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673A -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673A
KR20080088673A KR1020070020784A KR20070020784A KR20080088673A KR 20080088673 A KR20080088673 A KR 20080088673A KR 1020070020784 A KR1020070020784 A KR 1020070020784A KR 20070020784 A KR20070020784 A KR 20070020784A KR 20080088673 A KR20080088673 A KR 2008008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charging
interface device
charge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07002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8673A/ko
Publication of KR2008008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방 업주가 일단 자신의 비용으로 PC방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각종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주고, 충전 요금은 PC방 이용 요금의 형태로 해당 사용자로부터 수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신용카드 등 유효한 결제수단이 없는 PC방 사용자도 손쉽게 자신의 계정을 충전시킬 수 있고, 개인정보 누출의 위험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PC방 업주는 충전 대행을 통해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도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 사업자는 PC방 현장 충전이라는 새로운 충전 방식을 통해 추가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PC방, 인터넷, 온라인 서비스, 게임, 계좌, 충전, 대행

Description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Apparatus for Purchasing Agency of Cyber Money at PC-Cafe and System for Purchasing Agency of Cyber Mone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대행 장치와 충전 대행 시스템의 연결 구조에 관한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대행 장치에 관한 구체적 실시예,
도 3은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UI 화면의 예,
도 4와 도 5는 PC방 관리부의 UI 화면에 관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충전 대행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0: PC방 10-1: LAN
11: PC 12: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1: 입력부 12-2: 전송부
12-3: 응답수신부 13: PC방 관리 컴퓨터
14: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 14-1: 충전요청접수부
14-2: 충전대행요청부 14-3: 충전결과수신부
14-4: PC방 관리부 14-5: PC방 충전부
14-6: 조회부 15: 통신망
16: 충전중계서버 17: 전자지불서버
본 발명은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방에서 개별 PC방 사용자의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줄 수 있도록 하여 신용카드나 휴대폰 등 유효한 결제수단이 없거나 정보 누출에 대한 불안과 같은 사정으로 자신이 직접 온라인상에서의 결제절차를 통해 충전하기를 원하지 않는 PC방 사용자가 복잡한 절차 없이 게임, 만화, 영화 등 각종 유료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게임, 학습, 쇼핑, 만화방, 영화관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망 등 각종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여러 대의 PC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후 이용요금을 받는 형태의 서비스인 PC방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온라인 서비스는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만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종 온라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유료로 제공되는 것도 적지 않다.
유료 서비스의 예로서 게임 서비스를 들자면, 게임 서비스의 이용 그 자체뿐 아니라 게임 도중 자신의 캐릭터가 특수한 능력(또는 기능)을 갖도록 해주는 게임 아이템 등도 필요에 따라 유료로 구입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각 게임 서비스 사업자 측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게임 계정을 관리하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게임 계정에 일정액을 충전시켜 놓은 후 충전되어 있는 지불수단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거나 필요한 게임 아이템을 구입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유료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결제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PC방을 이용하는 주요 고객층인 10대나 20대 사용자들은 신용카드 등의 유효한 온라인 결제 수단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유효한 결제수단이 있더라도 온라인 결제절차를 복잡하고 번거롭게 생각하는 사용자가 많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PC방의 특성상 온라인 결제절차에 보안상 불안감을 느끼는 사용자도 매우 많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PC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각종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충전 절차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온라인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을 제약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PC 방에서 개별 PC방 사용자의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줄 수 있도록 하여 PC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복잡한 절차 없이도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충전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는, PC방의 각 PC에 설치되고, 상기 PC의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PC방의 관리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PC방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고,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주는 충전중계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요청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하는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PC의 사용자가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의 종류, 계정, 충전요청금액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가 전송한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전송해주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PC의 화면에 표시하는 응답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충전요청접수부; 상기 수신된 충전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충전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충전대행요청부; 상기 충전대행요청부가 전송한 상기 충전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중계서버가 전송해주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응답 결과를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충전결과수신부; 및 상기 PC방의 각 PC별 사용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충전결과수신부가 상기 충전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였던 PC의 사용 상태 정보로서 관리하는 PC방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충전중계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충전중계서버에 개설되어 있는 해당 PC방 계좌를 충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PC방 충전부; 및 상기 충전중계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PC방 계좌의 잔고와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PC와 PC방 관리 컴퓨터에 각각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대행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온라인 서비스의 계좌에 대한 충전 권한이 있는 전자지불서버와 통신하여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지불서버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받아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 하는 충전중계서버; 및 상기 충전중계서버로부터의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해당 온라인 서비스의 계정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충전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전자지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충전중계서버는 각 PC방별 계좌를 관리하여 상기 각 PC방에서 자신의 계좌를 충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자지불서버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충전 대행과 관련한 요금을 해당 PC방 계좌에서 차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중계서버는 상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에 실려 있는 PC방 식별 정보, 및 상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컴퓨터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C방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PC방(10)에는 PC방 사용자가 각자 이용할 수 있는 여러대의 PC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PC는 랜(LAN: Local Area Network)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10-1)를 통해 PC방 관리 컴퓨터(13)와 연결된다.
