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632A -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632A
KR20080086632A KR1020070028536A KR20070028536A KR20080086632A KR 20080086632 A KR20080086632 A KR 20080086632A KR 1020070028536 A KR1020070028536 A KR 1020070028536A KR 20070028536 A KR20070028536 A KR 20070028536A KR 20080086632 A KR20080086632 A KR 2008008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etwork
accident
network node
traffic acciden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2355B1 (ko
Inventor
이민구
강정훈
유준재
윤명현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3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1Energy harvesting
    • G08C2201/114Solar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는 센서 네트워크 노드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 사고 발생시 사고가 발생한 인접지역에 실시간으로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은 차량 내 이동 센서네트워크 노드와 도로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사고 지역의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의 인접한 다른 노드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HOWING THE FORWORD TRAFFIC ACCIDENT USING SENSOR NETWORK}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을 적용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는 센서 네트워크 노드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 사고 발생시 사고가 발생한 인접지역에 실시간으로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에 설치된 교통 정보 시스템은 교통 표지판 및 CC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있다. 교통 표지판은 상기 도로의 진행방향, 또는 차량을 운행중인 운전자가 소정의 목적지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거나, 사고 다발 지역이라는 확인하는 수단으로 쓰인다. 또한, CC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은 설치하는 비용이 고가일 뿐더러, 도로의 교통정보를 현장에서 수집하고 교통 중앙 상황실에서 이를 가공한 후에 다시 현장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현장에 있는 운전자가 정보를 제공받는데 시간적 딜레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적시에 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센서 네트워크 노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에 감지된 사고 정보 데이터를 사고가 발생한 인접 지역에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재전송함으로써 사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은 차량 내 이동 센서네트워크 노드와 도로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사고 지역의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의 인접한 다른 노드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사고 차량 내 이동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고 지역에 설치된 고정 센서 네트워크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 데이터는 사고 발생 사실과 함께 시퀀스 번호, 멀티-홉 카운트 및 포워딩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 멀티-홉 카운트 및 포워딩 횟수를 이용하여 재전송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은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며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와, 도로의 상황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하는 이상감지 센서부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이상감지 센서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사고 발생시 상시 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인접한 다른 노드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수 처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차량 내에 설치된 이동형 센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사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이상감지 센서부는 상기 점등수단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 변화, 습도 변화 및 진동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솔라 셀 및 축전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솔라 셀은 상기 점등수단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을 적용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은 이상감지 센서부(100),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 전원 공급부(120) 및 점등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이상감지 센서부(100)는 도로의 상황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감지 센서부(100)는 교통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충돌로 인한 온도 변화 및 진동, 날씨에 따른 습도 변화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밖의 다양한 정보에 따라 적용 및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로 상황의 최소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상감지 센서부(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물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는 이상감지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된 사고 정보 데이터를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는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중앙선을 따라 설 치된 고정물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각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 외부에 설치된 고정물에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는 차량 내에 설치된 이동형 센서 네트워크 노드(미도시)로부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각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의 구성은 통상적인 센서 네트워크 노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이상감지 센서부(100) 및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솔라 셀(120a) 및 축전 수단(120b)으로 구성된다.
솔라 셀(120a)은 태양 에너지를 취득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솔라 셀(120a)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의 상단에 위치하여 태양에너지를 취득할 수 있다.
축전 수단(120b)은 솔라 셀(120a)이 변환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점등수단(130)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의 제어에 따라 점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점등수단(130)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의 외부에 설치되어 사고 발생시 센서 네트워크 노드(110)의 제어에 따라 점등이 가능하다. 또한,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화염과 같은 급격한 온도 변화 및 충격으로 인한 진동 등을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 교통 사고 발생 지역에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를 감지한다(S410).
사고가 발생했다는 정보 데이터를 감지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S420).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설정된 각각의 센싱 범위, 즉,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 멀티-홉 카운트 및 포워딩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전송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결정된 상기 재전송 범위 이내에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재전송한다(S430).
상기 교통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은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에 따라 점등 수단을 점등한다(S44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 며,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사고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차량 내에 이동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S610).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 사고 발생 지역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고를 감지한다(S620).
사고가 발생했다는 정보 데이터를 감지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S630).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설정된 각각의 센싱 범위, 즉,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 멀티-홉 카운트 및 포워딩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전송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결정된 상기 재전송 범위 이내에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재전송한다(S640).
상기 교통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은 각각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에 따라 점등 수단을 점등한다(S650).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는 센서 네트워크 노드간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한 인접 지역에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실시간으로 사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솔라 셀을 사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3)

