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021A -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021A
KR20080085021A KR1020087016753A KR20087016753A KR20080085021A KR 20080085021 A KR20080085021 A KR 20080085021A KR 1020087016753 A KR1020087016753 A KR 1020087016753A KR 20087016753 A KR20087016753 A KR 20087016753A KR 20080085021 A KR20080085021 A KR 2008008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large diameter
opening
tip
diame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히사 지카자와
마사히코 교우즈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1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5021A/ko
Publication of KR2008008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펜(21)의 선단은 펜 유지 기구(32)에 구속된다. 대직경 부재(28)는 펜(2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내뻗는다. 펜(21)의 선단의 구속이 해제되면, 구동 기구의 작용으로 개구(31a)를 향하여 펜(21)의 선단에 구동력이 부여된다. 협소로 부재(33)는 대직경 부재(28)에 반드시 접촉한다. 펜(21)의 이동은 규제된다. 개구(31a)로부터 펜의 낙하는 방지된다. 게다가, 협소로 부재(33)는, 펜(21)의 선단의 구속시, 대직경 부재(28) 및 개구(31a)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28)의 후단으로부터 협소로 부재(33)의 전단과의 사이에서 거리(L4)가 확보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대직경 부재(28) 즉 펜(21)의 이동 거리는 거리(L4)에 상당한다. 펜(21)은 거리(L4)의 돌출량으로 확실히 개구로부터 돌출된다. 개구(31a)로부터 펜(21)은 잡아당겨지기 시작한다. 협소로 부재(33)는 펜의 통과를 허용한다. 펜(21)은 개구(31a)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Figure P1020087016753
스타일러스 펜, 펜 유닛, 터치 패널, 대직경 부재

Description

펜 유닛 및 전자 기기{PEN UNIT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펜과, 펜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노트북)에 조립되는 펜 유닛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펜 유닛은,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수용 공간 내에 스타일러스 펜을 수용한다. 스타일러스 펜은 수용 공간 내에서 구속된다. 그 후, 스타일러스 펜이 개구로부터 더 밀어넣어지면, 스타일러스 펜의 구속은 해제된다. 스타일러스 펜의 선단에는 개구를 향해서 추진력이 부여된다. 추진력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은 개구 로부터 소정의 돌출량으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개구로부터 돌출된 스타일러스 펜을 파지(把持)할 수 있다.
구속 중의 스타일러스 펜에는 탄성편이 접촉한다. 스타일러스 펜과 탄성편의 마찰력에 의거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은 규제된다. 이러한 규제에 의거하여 개구로부터의 스타일러스 펜의 낙하는 저지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의 돌출량은 제어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7-21029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평8-14708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87088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허공개 평9-204265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국 특허공개 2003-330601호 공보
스타일러스 펜이나 탄성편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성형된다. 치수 오차의 발생은 피할 수 없다. 그 결과, 탄성편 및 스타일러스 펜의 사이에서 마찰력이 현저하게 감소하면, 스타일러스 펜이 구속으로부터 해제될 때에 스타일러스 펜은 개구로부터 기세좋게 튀어나와 버린다. 스타일러스 펜은 개구로부터 낙하한다. 한편, 마찰력이 현저하게 증대하면,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이 저해되어 버린다. 스타일러스 펜은 충분한 돌출량으로 개구로부터 돌출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확실히 소정의 돌출량으로 개구로부터 펜을 밀어낼 수 있는 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본체와, 개구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해서 진입하는 펜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와, 개구를 향해서 펜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와, 펜이 구속 부재로 구속될 때에 펜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뻗어나오는 대직경 부재 및 개구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로부터 이간되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펜의 구속이 해제되었을 때에 대직경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대직경 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는 협소로(狹小路)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이 제공된다.
이러한 펜 유닛에서는, 본체의 수용 공간에 펜의 수용시, 펜은 구속 부재에 구속된다. 이 때, 수용 공간에는, 대직경 부재 및 본체의 개구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로부터 이간되어 협소로 부재가 배치된다. 대직경 부재는 펜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뻗어나온다. 펜의 구속이 해제되면, 구동 기구의 작용으로 개구를 향해서 펜에 구동력이 부여된다. 수용 공간 내에서 펜은 이동한다. 이 때, 협소로 부재는 대직경 부재에 반드시 접촉한다. 펜의 이동은 규제된다. 개구로부터 펜의 낙하는 확실히 방지된다.
