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052A - Wiping articles - Google Patents

Wiping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052A
KR20080083052A KR1020087019035A KR20087019035A KR20080083052A KR 20080083052 A KR20080083052 A KR 20080083052A KR 1020087019035 A KR1020087019035 A KR 1020087019035A KR 20087019035 A KR20087019035 A KR 20087019035A KR 20080083052 A KR20080083052 A KR 2008008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wipe
wet
fibers
w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리베라 까르멘 마르틴
알랭 떼리에
고메스 에스뜨레야 까브레로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8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0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An article for the wet/damp wiping of surfaces comprises a moisture-absorbing wipe that provid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article, the wipe comprising bamboo fibres. The wipe may be formed from a textile material and contains at least 10%, preferably at least 30%, by weight of bamboo fibres.

Description

와이핑 용품{WIPING ARTICLES}Wiping article {WIPING ARTICLES}

본 발명은 표면을 와이핑(wiping)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용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기간 동안 습윤되거나 젖은 상태로 있을 가능성이 있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와이핑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가정 환경에서의 경질 표면, 예를 들어 주방 및 욕실 가구 및 가전 제품의 표면을 와이핑하는 데 사용하도록 의도된 유형의 와이핑 용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rticles for use in wiping surfac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ing article intended to be used in a manner that is likely to be wet or wet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but not exclusively relates to a type of wiping article intended for use in wiping hard surfaces in a home environment, such as kitchen and bathroom furniture and appliances.

"와이프(wipe)"로서 공지된 형태의 와이핑 용품은 작업 표면 및 바닥과 같은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해, 가정, 산업, 병원 및 식품 산업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소비자에 의해 널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와이프"라는 용어는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는 웨브 재료의 양 표면에 의한 표면의 와이핑에 대해 그 자체로 효과적이도록(즉, 예를 들어 다른 재료와 함께 층을 이루거나 다른 재료에 적층됨이 없이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해 취급 및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특성을 갖는 웨브 재료편(piece of web material)을 의미한다. 많은 상이한 유형의 와이프가 종이 수건으로부터 섬유 행주 및 마루 걸레까지의 범위에서 현재 이용될 수 있다.Wiping articles of the type known as “wipe” are widely used by consumers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including home, industrial, hospital and food industry environments, for wiping surfaces such as work surfaces and floors. As used herein, the term " wipe " is intended to be effective on its own (i.e., along with other material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wiping of the surface by both surfaces of the web material providing a wiping action. Refers to a piece of web material having properties that can be handled and used to wipe a surface without forming or laminating to other materials. Many different types of wipes are currently available ranging from paper towels to fiber cloths and floor cloths.

와이프용으로 사용되는 웨브 재료의 유형은 와이프가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세척/와이핑 기능, 및 그의 의도된 수명에 의존한다. 몇몇 와이프는 건식으로 사 용되도록 의도되고(예를 들어, 쏟아진 액체를 닦아 내기 위해 사용되는 종이 수건), 다른 와이프는 적거나 습윤된 상태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와이프는 그의 내구성에 따라, (와이프가 사용 직후에 폐기되도록 의도된 것을 의미하는) "일회용", (와이프가 세탁되어 제한된 회수로 재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수회용(semi-disposable)", 또는 (와이프가 주어진 용도에 따라, 세탁되어 무제한 회수로 재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을 의미하는) "재사용 가능"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젖은 상태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소정 와이프 재료의 바람직한 특성은 낮은 "와이핑성(wipeability)" 측정치(습윤된 표면이 젖은 재료로 와이핑된 후에 건조되는 데 걸리는 시간의 표시)이다. 소정 와이프 재료의 다른 바람직한 특성은 짧은 "건조" 시간(즉, 젖은/습윤된 상태로 사용된 후에 비교적 신속하게 건조되는 능력)이다.The type of web material used for the wipe depends on the cleaning / wiping function that the wipe is required to perform, and its intended life. Some wipes are intended to be used dry (for example, paper towels used to wipe off spilled liquids), while others are intended to be used in low or wet conditions. A wipe is, depending on its durability, "disposable" (meaning that the wipe is intended to be discarded immediately after use), or "semi-disposable" (meaning that the wipe can be washed and reused for a limited number of times). Or can be classified as "reusable" (meaning that the wipe is intended to be washed and reused in unlimited number of times, depending on the given use). A desirable property of certain wipe materials intended to be used wet is a low " wipeability " measurement (an indication of how long it takes for the wet surface to dry after being wiped with the wet material). Another desirable property of certain wipe materials is a short “dry” time (ie the ability to dry relatively quickly after being used in a wet / wet state).

와이프용으로 현재 사용되는 웨브 재료의 예에는 "일회용" 카테고리 내의 와이프를 위한 스펀-본드(spun-bond) 부직 재료; "일회용" 및 "수회용" 카테고리 내의 와이프를 위한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 재료; 및 "재사용 가능" 카테고리 내의 와이프를 위한 편직된, 직조된 그리고 열접합된 부직 재료가 포함된다.Examples of web materials currently used for wipes include spun-bond nonwoven materials for wipes in the “disposable” category; Spun-lace nonwoven materials for wipes in the "disposable" and "disposable" categories; And knitted, woven and heat bonded nonwoven materials for wipes in the "reusable" category.

소비자에 의해 자주 보고되는 문제점은 젖거나 습윤된 상태로 가정 환경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수회용" 및 "재사용 가능" 카테고리 내의 와이프가 불쾌한 냄새 및 불쾌하고 끈적거리는 느낌 형태의 비위생적인 외관을 나타낼 수 있지만 와이프 자체는 이와는 달리 여전히 양호한 상태라는 것이다.A problem often reported by consumers is that wipes within the "disposable" and "reusable" categories, intended to be used in a home environment in a wet or wet state, may exhibit an unsanitary appearance in the form of unpleasant odors and unpleasant and sticky feeling. But the wipe itself is otherwise still in good condition.

