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105A -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 Google Patents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105A
KR20080086105A KR1020070027801A KR20070027801A KR20080086105A KR 20080086105 A KR20080086105 A KR 20080086105A KR 1020070027801 A KR1020070027801 A KR 1020070027801A KR 20070027801 A KR20070027801 A KR 20070027801A KR 20080086105 A KR20080086105 A KR 2008008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ne
connector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필
Priority to KR102007002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6105A/ko
Publication of KR2008008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전기적인 연결 및 개방이 자유롭고, 방수기능을 갖고 있는 엘이디 모듈이 제공된다. 엘이디 모듈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은 엘이디 칩을 탑재한다. 제 1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드, 및 패드의 단부를 노출하도록 패드를 둘러싸는 제 1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 2 커넥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핀형 단자, 및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핀형 단자를 둘러싸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는 패드의 단부 및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접촉 또는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개방된다.

Description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LED module including connectors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모듈을 보여주는 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1 커넥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 1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 1 하우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 1 하우징의 V-V'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 1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제 1 하우징의 전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제 2 커넥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제 2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제 2 하우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 2 하우징의 XI-X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제 2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제 2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모듈들의 연결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 이용되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는 발광 다이오드로 불릴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을 기반으로 한 엘이디 모듈은 디스플레이 분야, 예컨대 광고용 간판의 배광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 모듈들은 전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길이 및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엘이디 모듈들의 연결은 각각의 인쇄회로기판들과 전선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들은 엘이디 모듈들의 전기적인 연결 및 개방을 자유롭게 하면서, 옥외 사용을 위해서 방수 기능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통상적인 커넥터들은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달성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엘이디 모듈들의 인쇄회로기판에 전선을 직접 납땜으로 고정하는 형태로 엘이디 모듈들을 연결하고, 하우징에 액상의 수지를 붇고 굳혀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굳어진 수지가 커넥터의 연결 부분을 둘러싸고 있어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커넥터가 고정됨에 따라서, 엘이디 모듈들의 연결 및 개방이 자유롭지 못하고, 따라서 엘이디 모듈들의 배치 및 위치 설정이 어렵다.
다른 예로, 인쇄회로기판과 전선에 각각 암수 형태의 커넥터를 배치하여 커 넥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구조를 이용하면, 엘이디 모듈들은 자유롭게 연결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모듈들의 배치 및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 다양한 형태에 간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 모듈들이 각각 분리될 수 있어서, 취급 및 수리에도 유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 구조는 연결 부분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봉되기 어렵고 따라서 방수 기능을 갖기 어렵다.
나아가, 통상적인 엘이디 모듈들은 극성을 갖는다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엘이디 모듈은 다이오드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그 연결 방향이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엘이디 모듈들을 서로 연결할 때, 그 극성을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인 연결 및 개방이 자유롭고, 방수기능을 갖고 있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고, 부가하여 방향성을 갖지 않는 엘이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모듈이 제공된다. 엘이디 소자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제 1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드, 및 상기 패드의 단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패드를 둘러싸는 제 1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 2 커넥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핀형 단자, 및 상기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상기 핀형 단자를 둘러싸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 넥터는 상기 패드의 단부 및 상기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접촉 또는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개방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패드가 삽입되는 제 1 구멍, 및 상기 제 1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패드의 단부를 노출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 2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핀형 단자가 삽입되는 제 3 구멍, 및 상기 제 3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노출하고 상기 패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내부로 신장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개구 내의 상기 핀형 단자의 반대편에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 1 회선, 상기 제 1 회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된 2 회선 및 제 3 회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선은 제 1 극성을 갖고, 상기 제 2 회선 및 상기 제 3 회선은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인 제 2 극성을 공통으로 갖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이디 소자는 상기 제 1 회선 및 상기 제 2 회선 사이에 또는 상기 제 1 회선 및 상기 제 3 회선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모듈을 보여주는 조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이디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5) 및 그 커넥터 구조를 포함한다. 엘이디 모듈은 디스플레이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이디 모듈은 간판 등의 배광체로 이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용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 구조는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커넥터 구조는 암수 한 쌍으로 구분되나, 이 실시예에서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는 암수 구분 없이 임의의 순서로 불릴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는 인쇄회로기판(10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205)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는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05) 및 전선(205)은 전기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모듈은 제 1 및 제 2 커넥터들(100, 200) 및 전선(205)을 이용하여 다른 엘이디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엘이디 모듈들의 연결이 자유롭고 따라서, 이들은 다양한 형상으로 연결되거나,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 모듈은 다양한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 모듈들은 서로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취급과 수리가 용이하다.