각 사용자 PC와 PC방 관리 컴퓨터(13)는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15)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PC방 사용자는 PC방에 입장하여 현재 비어있는 PC를 지정받은 후 자신의 필요에 따라 해당 PC를 이용하고, 이용이 종료하면 PC방에서 나가면서 PC 이용 시간 등 자신의 이용 내역에 따라 요금을 지불한다.
많은 PC방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각 PC방 사용자는 자신에게 지정된 PC(예: 11)에서 통신망(15)을 통해 게임 서버(21)에 접속하고, 게임 서버(21)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통신망(15)을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가 게임 서비스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게임 서비스뿐 아니라 온라인상에서 만화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만화방 서비스나 영화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영화관 서비스 등 각종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도 1의 게임 서버(21)와 웹 상점(22) 등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측의 요소가 해당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로 대체된다.
도 1에는 PC방 측과 충전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측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는 개별 PC(11)에 설치되는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예: 12)와 PC방 관리 컴퓨터(13)에 설치되는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이루어진다. 이 때,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통신망(15)을 통해 충전중계서버(16)와 통신하면서 PC방 사용자에 대한 충전 대행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와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를 구성하는 하나의 실시예는 해당 컴퓨터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는 PC방의 각 PC에 설치되어 PC(11)의 사용자가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특정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는 입력부(12-1), 전송부(12-2), 응답수신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1)는 사용자가 게임의 종류, 게임 계정, 충전요청금액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PC(11)의 모니터 화면상에 구비된 일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입력부(12-1)는 도 3a에 도시한 예와 같이 충전 요청을 위한 입력 화면을 출력하며, 사용자는 키보드(11-1)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게임 서비스의 종류, 게임 계정, 충전요청금액 등의 정보를 각각 해당 입력란(31,33,34)에 입력한다.
게임 서비스의 종류란 사용자가 충전하고자 하는 게임 계정을 가지고 있는 게임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게임의 명칭(예: 엔씨소프트사의 리니지)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메뉴 버튼(32)을 클릭하면 해당 PC방에서 충전을 대행할 수 있는 게임 서비스의 목록이 나타나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서비스를 선택하면 해당 입력란(31)에 자동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게임 계정 입력란(33)에 충전 대상인 게임 계정 이름(예: abcde)를 입력하고, 충전요청금액 입력란(34)에는 충전을 원하는 금액을 입력한다.
그리고, 보내기 버튼(36)을 클릭하면 입력된 정보가 전송부(12-2)에 의해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전송되며, 취소 버튼(35)을 클릭하면 충전 요청 시도가 취소된다.
응답수신부(12-3)는 전송부(12-2)에서 전송한 충전 요청에 따라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가 응답해주는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충전 요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또는 어떠한 오류가 발생하여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PC(11)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해 준다. 도 3b에는 충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출력된 창(37)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3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예일 뿐이며, 입력부(12-1)와 응답수신부(12-3)가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는 PC방의 관리 컴퓨터(13)에 설치되고, LAN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C(11)에 설치된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와 통신한다. 또한, 개별 사용자의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주는 충전중계서버(16)와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15)을 통해 통신하여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가 요청한 특정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자면,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는 충전요청접수부(14-1), 충전대행요청부(14-2), 충전결과수신부(14-3), PC방 관리부(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전요청접수부(14-1)는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로부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PC방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대행요청부(14-2)는 수신된 충전 요청 메시지에 따라 PC방 관리자가 해당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을 요청하는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통신망(15)을 통해 충전중계서버(16)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충전대행요청부(14-2)가 PC방 관리자와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충전중계서버(16)에서는 어떤 PC방이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 확인을 위하여 PC방 식별정보가 필요하도록 구성한다면 충전대행요청부(14-2)는 PC방 관리자가 PC방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PC방 관리 컴퓨터(13)에 기 저장되어 있는 PC방 식별정보를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에 자동으로 부가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중계서버(16)가 자신에게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컴퓨터 장치의 IP 주소를 통해 상기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면 PC방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절차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충전결과수신부(14-3)는 통신망(15)을 통해 충전중계서버(16)가 전송해주는 충전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결과를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면,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의 응답수신부(12-3)가 이 결과를 수신하여 도 3b에 도시한 예와 같은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PC방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PC방 관리부(14-4)는 기본적으로 PC방의 각 PC에 대한 사용시간이나 사용요금 등 PC방 관리를 위한 각종 사용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PC방 관리부(14-4)는 충전결과수신부(14-3)가 충전중계서버(16)로부터 수신한 충전 대행 서비스의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 따라 해당 PC의 사용 상태 정보로서 관리한다.
