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570A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570A
KR20080087570A KR1020070030019A KR20070030019A KR20080087570A KR 20080087570 A KR20080087570 A KR 20080087570A KR 1020070030019 A KR1020070030019 A KR 1020070030019A KR 20070030019 A KR20070030019 A KR 20070030019A KR 20080087570 A KR20080087570 A KR 2008008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data
simulation
correlation data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418B1 (ko
Inventor
최동훈
윤상준
최병렬
Original Assignee
(주)프레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레이맥스 filed Critical (주)프레이맥스
Priority to KR102007003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하는 설계부와 입력받은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상관 관계 데이터 및 설계부에서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화면으로 표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시뮬레이션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계와 설계된 제품의 검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GUI, 설계, 디자인, 시뮬레이션

Description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by us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설계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설계 변수들을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이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실제 구현하고자 하는 설계의 대상의 형상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이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실제 구현하고자 하는 설계의 대상의 형상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간의 관계식을 정의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계하고자 하는 대상을 실제로 구현되어 실시 가능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순한 제품에서부터 초정밀의 전기/전자 제품 그리고 자동차, 항공기 등의 거대한 제품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의 거의 모든 제품들은 그 개발을 위해서 먼저 해당 제품을 설계하고, 시제품을 생산하거나 실험 등을 통해 본래 제품의 목적한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는지 검증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제품의 형태가 복잡해지고 특히 고비용의 제품의 경우 실제 실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설계의 수정과 실험을 반복하는 경우 그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품의 설계에서부터 검증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이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설계의 경우 종래 사람의 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던 것이 CAD와 같은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한, 실제 검증을 위한 실험에 있 어서도 시뮬레이션(Simulation) 즉, 가상 실험을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이 도입되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컴퓨터 등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한 설계와 시뮬레이션과 같은 검증 작업은 각각 별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설계가 이루어진 후 이를 실제 제품에 구현함에 있어서 제품이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불가피하게 제품의 설계 변경이 이루어지고 다시 실험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반복되어 제품 개발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설계와 검증을 위한 실험 즉 시뮬레이션이 연계되어 설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설계자가 단순히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면, 설계 변수 설정과 변수 사이의 연결 등은 일일이 아스키 코드(ASCII Code)로 표현된 텍스트를 찾아서 줄(row)과 열(column)을 정의해주거나 또 다른 보조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값을 복사하고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원하는 값으로 변경시켜주는 방식에 지나지 않아 설계자가 실제로 구현된 제품의 정확한 형상이나 형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계와 설계된 제품의 검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설계와 검증이 연계될 수 있어 설계가 이루어지는 경우 설계자가 실제로 구현된 제품의 정확한 형상이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 대상 물체(object)의 설계도 및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부; 입력받은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상관 관계 데이터 및 상기 설계부에서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화면으로 표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설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과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부는 상기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계도를 생성하고,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계부는 상기 설계 대상 물체를 해석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석 영역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정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계부는 상기 해석부의 판단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설계 변수에 의한 설계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GUI 제공부는 상기 생성된 설계도에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받은 설계 대상 물체(object)의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a); 상기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b); 상기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c); 상기 입력받은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d);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c)는 상기 생성된 설계도에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의 생성은 상기 설계 대상 물체를 해석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석 영역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설계 변수에 의한 설계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 방법이 구현되도록,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입력받은 설계 대상 물체(object)의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a); 상기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b); 상기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c); 상기 입력받은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d);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단계(c)는 상기 생성된 설계도에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의 생성은 상기 설계 대상 물체를 해석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석 영역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설계 변수에 의한 설계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장치의 구성을 살펴 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장치(100)는 입력부(110), GUI 제공부(120), 설계부(130) 및 해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설계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과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 등을 입력받 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복수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GUI 제공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설계 데이터에 따라 설계하고자 하는 대상 물체의 설계도를 그래픽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어 수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그래픽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GUI 제공부(120)는 생성된 설계도에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설게 대상 물체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계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설계 데이터에 따라 설계하고자 하는 대상 물체(object)의 형상을 설계도로 생성하여 GUI 제공부(120)를 통해 그래픽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계부(130)는 설계 대상 물체를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실제로 본래 목적한 기능에 맞게 동작 가능한지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생성은 먼저 설계 대상 물체를 해석 영역으로 구분하고, 입력받은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해석 영역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해석부(140)는 설계부(130)에서 구성된 대상 물체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설계 변수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검증을 위한 가상 실험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
즉, 해석부(140)은 설계부(130)에서 생성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수행된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 물체의 본래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해석부(140)에서의 판단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설계 변수에 의한 설계도를 최종적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의 입력 및 설계도 그리고 시뮬레이션 모델 및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는 모두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별도의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장치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설계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장치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되어 본 발명에 의한 설계 방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이 구현되는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데이터를 입력하면(S200), 설계하고자 하는 대상 물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계도가 그래픽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상에서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변경하고자 하는 부분의 설계 변수를 선택하고 해당 설계 변수를 입력하면(S202), 입력받은 설계 변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해석을 수행한다(S204).