게다가, 협소로 부재는, 펜의 구속시, 수용 공간 내에 대직경 부재 및 개구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로부터 예를 들면, 소정의 거리(L)에 걸쳐 이간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대직경 부재 즉 펜의 이동 거리는 거리(L)에 상당한다. 펜은 거리(L)의 돌출량으로 확실히 개구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용자는 개구로부터 펜을 잡아당기기 시작한다. 이 때, 협소로 부재는 펜의 통과를 허용한다. 펜은 개구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이상과 같은 펜 유닛에서는, 협소로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면 좋다. 이렇게 해서 협소로 부재가 탄성체로부터 형성되면, 협소로 부재는 펜과의 접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대직경 부재는 펜에 장착되면 좋다. 이 때, 대직경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면 좋다. 이렇게 해서 대직경 부재는 펜의 그립을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펜을 잡기가 더 용이해진다. 그 외에, 대직경 부재는 펜에 일체화되어도 좋다. 펜 유닛에서는, 구속 부재는 펜의 선단을 구속하면 좋다. 구동 기구는 펜의 선단에 구동력을 부여하면 좋다.
이상과 같은 펜 유닛은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조립되면 좋다. 이 때, 전자 기기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구획되는 개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본체와, 개구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해서 진입하는 펜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와, 개구를 향해서 펜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와, 펜이 구속 부재로 구속될 때에, 펜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뻗어나오는 대직경 부재 및 개구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로부터 이간되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펜의 구속이 해제되었을 때에 대직경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대직경 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는 협소로 부재를 구비하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구체예 즉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스타일러스 펜의 선단이 구속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대응하고, 외경 부재의 후단 및 협소로 부재의 내단이 접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5의 8-8선을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대응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밀려들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대응하고, 개구를 향해서 스타일러스 펜의 선단에 구동력이 부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대응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밀려들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대응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밀려들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4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펜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4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펜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6에 대응하고, 외경 부재의 후단 및 협소로 부재의 내단이 접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6은 도 6에 대응하고, 스타일러스 펜이 인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 구체예 즉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노트북)(11)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노트북(11)은, 박형(薄型)의 기기 본체(12)와, 이 기기 본체(1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3)를 구비한다. 기기 본체(12)의 표면에는 키보드(14)나 포인팅 디바이스(15)와 같은 입력 장치가 조립된다. 이용자는 키보드(14)나 포인팅 디바이스(15)로부터 지시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3)에는 예를 들면, LCD(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16)이 조립된다. LCD 패널 모듈(16)의 화면은,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3)에 구획되는 창 구멍(17)을 향한다. 화면에는 텍스트나 그래픽이 표시될 수 있다. 이용자는 그러한 텍스트나 그래픽에 의거하여 노트북(11)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3)는, 기기 본체(12)에 대한 요동을 통하여 기기 본체(12)에 겹쳐질 수 있다.
LCD 패널 모듈(16)의 표면에는 터치 패널(18)과 같은 입력 장치가 배치된다. 한편, 기기 본체(12)에는 펜 유닛(19)이 조립된다. 펜 유닛(19)은 스타일러스 펜(21)을 구비한다. 스타일러스 펜(21)은, 기기 본체(12)의 케이스(22)의 측면에 구획되는 개구(23)로부터 케이스(22)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21)의 조작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18)로부터 CPU를 향해서 여러가지 지령이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1)은, 축부(24)와, 축부(24)의 선단에 연속되는 선단편(25)을 구획한다. 축부(24) 및 선단편(25)은 축부(24) 및 선단편(25)보다 작은 직경의 축경부(縮徑部; 26)로 연결된다. 선단편(25)에는 펜 끝(27)이 구획된다. 터치 패널(18)의 조작에서 이용자는 펜 끝(27)을 터치 패 널(18)에 접촉시킨다. 스타일러스 펜(21)의 단면 형상은 축부(24)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균일하게 설정된다. 단면 형상은 축부(24)의 축심에 직교하는 단면으로 특정된다. 축부(24)의 축심은 직선으로 규정된다.