  1. 차량 내 이동 센서네트워크 노드와 도로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 센서 네트워크 노드 간의 통신을 통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사고 지역의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사고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접한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자신의 인접한 다른 노드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고 차량 내 이동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고 지역에 설치된 고정 센서 네트워크가 사고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는 사고 발생 사실과 함께 시퀀스 번호, 멀티-홉 카운트 및 포워딩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고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 멀티-홉 카운트 및 포워딩 횟수를 이용하여 재전송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6.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며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센서 네트워크 노드와,
    도로의 상황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하는 이상감지 센서부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이상감지 센서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사고 발생시 상시 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인접한 다른 노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방수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차량 내에 설치된 이동형 센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사고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 센서부는 상기 점등수단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 센서부는 온도 변화, 습도 변화 및 진동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솔라 셀 및 축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 셀은 상기 점등수단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시스템.
KR1020070028536A 2007-03-23 2007-03-23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86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36A KR100862355B1 (ko) 2007-03-23 2007-03-23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536A KR100862355B1 (ko) 2007-03-23 2007-03-23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632A true KR20080086632A (ko) 2008-09-26
KR100862355B1 KR100862355B1 (ko) 2008-10-13

Family

ID=4002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536A KR100862355B1 (ko) 2007-03-23 2007-03-23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402A2 (en) * 2009-10-16 2011-04-2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grated ro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wo-way communications
KR20230102341A (ko) * 2021-12-30 2023-07-07 (주)에이치브레인 AIoT 기반 교통안전 통합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318B1 (ko) * 2000-12-01 2004-04-29 (주)아이큐리랩 상호 도로 정보 시스템
KR100698633B1 (ko) * 2004-11-02 2007-03-21 김종덕 송전탑 관리시스템
KR20070001862A (ko) * 2006-12-14 2007-01-04 김행남 도로위험 사전 경보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402A2 (en) * 2009-10-16 2011-04-2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grated ro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wo-way communications
WO2011046402A3 (en) * 2009-10-16 2011-10-1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grated ro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wo-way communications
KR20230102341A (ko) * 2021-12-30 2023-07-07 (주)에이치브레인 AIoT 기반 교통안전 통합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355B1 (ko) 200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988B1 (ko) 교통정보 검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루프검지장치
US8681017B2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communication inside tunnel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332117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인텔리전트 led 도로 및 교통안전 표지
KR101586011B1 (ko) 충돌 감지 장치를 가지는 도로 펜스 장치
JP2007018126A (ja) 崩壊監視システム
KR20110096466A (ko)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한 통과높이제한시설물
KR20130067152A (ko) 센서 노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돌 정보 전달 방법
KR20220031442A (ko) V2x 메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0862355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통사고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2244178B1 (ko) 스마트 도로 중앙분리대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전달 시스템
CN101563714A (zh) 太阳能供电的安全系统
JP2009271731A (ja) 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20220138441A (ko) 태양광 발전 기반의 재난안전 경보 시스템
JP2007026223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5440669B2 (ja) 違法電波の判定方法、判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11428B1 (ko) 지상 구조물 부착형 방식전위 측정장치
JP2007067533A (ja) 車両間通信システム
JP2010092114A (ja) 走行車両支援システム
JP4649826B2 (ja) 道路灯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KR20070100587A (ko) 교통사고 감지 장치와 교통사고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교통상황 보고 시스템
JPH10142285A (ja) 送電線路の事故情報伝送システム
JP5077197B2 (ja) 電波監視装置
US20200152054A1 (en) Traffic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KR20110100745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JP2020133265A (ja) 接触検知システム、その装置子機、その装置親機、および接触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