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252A -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252A
KR20080088252A KR1020070030980A KR20070030980A KR20080088252A KR 20080088252 A KR20080088252 A KR 20080088252A KR 1020070030980 A KR1020070030980 A KR 1020070030980A KR 20070030980 A KR20070030980 A KR 20070030980A KR 20080088252 A KR20080088252 A KR 2008008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touch
image
sensor unit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627B1 (ko
Inventor
김양래
한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07003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627B1/ko
Priority to PCT/KR2007/001651 priority patent/WO2008120834A1/en
Priority to US12/593,540 priority patent/US20100128005A1/en
Publication of KR2008008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대각선 또는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근접되는 사물 또는 인체를 상기 광학센서유닛 또는 상기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인체나 사물의 초점이 정확한 이미지를 얻어 이미지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이미지프로세서와,
상기 이미지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위치되는 사물의 초점 거리를 계산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신값을 인가하여, 터치영역에 해당하는 호스트측 데이터베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측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일정 위치의 특정 지점에 터치된 인체나 사물의 위치를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위치를 자동 계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을 계산하여 위치를 자동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으로 근접되는 인체나 사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각선 또는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단계(S10)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근접한 인체나 사물의 정확한 터치 유무 판별을 위하여 보완센서를 구비하여 터치 유무를 감지하여 입력받는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S20)와,
상기 이미지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이미지를 이미지프로세서가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S30)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S30)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 신호를 컨트롤러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S40)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에서 보내지는 디지털 신호 데이터는 컨트롤러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에 위치되는 인체나 사물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보정하는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와,
상기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인체 또는 사물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에 터치 유무 상태 여부를 구별 처리하기 위한 보완센서 데이터 처리단계(S60)와,
상기 보완센서 데치터 처리단계(S60)와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에서 계산되는 좌표값을 통신을 통해 호스트측으로 전송하는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S70)와,
상기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S70)에서 입력된 값을 PC 등의 호스트가 입력받아 해당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프로그램에 탑재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커서드라이브 및 디스플레이 패널 출력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형, 중형, 대형에 상관없이 터치패널영역의 구현작업이 가능하고 전도물질 등을 유리 표면에 코팅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생산 코스트를 절감하고,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구비되도록 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내에서 다수의 센싱 작업에 의한 여러 작업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외부 오염 원인에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아 오동작에 의한 손실을 극소화 시킬 수 있으며, 선형적 센싱 작업이 가능하고 유리 본연의 최대 해상도와 투과율을 얻을 수 있어 유리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게 되어,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난 유리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광학센서유닛, 터치패널, 이미지센서, 이미지프로세서, CCD이미지센서, CMOS 이미지센서, 컨트롤러, 보완센서

Description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THE TOUCH PANEL BY OPTICS UNIT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시스템을 블럭화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터치시 출력과정을 블럭화한 단계별 블럭도
도 3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일예를 도시한 개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센서유닛의 자동 터치 위치 조정의 일예에 의한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디스플레이패널 11; 터치패널영역
20; 개별 광학센서 30; 이미지프로세서
31; 광학센서유닛 40; 신호변환부
50; 컨트롤러 60; 데이터출력부
70; 보완센서 80; 커서드라이브
90; 인체나 사물
S10; 이미지 입력단계
S20;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
S30;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
S40;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
S50;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
S60; 보완센서 데이터 처리단계
S70;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
S80; 커서드라이브 및 디스플레이 출력단계
본 발명은 광학센서유닛을 이용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측으로 지시되는 지시부분을 광학센서유닛에 의해 촬영되도록 하고, 그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판독하여 얻어지는 좌표값을 분석,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측의 지시 위치를 검출, 해당 지시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정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개인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및 디지타이저(Digitizer) 등 다양한 입력장 치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등이 디스플레이 패널(LCD 등)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통한 데이터 처리 과정으로부터 발전하여,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여 간단하면서도 오동작이 적고 입력이 가능하고 다른 입력기기 없이 문자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 터치패널(Touch Panel)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한 터치패널에 의한 검출방식과 구조 및 성능 등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는바, 예컨데 스페이서에 의해 격리되고 눌림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두개의 저항 성분 시트를 합쳐 놓아 구성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초음파 입력 방식, 적외선 입력 방식, 전자유도방식 등이 있다.