소비자는 사용 중간에 와이프를 가능한 한 많이 건조되도록 방치함으로써(이를 위한 기회는 종종 용품이 대체로 계속 사용되기 때문에 매우 제한됨) 또는 와이 프가 그의 수명 중에 가능한 한 위생적인 외관을 보유하도록 표백제와 같은 화학물질 내에서 와이프를 헹굼으로써, 스스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점점 더 소비자는 그러한 화학물질의 사용에 대한 환경적 우려를 가지며, 가능하다면 화학물질의 사용을 피하는 것을 선호한다. 소비자는 또한 와이프의 상태를 복원하는 데 소요될 이용가능한 시간을 적게 갖고 있음을 알았고, 비용적 고려에도 불구하고, 와이프가 불쾌한 냄새 및/또는 느낌을 나타냈기 때문에 와이프를 그의 수명 종료 이전에 버리는 것을 강구할 것이다.The consumer may leave the wipe dry as much as possible in the middle of use (opportunities for this are often very limited because the article is usually still in use) or chemicals such as bleach to ensure that the wipe has as hygienic as possible during its lifetime. By rinsing the wipes within, I try to solve these problems myself. However, more and more consumers have environmental concerns about the use of such chemicals and prefer to avoid the use of chemicals where possible. The consumer also found that there was less time available to restore the state of the wipe, and despite cost considerations, it was envisaged to throw away the wipe before its end of life because the wipe exhibited an unpleasant smell and / or feeling. something to do.

주로 와이핑되는 표면을 처리하고/하거나 세척 용품에 의한 세균 감염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해, 제조자가 살생제(biocide)(예를 들어, 4차 암모늄 염) 또는 다른 화학물질로 세척 용품을 함침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와이프는 와이프가 그의 유효 수명 전체에 걸쳐 (냄새 및 느낌의 면에서) 위생적인 외관을 보유해야 하는 전술한 소비자 요구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제한된 성공을 거두었으며, 몇몇 경우에, 성공의 결여는 살생제/화학물질 처리와 관련된 환경적 우려로 인한 것이었고, 다른 경우에, 상기 처리는 소비자가 원하는 효과를 단순히 생성하지 못하였다.In order to treat surfaces that are primarily wiped and / or to inhibit the transmission of bacterial infections by the cleaning article, manufacturers impregnate the cleaning article with biocide (eg, quaternary ammonium salts) or other chemicals. It is known. Wipes processed in this manner have had limited success in addressing the aforementioned consumer demands that wipes should have a hygienic appearance (in terms of smell and feel) throughout their useful life, and in some cases, success The lack of was due to environmental concerns associated with biocidal / chemical treatment, in other cases, the treatment simply did not produce the desired effect.

살생제로 함침된 세척 용품은 예를 들어 EP-A-0 869 216호, WO 94/12034호, EP-A-358 572호 및 US-A-3 018 192호에 설명되어 있다.Cleaning articles impregnated with biocide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EP-A-0 869 216, WO 94/12034, EP-A-358 572 and US-A-3 018 192.

습한 상태로 포장되는 세척 용품 내에 살생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함침된 일회용 와이프는, 예를 들어 즉시 사용을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습윤" 상태로 포장되고, 포장 내에서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살생제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살생제의 존재는 또한 환경적 이유로 소비자에게 우려가 될 수 있다.It is also known to include biocides in cleaning articles that are packaged in wet conditions. The impregnated disposable wipes may be packaged in a “wet” state, for example, for use for immediate use, and treated with a biocide to inhibit the growth of mold in the package. The presence of such biocides can also be a concern for consumers for environmental reasons.

본 발명은 대체로 와이프, 특히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wet/damp wiping)을 위해 의도된 수분 흡수 와이프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특수한 처리(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사용 시에 또는 사용 전의 포장 내에서) 습윤되거나 젖은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 불쾌한 냄새 또는 느낌 형태의 비위생적인 외관을 나타낼 가능성이 적은,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을 위해 의도된 수분 흡수 와이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와이프는 그 자체로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을 위한 용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그러한 용품의 와이핑 표면을 제공하도록 다른 재료에 접합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directed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wipes, in particular moisture absorbent wipes intended for wet / damp wiping of surface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likely to exhibit an unsanitary appearance in the form of an unpleasant odor or feeling when left wet or wet (when in use or in packaging before use) without requiring special treatment (s). Little relates to the provision of moisture absorbent wipes intended for wet / wet wiping of surfaces. The wipe may itself be used as an article for wet / wet wiping of the surface, or may be bonded to other materials to provide a wiping surface of such article.

본 발명은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을 위한 용품을 제공하는데, 이 용품은 용품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제공하는 수분 흡수 와이프를 포함하고, 와이프는 대나무 섬유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le for wet / wet wiping of a surface, the article comprising a water absorbing wipe that provid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article, the wipe comprising bamboo fibers.

수분 흡수 와이프가 형성되는 재료 내에 대나무 섬유를 포함시키는 것은 와이프가 습윤되거나 젖은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에 위생적인 외관을 보유하는 시간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대나무 섬유의 포함은 특히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Sa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세균 오염에 대한 저항 및 어느 정도의 정균 활성(bacteriostatic activity)을 갖는 소정 와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알려졌다. 대나무 섬유의 포함은 소정 와이프의 "와이핑성"과, 소정 와이프의 "건조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알려졌다.The inclusion of bamboo fibers in the material from which the moisture absorbing wipes are formed has been found to increase the length of time that the hygienic appearance remains when the wipes are left wet or wet.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 inclusion of bamboo fibers can provide certain wipes with resistance to bacterial contamination and some bacteriostatic activity, especially for Salmonella typhimurium. It is also known that the inclusion of bamboo fibers can improve the "wiping" of certain wipes and the "drying time" of certain wipes.