축부(24)에는 대직경 부재(28)가 일체화된다. 일체화에 있어 일체 성형이 이용되면 좋다. 일체 성형에서 대직경 부재(28) 및 축부(24)에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가 이용되면 좋다. 대직경 부재(28)는 축부(24)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뻗어나온다. 여기서는, 대직경 부재(28)는, 축부(24)의 외주 전체 둘레에 걸쳐 축부(2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면 좋다. 대직경 부재(28)의 후단과 축부(24)의 후단 사이에는 거리(L0)가 확보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 유닛(19)은, 케이스(22) 내에 수용되는 예를 들면, 통 형상의 본체(31)와, 본체(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펜 유지 기구(32)를 구비한다. 본체(31)는, 전단에 구획되는 개구(31a)에서 케이스(22)의 개구(23)에 마주 향한다. 본체(3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성형되면 좋다. 본체(31)나 펜 유지 기구(32)는 예를 들면, 케이스(22)의 저판(底板)에 고정되면 좋다. 이러한 고정에서 예를 들면, 나사(도시 생략)가 사용되면 좋다.
본체(31)는 개구(31a)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한다. 수용 공간에는 스타일러스 펜(21)이 수용된다. 스타일러스 펜(21)은 개구(23)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해서 선단을 진입시킨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은 펜 유지 기구(32)에 구속된다. 이 때, 스타일러스 펜(21)의 후단은 개구(23)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하면 좋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1)의 수용 공간에는 예를 들면, 1쌍의 협소로 부재(33, 33)가 배치된다. 협소로 부재(33)는 본체(31)의 내벽면에 장착되면 좋다. 장착시에는 접착제가 사용되면 좋다. 협소로 부재(33)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탄성체는 예를 들면, 스펀지 고무와 같은 탄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면 좋다.
협소로 부재(33)의 전단과 개구(31a) 사이에는 거리(L1)가 확보된다. 케이스(22)와 본체(31)의 상대 위치에 따라 개구(31a)와 개구(23) 사이에는 거리(L2)가 설정될 수 있다. 구속 중의 스타일러스 펜(21)의 돌출량 즉 스타일러스 펜(21)의 후단과 개구(23)의 거리(L3)가 결정되면, 거리(L0, L1, L2, L3)에 의거하여 대직경부재(28)의 후단과 협소로 부재(33)의 전단의 거리(L4)는 특정된다. 스타일러스 펜(21)이 펜 유지 기구(32)에 구속되면, 협소로 부재(33)는 대직경 부재(28) 및 개구(23)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28)로부터 거리(L4)로 이간되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소로 부재(33, 33)끼리의 간격(S)은 대직경 부재(28)의 외경(外徑; D)에 따라서 설정되면 좋다. 즉, 간격(S)은 대직경 부재(28)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로 설정되면 좋다. 따라서, 간격(S)은 반드시 대직경 부재(28)의 외경(D)에 일치할 필요는 없다. 가령 간격(S)이 대직경 부재(28)의 외경(D)보다도 작아도, 협소로 부재(33)의 탄성 변형에 의거하여 대직경 부재(28)의 통과가 허용되면 좋다. 한편, 대직경 부재(28)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외경(D)이 확보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제, 스타일러스 펜(21)이 수용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스타일러스 펜(21)의 후단이 수용 공간 내를 향해서 밀려들어가면, 펜 유지 기구(32)는 개구(23)를 향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구동력은 스타일러스 펜(21)의 축심 방향을 따라 부여된다. 계속해서, 펜 유지 기구(32)는 스타일러스 펜(21)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렇게 해서 축부(24)는 개구(23)로부터 돌출되어 간다. 대직경 부재(28)는 개구(23)를 향해서 이동한다.
