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232A -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232A
KR20080082232A KR1020070022795A KR20070022795A KR20080082232A KR 20080082232 A KR20080082232 A KR 20080082232A KR 1020070022795 A KR1020070022795 A KR 1020070022795A KR 20070022795 A KR20070022795 A KR 20070022795A KR 20080082232 A KR20080082232 A KR 2008008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terminal
housing
hold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084B1 (ko
Inventor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1)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11)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과 제2 관통공(13)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21)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22)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1관통공을,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제2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단자, 위치보증.

Description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CONFIRMABLE CONNECTOR FOR COUPLING WITH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커넥터, 또는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접속장치들을 결합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나아가 다수개의 단자들을 한개의 커넥터에 수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접속장치와의 확실한 전기적, 기계적 결합을 필수적인 사항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확실한 결합을 보증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된다.
TPA(terminal position assurance)는 단자가 커넥터에 수용되어 확실하게 커넥터와 결합되었는지를 검증하고 보증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며, 홀더(holder)는 단자가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 주어 단자의 위치를 보증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상기 TPA는 통상적으로 커넥터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단자가 커넥터에 삽입되면 단자를 고정하는 랜스와 접촉가능하게 하여, 단자가 제자리에 결합되지 않으면 랜스가 TPA와 접촉되도록 하여 더 이상 TPA가 삽입되지 못하게 하여 단자의 결합불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홀더는 커넥터의 측면이나 상면에서 삽입되어 단자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하여 단자의 커넥터에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빠짐을 방지한다. 특히 커넥터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것을 사이드홀더(side holder)라고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TPA와 사이드홀더가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어서, 각자 제조되어 커넥터에 결합된다. 이런 경우 부품수가 증가하여 조립시간이 증가하고, 부품수 증가에 의한 작업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PA와 사이드홀더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작업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자(1)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11)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과 제2 관통공(13)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21)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22)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21)는 상기 제1관통공(12)을, 상기 위치보증부(22)는 상기 제2 관통공(13)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사용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21)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22)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단자와 와이어에는 공지의 형상이기 때문에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단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은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단자가 수용될 수 있으며 타 단자와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은 단자의 결합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단 자의 파손이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11)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과 제2 관통공(13)을 포함하려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랜스(11)는 탄성을 가지며 단자가 수용되면 단자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랜스는 일반적인 커넥터에 사용되는 구조로 공지의 기술이다.
도 1에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단자위치사이드홀더가 관통하여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커넥터위치보증수단으로 커넥터간의 결합시에 레버(14)가 임의로 작동하지 않도록 보증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20)는 단자들의 위치를 하우징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길게 연장된 홀더부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21)는 길게 연장된 막대형의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의 제1 관통공으로 관통되어, 하우징내에서 상기 단자들을 고정한다. 일반적인 단자들은 단자의 일측면에 걸림홈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단자들이 일렬로 나열되면 상기 막대형의 홀더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4와 같이 상기 단자들은 상기 홀더부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고정되어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
상기 위치보증부(22)는 하우징내에 수용된 단자들이 제대로 랜스와 결합이 되었는지를 확일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우징내에서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위치보증부(22)는 상기 단자들이 타 커넥터의 단자들과 결합되는 관통로가 상기 단자들의 배열에 맞게 형성된 결합통로부(24)와, 상기 결합통로부의 상기 렌스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단자측으로 돌출연장되되 단부에 이르러 경사를 가지며 단면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랜스접촉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통로부(24)는 도 3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위치보증부의 전면에 다수개의 관통로가 배열된 형태로 있으며, 단자가 통과가능하여 접속이 되게 한다.
상기 랜스접촉부(25)는 렌스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단자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단부로 갈수록 경사를 가지며 단면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다. 단자가 랜스에 미결합되는 경우, 랜스가 탄성변형되어 돌출되어 있게 되므로, 상기 위치보증부가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진입할때 상기 랜스접촉부가 상기 랜스와 필연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위치보증부의 진입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위치보증부와 상기 홀더부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위치보증부와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나 비용적으로 효율적이다.
한편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진입하는 측면으로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측으로 돌출된 고정부(15)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3 관통공(26)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15)는 도 5와 같이 상부가 일정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갈라져 탄성을 유지하며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되, 단부가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상단이 벌어져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하우징에 단자들을 결합시킨다. 단자는 하우징내에서 상기 랜스에 의해 일차적으로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랜스는 제 위치에 있지 못하고 돌출되어 위치한다.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기 하우징내로 도 2와 같이 진입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홀더부가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확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홀더부는 상기 단자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지 못하고,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랜스접촉부가 상 기 하우징의 랜스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단자의 위치를 보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상기 일체로 형성된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에 의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립편의성을 증가시켜 작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에 상기 단자들이 결합될 수 있는 랜스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1관통공을,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제2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호 결합되는,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단자들이 관통되는 관통로가 상기 단자들의 배열에 맞게 구비된 결합통로부와,
    상기 결합통로부의 상기 렌스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단자측으로 돌출연장되되, 단부측으로 경사를 가지며 단면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랜스접촉부를 포함하는,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홀더부는 상기 단자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지 못하거나,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랜스접촉부가 상기 하우징의 랜스에 걸려서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지 못하는,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와 상기 위치보증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진입하는 측면으로 상기 단자 위치보증사이드홀더측으로 돌출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3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부가 일정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갈라져 탄성을 유지하며 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되, 단부가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상단이 벌어져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6.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횡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며 수용되는 단자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에 사용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단자들의 위치를 보증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는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길게 연장된 홀더부와, 단자들의 결합위치를 보증하는 위치보증부와, 상기 홀더부와 위치보증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단자들이 타 커넥터의 단자들과 결합되는 관통로가 상기 단자들의 배열에 맞게 형성된 결합통로부와,
    상기 결합통로부의 상기 렌스와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단자측으로 돌출연장되되, 단부에 이르러 경사를 가지며 단면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랜스접촉부를 포함하는, 단자위치보증사이드홀더.
KR1020070022795A 2007-03-08 2007-03-08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KR100866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795A KR100866084B1 (ko) 2007-03-08 2007-03-08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795A KR100866084B1 (ko) 2007-03-08 2007-03-08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232A true KR20080082232A (ko) 2008-09-11
KR100866084B1 KR100866084B1 (ko) 2008-10-30