섬유 제품에서의 대나무 섬유의 사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고, 의류, 수건 및 의료용 드레싱에 사용하도록 의도된 섬유 제품의 경우에, 대나무 섬유의 포함은 수분 흡수 및 항균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이미 인식되어 있다(예를 들어, WO 2005/068697호 및 JP-A-2001/115347호 참조).The use of bamboo fibers in textile products is already known and it is already recognized that in the case of textile products intended for use in apparel, towels and medical dressings, the inclusion of bamboo fibers can improve water absorption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See, eg, WO 2005/068697 and JP-A-2001 / 115347).

CN-A-1446515호에서는, 전통적인 유형의 세척 천(cleaning cloth)에서, MRSA 및 대장균(E. Coli)과 같은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세균 감염의 그러한 천에 의한 전파를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대나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제안되었다. 상기 천은 천의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함께 층을 이루는 복수의 재료편을 포함하고, 재료의 층들 중 어느 것도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는 재료의 양 표면에 의한 표면의 와이핑에 대해 그 자체로 효과적이지 않다.In CN-A-1446515, the use of bamboo fibers in the traditional type of cleaning cloth, in terms of reducing the transmission by such cloth of potentially deadly bacterial infections such as MRSA and E. Coli, Has also been proposed. The fabric comprises a plurality of pieces of material layered together to provide the desired properties of the fabric, and none of the layers of material is effective on its own by wiping the surface by both surfaces of the material providing the wiping action. not.

대나무 섬유가 표면의 습윤/습식 세척을 위해 의도된 와이프에서 불쾌한 냄새 및 불쾌하고 끈적거리는 느낌의 나타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이전에는 인식되지 않았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자주 또는 거의 항상 습윤된/젖은 상태에 있는 와이프가 대나무 섬유를 포함한다면, 불쾌한 냄새 및/또는 느낌을 나타낼 가능성이 적을 것이라는 것은 이전에는 인식되지 않았었다.It has not been previously recognized that bamboo fibers may be used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unpleasant odors and offensive and sticky feeling in wipes intended for wet / wet cleaning of surfaces. More specifically, it has not been previously recognized that if a wipe that is frequently or almost always wet / wet includes bamboo fibers, it will be less likely to exhibit an unpleasant odor and / or feeling.

본 발명에 따른 용품에서, 수분 흡수 와이프는 부직, 직조 및 편직 구성을 포함하는 와이프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구성의 것일 수 있는 섬유 재료(textile material)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직조 또는 편직 재료의 제조를 위해, 대나무 섬유는 먼저 연속적인 얀(yarn)으로 방사(또는 달리 형성)되는 반면에, 적합한 부직 웨브 재료의 제조를 위해, 스태플(staple) 또는 절단된 대나 무 섬유가 전형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대나무 섬유는 다른 재료의 섬유(미세섬유를 포함)와 조합되어 웨브 재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In the art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oisture absorbing wipes may be formed from a textile material which may be of any construction known to be suitable for wipes including nonwoven, woven and knitted constructions. For the manufacture of suitable woven or knitted materials, bamboo fibers are first spun (or otherwise formed) in continuous yarns, while for the production of suitable nonwoven web materials, staples or cut bands or radish Fibers will typically be used. Bamboo fibers may be present in the web material in combination with fibers of other materials (including microfibers).

수분 흡수 와이프용으로 사용되는 부직 재료는 예를 들어 스펀 레이스 재료;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재료(carded, cross-lapped and needle-tacked material); 및 열접합된 재료를 포함한, 와이프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구성의 것일 수 있다. Nonwoven materials used for moisture absorbing wipes include, for example, spunlace materials; Carded, cross-lapped and needle-tacked material; And any construction known to be suitable for the wipe, including heat bonded materials.

부직 재료는 라텍스 코팅될 수도 있고, 미세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부직 재료는, 특히 예를 들어 웨브 재료가 스펀-본드 구성의 것이거나 대나무 섬유와의 니들 태킹 또는 스티칭(stitching)에 의해 보강되면, 100% 대나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100% 대나무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재료는 재료의 양 측면 상에, 코팅, 예를 들어 라텍스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보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접합 섬유가 대나무 섬유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열접합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The nonwoven material may be latex coated and may comprise microfibers. The nonwoven material may be, in particular, if the web material is of a spun-bond configuration or is reinforced by needle tagging or stitching with bamboo fibers, for example. , Can contain 100% bamboo fiber. Otherwise, the nonwoven material comprising 100% bamboo fibers can be reinforced by providing a coating, for example a latex coating, on both sides of the material. Alternatively, heat bonded materials may be used in which heat bonded fibers are included with the bamboo fibers.

부직 재료는 대안적으로는 대나무 및 다른 섬유 또는 미세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재료의 섬유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중량% 대나무 섬유를 포함한다. 다른 섬유/미세섬유는 예를 들어 다른 천연 섬유, 또는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섬유/미세섬유를 포함한, 와이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것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예를 들어 비용을 절감하고, 요구된다면 부직 재료의 마멸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섬유 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부직 재료는 또한 니들 태킹 또는 스티칭에 의해, 재료의 양 측면 상에서의 코팅, 예를 들어 라텍스 코팅의 제공에 의해, 그리고/또는 열접합 섬유의 포함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The nonwoven material may alternatively comprise a mixture of bamboo and other fibers or microfibers. In such a case, the fiber content of the material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10% by weight bamboo fibers. Other fibers / fine fibers are any known to be suitable for use in wipes, including, for example, other natural fibers or fibers / fine fibers of viscose, polyester, polyamide, polypropylene, polyvinyl alcohol or mixtures thereof. It may be of the type of. Polyester fibers can be included, for example, to reduce cost and increase the wear resistance of the nonwoven material if desired. Nonwoven 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fibers may also be reinforced by needle tagging or stitching, by providing coatings on both sides of the material, for example latex coatings, and / or by the inclusion of thermally bonded fibers.