이중에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의 조합으로 전자수첩, PDA, 휴대용 PC 등 입력기기로서 많이 보급되어 박형, 소형, 경량 또는 저소비전력 등에서 다른 방식에 비해 유리한 설계 방식으로 알려져 있는 저항막 방식은 투명전극(ITO)층이 코팅 되어 있는 두장의 기판을 Dot Spacer를 사이에 두고 투명 전극 층이 서로 마주보게 합착시키는 구조를 이루어져, 손가락이나 펜 등에 의해 상부 기판을 접촉하였을 때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며, 하부 기판의 투명 전극층과 접촉되었을 때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여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동작 원리를 갖는 것으로, 응답속도와 경제성이 있는 반면에 내구성이 저하되고 파손의 위험이 큰 단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터치화면 센서를 구성하는 SUBSTRATE의 양면에 특수 전도성 금속(TAO; Tin Antimony Oxide) 물질을 코팅 처리하여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일정량의 전류를 유리표면에 흐르게 하는데, Parasitic Capacitance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하여 인체내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전류의 양이 변경된 부분을 인식하고 크기를 계산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원리를 갖는 것이나, 인체의 정전용량을 이용하게 되므로 펜이나 장갑 등을 낀 손에 의해서는 동작이 어려우며 외부환경의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구조 및 회로의 설계가 어려워 사용상 한계가 있으며, 대형 크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품의 제작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고 또한 유리 표면의 긁힘 현상에 취약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방식의 경우, 압압효과를 응용한 압전소자가 사용되는데, 터치패널 접촉시 발생되는 표면파를 X와 Y 방향으로 교대로 발생시켜 각각의 입력점까지 거리를 파악하여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해상도와 광투과율이 높지만 센서의 오염과 액체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적외선 방식의 경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패널 주위에 다수 배치하여 메트릭스를 만드는 구조로, 사용자에 의해 광선을 차단하게 되면 그 차단된 부분의 저하되는 출력지점의 X,Y 좌표를 얻어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원리로, 오버레이를 사용하지 않아 광 투과율이 높으며 외부충격이나 긁힘에 대한 강한 내구성을 갖고 있으나, 부피가 크고 적외선을 이용한 모니터의 경우 부정확한 터치에 대해서는 식별성이 저하되고, 응답속도 또한 느린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각 터치방식은 각각의 특성 및 단점으로 인하여 터치영역의 크기 등에 따라 이에 선택되는 각 터치방식에 의한 구현에 국한되어져 용도별 제작 및 적용 가능 기술에 대한 제한으로 인하여 동일 시스템을 구성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뷰앵글 즉 터치영역의 소형에서 대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시스템으로 터치 방식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영역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긁힘에 영향이 없도록 하고, 균일한 센싱 동작과 정확한 터치의 거리 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응답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각 터치패널 구현 방식에서 필요로 하는 도전을 위한 코팅층 등이 필요치 않도록 설계 가능하고, 내구성, 광투과율, 해상도가 우수한 터치패널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대각선 또는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근접되는 사물 또는 인체를 상기 광학센서유닛 또는 상기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인체나 사물의 초점이 정확한 이미지를 얻어 이미지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이미지프로세서와,
상기 이미지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위치되는 사물의 초점 거리를 계산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신값을 인가하여, 터치영역에 해당하는 호스트측 데이터베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측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일정 위치의 특정 지점에 터치된 인체나 사물의 위치를 한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위치를 자동 계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을 계산하여 위치를 자동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으로 근접되는 인체나 사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각선 또는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단계(S10)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근접한 인체나 사물의 정확한 터치 유무 판별을 위하여 보완센서를 구비하여 터치 유무를 감지하여 입력받는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S20)와,
상기 이미지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이미지를 이미지프로세서가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S30)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S30)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 신호를 컨트롤러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S40)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에서 보내지는 디지털 신호 데이터는 컨트롤러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에 위치되는 인체나 사물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보정하는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와,
상기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인체 또는 사물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에 터치 유무 상태 여부를 구별 처리하기 위한 보완센서 데이터 처리단계(S60)와,
상기 보완센서 데치터 처리단계(S60)와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에서 계산되는 좌표값을 통신을 통해 호스트측으로 전송하는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S70)와,
상기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S70)에서 입력된 값을 PC 등의 호스트가 입력받아 해당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프로그램에 탑재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커서드라이브 및 디스플레이 패널 출력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으로 근접되는 사물을 광학센서유닛을 통해 인식하고, 그 사물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패널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부 또는 대각선상으로 광학센서유닛(31) 또는 다수개로 되는 개별 광학센서(20)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유닛센서(31) 또는 개별 광학센서(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CD(Charge-Coupled Dvice) 이미지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채택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종래의 터치패널에 적용하기 위한 전도성 금속(TAO; Tin Antimony Oxide) 물질을 코팅하거나 또는 투명전극(ITO)층이 코팅 되어 있는 두장의 기판을 Dot Spacer를 사이에 두고 투명 전극 층이 서로 마주보게 합착시키는 구조 등의 번잡한 구조를 회피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터치패널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가 제외된 LCD, PDP, 유기EL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부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CCD(Charge-Coupled Dvice) 이미지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되는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31)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2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구비되는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31)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20)에, 사용자 등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터치패널영역(11)에 근접하였을 경우, 상기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31)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20)가 근접되는 사물을 촬상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영역(11)으로 명명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31)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20)에 의해 터치패널영역(11)에 근접된 인체나 사물(90)을 촬영한 후, 촛점이 정확하게 맺혀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다.