도 4를 참조하여 PC방 관리부(14-4)에서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하자면, UI 화면(40)에는 PC방에 설치되어 있는 각 PC별로 현재 사용 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UI 화면(40)을 이용하여 PC방 관리자는 각 PC의 사용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충전결과수신부(14-3)를 통해 PC(11: PC 1)에서 이루어졌던 충전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는, 도 5에 도시한 예와 같이 UI 화면(40)의 'PC 1' 항목(41)에 충전 내역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PC방 관리자는 충전이 수행된 직후에 충전요금을 수수하거나, PC방 사용자가 PC방의 이용을 종료하고 퇴실할 때 충전요금을 수수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UI 화면(40)의 예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UI 화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C방 사용자는 PC방 관리자에게 요청하는 것으로 자신의 게임 계정을 충전시킬 수 있게 되며, 충전은 일단 PC방의 비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PC방과 충전중계서버 사업자 등의 사이에서 충전 대행을 수행해 준 비용에 대한 정산이 필요하게 되며, 정산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PC방이 충전중계서버(16)에 미리 충전 대금을 충전해 놓은 후 이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PC방 사용자들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PC방이 충전중계서버(16)의 사업자가 지정한 인터넷 사이트나 콜센터(Call Center)를 통해 충전해 놓거나 지정된 은행계좌에 입금하여 충전해 놓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에서 이러한 충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 PC방 관리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자면,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는 위에서 설명한 충전요청접수부(14-1), 충전대행요청부(14-2), 충전결과수신부(14-3), PC방 관리부(14-4) 이외에도 PC방 충전부(14-5)와 조회부(14-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PC방은 도 1에 도시한 예와 같이 충전중계서버(16)에 계좌를 가지고 있으며, 충전중계서버(16)는 당사자간 계약이나 통신망을 이용한 회 원가입절차 등을 이용하여 각 PC방의 PC방 회원 아이디(ID), 비밀번호, PC방 대표자의 성명, PC방의 주소, PC방에 구비된 각 PC와 PC방 관리 컴퓨터의 IP 주소 등 자신에게 충전 대행을 요청할 수 있는 각 PC방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PC방 충전부(14-5)는 통신망(15)을 통해 충전중계서버(16)와 통신하여 충전중계서버(16)에 개설되어 있는 해당 PC방 계좌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C방 충전부(14-5)를 통한 충전시에는 신용카드나 휴대폰 등 각종 결제방법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즉시 충전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결제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조회부(14-6)는 충전중계서버(16)와 통신하여 해당 PC방 계좌의 잔고 정보 등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나 통계 정보 등 충전 대행 서비스와 관련한 각종 정보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즉, PC방 관리자가 조회부(14-6)를 통해 충전중계서버(16)로 조회를 요청하면, 충전중계서버(16)는 현재 해당 PC방 계좌의 잔고, 충전 대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거래 내역, 통계 정보 등 각종 관련 정보를 PC방 관리 컴퓨터(13)로 전송해 주게 되며, 조회부(14-6)는 이 조회 결과 메시지를 받아 출력한다. 이에 따라 PC방 관리자는 PC방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이 있을 때 현재 잔고를 확인하는 등 임의의 시점에 자신의 계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대행 시스템은 충전중계서버(16)와 전자지불서버(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중계서버(16)는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15)을 통해 위에서 설명한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와 통신한다. 그리고,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부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 권한이 있는 전자지불서버(17)와 통신하여 해당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을 수행해 줄 것을 요청하고, 전자지불서버(17)로부터 이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받아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전송해 준다.