부직 재료는 와이프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범위, 전형적으로 15 내지 300 gm/㎡의 건조 중량의 범위 내의 평량(basis weight)을 가질 수 있다(하지만, 재료는 적절하다면 더 높은 평량을 가질 수 있다).The nonwoven material may have a basis weight within a range known to be suitable for wipes, typically in the range of a dry weight of 15 to 300 gm / m 2 (but the material may have a higher basis weight if appropriate). .

몇몇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품은 사용 전에 흡습될/적셔질 필요가 없도록 이미 흡습된 형태로 포장될 수 있다.In some forms, the art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packaged in an already hygroscopic form so that it does not have to be hygroscopic / wet before use.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용품의 예는 라텍스 코팅된 부직 재료를 포함하는 와이프인데, 여기서 부직 재료는 75 중량% 대나무 섬유 및 25 중량%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재료이다. 라텍스 코팅은 와이프의 총 중량의 약 20%를 구성한다. 하나의 형태에서, 와이프는 약 210 gm/㎡의 평량을 갖고, (자루 걸레와 같은 세척 도구에 부착될 수 있을 때) 바닥과 같은 큰 표면을 세척하도록 의도된다. 보다 작은 표면을 세척하는 데 더 적합한 다른 형태에서, 와이프는 약 170 gm/㎡의 평량을 갖는다.An example of a wiping art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wipe comprising a latex coated nonwoven material, wherein the nonwoven material is carded, cross wrapped and needle tacked, formed from a mixture of 75 wt% bamboo fibers and 25 wt% polyester fibers Material. The latex coating constitutes about 20% of the total weight of the wipe. In one form, the wipe has a basis weight of about 210 gm / m 2 and is intended to clean a large surface, such as a floor (when it can be attached to a cleaning tool such as a rag). In another form that is more suitable for cleaning smaller surfaces, the wipe has a basis weight of about 170 gm / m 2.

본 발명에 따른 와이핑 용품의 다른 예는 80 중량% 대나무 섬유 및 20 중량% 열접합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구성의 열접합된 와이프이다. 열접합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이다. 위와 같이, 하나의 형태에서, 와이프는 약 210 gm/㎡ 의 평량을 갖고, 다른 형태에서, 와이프는 약 170 gm/㎡의 평량을 갖는다.Another example of a wiping art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heat bonded wipe in a carded, cross wrapped and needle tacked configuration, formed from a mixture of 80 wt% bamboo fibers and 20 wt% heat bonded fibers. Thermal bond fibers are polypropylene fibers. As above, in one form, the wipe is about 210 gm / m 2 And in other forms, the wipe has a basis weight of about 170 gm / m 2.

본 발명에 따른 와이프의 다른 예는 또한 75 중량% 대나무 섬유, 15%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중량% 열접합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구성의 열접합된 와이프이다. 열접합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이다. 와이프는 약 210 gm/㎡의 평량을 갖는다.Another example of a wip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lso a heat bonded wipe in a carded, cross wrapped and needle tagged configuration, formed from a mixture of 75 wt% bamboo fibers, 15% polyester fibers and 10 wt% heat bonded fibers. Thermal bond fibers are polypropylene fibers. The wipe has a basis weight of about 210 gm / m 2.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와이핑 용품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인용되는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달리 표시되지 않으면 중량에 의한다.Other wiping 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non-limiting examples. All parts and percentages quoted are by weight unless otherwise indicated.

실시예는 하기의 재료, 장비 및 시험 방법을 사용하였다.The examples used the following materials, equipment and test methods.

재료material

대나무 섬유: 중국 베이징 소재의 차이나 뱀브로 텍스타일 컴퍼니(China Bambro Textile Co.)로부터 구매가능한, 1.56 dtex의 데니어 및 38 ㎜의 길이를 갖는 절단된 압출 섬유.Bamboo Fiber: Cut extruded fiber having a denier of 1.56 dtex and a length of 38 mm, available from China Bambro Textile Co., Beijing, China.

폴리에스테르 섬유: 대나무 섬유와 유사한 데니어 및 길이.Polyester fiber: Denier and length similar to bamboo fiber.

비스코스 섬유: 대나무 섬유와 유사한 데니어 및 길이.Viscose fiber: denier and length similar to bamboo fiber.

열접합 섬유: 일본 오사카 소재의 유니티카 엘티디.(Unitika Ltd.)로부터 상표명 "멜티(MELTY)"로 입수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섬유.Heat Bonded Fiber: Polyester fiber available under the trade name "MELTY" from Unitika Ltd., Osaka, Japan.

장비equipment

섬유 개방 및 블렌딩 장비: 종래의 장비(예를 들어, 스페인 지로나 소재의 마시아스 마퀴나리아 텍스틸 에스.에이.(MASIAS MAQUINARIA TEXTIL S.A.)로부터 입 수가능함).Fiber Opening and Blending Equipment: Conventional equipment (for example available from MASIAS MAQUINARIA TEXTIL S.A., Girona, Spain).

웨브 제조 장치: 공급기 중량 제어에 의한 종래의 카딩 기계(예를 들어, 스페인 지로나 소재의 마시아스 마퀴나리아 텍스틸 에스.에이.로부터 입수가능함)에 뒤이은, 종래의 교차 래핑 기계(예를 들어, 이탈리아 피스토이아 소재의 오토마텍스 넌우븐 에스알엘(AUTOMATEX NONWOVEN SRL)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종래의 니들 태커(needle tacker)(예를 들어, 오스트리아 린쯔 소재의 페러 게엠베하(FEHRER GmbH)로부터 입수가능함).Web manufacturing equipment: Conventional cross-wrapping machines (e.g., available from Macia's Macquinaria Textil S.A., Girona, Spain) with feeder weight control (e.g. For example, available from AUTOMATEX NONWOVEN SRL in Pistoia, Italy, and from conventional needle tacker (e.g., FEHRER GmbH, Linz, Austria). Available).