촛점의 정확한 상을 얻는 것은, 예컨데 카메라 렌즈에서의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를 얻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터치패널영역(11)에 근접한 인체나 사물(90)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S10),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터치패널영역(11)에 근접한 인체나 사물(90)의 정확한 터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별도로 채택되는 보완센서(70)에 의해 감지한 후 입력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S20)
즉,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10)의 터치패널영역(11)으로 근접하였을 때, 인체나 사물(90)의 터치 상태 여부를 확실히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보완센서(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적용되는 보완센서(70)는 인체나 사물(90)을 감지할 수 있는 여타의 센서 방식으로도 그 구성 및 적용이 가능한바, 예컨데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정전용량방식센서, 저항방식센서, 압전방식센서 등의 여러 방식으로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터치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에 의해 얻게 되는 이미지는 이미지프로세서(30)측으로 송신된 후, 이미지 처리를 거쳐 신호로 출력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30)
상기와 같이 이미지프로세서(3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변환부(40)에 의해 컨트롤러(5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되고(S40), 이와 같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 데이터는 컨트롤러(5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터치패널영역(11)측에 위치되는 인체나 사물(90)의 촛점 거리를 계산하고, 보정하여 터치패널영역(11)측에 위치되는 정확한 좌표값을 얻게 된다.(S50)
또한, 상기 보완센서(70)에서 얻어지는 감지 데이터에 의해서 인체나 사물(90)의 정확한 터치 유무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60)
이와 같이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와 보완센서 데이터 처리단계(S70)를 거쳐 계산되는 좌표값은 컨트롤러(50)의 통신을 통해 호스트측으로 데이터출력부(60)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 출력하게 되고(S70), 그 값을 입력받은 PC 등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10)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이 커서드라이브(80) 등의 구동에 의해 즉, 사용자가 해당 터치패널영역(11)의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로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S80).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호스트측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디스플레이되는 일정 위치의 특정 지점(100)에 터치 되는 인체나 사물(90)의 위치를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31)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20)가 그 위치를 자동 계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터치패널영역(11)을 계산하여 위치를 자동 보정하는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형, 중형, 대형에 상관없이 터치패널의 구현작업이 가능하고 전도물질 등을 유리 표면에 코팅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생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구비되도록 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내에서 다수의 센싱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오염 원인에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아 오동작에 의한 손실을 극소화 시킬 수 있으며, 선형적 센싱 작업이 가능하고 유리 본연의 최대 해상도와 투과율을 얻을 수 있어 유리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게 되며, 내구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뛰어난 유리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 패널 대각선 또는 모서리부위에 구비되는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근접되는 사물 또는 인체를 상기 광학센서유닛 또는 상기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검출하여 상기 인체나 사물의 초점이 정확한 이미지를 얻어 이미지 데이터 신호로 출력하는 이미지프로세서와,
    상기 이미지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위치되는 사물의 초점 거리를 계산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신값을 인가하여, 터치영역에 해당하는 호스트측 데이터베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측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일정 위치의 특정 지점에 터치된 인체나 사물의 위치를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가 위치를 자동 계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을 계산하여 위치를 자동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2.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으로 근접되는 인체나 사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 이 패널의 대각선 또는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는 한 개의 광학센서유닛 또는 다수개의 개별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받는 이미지 입력단계(S10)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영역에 근접한 인체나 사물의 정확한 터치 유무 판별을 위하여 보완센서를 구비하여 터치 유무를 감지하여 입력받는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S20)와,
    상기 이미지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이미지를 이미지프로세서가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S30)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단계(S30)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 신호를 컨트롤러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S40)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신호 변환단계에서 보내지는 디지털 신호 데이터는 컨트롤러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에 위치되는 인체나 사물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보정하는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와,
    상기 보완센서 감지 입력단계(S20)에서 입력된 감지 데이터로부터 인체 또는 사물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패널영역에 터치 유무 상태 여부를 구별 처리하기 위한 보완센서 데이터 처리단계(S60)와,
    상기 보완센서 데치터 처리단계(S60)와 위치설정 및 보정단계(S50)에서 계산되는 좌표값을 통신을 통해 호스트측으로 전송하는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S70)와,