인쇄회로기판(105) 및 전선(205)의 연결 부분은 제 1 하우징(120) 및 제 2 하우징(210)에 의해서 밀봉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10)은 제 1 하우징(12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우징(120)이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제 1 하우징(120)은 제 2 하우징(210)을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하우징(120) 및 제 2 하우징(210)이 밀착하여 체결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05) 및 전선(205)의 연결 부분은 외부의 물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엘이디 모듈은 커넥터 구조의 훼손 없이 외부의 물기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 1 하우징(120)이 제 2 하우징(210)을 압착함에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05)과 전선(205)의 접촉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방식은 통상의 스프링을 이용한 접촉 방식과 비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105),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 1 커넥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 1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하우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 1 하우징의 V-V'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 1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제 1 하우징의 전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0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이디 소자(110)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15)는 엘이디 소자(110)의 입력 또는 출력 단자로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배선 라인(미도시)을 통해서 엘이디 소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 드(115)의 수는 엘이디 소자(110)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엘이디 소자(110)는 적어도 2개의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그 직렬 또는 병렬 배치에 따라서 다수의 단자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05)은 바 타입 구조를 갖고, 패드(115)는 인쇄회로기판(105)의 단부에 평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105)은 제 1 하우징(12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단에 돌출부를 만들고, 이 돌출부에 패드(1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에 있어서, 1 하우징(120)은 단자로 이용되는 패드(115)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20)은 제 1 구멍(125) 및 제 2 구멍(1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멍(125)은 제 1 하우징(120)의 배면으로부터 내부로 신장할 수 있고, 제 2 구멍(130)은 제 1 하우징(120)의 전면으로부터 내부로 신장할 수 있다. 제 1 구멍(125) 및 제 2 구멍(13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20)은 절연체, 예컨대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하우징(120)은 탄력성을 갖고, 열압착으로 인쇄회로기판(105)과 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구멍(125)은 인쇄회로기판(105)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구멍(130)은 패드(115)의 단부를 노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 2 하우징(도 1의 200)을 허용하도록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멍(125)은 제 2 구멍(130)보다 작고 전면에서 볼 때, 제 2 구멍(13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05)은 제 1 구멍(125)을 통해서 삽입되어 제 2 구멍(130)으로 돌출되어 패드(115)를 노출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하우징(120)은 걸쇠(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쇠(135)는 제 2 구멍(130) 외측에 배열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쇠(135)는 제 1 하우징(120)과 제 2 하우징(도 1의 20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5)은 제 1 하우징(120)의 제 1 구멍(125) 내로 삽입되고, 적절한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제 1 구멍(125) 내에 인쇄회로기판(105)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105) 및 제 1 하우징(120)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기술을 이용하여, 패드(115) 및 엘이디 칩(110)의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제 1 하우징(120)을 인쇄회로기판(105)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120)은 인쇄회로기판(105)에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제 2 커넥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제 2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 2 하우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 2 하우징의 XI-X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0의 제 2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제 2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형 단자(235) 및 제 2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핀형 단자(235)는 전선(205)과 연결될 수 있다. 핀형 단자(235)의 수는 패드(도 2의 115)의 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제 2 하우징(210)은 절연체,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형 단자(235)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내부로 전선(205)을 삽입한 후 압착하여 핀형 단자(235)와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선(205)은 절연 물질로 피복될 수 있으나, 핀형 단자(235)와 접촉 부분의 피복은 제거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10)은 전선(205)의 피복과 융착되어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형상의 핀형 단자(235)는 단조 금형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제 2 하우징(210)은 제 3 구멍(215), 및 개구(opening,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구멍(215)은 핀형 단자(2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하우징(210)의 배면으로부터 내부로 신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구멍(215)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개구(220)는 제 3 