오븐: 종래의 오븐(예를 들어, 독일 에겔스바흐 소재의 플라이스너 게엠베하(FLEISSNER GmbH)로부터 입수가능함).Oven: Conventional oven (for example available from FLEISSNER GmbH, Egelsbach, Germany).

시험 방법Test Methods

"보통 가정 사용" 시험: 와이프를 가정 주방에서 보통 직면하는 사용 유형에 10일의 기간 동안 처해지도록 한다(즉, 와이프를 가정 주방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습윤된/젖은 상태로 매일 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매 사용 후에 깨끗한 수돗물 중에서 헹구고 다음에 필요할 때까지 방치한다). 와이프의 상태를 1일 단위로 관찰한다."Usually Home Use" Test: Allow wipes to be subjected to a period of 10 days for the type of use normally encountered in home kitchens (ie, use wipes repeatedly each day in a wet / wet condition to clean home kitchen surfaces). After each use, rinse in clean tap water and leave until needed next time. Observe the state of the wipe on a daily basis.

건조 시험: 건조한 와이프를 칭량하고, 깨끗한 수돗물 중에 침지시키고, 주름 펴는 기계(mangle)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시키고, 다시 칭량한다. 그리고 나서, 와이프를 23℃의 온도로 설정된 건조 오븐 내에 걸어 두어, 30분마다 칭량한다.Drying Test: Dry wipes are weighed, immersed in clean tap water, passed between rollers of a mangle, and weighed again. The wipe is then hung in a drying oven set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weighed every 30 minutes.

세균 오염의 측정: 건조한 와이프의 일편을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의 현탁액이 첨가된 멸균 백 내에 두었다. 와이프 샘플 전체에 걸쳐 현탁액을 분포시키기 위해 백을 반복적으로 압착하였고, 뒤이어 백을 밀봉하여 20±2℃에서 배양하였다. 현탁액의 샘플을 소정 간격으로 백으로부터 취출하여, 세균 오염에 대해 시험하였다. 세균 오염이 없는 건조한 와이프의 다른 일편을 사용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Determinati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One piece of dry wipe was placed in a sterile bag added with a suspens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The bags were repeatedly compressed to distribute the suspension throughout the wipe sample, then the bags were sealed and incubated at 20 ± 2 ° C. Samples of the suspension were withdrawn from the bag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ested for bacterial contamination. Measurements were repeated using another piece of dry wipe free of bacterial contamination.

와이핑성 시험: 건조한 와이프를 깨끗한 수돗물 중에 침지시킨 다음, 주름 펴는 기계의 롤러들 사이를 통과시킨다. 측정된 물의 양을 시험 표면 상에 두고, 젖은 와이프로 닦는다. 그리고 나서, 표면을 건조되도록 방치하고, 표면이 건조 상태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기록한다.Wiping Test: The dry wipe is immersed in clean tap water and then passed between the rollers of the pleating machine.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is placed on the test surface and wiped with a wet wipe. The surface is then left to dry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surface to reach a dry state is recorded.

실시예 1Example 1

75% 대나무 섬유, 15%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열접합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혼합물을 사용하여, 열접합되고 카딩되고 교차 래핑된 부직 웨브 재료를 형성하였다. 섬유 꾸러미를 개방하고, 섬유들을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부직 웨브를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하는 웨브 제조 장치로 공급하기 전에 요구되는 상대량으로 혼합하였다. 열접합 섬유를 연화시켜서 이를 웨브 내의 다른 섬유에 접합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작동하는 오븐을 통해 웨브를 통과시켰고, 이에 의해 웨브의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웨브 제조 장치를 약 150 gm/㎡의 평량을 갖는 부직 웨브를 생성하도록 작동시켰다. 그리고 나서, 부직 웨브로부터 대략 30 ㎝ x 30 ㎝의 크기를 갖는 와이프 샘플을 절단하였다.A fiber mixture comprising 75% bamboo fibers, 15% polyester fibers and 10% heat bonded fibers was used to form heat bonded, carded and cross wrapped nonwoven web materials. The fiber bundle was opened and the fibers were mixed in the required relative amounts before feeding the carded, cross wrapped and needle tacked nonwoven webs to the web making apparatus forming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web was passed through an oven operating at a temperature sufficient to soften the thermal bond fibers and bond them to other fibers in the web,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web. The web manufacturing apparatus was operated to produce a nonwoven web having a basis weight of about 150 gm / m 2. Then, a wipe sample having a size of approximately 30 cm x 30 cm was cut from the nonwoven web.

실시예 2Example 2

37.5% 대나무 섬유, 37.5% 비스코스 섬유, 15%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열접합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혼합물을 사용하여 부직 재료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a nonwoven material was formed using a fiber mixture comprising 37.5% bamboo fibers, 37.5% viscose fibers, 15% polyester fibers and 10% heat bonded fibers.

실시예 3Example 3

75% 비스코스 섬유, 15%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10% 열접합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혼합물을 사용하여 부직 재료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a nonwoven material was formed using a fiber mixture comprising 75% viscose fiber, 15% polyester fiber and 10% heat bonded fiber.

실시예 4Example 4

유니레버(Unilever)로부터 상표명 "발레리나(Ballerina)"로 스페인에서 구매가능한, 60% 셀룰로오스 섬유 및 40%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종래의 열접합된 부직 와이프를 샘플로서 사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Example 1 was repeated using a conventional heat bonded nonwoven wipe comprising 60% cellulose fiber and 40% synthetic fib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pain under the trade name “Ballerina” from Unilever.

