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463A -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463A
KR20080084463A KR1020070026251A KR20070026251A KR20080084463A KR 20080084463 A KR20080084463 A KR 20080084463A KR 1020070026251 A KR1020070026251 A KR 1020070026251A KR 20070026251 A KR20070026251 A KR 20070026251A KR 20080084463 A KR20080084463 A KR 20080084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ling composition
joint
pipes
joi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226B1 (ko
Inventor
이상우
문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Priority to KR102007002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2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1Adhesive or cemented joints using materials which fill the space between parts of a joint before hardening
    • F16L13/116Adhesive or cemented joints using materials which fill the space between parts of a joint before hardening for socke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1Adhesive or cemented joints using materials which fill the space between parts of a joint before hard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관 및 파이프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배관파이프를 이음관을 통해 연결함에 있어 기밀유지 및 파이프의 진동이나 충격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이음관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은 이음관의 내주면에 링형상의 오목부를 중심선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오목부에 마찰입자를 포함하는 충진조성물을 주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관과 이음관 사이의 기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력 또한 우수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생산비용 또한 절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 그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Filler injected type coupling pipe, composition for the filler,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coupling pipe}
도 1은 종래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5, 5')을 접합하는데 사용된 이음관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음관 내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음관에 형성된 충진조성물주입구와 공기유출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이음관 속에 삽입되는 관의 외주면을 가공한 상태의 단부 단면도.
도 7은 도6에 도시된 관이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100: 이음관 110 : 본체
120: 오목홈부 130 : 충진조성물주입구
140: 공기유출구 150 : 중간링
200, 200': 관
본 발명은 2개의 관을 접속하기 위한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파이프를 이음관을 통해 연결함에 있어 기밀유지 및 파이프의 진동이나 충격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다용도 이음관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유체 이송 수단 중 파이프를 이용한 수단으로 수도용, 하수용, 공업용, 농업용, 해수배관용 등의 관을 합성수지관, GRP, 주철 등으로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체 수송용 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시공되는 현장 또는 주변에서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GRP관으로 구성된 상하수도관의 접합에 사용되는 이음장치로는 동일 관종의 GRP관 사이의 접합에 사용되는 커플링(이음관)과, GRP관과 주철관 또는 강관 등 타관종과의 접합에 사용되는 플랜지가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관을 접속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성능으로는 무엇보다도 피접속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이음관 부분으로부터 누출되 지 않을 정도의 기밀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상수도관 또는 하수도관(5, 5')을 접합하는데 사용된 이음관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음관은 GRP관으로 구성된 이음관 본체(1)의 내면에 홈을 가공한 후 수밀용 고무링(2, 3, 4)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홈 가공시 이음관 본체(1)에 균열이 발생하고 강도가 저하됨에 따라 누수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음관 본체(1) 내면에 홈을 가공하기 때문에 이음관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관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 되는 요인이 되었고, 이음관 본체(1)의 내면에 끼워진 고무링(2, 3, 4)에 높은 수압이 작용할 경우 충분한 내압을 형성하지 못해 접합부의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음관 내부에서 결합되는 두개의 관 및 상기 이음관 양단에 고무링이 결합되고 상기 두개의 관 외면과 상기 이음관 내면사이의 공간에 폴리머수지를 주입하여 2개의 관을 접속하는 이음관이 개발되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음관에 의하면 주입되는 폴리머수지가 상기 두개의 관속으로 들어갈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음관속에 삽입되는 상기 접속되는 두개의 관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고, 단순히 접착력만이 작용할 뿐이어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두 개의 관이 이탈할 우려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이음관의 중 심선을 기준으로 그 내경에 일정 두께 및 폭을 갖는 링형상 오목홈부를 좌우 대칭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부에 마찰입자를 포함하는 충진조성물을 주입하게 되면 결합강도 및 기밀성이 매우 우수한 이음관을 얻을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관의 내주면에 링형상의 오목부를 중심선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오목부에 마찰입자를 포함하는 충진조성물을 주입시킬 수 있어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관과 이음관 사이의 기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력 또한 우수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진조성물에 포함되는 마찰입자로 폐기물인 바텀 애쉬를 원자재로 사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버려지는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구성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작업현장에서 사용자가 매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구조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개의 관이 삽입되어 그 양 단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2개의 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그 내주면에 중심 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각각 형성되는 링형상의 오목홈부; 상기 각각의 오목홈부에서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까지 관통형성되는 충진조성물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출구를 포함하는 이음관을 제공한다.