이때 충전중계서버(16)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충전 대행을 위한 비용 결제를 위하여 PC방별 계좌(16-1)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충전중계서버(16)는 전자지불서버(17)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따른 응답 메시지에 따라 충전 대행 요금을 해당 PC방 계좌에서 차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감하는 충전 대행 요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충전 대행이 요청된 금액만큼만 차감할 수도 있고, 충전 대행 서비스와 관련한 일정 수수료를 추가하여 차감할 수도 있으며, PC방에서 충전 서비스를 이용해 준 대가의 의미로 오히려 충전 대행이 요청된 금액보다 할인된 금액만을 차감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지불서버(17)는 충전중계서버(16)로부터 특정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게임 계정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충전중계서버(17)로 전송해 준다. 여기서, 전자지불서버(17)란 각 게임 서버(21)에서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별 게임 계정(17-1)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서버를 의미한다.
그러면, PC방 사용자는 자신의 게임 계정이 충전되었으므로 충전된 지불수단을 이용하여 게임 서버(21)에서 제공하는 유료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각종 게임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상점(22)을 통해 필요한 게임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충전 대행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PC방 관리자는 충전중계서버(16)에 개설되어 있는 자신의 계좌를 미리 충전시켜 놓는다(S70-1). 이 계좌는 PC방이 PC방 사용자들의 충전 요금을 대신 지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PC방을 찾은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PC에 설치되어 있는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가 제공하는 UI 화면에 게임 서비스의 종류, 게임 계정, 충전금액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한다(S70-2). 이 충전 요청 메시지는 PC방 관리 컴퓨터에 설치된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전달되어 PC방 관리자에게 표시되며, PC방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중계서버(16)로 충전 대행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전송된다(S70-3).
충전중계서버(16)는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PC방 식별정보 또는 IP 주소 등을 통해 해당 PC방을 확인하고, 이 PC방 계좌의 잔고가 충전 대행 요금을 지불하기에 충분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0-4).
충전중계서버(16)는 단계 S70-4에서의 확인 결과 잔고가 충분하지 않으 면(S70-5),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S70-6),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는 단계 S70-2에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다(S70-7).
그러나, 충전중계서버(16)는 단계 S70-4에서의 확인 결과 잔고가 충분하면(S70-5), 단계 S70-3을 통해 수신한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의 게임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여 해당 게임 서비스에 대한 충전 권한이 있는 전자지불서버(17)로 충전을 요청한다(S70-8).
전자지불서버(17)는 충전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의 게임 계정이 자신이 관리하는 게임 계정이 맞는지를 확인한다(S70-9).
전자지불서버(17)는 단계 S70-9에서의 확인 결과 자신이 관리하는 게임 계정이 아닌 경우에는(S70-10), 이를 알리는 오류 메시지를 충전중계서버(16)로 전송하고(S70-11), 이 오류 메시지는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와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로 차례로 전송된다(S70-12,S70-13).
그러나, 전자지불서버(17)는 단계 S70-9에서의 확인 결과 자신이 관리하는 게임 계정인 경우에는(S70-10), 해당 게임 계정에 대하여 충전을 수행하고(S70-14), 충전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을 알리는 충전 완료 메시지를 충전중계서버(16)로 전송한다(S70-15).
그러면, 충전중계서버(16)는 해당 PC방의 계좌에서 충전 대행 요금을 차감하고(S70-16), 충전 완료 메시지를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로 전송한다(S70-17).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14)는 단계 S70-2에서 충전을 요청한 해 당 PC에서 충전 요청 금액만큼 추가 요금이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고(S70-18),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로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70-19).
이제, 단계 S70-2에서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의 PC 모니터 화면에는 도 3b에도시한 예와 같은 충전 완료 메시지가 출력되며, 사용자는 해당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자신의 계좌에 충전된 지불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PC방 관리자는 해당 사용자의 퇴실시 PC방 이용 요금에 충전 요금을 합산하여 수수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충전 요금을 정산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방에서 게임, 만화방, 영화관, 학습 등 PC방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각종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주고 충전 요금은 PC방 이용료에 포함시켜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PC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신용카드 등 유효한 온라인 결제수단을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손쉽게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할 수 있다.