실시예 5Example 5

75% 대나무 섬유 및 25%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혼합물을 사용하여 라텍스 코팅된 웨브 재료를 형성하였다. 섬유 꾸러미를 개방하고, 섬유들을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부직 웨브를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하는 웨브 제조 장치로 공급하기 전에 요구되는 상대량으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웨브를 양 측면 상에서 라텍스로 코팅하고, 라텍스 코팅을 경화시키기에 충분한 온도로 작동하는 오븐을 통해 통과시켰다. 최종 웨브는 약 210 gm/㎡의 평량을 가졌고, 이때 라텍스 코팅은 총 중량의 약 20%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부직 웨브로부터 대략 30 ㎝ x 30 ㎝의 크기를 갖는 와이프 샘플을 절단하였다.A fiber mixture comprising 75% bamboo fibers and 25% polyester fibers was used to form the latex coated web material. The fiber bundle was opened and the fibers were mixed in the required relative amounts before feeding the carded, cross wrapped and needle tacked nonwoven webs to the web making apparatus forming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web was then coated with latex on both sides and passed through an oven operating at a temperature sufficient to cure the latex coating. The final web had a basis weight of about 210 gm / m 2, where the latex coating made up about 20% of the total weight. Then, a wipe sample having a size of approximately 30 cm x 30 cm was cut from the nonwoven web.

실시예 6Example 6

대나무 섬유를 비스코스 섬유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를 반복하 였다.Example 5 was repeated except that bamboo fibers were replaced with viscose fibers.

결과result

실시예 1 및 3의 와이프 샘플은 "보통 가정 사용" 시험에 처해졌고, 실시예 1 내지 4의 샘플은 전술된 건조 시험에 처해졌다. 세균 오염의 측정을 실시예 1 및 3의 샘플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고, 실시예 5 및 6의 샘플은 와이핑성 시험에 처해졌다.The wipe samples of Examples 1 and 3 were subjected to the "normal home use" test, and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4 were subjected to the dry test described above. Measurement of bacterial contamination wa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for the samples of Examples 1 and 3, and the samples of Examples 5 and 6 were subjected to the wiping test.

"보통 가정 사용" 시험 중에, (대나무 섬유를 함유지하 않은) 실시예 3의 샘플은 단지 수 일 후에 불쾌한 냄새 및 불쾌하고 끈적거리는 느낌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된 반면에, 실시예 1의 샘플은 시험의 전 기간 동안 그러한 효과가 없이 유지되었다. 모든 샘플의 흡수 특성은 유사하게 보였고, 와이핑성(즉, 와이핑된 표면이 건조되는 데 걸리는 시간의 측정치)도 그러하였다.During the "usually home use" test, the sample of Example 3 (without bamboo fiber) was observed to exhibit an unpleasant odor and an unpleasant and sticky feeling after only a few days, whereas the sample of Example 1 It remained ineffective for the entire period.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all the samples looked similar, as were the wiping properties (ie, the measurement of how long it took for the wiped surface to dry).

건조 시험의 결과가 첨부된 도 1에 요약되어 있는데, 도 1은 건조 오븐 내에서의 시간의 함수로서 4개의 카테고리의 와이프 샘플에 의해 보유된 물의 평균량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각각의 카테고리의 샘플에 의해 보유되는 물의 양은 샘플의 건조 중량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특정 시간에서의 샘플의 평균 중량에 의해 표시된다. 차트는 실시예 1의 샘플이 건조 오븐 내에서 90분의 기간 후에 실질적으로 건조된 반면에, (대나무 섬유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3 및 4의 샘플은 유사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거의 1시간을 더 요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의 샘플은 특히 시험의 초기에 실시예 3 및 4의 샘플보다 더 빨리 건조되었지만, 실시예 1의 샘플보다는 더 느리게 건조되었다.The results of the drying test are summarized in FIG. 1 attached, which is a chart showing the average amount of water held by four categories of wipe samples as a function of time in a drying oven. The amount of water retained by each category of sample is represented by the average weight of the sample at a particular tim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dry weight of the sample. The chart shows that while the samples of Example 1 were substantially dried after a period of 90 minutes in the drying oven, the samples of Examples 3 and 4 (which did not contain bamboo fibers) took nearly 1 hour to reach a similar state. Shows more demands. The sample of Example 2 was dried faster than the samples of Examples 3 and 4, especially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but was dried more slowly than the sample of Example 1.

세균 오염의 측정은 실시예 1의 샘플이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의한 오염에 처했을 때 세균의 성장이 3일 후에 정지하였다는 점에서 정균 특성을 지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한 특성은 실시예 3의 샘플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측정은 또한 실시예 1의 오염되지 않은 샘플이 샘플의 오염이 7일의 기간에 걸쳐 비교적 낮게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자연적인 세균 오염에 대해 약간의 저항성을 지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으로, 실시예 3의 샘플의 자연적인 오염은 동일한 기간에 걸쳐 현저하게 증가하였다.Measurement of bacterial contamination showed that the sample of Example 1 had bacteriostatic properties in that bacterial growth stopped after 3 days when contamina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Such a property was not observed in the sample of Example 3. The measurements also showed that the uncontaminated sample of Example 1 was slightly resistant to natural bacterial contamination in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sample remained relatively low over a 7 day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contamination of the sample of Example 3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same period.

와이핑성 시험은 시험 표면으로서 거울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을 때, 표면이 실시예 6의 샘플로 유사한 방식으로 닦인 경우의 약 110초에 비해 실시예 5의 샘플로 닦인 경우에는 약 60초 후에 건조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험 표면으로서 테라초(terrazzo) 바닥을 사용하고, 해당 면적에 대해, 표면에 걸쳐 더 균일하게 분포된 비교적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을 때, 시험은 표면이 실시예 6의 샘플로 유사한 방식으로 닦인 경우의 약 14분에 비해 실시예 5의 샘플로 닦인 경우에는 약 10분 후에 건조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The wiping test was performed using a mirror as the test surface, and the surface was dried after about 60 seconds when wiped with the sample of Example 5 compared to about 110 seconds when wiped in a similar manner with the sample of Example 6. Showed. When a terrazzo floor was used as the test surface, and for that area, the test was carried out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distributed more evenly over the surface, the test was carried out in a similar manner with the surface of the sample of Example 6 It was shown that it was dried after about 10 minutes when wiped with the sample of Example 5 compared to about 14 minutes when wiped.

