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860A -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860A
KR20080083860A KR1020070024616A KR20070024616A KR20080083860A KR 20080083860 A KR20080083860 A KR 20080083860A KR 1020070024616 A KR1020070024616 A KR 1020070024616A KR 20070024616 A KR20070024616 A KR 20070024616A KR 20080083860 A KR20080083860 A KR 2008008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able terminal
ums
comput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장재혁
김태환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3860A/ko
Publication of KR2008008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제 1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이기종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전송요구시,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없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파일시스템, 데이터 전송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Method For Data Processing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및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방법이 적용된 일예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없이 이기종 단말기에 전송하고, 이기종 단말기에서 편집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하며, 옵션기능에 부가된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이동통화 단말기는 이동 중에 음성통화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USB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USB 포트와 USB 입출력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컴퓨터와 USB 데이터 전송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면, 컴퓨터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를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컴퓨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컴퓨터는 USB 데이터 전송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데이터만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컴퓨터는 변환 프로그램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하지만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변환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사 용자는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변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한다. 아울러, 이러한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환된 데이터는 컴퓨터 이외의 이기종 단말기와의 호환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기종 단말기와 호환되는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기종 단말기에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를 편집하여 휴대 단말기로 재전송하면, 휴대 단말기는 편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 1 및 제 2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제 1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이기종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전송요구시,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없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제 1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기본정보 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이기종 단말기에 의해 편집될 시, 상기 편집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두종류의 파일시스템을 구비한다. 제 1 파일시스템 영역은 EFS(Embedded File System) 영역으로써 외부로 부터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DRM 걸린 콘텐츠, 휴대 단말기 고유의 아이콘 등을 저장한다. 제 2 파일시스템인 TFS4(Transactional File System4) 영역은 UMS(Usb Mass Storage) 영역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휴대 단말기의 환경정보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폰북, 메모장,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데이터를 의미하고, 기능 설정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벨소리, 알림음, 알람, 스케줄 등과 같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적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의 환경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명, 휴대 단말기의 식별번호(ID Number) 등을 포함하고, 콘텐츠 기본정보는 콘텐츠의 유효기간, 다운로드 경로, 저작권자,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는 이기종 단말기는 컴퓨터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단말기는 컴퓨터, 노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 Station Portable), 네비게이션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이기종 단말기는 UBS 통신을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이기종 단말기는 USB 통신뿐만 아니라, 광케이블, 근거리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기는 바람직하게 개인 정보 단말 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 통신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키입력부(140), 표시부(150), USB 포트(미도시)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를 위하여 기지국과 통화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화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제어 신호 등의 송수신과 관련한 일련의 통화를 담당한다. RF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오디오 처리부(130)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 터, 키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및 RF 통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RF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조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3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6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키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4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될 수 있 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부(15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가 컴퓨터와 USB 데이터 통신중임을 표시한다.
제어부(16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 하는 콘텐츠,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부(120)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 예컨대,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스케줄러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정보 예컨대, 휴대 단말기의 모델명, 제조사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 폴더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최소 데이터들로 구성된 기능 설정 폴더를 생성하여 UMS(USB Mass Storage) 영역에 저장한다. 여기서 UMS 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UMS 데이터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벨소리, 문자음, 알람음과 같은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설정을 변경하면, 제어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UMS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 설정 데이터를 변경된 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벨소리를 '자장가'에서 '애국가'로 변경하면, 제어부(160)는 UMS 영역에 저장된 기능 설정 폴더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벨소리를 '자장가'에서 '애국가'로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UMS 영역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160)는 콘텐츠 서버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상기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문자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컴퓨터와 USB 포트를 통해 USB 데이터 전송케이블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면 UMS 영역에 저장된 UMS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편집(또는 변경)한 UMS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하고 기저장된 데이터를 편집(또는 변경)된 UMS 데이터로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300)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벨소리를 변경하면, 제어부(160)는 컴퓨터(300)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변경된 벨소리로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외부 웹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유료 콘텐츠 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걸린 콘텐츠 등은 EFS 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컴퓨터(300)로부터 UMS 데이터 요청시, EFS 영역에 저장된 EFS 데이터들의 기본정보 예컨대, 콘텐츠의 이름, 다운로드 경로, 유효기간, 저작권자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기본정보를 생성하여 UMS 영역에 저장한다. 그 후 제어부(160)는 UMS 데이터를 컴퓨터(300)에 전송한다. 왜냐하면, EFS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는 유료 또는 DRM 걸린 콘텐츠이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EFS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 자체는 컴퓨터(300)에 전송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컴퓨터(300)에서 UMS 데이터를 요청할 때마다 EFS 영역에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하고, EFS 영역에 콘텐츠가 업데이트되었으면 콘텐츠 기본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EFS 영역에 콘텐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0) 응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폰북, 다이어리)에서 사용되는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UMS 데이터 및 EFS 영역에 저장된 아이콘 정보를 생성하여 컴퓨터(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부 및/또는 디지털 방송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저장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 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S101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면, S102 단계에서 유료 콘텐츠인지 확인한다. 제어부(160)는 S102 단계에서 유료 콘텐츠가 아님을 확인하면, S103 단계에서 UMS 영역의 해당 폴더를 검색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UMS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설정 데이터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설정 데이터를 폴더 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수신된 데이터가 어떠한 데이터인지 확인하여 데이터가 저장될 폴더를 검색한다. 제어부(160)는 S104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될 폴더가 존재함을 확인하면, S105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폴더에 저장한다.
