
만일 상승 시간이 짧다면, 사용자가 짧은 시간 내에 많은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순발력에 관련된다. 극대점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근 지구력도 판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 운동 정보 생성 장치에서 제공하는 운동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도 6a 및 도 6b에서 추출한 정보들을 MATLAB에 적용하여 추출한 좌우측 발의 일의 양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발은 168132W의 일을 하였으며, 우측 발은 168125W의 일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b는 좌우측 발 각각의 최대점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발의 최대 근력은 881.8621N이며, 우측 발의 최대 근력은 903.8929N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결과를 종합하면, 좌측 발에 비하여 우측 발의 최대 근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좌측 발 및 우측 발이 수행한 일의 양은 거의 동일하므로, 좌측 발이 최대 근력은 떨어지나 근 지구력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c 및 도 7d는 각각 좌측 및 우측 발의 일의 양을 계산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부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센서는 로드 셀에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차등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의 운동 정보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의 좌우측 발달 상태 또는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균형 상태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처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고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동하지 않는 구간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해당 구간 동안에는 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이동 거리 및 운동량을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운동하는 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
    상기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
    상기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동력 측정부;
    상기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검출된 상기 위치 및 측정된 상기 구동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위치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 부위 각각의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상응하는 운동 처방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공하기 위한 운동 처방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와 소정의 위치 관련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지점 및
    상기 검출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검출 지점 및 상기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 기 위한 운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지점은 상기 구동력 수용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측정부는,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길이가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로드 셀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 셀은,
    상기 구동력이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구동력 수용부 및
    상기 구동력 수용부에 의하여 만곡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정보 생성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양단에 발생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구동력이 인가되면 인장되는 인장부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수축되는 수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 및 상기 수축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 생성부는,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의한 상기 구동력의 극대점, 극소점 및 상기 구동력이 증가하는 상승 기간 및 상기 구동력이 감소하는 하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 부위 각각의 속도, 최대 근력, 일의 양, 및 근 지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동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는,
    스테퍼(stepper), 노젓기 기구(rowing machine), 바이크, 걷기 운동 기구 및 손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8. 적어도 한 쌍의 사용자 신체 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적어도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
    상기 구동력 수용부 각각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동력 측정 단계;
    상기 구동력 수용부 각각의 검출된 상기 위치 및 측정된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 부위 각각의 운동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운동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상응하는 운동 처방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제공하기 위한 운동 처방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단계는,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와 소정의 위치 관련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관련성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지점은 상기 구동력 수용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 상에 형성되며, 상기 검출 지점의 위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측정 단계는,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길이가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양단에 발생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신체 부위 각각에 의한 상기 구동력의 극대점, 극소점 및 상기 구동력이 증가하는 상승 기간 및 상기 구동력이 감소하는 하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 부위 각각의 속도, 최대 근력, 일의 양, 및 근 지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운동 정보로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070031997A 2007-03-30 2007-03-30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KR10088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997A KR100883194B1 (ko) 2007-03-30 2007-03-30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997A KR100883194B1 (ko) 2007-03-30 2007-03-30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508A Division KR101246874B1 (ko) 2008-09-29 2008-09-29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034A true KR20080089034A (ko) 2008-10-06
KR100883194B1 KR100883194B1 (ko) 2009-02-13

Family

ID=4015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997A KR100883194B1 (ko) 2007-03-30 2007-03-30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08A (ko) * 2018-11-20 2020-05-28 전자부품연구원 피트니스 자세교정을 위한 운동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049B1 (ko) 2012-11-13 2013-12-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운동 협응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22A (ja) * 2001-06-26 2003-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筋活動解析装置および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393351B1 (ko) * 2002-07-11 2003-08-02 (주)가시오페아 네트워크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장치
JP2006296703A (ja) 2005-04-20 2006-11-02 Asics Corp 筋肉訓練装置
KR100750597B1 (ko) * 2005-11-21 2007-08-20 박승훈 운동 처방 기능을 포함하는 걷기 운동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908A (ko) * 2018-11-20 2020-05-28 전자부품연구원 피트니스 자세교정을 위한 운동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194B1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3985A1 (en) Interactive ai coaching-based musculoskeletal exercis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8360935B2 (en) Method, a computer progra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movable resistance element in a training device
US8157707B2 (en) Method and device enabling an athlete to determine and then control the rate of displacement of a mass
US20080312052A1 (en) Dynamic variable resistance dual circling exercise method and device
JPH0515457B2 (ko)
Ranky et al. VRACK—virtual reality augmented cycling kit: Design and validation
US20070219051A1 (en) Training apparatus
US20190192914A1 (en) Pulsatile resistive exerciser
JP2003116822A (ja) 筋活動解析装置およびトレーニング装置
US20070135270A1 (en) Oscillating exercise machine
KR101246874B1 (ko)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 장치 및 방법
US20050107221A1 (en) Ergometer
TWI607784B (zh) Sports training equipment
KR100883194B1 (ko) 사용자 신체의 좌우측 운동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운동장치 및 방법
KR20190036234A (ko) 운동량 측정 장치
Krämer et al. Effect of different handgrip angles on work distribution during hand cycling at submaximal power levels
KR102436607B1 (ko) 부착형 사물인터넷 피트니스 운동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TWM374335U (en) Student fitness measuring and exercise prescrip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0869012B1 (ko) 정밀도가 향상된 부하 측정 장치 및 부하 측정 기능을가지는 운동 장치
CN208465084U (zh) 一种功率车
WO20030890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onitoring and analysing performance in the gym
KR20210114005A (ko) 사지 지지대를 포함한 훈련 장치, 그리고 훈련 장치의 사지 지지대에 작용하는 힘의 결정 방법
CN103893949A (zh) 身体训练器的运动状态检测装置
US20020107114A1 (en) Rotational exercise system, device and method
JP2004344349A (ja) 運動補助装置の動作決定装置、運動補助装置の動作決定方法、運動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