결론conclusion

시험은 젖은/습윤된 상태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열접합된 부직 와이프 내에 대나무 섬유를 포함시키는 것이 대나무 섬유를 함유하지 않은 동등한 종래의 와이프보다 실질적으로 더 오랫동안 사용하기에 유쾌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와이프가 유지되게 하는 것을 보여준다. 와이프는 또한 사용 후에 더 빨리 건조될 수 있어서, 와이프를 사용자에게 더 매력적으로 만들고, 또한 나쁜 냄새 및 임의의 끈적거리는 느낌의 나타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시험은 또한 대나무 섬유의 포함이 살모넬라 타이피뮤리움에 의한 와이프의 오염에 유익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사한 효과가 편직 또는 직조된 구성의 것을 포함한, 대나무 섬유를 포함하는 다른 와이프에서 관찰될 것이라고 예상된다.Testing has shown that the inclusion of bamboo fibers in a thermally bonded nonwoven wipe intended to be used in wet / wet conditions makes the wipes pleasant and hygienic for use for substantially longer than equivalent conventional wipes that do not contain bamboo fibers. It shows what is kept. The wipe can also dry faster after use, making the wipe more attractive to the user and also helping to reduce the appearance of bad odors and any sticky feeling. The tests also show that the inclusion of bamboo fiber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contamination of wipes by Salmonella typhimurium. Similar effects are expected to be observed in other wipes, including bamboo fibers, including those of knitted or woven constructions.

시험은 또한 라텍스 코팅된 부직 와이프 내에 대나무 섬유를 포함시키는 것이 그의 "와이핑성"에 유익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The tests also show that the inclusion of bamboo fibers in the latex coated nonwoven wipes has a beneficial effect on its "wiping".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프는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을 위한 용품을 자체적으로 구성한다. 그러한 경우에, 와이프의 양 표면은 와이핑 작용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와이프의 양 표면은 동일한 와이핑 작용을 제공할 것이지만, 이는 항상 그렇지는 않고, 웨브 제조 공정의 수정, 또는 최종 웨브의 후속 처리를 통해, 와이프의 2개의 측면은 예를 들어 그의 흡수 특성 또는 그의 마멸 성질의 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The wip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itself an article for wet / wet wiping of the surface. In such a case, both surfaces of the wipe provide a wiping action. Typically, both surfaces of the wipe will provide the same wiping action, but this is not always the case, either through modification of the web manufacturing proces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final web, so that the two sides of the wipe are for example their absorbent properties. Or in terms of their wear properties.

대안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프는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을 위한 용품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재료에 접합될 수도 있다. 제2 재료는 단순히 와이프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지만, 더욱 일반적으로는, 표면을 세척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재료(예를 들어, 상이한 와이핑 작용을 제공하는 재료)일 것이다. 2개의 재료들은 예를 들어 적합한 접착제에 의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제2 재료는 예를 들어 섬유 재료, 스펀지 재료 또는 스펀지-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재료는 부직 마멸성 재료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ip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bonded to other materials to provide an article for wet / wet wiping of the surface. The second material may simply provide support for the wipe, but more generally it will be another material suitable for use to clean the surface (eg, a material that provides a different wiping action). The two materials can be laminated together, for example by a suitable adhesive. The second material can be formed, for example, from fibrous material, sponge material or sponge-cloth material. Alternatively, the second material may be a nonwoven wearable material.

Claims (14)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을 위한 용품으로서, 상기 용품은 용품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제공하는 수분 흡수 와이프(wipe)를 포함하고, 와이프는 대나무 섬유를 포함하는 용품.An article for wet / wet wiping of a surface, the article comprising a moisture absorbing wipe that provid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article, the wipe comprising bamboo fibers. 제1항에 있어서, 와이프는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의 대나무 섬유를 포함하는 용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wipe comprises at least 10 wt%, preferably at least 30 wt% bamboo fibe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와이프는 섬유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용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wipe is formed from a fibrous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부직 재료인 용품.The article of claim 3, wherein the fiber material is a nonwoven material. 제4항에 있어서, 부직 재료는 스펀 레이스 재료; 카딩되고 교차 래핑되고 니들 태킹된 재료; 및 열접합된 재료로부터 선택되는 용품.The nonwoven material of claim 4, wherein the nonwoven material comprises a spunlace material; Carded, cross wrapped and needle tacked materials; And an article heat-bonded.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부직 재료는 라텍스 코팅된 재료인 용품.The article of claim 4, wherein the nonwoven material is a latex coated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편직 또는 직조된 재료인 용품.The article of claim 3, wherein the fibrous material is a knitted or woven material.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15 내지 300 gm/㎡의 범위 내의 평량을 갖는 용품.The article of claim 3, wherein the fibrous material has a basis weight in the range of 15 to 300 gm / m 2.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다른 천연 섬유, 또는 비스코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PV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섬유/미세섬유로부터 선택된 섬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품.The fiber material of claim 3, wherein the fiber material further comprises fiber selected from other natural fibers or fibers / fine fibers of viscose, polyester, polyamide, polypropylene, PVA, or mixtures thereof. Supplies.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프는 다른 재료에 접합되는 용품.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wipe is bonded to another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 다른 재료는 섬유 재료, 스펀지 재료 또는 스펀지-천 재료인 용품.The article of claim 10, wherein the other material is a fiber material, a sponge material, or a sponge-cloth material.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흡습된 상태로 포장되는 용품.The article of claim 1 which is packaged in a pre-humidified stat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품의, 표면의 습윤/습식 와이핑에서의 용도.Use of the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in wet / wet wiping of surfaces.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품을 습윤되거나 젖은 상태로 사 용하여 표면을 닦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용품을 사용한 표면의 와이핑 방법.A method of wiping a surface with an article comprising the step of cleaning the surface using the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in a wet or wet state.
KR1020087019035A 2006-01-12 2007-01-10 Wiping articles KR2008008305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600494.9A GB0600494D0 (en) 2006-01-12 2006-01-12 Wiping articles
GB0600494.9 2006-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052A true KR20080083052A (en) 2008-09-12