    상기 위치 데이터 출력단계(S70)에서 입력된 값을 PC 등의 호스트가 입력받아 해당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프로그램에 탑재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처 리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커서드라이브 및 디스플레이 패널 출력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광학센서 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측으로 보완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센서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정전용량방식 센서, 저항방식 센서, 압전방식센서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유닛 또는 개별 광학센서는 CCD(Charge-Coupled Dvice) 이미지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KR1020070030980A 2007-03-29 2007-03-29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구동방법 KR10091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980A KR100915627B1 (ko) 2007-03-29 2007-03-29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구동방법
PCT/KR2007/001651 WO2008120834A1 (en) 2007-03-29 2007-04-04 The touch panel by optics unit sensor
US12/593,540 US20100128005A1 (en) 2007-03-29 2007-04-04 Touch panel by optics uni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980A KR100915627B1 (ko) 2007-03-29 2007-03-29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52A true KR20080088252A (ko) 2008-10-02
KR100915627B1 KR100915627B1 (ko) 2009-09-04

Family

ID=3980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980A KR100915627B1 (ko) 2007-03-29 2007-03-29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28005A1 (ko)
KR (1) KR100915627B1 (ko)
WO (1) WO20081208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60B1 (ko) * 2009-10-21 2011-02-14 주식회사위오스 터치스크린의 환경제어방법
KR101026001B1 (ko) * 2009-01-08 2011-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77B1 (ko) * 2008-10-15 2012-03-13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투명 점착시트 및 화상 표시장치
WO2012167735A1 (zh) * 2011-06-07 2012-12-13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触摸输入方法和控制方法
KR101293280B1 (ko) * 2011-07-15 2013-08-09 주식회사 오토닉스 멀티입력회로
TWI471765B (zh) * 2011-12-30 2015-02-01 Au Optronics Corp 三維互動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44383B (en) * 1993-10-22 1995-04-01 Ibm Touch-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monitor as a light source operating at an intermediate frequency
GB2286100A (en) * 1994-01-19 1995-08-02 Ibm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JPH10269012A (ja) * 1997-03-28 1998-10-09 Yazaki Corp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表示装置
JP4094794B2 (ja) * 1999-09-10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座標検出装置、情報記憶媒体および座標検出方法
AU2001272250A1 (en) * 2000-07-05 2002-01-14 Smart Technologies Inc. Camera-based touch system
US7746325B2 (en) * 2002-05-06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positioned accuracy for a determined touch inp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001B1 (ko) * 2009-01-08 2011-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013760B1 (ko) * 2009-10-21 2011-02-14 주식회사위오스 터치스크린의 환경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627B1 (ko) 2009-09-04
US20100128005A1 (en) 2010-05-27
WO2008120834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53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object and image display system having such device
KR100942293B1 (ko) 광을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패널 장치와시스템
KR102339546B1 (ko) 센서 스크린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JP5827807B2 (ja) タッチパネルのノイズ補償方法及び装置
KR102058699B1 (ko) 터치 및 휨 감지 기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064772B2 (en) Touch screen system having dual touch sensing function
US9703464B2 (en) Method of controlling user input using pressure sensor unit for flexible display device
US20080303786A1 (en) Display device
US20170357346A1 (en) Touch screen and pressure touch detection method
US20110242050A1 (en) Method and apparatus compensating parasitic capacitance in touch panel
US201103100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ouch coordinates in touch system
US20110134073A1 (en) Touch panel device of digital capacitive coupling type with high sensitivity
EP2146270A2 (en) Touch sensitive display apparatus
US20100182257A1 (en) Touch screen panel
KR20110111192A (ko) 터치 패널에서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446022B (zh) 触控屏幕系统
KR100915627B1 (ko) 광학센서유닛에 의한 응답구조를 갖는 터치패널 구동방법
US20170192586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etection method
JP5016896B2 (ja) 表示装置
KR1011373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39979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006792A (ko)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터치센서 칩에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KR100453167B1 (ko) 터치패널 및 그의 구동장치
US20230280857A1 (en) Touch sensing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piezoelectric film
US20100271337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