이 때, 스타일러스 펜(21)의 이동은 임의의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용 공간 내에서 스타일러스 펜(21)은 자유롭게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축심이 협소로 부재(33, 33)끼리의 중간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거의 있을 수 없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축심이 그러한 중간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부재(28)의 후단은 협소로 부재(33)의 전단에 반드시 접촉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의 이동은 규제된다. 개구(23)로부터의 스타일러스 펜(21)의 낙하는 확실히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1)의 구속시, 대직경 부재(28)의 후단과 협소로 부재(33)의 전단 사이에는 거리(L4)가 확보된다. 대직경 부재(28) 즉 스타일러스 펜(21)의 이동 거리는 거리(L4)에 상당한다. 그 결과, 스타일러스 펜(21)은, (L4+L3)의 돌출량으로 확실히 케이스(22)의 개구(2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용자는 축부(24)를 잡을 수 있다. 그 후, 이용자는 개구(23)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1)을 잡아당기기 시작한다. 이 때, 협소로 부재(33, 33)는 대직경 부재(28)의 통과를 허용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은 개구(23)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다음에, 스타일러스 펜(21)이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은 개구(23)로부터 수용 공간에 진입한다. 협소로 부재(33, 33)의 후단은 대직경 부재(28)의 전단에 접촉한다. 이용자가 스타일러스 펜(21)을 더 밀어넣으면, 협소로 부재(33)는 대직경 부재(28)의 통과를 허용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은 펜 유지 기구(32)에 도달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 유지 기구(32)는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을 구속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 유지 기구(32)는 하우징(41)에 수용되는 구속 부재(42)를 구비한다. 이 구속 부재(42)는 하우징(41) 내에 대해서 전진 위치 및 후퇴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구속 부재(42)에는 하우징(41) 내에서 안내 돌기(43)가 연결된다. 이 안내 돌기(43)는, 하우징(41)에 형성되는 긴 구멍(44)에 수용된다. 안내 돌기(43)는 구속 부재(42)의 이동에 따라 긴 구멍(44) 내를 이동한다. 긴 구멍(44)의 작용으로 구속 부재(42)의 탈락은 저지된다.
구속 부재는 1쌍의 훅크(45, 45)를 구비한다. 이 훅크(45)에는, 일체 성형에 의거하여 상호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다. 구속 부재(42)가 전진 위치에 도달하면, 구속 부재(42)는 하우징(41)으로부터 튀어나간다. 그 결과, 훅크(45)는 하우징(41)의 구속에서 해방된다. 훅크(45, 45)는 열린다. 한편,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속 부재(42)가 후퇴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면, 하우징(41)과의 접촉에 의거하여 훅크(45)는 닫혀 간다. 이렇게 해서 닫혀지는 훅크(45)끼리의 사이에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편(25)은 구속된다. 훅크(45)는 스타일러스 펜(21)의 축경부(26)에 걸린다. 스타일러스 펜(21)의 빠짐은 방지된다.
하우징(41) 내에는 변위 블록(46)이 수용된다. 구속 부재(42) 및 안내 돌기(43)는 변위 블록(46)에 고정된다. 구속 부재(42)나 안내 돌기(43)는 변위 블록(46)에 일체화되어도 좋다. 변위 블록(46) 및 하우징(41) 사이에는 탄성 부재 즉 코일 스프링(47)이 끼워진다. 이 코일 스프링(47)은, 전진 위치를 향해서 구속 부재(42)를 구동하는 탄성 복원력을 발휘한다. 구속 부재(42)가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47)에는 탄성 복원력이 축적되어 간다.
변위 블록(46)에는, 상호 평행하게 확장되는 수직 가상 평면에서 1쌍의 측면이 규정된다. 도 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한쪽 측면에는 제 1 캠홈(51)이 형성된다. 제 1 캠홈(51)에는 가이드 암(52)의 제 1 선단(53)이 수용된다. 이 가이드 암(5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축(54) 둘레로 요동한다. 가이드 암(52)의 요동에 따라 제 1 선단(53)은 요동축(54) 둘레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제 1 캠홈(51)은, 제 1 수평면 레벨(55)에서 변위 블록(46)의 후단으로부터 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홈(56)을 구비한다. 제 1 수평홈(56)의 전단에는 제 2 수평홈(57)이 접속된다. 제 2 수평홈(57)은 제 1 수평면 레벨(55)보다도 낮은 제 2 수평면 레벨(58)로 연장된다. 제 1 수평홈(56) 및 제 2 수평홈(57)은 원활한 경사면(59)에서 서로 접속되면 좋다.