도 2에서든 미도시하였으나 설계 변수 뿐만 아니라 설게 변수간의 관계나 다른 변수와 설계 변수와의 관계 등을 설정하여야 하는 경우 상관 관계 데이터의 선택 및 입력도 가능하다.
이러한 해석의 결과로 입력받은 설계 변수에 의해 대상 물체의 구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S206) 구현이 가능한 경우에는 입력받은 설계 변수에 따른 설계도를 그래픽 화면상에 표시한다(S208).
그러나 해석 결과 입력받은 설계 변수에 의해 대상 물체의 구현이 불가능한 경우인 경우에는 다시 사용자가 설계 변수를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단계 202로 돌아간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래픽 화면을 통해 자신이 입력하는 설계 변수가 실제 대상 물체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즉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설계 변 수의 입력으로 대상 물체가 구현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해석 결과도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헤드 슬라이더(head slider)의 형상을 설계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설계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기존의 헤드 슬라이더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초기 헤드 슬라이더 형상을 나타내는 설계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헤드 슬라이더의 설계도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부분을 설게 변수로 설정하여 입력하고 헤드 슬라이더의 다른 부분들과의 상관 관계 데이터도 입력한다.
그리고 헤드 슬라이더가 표시된 화면상에서 설계 변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설계 변수 값의 입력 즉 새로운 설계 데이터를 입력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설계 프로그램은 입력받은 새로운 설계 데이터인 설계 변수와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해석 결과 헤드 슬라이더가 본래의 헤드 슬라이더로서의 기능 즉, 하드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완성된 헤드 슬라이더의 도면인 설계도을 표시하여 제공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계 프로그램에 의하면 설계 대상 물체에 대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설계 대상 물체에서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부분 즉 새로운 설게 데이터를 입력하기만 하여도 설계 대상 물체가 실제로 구현되어 동작 가능한지 알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설계 변수들을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 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설계 변수, 설계 변수에 종속되는 변수, 비설계 변수 및 비설계 변수에 종속되는 변수를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설계 대상 물체의 도면과 설계 변수 및 기타 변수들의 위치가 도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를 예로 들어 살펴 보면, 도 3에서 번호 2는 설계 변수, 번호 3은 비설계 변수, 번호 4는 설계 변수에 종속되는 변수, 번호 5는 비설계 변수에 종속되는 변수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각각 선택하여 사용자가 변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계 변수 및 기타 변수들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도 4와 같이 설계 대상 물체의 대한 설계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이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실제 구현하고자 하는 설계의 대상의 형상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의 설계 도면에서 각각의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선택된 설계 변수 및 기타 변수들을 설계 도면상에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화살표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설계 변수 및 기타 변수들이 설계 도면상에서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 것인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변경하고자 하는 부분의 설계 데이터의 입력과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도 5와 같이 정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방법이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실제 구현하고자 하는 설계의 대상의 형상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간의 관계식을 정의하는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한 변수를 클릭하여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관 관계 데이터는 각각의 변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변화시키면 이러한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도면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설계 프로그램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설계 변수에 해당하는 설계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설게 대상 물체의 변화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구현된 제품의 정확한 형상이나 형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설게 도면이 검증을 위한 가상 실험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실제 구현 가능 여부도 사용자에게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설게 변수에 해당하는 설계 데이터의 입력으로 즉시 구현 가능한 설계인지 여부 또는 최적 설게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설계와 설계된 제품의 검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제 설계와 검증이 연계되어 설계가 이루어져 설계자가 실제로 구현된 제품의 정확한 형상이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설계 대상 물체(object)의 설계도 및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델을 생성하는 설계부;
    입력받은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상관 관계 데이터 및 상기 설계부에서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화면으로 표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과 설계 데이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부는,
    상기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계도를 생성하고,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부는,
    상기 설계 대상 물체를 해석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석 영역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정하여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부는,
    상기 해석부의 판단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설계 변수에 의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 제공부는,
    상기 생성된 설계도에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장치.