Family

ID=3599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035A KR20080083052A (en) 2006-01-12 2007-01-10 Wiping articles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60173A1 (en)
EP (1) EP1973456A4 (en)
JP (1) JP2009523486A (en)
KR (1) KR20080083052A (en)
CN (1) CN101384206A (en)
BR (1) BRPI0706860A2 (en)
GB (1) GB0600494D0 (en)
TW (1) TW200735832A (en)
WO (1) WO2007084296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7837B2 (en) 2006-01-11 2012-10-02 Entegrion, Inc. Hemostatic textile
GB0603875D0 (en) * 2006-02-28 2006-04-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Wear indicator for a flocked scouring material
DE102007028039B4 (en) * 2007-06-14 2017-05-11 Carl Freudenberg Kg Cleaning articles and their use
CN102127250B (en) * 2010-12-31 2012-10-17 嘉兴市捷豪清洁用品有限公司 Process for preparing bamboo pulp cotton
ITMI20111227A1 (en) * 2011-07-01 2013-01-02 Orsa S R L PRODUCT BASED ON NON-WOVEN FABRIC WITH PERFECTED ANTIMICROBIAL PROPERTIES.
JP2013094535A (en) * 2011-11-04 2013-05-20 D & F Kk Cooling sheet material
JP6796910B2 (en) * 2014-07-09 2020-12-09 旭化成アドバンス株式会社 Wet wiper
JP6796369B2 (en) * 2014-07-23 2020-12-09 旭化成アドバンス株式会社 Wet wiper
JP6796370B2 (en) * 2014-07-23 2020-12-09 旭化成アドバンス株式会社 Wet wiper
CN113301836A (en) * 2019-01-24 2021-08-24 默莱贝克 Dry nonwoven fabric antimicrobial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730C (en) * 1957-08-16 1960-03-15 Onderzoekings Inst Res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sponges from regenerated cellulose, and sponges thus prepared.
US3523536A (en) * 1966-02-26 1970-08-11 Johnson & Johnson Absorbent fibrous products
GB2209352A (en) * 1987-09-04 1989-05-10 Wilkie J & D Ltd Non-woven sheet material which includes jute fibres and thermoplastic material
US5128082A (en) * 1990-04-20 1992-07-07 James Rive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absorbant structure
US5459912A (en) * 1992-03-31 1995-10-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tterned spunlaced fabrics containing woodpulp and/or woodpulp-like fibers
CA2278144C (en) * 1997-01-21 2006-10-24 The Dexter Corporation Wet-laid nonwoven web from unpulped natural fibers and composite containing same
US6720057B1 (en) * 1997-08-07 2004-04-13 Achim Neumayr Method for producing a cellulose fibre from hydrocellulose
JP3938290B2 (en) * 2001-05-16 2007-06-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Water-decomposabl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687962B2 (en) * 2001-09-19 2005-08-24 有限会社勝山テクノス How to use salmon skin
CN1446515A (en) 2003-03-03 2003-10-08 上海天竹纺织纤维有限公司 Dishcloth with natural bactericidal 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6860A2 (en) 2011-04-12
CN101384206A (en) 2009-03-11
EP1973456A4 (en) 2011-11-30
EP1973456A2 (en) 2008-10-01
WO2007084296A2 (en) 2007-07-26
JP2009523486A (en) 2009-06-25
US20090260173A1 (en) 2009-10-22
WO2007084296A3 (en) 2007-09-20
TW200735832A (en) 2007-10-01
GB0600494D0 (en)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3052A (en) Wiping articles
CA2366399C (en) Antimicrobial ultra-microfiber cloth
JP2709340B2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2754513C (en) Multiple layer absorbent substrate and method of formation
JP2005528945A (en) Melamine foam sheet suppl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105805A (en) Wet wipe with low liquid add-on
JP2006505372A (en) Wipe articles (WIPINGARTICSLES) and their use
AU727701B2 (en) Cleaning sheet
WO2010040071A2 (en) Wipe materials comprising regenerated plant-protein fibres
CA3060221A1 (en) A launderable plant-based substrate that is thermally bonded with biobased fibers
WO2005113233A2 (en) Personal care and surface cleaning article
WO2004016424A1 (en) Personal care and surface cleaning article
KR101959472B1 (en) A pad for cleaning
BR112021014862A2 (en) ARTICLE FOR CLEANING AND ABRASIVE SPONGE FOR DOMESTIC CLEANING
US11771790B2 (en) Pre-saturated disinfecting disposable microfiber wipes
KR100281719B1 (en) Anti-biotic cleaner for kitchen
JP7436634B2 (en) Methods of reducing biofilm and/or airborne contaminants
JPH09164101A (en) Article for cleaning
GB2411182A (en) Anti-bacterial yarn
BR112021014875A2 (en) CLEANING ARTICLE
KR20000012718A (en) Anti-biotic cleaner for residence
TW202400068A (en) Wiping sheet
CN117915818A (en) Multi-layer disposable floor cleaning cloth with abrasion strips
CA2350376A1 (en) Disposable cleaning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