상기 내주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중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링의 내경은 상기 이음관 속에 삽입되는 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되는 관의 외경보다 상기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0.5 내지 2.5mm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음관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충진조성물주입구와 상기 공기유출구는 3 내지 5ㅀ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이음관에 충진되는 충진조성물에 있어서, 모래, 바텀 애쉬(BOTTOM ASH) 또는 SiC 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충진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충진조성물은 수지55-65중량%, 마찰입자 25 - 35 중량%, 및 보강재 5-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는 촙(chop)형상의 자연섬유 또는 유리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관의 규격에 맞는 이음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음관에 상기 2개의 관의 각 단부를 삽입하여 서로 맞닿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음관에 형성된 충진조성물주입구에 충진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충진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음관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로 주입된 충진조성물이 방출될 때까지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조성물은 수지55-65중량%, 마찰입자 25 - 35 중량%, 및 보강재 5-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음관에 상기 2개의 관을 삽입하기 전에, 상기 삽입되는 상기 2개의 관의 각 단부의 외주면 중 상기 이음관에 형성된 2개의 오목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의 단부에 형성된 홈부는 그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으로 0.5 내지 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음관 내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음관에 형성된 충진조성물주입구와 공기유출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음관 속에 삽입되는 관의 외주면을 가공한 상태의 단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6에 도시된 관이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관(100)이 본 체(110)와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오목홈부(120), 본체(110)의 외주면과 오목홈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충진조성물주입구(130)와 공기유출구(140), 및 중간링(15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주면의 중심부에 중간링(150)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도2 및 도4에 도시된 이음관의 구성은 중간링(150)을 포함하는지 여부에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음관(100)을 이루는 본체(110)는 공지된 이음관의 소재로 구성되어 특별히 소재의 제한이 없으나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면에는 이음관(100) 및 상기 이음관(10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2개의 관(200, 200')의 단면이 링형상을 갖도록 도시되고 있으나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고, 이음관(100) 전체의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은 연결하고자 하는 피접속관 즉 이음관(100)에 삽입되는 두개의 관(200, 200')의 크기, 두께 및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본체(110)의 내경의 크기가 삽입되는 관(200, 200')의 외경보다 커야 하는데, 0.5 내지 2.5mm 정도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오목홈부(120)가 중심부의 좌, 우측의 동일거리에 각각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내주면을 둘러서 일정두께와 폭을 가진 오목홈부(120)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때 오목홈부의 두께는 본체(110)의 전체 두께에 비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이음관(100)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충진조성물주입구(130)는 오목홈부(120)가 형성된 본체(110)의 내면부에서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충진조성물주입구(130)는 이음관(100)에 2개의 관(200, 200')을 삽입한 후 연결할 때 이음관과 삽입된 관들의 결합강도 및 기밀성을 강화하는 충진조성물이 외부에서 이음관내로 주입되는 입구가 된다.
공기유출구(140) 또한 충진조성물주입구(130)에 인접하여 오목홈부(120)가 형성된 본체(110)의 내면부에서 본체(110)의 외주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이때 공기유출구(140)는 충진조성물주입구(130)를 통해 주입된 충진조성물이 오목홈부(120) 및 이음관(100) 내부의 빈공간에 채워지면서 이음관(100) 내부의 빈공간에 있던 공기들이 빠져나가는 통로로 작용하며, 그 결과 기밀성이 유지된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충진조성물주입구(130)와 공기유출구(140)가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도5의 A-A' 단면도를 살펴보면 이음관(100)의 중심축에 대해 3 내지 5ㅀ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충진조성물주입구(130)와 공기유출구(140)의 위치는 반복실험을 통해 결정된 것으로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기밀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중간링(150)은 본체(110)의 내주면 중심부에 설치되는데,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되기만 하면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면 중심부에 중간링(150)이 삽입되는 삽입홈부를 형성한 후 중간링(1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중간링(15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링형상이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음관(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중간링(150)을 잘랐을 때 단부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유자형 등이 되도록 전체적인 윤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링(150)을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중간링(150)에 연결되는 관들(200, 200')의 단부가 닿게 되므로 가능하면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는 소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110)의 내주면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는 중간링(150)은 그 내경이 이음관(100) 속에 삽입되는 관들(200, 2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아서, 상기 관들(200, 200')이 이음관(100)으로 삽입될 때 정확한 연결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들(200, 200')의 각 단부가 직접적으로 서로 닿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는 중간링(150)에 가압된 상태로 닿고 고정되므로 관들(200, 200')의 내부로 충진조성물주입구(130)로 주입되는 충진조성물이 유입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2 및 도4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음관(100)의 오목홈부(120)에 주입되는 충진조성물 모래, 바텀 애쉬(BOTTOM ASH) 또는 SiC 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입자를 포함한다. 이 때 마찰입자는 작업환경 및 조건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때 혼합중량비는 0.5-1.5:0.5-1.5 사이의 범위이고 특히 1:1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마찰입자로 바텀 애쉬를 사용하게 되면 폐기물을 재활용하게 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바텀 애쉬를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충진조성물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음관(100)에 주입되는 충진조성물은 수지55-65중량%, 마찰입자 25 - 35 중량%, 및 보강재 5-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수지는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구성의 수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이다.