Family

ID=4002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795A KR100866084B1 (ko) 2007-03-08 2007-03-08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89A (ko) * 2016-12-08 2018-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CN111656619A (zh) * 2018-03-12 2020-09-11 J.S.T.公司 带有cpa的电连接器
WO2022172112A1 (en) * 2021-02-09 2022-08-18 Molex, Ll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965A (ja) * 2002-05-31 2003-1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89A (ko) * 2016-12-08 2018-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CN111656619A (zh) * 2018-03-12 2020-09-11 J.S.T.公司 带有cpa的电连接器
WO2022172112A1 (en) * 2021-02-09 2022-08-18 Molex, Ll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084B1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7427B2 (en) Connector housing equipped with an improved cab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device
CN109155488B (zh) 插头触点组和用于测试插头触点组的锁定的方法
US10276980B2 (en) Connector with a CPA receiving space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uch a connector
US701451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4032804A (ja) コネクタ
US20120220161A1 (e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having a strain relief member
KR20100027008A (ko) 전기 커넥터를 위한 단자 위치 확정 부재
KR100866084B1 (ko)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US11942715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JPH07263066A (ja) 二重係止確認可能なコネクタ
KR10245422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JP2007311346A (ja) 電気的な差込接続のための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
KR10082684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A3021384C (en) Plug contact set and method for checking an engagement of the plug contact set
KR102385903B1 (ko) 커넥터
CN118017267A (zh) 连接器和导通性测试装置
JPH11238541A (ja) コネクタ
KR20220145085A (ko)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접촉스위치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20230094770A (ko) 커넥터 및 이를 가진 회로기판조립체
KR200445165Y1 (ko) 컨넥터
KR20090022367A (ko) 커넥터 조립체
JP2007005082A (ja) 電気コネクタ
KR20090039088A (ko) 커넥터
KR20180065689A (ko) 단자 미삽입 검지장치를 이용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