구멍(215)과 연결되어, 제 3 구멍(215)에 삽입된 핀형 단자(235)의 일부분을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220)에서 핀형 단자(235)의 약 반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10)의 전면에서 보면, 제 3 구멍(215)의 약 반 정도가 개구(2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 3 구멍(215)은 개구(220)를 따라서 일직선으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20)는 인쇄회로기판(105)의 삽입을 허용하 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연결 시, 인쇄회로기판(105)은 패드(115)가 핀형 단자(235) 방향으로 향하도록 개구(220) 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115)는 핀형 단자(235)의 개구(220) 내에 노출된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형 단자(235)와 패드(115)의 접촉 부분은 제 1 하우징(120) 및 제 2 하우징(210)의 체결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개구(220)는 구멍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핀형 단자(235)가 노출되는 반대편에 돌출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5)는 라인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5)는 개구(220) 내로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105)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개구(220)의 모양은 도 11에 도시된 구멍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220)는 핀형 단자(235)가 노출되는 반대편이 완전히 개방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연결 시, 핀형 단자(235)와 패드(115)의 접촉 부분은 제 1 하우징(120)에 의해서 덮이고, 제 1 하우징(120) 및 제 2 하우징(210)의 체결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하우징(210)은 돌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연결 시, 제 1 하우징(120)의 걸쇠(135)는 제 2 하우징(210)의 돌기(230)에 결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걸쇠(135)와 돌기(230)는 자물쇠 역할을 하도록 부가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 하우징(120) 및 제 2 하우징(210)이 탄성 결합되는 경우에는 걸쇠(135)와 돌기(230)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모듈들의 연결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상의 경우와는 달리, 엘이디 모듈들(300)은 방향성을 갖지 않고 연결부(33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30)는 도 1의 제 1 커넥터(100) 및 제 2 커넥터(200)의 커넥터 구조에 대응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도 1의 105) 상의 다른 소자 및 저항 배치는 회로도에서 생략되었다. 따라서, 연결부(330)를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300)은 도 1의 엘이디 모듈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도 1의 105)은 제 1 회선(310b), 제 2 회선(310a) 및 제 3 회선(3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선(310a) 및 제 3 회선(310c)은 제 1 회선(310b)의 상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회선(310b), 제 2 회선(310a) 및 제 3 회선(310c)은 인쇄회로기판(도 1의 105)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된 복수의 패드들(도 2의 115)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회선(310a) 및 제 3 회선(310c)은 같은 전위를 갖고, 제 1 회선(310b)은 그 반대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회선(310b)은 하나 또는 두 개의 패드(도 2의 115)를 이용하여 제 1 극성을 갖도록 "+"극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회선(310a) 및 제 3 회선(310c)은 각각의 패드(도 2의 115)를 이용하여 제 1 극성과 반대인 제 2 극성을 갖도록 "-"극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 1 회선(310b)이 "-"극에 연결되고 제 2 회선(310a) 및 제 3 회선(310c)이 "+"극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엘이디 소자(320a)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엘이디 소자(320b)는 "+"극 및 "-"극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엘이디 소자들(320a, 320b)은 도 2의 엘이디 소자(11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엘이디 소자(320a)는 제 1 회선(310b) 및 제 2 회선(310a)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엘이디 소자(320b)는 제 1 회선(310b) 및 제 3 회선(310c)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엘이디 소자(320a) 및 제 2 엘이디 소자(320b)는 "+"극이 연결되는 제 1 회선(310a)에서 "-"극이 연결되는 제 2 회선(310b) 및 제 3 회선(310c) 방향으로 정방향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극 및 "-"극의 배치가 도 14와 반대로 되면, 제 1 엘이디 소자(320a) 및 제 2 엘이디 소자(320b)의 방향도 도 14와 반대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 엘이디 소자(320a) 및 제 2 엘이디 소자(320b) 가운데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엘이디 모듈(300)은 180o 회전하더라도, 제 1 회선(310b)을 기준으로 제 1 및 제 2 엘이디 소자들(320a, 320b) 및 제 2 및 제 3 회선들(310a, 310c)이 위치적으로 역전될 뿐, 엘이디 모듈(300)의 전위에는 변화가 없다. 특히, 제 1 및 제 2 엘이디 소자들(320a, 320b)의 어느 하나가 생략되더라도, 제 2 및 제 3 회선들(310a, 310c)이 같은 극성, 예컨대 "-"극에 공통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엘 이디 모듈(300)의 전위에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엘이디 모듈(300)은 방향성을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엘이디 모듈(300)들은 그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결부(33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엘이디 모듈들(300)은 "o" 표시를 기준으로 보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었으나, 올바른 극성으로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회로 배치는 다수의 엘이디 모듈들(300)을 서로 이어서 설치할 때 유리하다. 즉, 첫번째 엘이디 모듈(300)은 전원과의 극성 연결에 주의해야 하지만, 나머지 엘이디 모듈들(300)의 연결은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모듈은 전기적인 연결 및 개방이 자유롭고, 따라서 설치, 취급 및 수리에 유리하다. 