또한 보강재는 충진조성물의 결합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인데, 특히 촙(chop) 형상의 자연섬유 또는 유리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가 촙 형상 유리섬유인 경우 그 길이는 1~5mm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1mm보다 작으면 보강특성이 감소되고, 5mm이상이 되면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유리섬유의 함량은 유리섬유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즉 유리섬유의 길이가 크면 함유량이 적어도 고 강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보강재로 자연섬유가 사용되는 경우 특히 면, 마, 견, 모,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길이는 유리섬유를 사용할 때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한데, 길이가 유리섬유보다 긴 것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도2, 도4,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상술한 이음관(100) 및 충진조성물을 이용하여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관의 규격에 맞는 이음관(10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이음관(100)에 삽입되는 관(200,200') 사이의 간격 즉 이음관내경과 관의 외경은 0.5 내지 2.5mm 범위 내에 있도록 이음관(100)의 규격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된 규격의 이음관(100)에 상기 2개의 관(200,200')의 각 단부를 삽입하여 도4와 서로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하거나, 도2와 같이 중간링(150)을 사이에 두고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연결의 견고성을 위해 가능하면 상기 2개의 관(200,200')의 단부가 이음관(100)의 중심부에서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2과 같이 이음관(100)의 중심부에 중간링(150)이 설치된 경우에는 중간링(150)이 각 관의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2 및 도4와 같이 배치한 후, 이음관(100)에 형성된 충진조성물주입구(130)에 상술한 구성의 충진조성물을 주입하는데, 주입시 공지된 구성의 주입기를 사용하여 이음관(100)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40)로 주입된 충진조성물이 방출될 때까지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6과 같이 이음관(100)에 상기 2개의 관(200,200')을 삽입하기 전에, 삽입되는 2개의 관(200, 200')의 각 단부의 외주면 중 이음관(100)에 형성된 2개의 오목홈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를 형성하는데, 이 때 관의 단부에 형성된 홈부는 그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으로 0.5 내지 1mm의 두께를 갖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부는 규격화하여 양산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그라인더 등으로 직접 깎아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2개의 관(200, 200')의 각 단부의 외주면에 홈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되면, 도7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이음관(100)과 피접속관 인 2개의 관(200, 200')이 배치된 후 충진조성물주입구(130)를 통해 충진조성물이 주입되며, 특히 이음관(100)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40)로 주입된 충진조성물이 방출될 때까지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그 결과 이음관(100)에 내부에서 2개의 관(200, 200')이 매우 견고하게 연결된다.
즉 그 연결구조상 이음관(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홈부(120)와 피접속관인 2개의 관(200, 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까지 주입된 충진조성물이 이음관(100)내부에서 굳어지게 되면 이음관(100)과 피접속관들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어, 충진조성물에 함유된 마찰입자를 통한 결합력보다 더 강한 결합력이 부여되므로 이음관(100)에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삽입된 관들(200, 200')이 이탈할 수 없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므로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은 이음관의 내주면에 링형상의 오목부를 중심선에 대해 좌우대칭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오목부에 마찰입자를 포함하는 충진조성물을 주입시킬 수 있어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관과 이음관 사이의 기밀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 결합력 또한 우수하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은 충진조성물에 포함되는 마찰입자로 폐기물인 바텀 애쉬를 원자재로 사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버려지는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음관, 상기 이음관의 충진조성물 및 그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은 2개의 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작업현장에서 사용자가 매우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2개의 관이 삽입되어, 그 양 단이 맞닿도록 하여 상기 2개의 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에 있어서,
    그 내주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각각 형성되는 링형상의 오목홈부;
    상기 각각의 오목홈부에서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까지 관통형성되는 충진조성물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출구를 포함하는 이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중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링의 내경은 상기 이음관 속에 삽입되는 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되는 관의 외경보다 상기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0.5 내지 2.5mm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충진조성물주입구와 상기 공기유출구는 3 내지 5ㅀ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음관에 충진되는 충진조성물에 있어서,