하지만 제어부(160)는 S104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될 폴더가 존재하지 않으면, S106 단계에서 폴더를 생성한다. 이후로 수신되는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는 이 폴더에 저장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S102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유료 콘텐츠임을 확인하면 S107 단계에서 EFS 영역에 저장한다. 여기서 유료 콘텐츠는 DRM 걸린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S201 단계에서 컴퓨터(300)와의 접속을 감지하면, S202 단계에서 UMS 영역에 저장된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환경정보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100)의 모델명, 통신사,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S203 단계에서 컴퓨터(300)로부터 UMS 데이터 전송요청을 감지하면, S204 단계에서 EFS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폴더를 UMS 영역에 생성하여 S205 단계에서 UMS 영역에 저장된 UMS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제어부(160)는 UMS 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설정 데이터 및 EFS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기본정보를 전송한다. EFS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는 유료 또는 DRM에 걸린 콘텐츠이기 때문에 사용자 임의대로 전송될 수 없다.
제어부(160)는 S206 단계에서 컴퓨터(300)로부터 편집된 UMS 데이터를 수신하면, S207 단계에서 기저장된 UMS 데이터를 편집된 UMS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편집된 UMS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컴퓨터(300)에서 공유된 휴대 단말기(100)의 UMS 영역에 접근하여,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폰북 데이터를 변경하면, 컴퓨터는 이를 감지한다. 이후 컴퓨터(300)는 변경된 폰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변경된 폰북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저장된 폰북 데이터를 변경된 폰북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폰북을 변경된 데이터로 설정한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100)는 S301 단계에서 USB 데이터 통신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와 접속하고, S302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정보 데이 터를 전송한다.
컴퓨터(3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S3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인식한다. 컴퓨터(3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100)의 UMS 영역에 저장된 UMS 데이터를 열람할 것인지 표시한다. 사용자가 UMS 데이터 열람을 요청하면, 컴퓨터(300)는 S304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에 UMS 데이터를 요청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컴퓨터(300)로부터 UMS 데이터 전송요청을 감지하면, S305 단계에서 UMS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컴퓨터(300)로부터 UMS 데이터 전송요청 감지시, EFS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기본정보 생성하여 UMS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즉, 컴퓨터(3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6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UMS 영역에 저장된 UMS 데이터 및 EFS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기본정보를 폴더 별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가 S307 단계에서 컴퓨터(300)에 표시된 UMS 데이터를 편집하면, 컴퓨터(300)는 S308 단계에서 편집된 UMS 데이터를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S309 단계에서 기저장된 UMS 데이터를 편집된 UMS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편집된 데이터에 상응하도록 휴대 단말기(100)를 설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 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기종 단말기와 호환되는 포맷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이기종 단말기에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를 편집하여 휴대 단말기로 재전송하면, 휴대 단말기는 편집된 데이터를 저장 및 설정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및 제 2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제 1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 내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이기종 단말기로부터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전송요구시,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없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제 1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콘텐츠의 기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하는 과정과,
    상기 제 2 파일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이기종 단말기에 의해 편집될 시, 상기 편집된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능 설정 데이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USB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이기종 단말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일시스템은,
    EFS(Embedded File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 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일시스템은,
    TFS4(Transactional File System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KR1020070024616A 2007-03-13 2007-03-13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KR20080083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16A KR20080083860A (ko) 2007-03-13 2007-03-13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616A KR20080083860A (ko) 2007-03-13 2007-03-13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60A true KR20080083860A (ko) 2008-09-19

Family

ID=4002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616A KR20080083860A (ko) 2007-03-13 2007-03-13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38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163A (ko) * 2010-09-29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3163A (ko) * 2010-09-29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43982A3 (en) * 2010-09-29 2012-05-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78257B2 (en) 2010-09-29 2013-07-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49640B2 (en) 2010-09-29 2018-08-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7941B2 (ja) 近距離場通信タグを電子電話帳に記憶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17912B1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34051A1 (en) Accessory transceiver for mobile devices
US20120009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media
CN101222761B (zh) 用于启用网络操作系统的用户设备的传递应用的方法
US80553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 media player
EP1916611A2 (en) DRM content player and play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20120059168A (ko)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471664B1 (ko) 통화 연결음 음원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4157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
KR20080054737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206426B1 (ko) 사용자 기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KR20060104324A (ko) 캐릭터 합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83860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
US20090285132A1 (en) Computer system having handsfree function of internet phone
KR100591833B1 (ko) 개선된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6670B1 (ko) 음원의 유효기간 알림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US20120134077A1 (en) Mult-plane activation side key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8345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편집 방법
KR20010107851A (ko) 가상머신을 내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vm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5982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중 검색 정보 전송 장치 및 그방법
KR20090011150A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스템과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145053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20070113839A (ko) 단말기 연동시스템 및 단말기 연동방법
KR100871323B1 (ko) 휴대형 단말기 및 휴대형 단말기의 외부장치와의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