나아가, 엘이디 모듈은 제 1 및 제 2 하우징들의 체결을 이용하여 전선 및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분을 외부의 물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방수 환경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모듈은 방향성을 갖지 않고, 따라서 복수의 엘이디 모듈들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Claims (6)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이디 소자를 탑재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드, 및 상기 패드의 단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패드를 둘러싸는 제 1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 1 커넥터;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과 연결되는 핀형 단자, 및 상기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노출하도록 상기 핀형 단자를 둘러싸는 제 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패드의 단부 및 상기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접촉 또는 분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패드가 삽입되는 제 1 구멍, 및 상기 제 1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패드의 단부를 노출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 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핀형 단자가 삽입되는 제 3 구멍, 및 상기 제 3 구멍과 연결되어 상기 핀형 단자의 일부분을 노출하고 상기 패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내부로 신장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개구 내의 상기 핀형 단자의 반대편에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탄성을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의 전기적인 연결 시 상기 패드 및 상기 핀형 단자의 접촉은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탄성 체결에 의해서 외부의 물기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패드의 단부를 노출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제 1 회선, 상기 제 1 회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된 2 회선 및 제 3 회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선은 제 1 극성을 갖고, 상기 제 2 회선 및 상기 제 3 회선은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인 제 2 극성을 공통으로 갖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엘이디 소자는 상기 제 1 회선 및 상기 제 2 회선 사이에 또는 상기 제 1 회선 및 상기 제 3 회선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모듈.
KR1020070027801A 2007-03-21 2007-03-21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KR20080086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801A KR20080086105A (ko) 2007-03-21 2007-03-21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801A KR20080086105A (ko) 2007-03-21 2007-03-21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105A true KR20080086105A (ko) 2008-09-25

Family

ID=4002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801A KR20080086105A (ko) 2007-03-21 2007-03-21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61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64B1 (ko) * 2012-06-18 2014-07-04 박재훈 형광등 소켓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US9995960B2 (en) 2015-08-1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light source module including the connector, and light source module array including the light source module
CN109611705A (zh) * 2019-01-07 2019-04-12 广东融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照明装置及其安装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64B1 (ko) * 2012-06-18 2014-07-04 박재훈 형광등 소켓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US9995960B2 (en) 2015-08-19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light source module including the connector, and light source module array including the light source module
US10216035B2 (en) 2015-08-19 2019-02-26 Samsung Electronic Co., Ltd. Connector, light source module including the connector, and light source module array including the light source module
CN109611705A (zh) * 2019-01-07 2019-04-12 广东融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照明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7665861B2 (en) Led module for illumination systems
CN104350594B (zh) 半导体模块和半导体模块制造方法
JP2008108728A (ja) Led棒状照明装置
US878411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7265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module
US20080298037A1 (en) Mounting panel arrangement
KR101520990B1 (ko) 전기커넥터
US770856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circuit bonded thereon
US20080096399A1 (en) Heat Dissipating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Same
US20090186496A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tab
KR20080086105A (ko)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모듈
JP3772304B2 (ja) プリント基板の相互間接続構造
JP2012004117A (ja) 発光ダイオード相互接続システム
US20090298327A1 (en) Connecting module
CN112183396A (zh) 显示组件和显示装置
JP4834486B2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と端子コネクタとの配置装置
US10187988B1 (en) Adapter with an insulating body having a circuit board with a plurality of conductive modules surface mounted on the board
US11430933B2 (en) Lighting device with high flexibility in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CN211456004U (zh) 电连接器
US20160226165A1 (en) Power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1228297A (ja) Usbプラグソケット
CN201656096U (zh) 连接器组件
KR200406540Y1 (ko) 보조 전원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HUP9802166A2 (hu) Villamos csatlakozó szerelvé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