제 2 수평홈(57)의 전단에는, 변위 블록(46)의 전단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홈(61)이 접속된다. 이 수직홈(61)에는, 후퇴 방향을 향해서 들어가는 오목부(62)가 형성된다. 오목부(62)에는, 전진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63)이 마주 향한다. 수직홈(61)의 상단에는 제 3 수평 홈(64)이 접속된다. 제 3 수평홈(64)은 제 1 수평면 레벨(55)보다도 높은 제 3 수평면 레벨(65)에서 제 2 수평홈(57)에 병렬로 연장된다. 제 3 수평홈(64)의 선단은 제 1 수평홈(56)에 접속된다. 스타일러스 펜(21)의 구속 중, 제 1 선단(53)은 오목부(62)에 수용된다. 코일 스프링(47)의 작용으로 변위 블록(46)에는 전진 방향으로 추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 1 선단(53)은 오목부(62) 내에 확실히 유지된다. 구속 부재(42)는 하우징(41) 내에 유지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 측면에는 제 2 캠홈(66)이 형성된다. 제 2 캠홈(66)에는 가이드 암(52)의 제 2 선단(67)이 수용된다. 이 제 2 선단(67)은, 상술한 수직 가상 평면에 평행한 대칭면에서 제 1 선단(53)에 면대칭으로 형성된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암(52)의 요동에 따라 제 2 선단(67)은 요동축(54) 둘레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제 2 캠홈(66)은, 제 2 수평면 레벨(58)에서 변위 블록(56)의 후단으로부터 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홈(68)을 구비한다. 제 1 수평홈(68)의 전단에는 만곡홈(69)이 접속된다. 만곡홈(69)은, 제 2 수평면 레벨(58)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내려간 후에 제 2 수평면 레벨(58)까지 복귀한다. 만곡홈(69)의 선단에는 수직홈(71)이 접속된다. 수직홈(71)에는, 상술과 마찬가지로, 후퇴 방향을 향해서 들어가는 오목부(72)가 형성된다. 여기서는, 오목부(72)의 하단은 제 2 수평면 레벨(58)에 도달한다. 오목부(72)에는, 전진 방향을 향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73)이 마주 향한다. 수직홈(71)의 상단에는 제 2 수평홈(74)이 접속된다. 제 2 수평홈(74)은 제 3 수평면 레벨(65)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수평 홈(74)의 선단은 제 1 수평홈(68)에 접속된다. 스타일러스 펜(21)의 구속 중, 제 2 선단(67)은 오목부(72)에 수용된다. 코일 스프링(47)의 작용으로 변위 블록(46)에는 전진 방향으로 추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 2 선단(67)은 오목부(72) 내에 확실히 유지된다.
이제, 스타일러스 펜(21)의 구속이 해제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코일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이 펜 유지 기구(32)의 하우징(41) 내에 밀려들어가면, 변위 블록(46)은 후단 위치를 향해서 후퇴한다. 가이드 암(52)의 제 1 선단(53)(제 2 선단(67))은 경사면(63(73))을 올라간다. 이렇게 해서 제 1 선단(53)(제 2 선단(67))은 수직홈(61(7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한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선단(53)(제 2 선단(67))은 제 3 수평 레벨(65)에 도달한다. 이렇게 해서 제 1 선단(53)(제 2 선단(67))은 제 2 수평홈(64(74))에 수용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으로 변위 블록(46)은 전진한다. 변위 블록(46)의 전진에 따라 제 1 선단(53)(제 2 선단(67))은 제 2 수평홈(54(74))으로부터 제 1 수평홈(56(68))까지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변위 블록(46)이 전진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안내 돌기(43)는 긴 구멍(44)의 전단에 막힌다. 이 때, 코일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의 작용으로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에는 개구(23)를 향해서 구동력이 부여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속 부재(42)가 전진 위치에 도달하면, 구속 부재(42)는 하우징(41)으로부터 튀어나간다. 그 결과, 훅크(45)는 하우징(41)의 구 속으로부터 해방된다. 훅크(45∼45)에는 상호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다. 훅크(45, 45)는 열린다. 구속 부재(42) 및 선단편(25)의 걸림은 해소된다. 구속 부재(42)는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편(25)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은 이동한다.
다음에, 스타일러스 펜(21)이 다시 구속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편(25)이 구속 부재(42)에 막히면, 구속 부재(42)는 후퇴 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 그 결과, 하우징(41)과의 접촉에 의거하여 훅크(45)는 닫혀간다. 이렇게 해서 닫히는 훅크(45)끼리의 사이에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편(25)은 구속된다. 훅크(45)는 스타일러스 펜(21)의 축경부(26)에 걸린다.