PC방 업주의 입장에서는 충전을 대행해 주는 대신 일정한 수수료를 받을 수 있고,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PC방 현장에서의 충전이라는 새로운 판매방식을 개척하여 추가 매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온라인 결제수단이 마 땅하지 않은 연령층의 사용자들도 충전 가능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충전중계서버를 별도의 제3사업자가 운영하는 경우에는 충전 대행을 위한 수수료 수익을 얻을 수 있고, PC방에 대한 선충전 방식을 통해 기간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Claims (8)

  1. PC방의 각 PC에 설치되고, 상기 PC의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PC방의 관리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PC방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고,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을 대행해 주는 충전중계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요청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하는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PC의 사용자가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의 종류, 계정, 충전요청금액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대한 충전 요청 메시지를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전송부가 전송한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전송해주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PC의 화면에 표시하는 응답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충전요청접수부;
    상기 수신된 충전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특정 온라인 서비스 계정에 대한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상기 충전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충전대행요청부;
    상기 충전대행요청부가 전송한 상기 충전 대행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중계서버가 전송해주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응답 결과를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충전결과수신부; 및
    상기 PC방의 각 PC별 사용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충전결과수신부가 상기 충전중계서버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였던 PC의 사용 상태 정보로서 관리하는 PC방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중계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충전중계서버에 개설되어 있는 해당 PC방 계좌를 충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PC방 충전부; 및
    상기 충전중계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PC방 계좌의 잔고와 거래 내역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조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PC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PC와 PC방 관리 컴퓨터에 각각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6.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온라인 서비스의 계좌에 대한 충전 권한이 있는 전자지불서버와 통신하여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전자지불서버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받아 상기 PC방 관리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충전중계서버; 및
    상기 충전중계서버로부터의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해당 온라인 서비스의 계정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그 처리 결과에 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충전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전자지불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전 대행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중계서버는 각 PC방별 계좌를 관리하여 상기 각 PC방에서 자신의 계좌를 충전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자지불서버로부터의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충전 대행과 관련한 요금을 해당 PC방 계좌에서 차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행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중계서버는 상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에 실려 있는 PC방 식별 정보, 및 상기 충전 대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컴퓨터 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C방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대행 시스템.
KR1020070020784A 2007-03-02 2007-03-02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KR20080088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84A KR20080088673A (ko) 2007-03-02 2007-03-02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84A KR20080088673A (ko) 2007-03-02 2007-03-02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673A true KR20080088673A (ko) 2008-10-06

Family

ID=4015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784A KR20080088673A (ko) 2007-03-02 2007-03-02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86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568A (ko) * 2013-12-10 2015-06-18 조승훈 Pc방 통합 결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568A (ko) * 2013-12-10 2015-06-18 조승훈 Pc방 통합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260A (en) System and method for parent-controlled charging for on-line services
JP5027386B2 (ja) 支払い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79353B1 (ko)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524507B2 (en) Communication device input interfaces for use in determining a more accurate cost of an item
KR101949526B1 (ko) 더치 페이 시스템
US7634445B1 (en) Method for billing internet transactions via mobile radio telephone service
JP2002133324A (ja) ユーザ情報管理装置、ユーザ情報管理方法及び電子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9175186A (ja) キャッシュレスシステム
KR20040089667A (ko) 과금 방법, 정보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1584790B1 (ko) Pc방 통합 결제 시스템
KR20110127891A (ko) 대리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리결제 서비스 방법
JP6837171B2 (ja) 入金管理装置、入金管理方法及び入金管理プログラム
AU2013239044B2 (en) Unified identity management for mobile web payments
JP2009026116A (ja) 仮想商店街管理システム
JP6695926B2 (ja) 通信システム
KR20010087576A (ko) 인터넷 뱅킹 통합 계좌이체 시스템
KR20080088673A (ko) Pc방에서의 충전 대행 장치 및 충전 대행 시스템
KR20080084874A (ko) 아이템 구매 대행 장치와 그 방법, 게임 서비스 시스템,아이템 구매 대행을 위한 pc방 관리 장치
KR20140124557A (ko) 방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1781636B1 (ko) 공유아이디 이용하는 유선온라인상거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267A (ko) 모바일 기반의 대금 수납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8192B1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및 사용 방법
JP6355692B2 (ja) 請求額決定装置、請求額決定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WO2011158121A2 (en) Multidevice payment system
KR101902696B1 (ko) 디지털 콘텐츠 제공 서비스와 연계된 금융상품 운용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1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