    모래, 바텀 애쉬(BOTTOM ASH) 또는 SiC 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충진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조성물은 수지55-65중량%, 마찰입자 25 - 35 중량%, 및 보강재 5-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충진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촙(chop)형상의 자연섬유 또는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충진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관의 규격에 맞는 이음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음관에 상기 2개의 관의 각 단부를 삽입하여 서로 맞닿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음관에 형성된 충진조성물주입구에 충진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음관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로 주입된 충진조성물이 방출될 때까지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조성물은 수지55-65중량%, 마찰입자 25 - 35 중량%, 및 보강재 5-12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에 상기 2개의 관을 삽입하기 전에, 상기 삽입되는 상기 2개의 관의 각 단부의 외주면 중 상기 이음관에 형성된 2개의 오목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단부에 형성된 홈부는 그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으로 0.5 내지 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
KR1020070026251A 2007-03-16 2007-03-16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KR10088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51A KR100883226B1 (ko) 2007-03-16 2007-03-16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51A KR100883226B1 (ko) 2007-03-16 2007-03-16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63A true KR20080084463A (ko) 2008-09-19
KR100883226B1 KR100883226B1 (ko) 2009-02-13

Family

ID=4002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51A KR100883226B1 (ko) 2007-03-16 2007-03-16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22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13B1 (ko) * 2011-06-10 2012-02-29 유옥수 매설 연결용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281508B1 (ko) * 2012-07-12 2013-07-03 주식회사 코위드원 관 이음장치
KR101306953B1 (ko) * 2011-06-10 2013-09-09 유옥수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06954B1 (ko) * 2011-06-10 2013-09-09 유옥수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1412605B1 (ko) * 2013-04-30 2014-06-27 주식회사 코위드원 관 이음장치
US20150091290A1 (en) * 2013-09-27 2015-04-02 G.B.D.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USD873976S1 (en) 2017-09-15 2020-01-28 Ipex Technologies Inc. Adhesive fitting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514B1 (ko) 2019-02-08 2020-12-11 김현정 팽창반응을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444A (en) 1978-12-26 1980-10-07 Pilgrim Engineering Developments Limited Pipe joints
JPH05346189A (ja) * 1992-06-10 1993-12-27 Kandenko Co Ltd Gfrp管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3459955B2 (ja) * 1995-06-13 2003-10-27 東拓工業株式会社 異径管用継手と異径管の接続方法
KR200253171Y1 (ko) 1998-10-29 2001-12-28 정수웅 보강된이중벽관체
KR20020016340A (ko) * 2000-08-25 2002-03-04 서주영, 윤영길, 이한호 배관 이음용 커플링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813B1 (ko) * 2011-06-10 2012-02-29 유옥수 매설 연결용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06953B1 (ko) * 2011-06-10 2013-09-09 유옥수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의 연결방법
KR101306954B1 (ko) * 2011-06-10 2013-09-09 유옥수 매설 연결용 삼중벽 하수관
KR101281508B1 (ko) * 2012-07-12 2013-07-03 주식회사 코위드원 관 이음장치
KR101412605B1 (ko) * 2013-04-30 2014-06-27 주식회사 코위드원 관 이음장치
US20150091290A1 (en) * 2013-09-27 2015-04-02 G.B.D.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USD873976S1 (en) 2017-09-15 2020-01-28 Ipex Technologies Inc. Adhesive fitting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226B1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4463A (ko) 충진조성물 주입식 이음관을 이용한 연결방법
CN104154363B (zh) 管件快速连接装置
KR100630353B1 (ko) 강관 연결구조
CN105378404A (zh) 净水线的管接头结构
CN205877455U (zh) 一种预应力钢筒混凝土管
CN207814730U (zh) 纤维增强塑料复合管的连接接头
WO2005116511B1 (en) A threaded pipe joint coupling with wire lock system
US8007012B2 (en) Coupling
KR100891149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수관 연결 조립체
CN201739660U (zh) 金属嵌件与塑胶件的增强连接结构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1702881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파이프 연결구조
CN207935162U (zh) 一种用于自吸式离心水泵的出水管接头
CZ300989B6 (cs) Prstencové tesnení
CN211951788U (zh) 高密封性钢筋混凝土管道接头
KR100413643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재
CN203632187U (zh) 电缆穿管端头密封装置
KR100999590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KR200296567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부 보강구조
CN114215970B (zh) 一种增强增韧复合管的连接适配器
KR101607825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파이프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CN213990011U (zh) 中空长方体型与环形圆柱体型嵌段波纹管承插接头
CN210770920U (zh) 增强式快速连接接头
CN212156119U (zh) 一种市政排污用双壁波纹管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