  7. 입력받은 설계 대상 물체(object)의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a);
    상기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b);
    상기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c);
    상기 입력받은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d);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생성된 설계도에 상기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델의 생성은 상기 설계 대상 물체를 해석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관 관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해석 영역들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설정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설계 변수에 의한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
  11. 설계 방법이 구현되도록,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입력받은 설계 대상 물체(object)의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도를 생성하는 단계(a);
    상기 생성된 설계도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b);
    상기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계 대상 물체의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c);
    상기 입력받은 설계 변수 및 상관 관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d);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수행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70030019A 2007-03-27 2007-03-27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8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19A KR100888418B1 (ko) 2007-03-27 2007-03-27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19A KR100888418B1 (ko) 2007-03-27 2007-03-27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70A true KR20080087570A (ko) 2008-10-01
KR100888418B1 KR100888418B1 (ko) 2009-03-11

Family

ID=4015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019A KR100888418B1 (ko) 2007-03-27 2007-03-27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52B1 (ko) * 2009-11-23 2013-03-2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역학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14182484A1 (en) * 2013-05-07 2014-11-13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Design environment for responsive graphical designs
US9389759B2 (en) 2013-05-07 2016-07-12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Environment for responsive graphical designs
US9703457B2 (en) 2013-05-07 2017-07-11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Variable dimension version editing for graphical designs
US9946806B2 (en) 2013-05-07 2018-04-17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Exporting responsive designs from a graphical design tool
US10592589B1 (en) 2018-08-21 2020-03-17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Multi-view masters for graphical desig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3287B (zh) * 2015-02-06 2017-09-26 成都能通科技有限公司 基于界面绑定统一模型的数字仿真框架设计方法
KR102522755B1 (ko) 2022-05-31 2023-04-18 박진석 시스템반도체 설계 인터페이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071A (ko) * 2002-10-21 2004-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통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050060300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테스트 시뮬레이션 결과의 애니메이션에 의한 회로 설계검증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25984A1 (en) * 2004-08-02 2006-02-0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transaction-based performance model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52B1 (ko) * 2009-11-23 2013-03-2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역학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14182484A1 (en) * 2013-05-07 2014-11-13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Design environment for responsive graphical designs
US9389759B2 (en) 2013-05-07 2016-07-12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Environment for responsive graphical designs
US9703457B2 (en) 2013-05-07 2017-07-11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Variable dimension version editing for graphical designs
US9946806B2 (en) 2013-05-07 2018-04-17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Exporting responsive designs from a graphical design tool
US10769366B2 (en) 2013-05-07 2020-09-08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Variable dimension version editing for graphical designs
US11409957B2 (en) 2013-05-07 2022-08-09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Variable dimension version editing for graphical designs
US10592589B1 (en) 2018-08-21 2020-03-17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Multi-view masters for graphical designs
US11068642B2 (en) 2018-08-21 2021-07-20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Multi-view masters for graphical designs
US11550988B2 (en) 2018-08-21 2023-01-10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Multi-view masters for graphical desig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418B1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418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설계 장치, 방법 및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Sall et al. JMP start statistics: a guide to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using JMP
John et al. Predictive human performance modeling made easy
Hartmann et al. Authoring sensor-based interactions by demonstration with direct manipulation and pattern recognition
US9501595B2 (en) Graphical design verification environment generator
Ludolph Model-based user interface design: Successive transformations of a task/object model
US7031899B2 (en) System for characterizing simulated circuit logic and behavior
WO2003058584A9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laboratory experiment
US8312400B2 (en) Verification supporting system
Mikhailov Programming with MATLAB for scientists: A beginner’s introduction
CN100511137C (zh) 图标生成装置、计算机可读介质以及生成图标的方法
JP2003173270A (ja) ソフトウェアデバッグ装置
Goguey et al. Storyboard-based empirical modeling of touch interface performance
US20160300554A1 (en) Musical score displaying and performing program, and musical score displaying and performing device
KR101240186B1 (ko) 가상 실험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US8015519B2 (en) Verification supporting apparatus, verification suppor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Thimbleby Action graphs and user performance analysis
Rothkopf et al. Towards the usability of reactive synthesis: Building blocks of temporal logic
JP5321286B2 (ja) プログラムモデル検査方法、プログラムモデル検査プログラム
JP5001126B2 (ja) ハードウェア検証用プログラミング記述生成装置、ハードウェア検証用プログラミング記述生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US10170088B2 (en) Computing device with touchscreen interface for note entry
John et al. Rapid theory prototyping: An example of an aviation task
JP4652072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機能付設計支援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ミュレーション機能付運転支援装置及び方法
Oghogho et al. Development of a Boolean logic simulator based on Quine McClusky algorithm
JP6021756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模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