마찬가지로, 변위 블록(46)은 후퇴 위치를 향해서 후퇴한다. 코일 스프링(47)에는 탄성 복원력이 축적되어 간다. 이렇게 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선단(53)은 제 1 수평홈(56)으로부터 제 2 수평홈(57) 내로 이동한다. 제 1 선단(53)은 제 2 수평 레벨(58)에 유지된다. 한편, 제 2 선단(67)은 제 1 수평홈(68)으로부터 만곡홈(69) 내로 이동한다. 제 2 선단(67)은 제 2 수평 레벨(58)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내려간다. 가이드 암(52)에서는 제 2 선단(67)은 제 1 선단(53)에 비해서 큰 원호를 그리며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가이드 암(52)에는 토션(torsion)이 야기된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의 복원력으로 제 1 및 제 2 선단(53, 67)은 제 2 수평면 레벨(58)까지 복귀한다. 제 2 선단(67)은 제 2 수직홈(71)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21)이 밀어넣는 힘으로부터 해방되 면, 변위 블록(46)에는 코일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제 2 선단(67)은 수직홈(71)을 따라 오목부(72)를 향해 이동한다. 동시에, 제 1 선단(53)은 수직홈(61)을 따라 오목부(62)를 향해 이동한다. 제 1 선단(53)은 오목부(62)에 수용되는 동시에, 제 2 선단(67)은 오목부(72)에 수용된다. 코일 스프링(47)의 작용으로 변위 블록(46)에 전진 방향으로 추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선단(53, 67)은 오목부(62, 72) 내에 확실히 유지된다.
그 밖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4)에는, 상술한 대직경 부재(28)대신에, 탄성체로 구성되는 대직경 부재(71)가 장착되어도 좋다. 장착시에 접착제가 사용되면 좋다. 대직경 부재(71)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 좋다. 탄성체는 예를 들면, 스펀지 고무와 같은 탄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면 좋다. 이러한 대직경 부재(71)가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21)의 그립을 구성하면, 스타일러스 펜(21)을 잡기가 더 용이해진다.
한편, 본체(31)에는, 협소로 부재(33) 대신에 협소로 부재(72)가 일체화되어도 좋다. 일체화에 있어 일체 성형이 이용되면 좋다. 일체 성형시에 본체(31) 및 협소로 부재(72)에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가 사용되면 좋다. 협소로 부재(72)의 형상은 협소로 부재(33)와 마찬가지로 형성되면 좋다. 그 밖에, 상술과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이러한 펜 유닛(19a)에 의하면, 상술한 펜 유닛(19)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그 밖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 유닛(19b)에서는 수용 공간에 협소로 부재(73, 73)가 배치되어도 좋다. 협소로 부재(73)는 본체(31)에 일체화된다. 일체화에 있어 일체 성형이 이용되면 좋다. 일체 성형시에 본체(31) 및 협소로 부재(73)에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가 사용되면 좋다. 협소로 부재(73)는 베이스 끝에서 본체(31)에 연결된다. 협소로 부재(73)의 선단에는 축부(24)의 외주면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74)가 구획된다. 협소로 부재(73)의 베이스 끝의 탄성 변형에 의거하여 돌기(74)는 베이스 끝을 지지점으로 요동할 수 있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구속 중의 스타일러스 펜(21)의 돌출량 즉 스타일러스 펜(21)의 후단과 개구(23)의 거리(L3)가 결정되면, 거리(L0, L1, L2, L3)에 의거하여 대직경 부재(28)의 후단과 협소로 부재(73)의 돌기(74)의 전단과의 거리(L4)는 특정된다. 스타일러스 펜(21)이 펜 유지 기구(32)에 구속되면, 협소로 부재(73)는, 대직경 부재(28) 및 개구(23)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28)로부터 거리(L4)로 이간되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그 밖에, 상술한 실시예와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이제, 개구(23)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1)이 인출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코일 스프링(47)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이 펜 유지 기구(32)에 밀려들어가면, 구동 기구(43)는 개구(23)를 향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이 때, 스타일러스 펜(21)의 이동은 임의의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용 공간 내에서 스타일러스 펜(21)은 자유롭게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축심이 협소로 부재(73, 73)끼리의 중간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거의 있을 수 없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축심이 그러한 중간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결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 부재(28)의 후단 은 협소로 부재(73)의 돌기(74)의 전단에 반드시 접촉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의 이동은 규제된다. 개구(23)로부터의 스타일러스 펜(21)의 낙하는 확실히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1)의 구속시, 대직경 부재(28)의 후단과 협소로 부재(73)의 돌기(74)의 전단 사이에는 거리(L4)가 확보된다. 대직경 부재(28) 즉 스타일러스 펜(21)의 이동 거리는 거리(L4)에 상당한다. 그 결과, 스타일러스 펜(21)은, (L4+L3)의 돌출량으로 확실히 케이스(22)의 개구(2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용자는 축부(24)를 잡을 수 있다. 그 후, 이용자는 개구(23)로부터 스타일러스 펜(21)을 잡아당기기 시작한다. 이 때, 협소로 부재(73, 73)의 돌기(74, 74)는 베이스 끝의 탄성 변형에 의거하여 대직경 부재(28)의 통과를 허용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은 개구(23)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다음에, 스타일러스 펜(21)이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장면을 상정한다.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은 개구(23)로부터 수용 공간에 진입한다. 협소로 부재(73, 73)의 돌기(74)의 후단은 대직경 부재(28)의 전단에 접촉한다. 이용자가 스타일러스 펜(21)을 더 밀어넣으면, 협소로 부재(73, 73)의 돌기(74, 74)는 베이스 끝의 탄성 변형에 의거하여 대직경 부재(28)의 통과를 허용한다. 이렇게 해서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은 펜 유지 기구(32)에 도달한다. 그 후, 펜 유지 기구(32)는 스타일러스 펜(21)의 선단을 구속한다.
이상과 같은 펜 유닛은, 노트북(11) 대신에, 예를 들면, 태블릿형의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PDA)이나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같은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조립되 어도 좋다.

Claims (14)

  1. 개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본체와, 개구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해서 진입하는 펜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와, 개구를 향해서 펜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와, 펜이 구속 부재로 구속될 때에 펜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뻗어나오는 대직경 부재 및 개구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로부터 이간되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펜의 구속이 해제되었을 때에 대직경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대직경 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는 협소로(狹小路)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로(狹小路)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상기 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상기 펜의 그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상기 펜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펜의 선단을 구속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펜의 선단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유닛.
  8. 케이스와, 케이스에 구획되는 개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본체와, 개구로부터 수용 공간을 향해서 진입하는 펜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와, 개구를 향해서 펜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기구와, 펜이 구속 부재로 구속될 때에, 펜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으로 뻗어나오는 대직경 부재 및 개구의 사이에서 대직경 부재로부터 이간되어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펜의 구속이 해제되었을 때에 대직경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대직경 부재의 통과를 허용하는 협소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로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상기 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상기 펜의 그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부재는 상기 펜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펜의 선단을 구속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펜의 선단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7016753A 2008-07-10 2006-01-24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KR20080085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6753A KR20080085021A (ko) 2008-07-10 2006-01-24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6753A KR20080085021A (ko) 2008-07-10 2006-01-24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71A Division KR101146638B1 (ko) 2006-01-24 2006-01-24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21A true KR20080085021A (ko) 2008-09-22

Family

ID=4002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53A KR20080085021A (ko) 2008-07-10 2006-01-24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50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638B1 (ko)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US8767396B2 (en) Extens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472750B2 (ja) 電子機器用機能拡張ユニット
KR100190844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장착장치
US20090268386A1 (en) Computer device capable of containing an external module
US2015009233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amage prevention features
US10139865B2 (en) Apparatus holding structure
US9198491B2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stylus storage mechanism
US20080253555A1 (en) Slide module for a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US8620396B2 (en) Slide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4119009A1 (ja) 電子機器
KR20080085021A (ko) 펜 유닛 및 전자 기기
JP5389708B2 (ja) 入力ペン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647350B2 (ja) 電子機器
JP6732671B2 (ja) パネル装置およびパネル装置の組立方法
CN113676583B (zh) 用于支撑移动终端的支架
US20040118743A1 (en) Stylus fixing structure for a portable computer
US9515435B2 (en) Retractable USB connector with a swinging member pivotally disposed on an inner housing
JP5066248B2 (ja) 電子機器
KR20080012225A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기구 및 휴대기기
CN211319106U (zh) 便携式电脑
US20130052841A1 (en) Securing struc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2021133733A (ja) 収納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
JP2008065444A (ja) 筐体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CN107666097B (zh) Usb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30

Effective date: 2012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