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025A -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2025A KR20080082025A KR1020070016996A KR20070016996A KR20080082025A KR 20080082025 A KR20080082025 A KR 20080082025A KR 1020070016996 A KR1020070016996 A KR 1020070016996A KR 20070016996 A KR20070016996 A KR 20070016996A KR 20080082025 A KR20080082025 A KR 20080082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data transmission
- health care
- reception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위한 RF 데이터 송/수신모듈 및 인프라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위한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겸용 배치한 상태에서, AP의 배치여부를 토대로,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이 구현된 특정 건물 구내)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가 불가한 임의의 실외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만약, AP의 존재가 확인되어,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예컨대, WLAN 타입의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무선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고, 이와 달리, AP의 존재가 확인되지 아니하여,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예컨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WSN(Wireless Sensor Network) 타입의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RF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으로 구현될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센서노드들을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일련의 무선 건강관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시행 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통신기기와의 긴밀한 통신연결관계 하에서,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구현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HD를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을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여러 HD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가시적으로 융통성 있게 확인·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서비스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채용한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서비스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발명에 따른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 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통신기기와의 긴밀한 통신연결관계 하에서,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구현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HD를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으로 구현될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가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지, 아니면, 임의의 실외 환경인지에 상관없이, 일련의 무선 건강관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시행 받을 수 있는 효과>, <자신의 활동공간(생활공간)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이내로 크게 제한되는 불편함을 손쉽게 벗어날 수 있는 효과>,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여러 HD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체크할 수 있게 되는 효과> 등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전기 관련 기반 인프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루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대상자(예컨대, 환자, 일반인 등을 모두 포함)의 신체(M)에 일련의 센서노드(1)를 부착·설치하고, 이 센서노드(1) 측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여러 생체 데이터(Biological Data; 이하, "BD"라 호칭함), 이를테면, 심전도 데이터, 혈충산소포화도 데이터, 체온 데이터 등을 건강관리 서버(4)를 통해 수신한 후, 수신된 BD를 토대로,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원격 관리하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이 폭 넓게 개발 보급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은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 예를 들어, IEEE 802.11 계열의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WLAN 서비스 환경(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pool) 내에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WLAN 서비스 환경이 미치는 지역 내에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3:Access Point; 이하 "AP"라 호칭함)이 가변 또는 고정적으로 폭 넓게 분산·배치됨으로써, 각 센서노드들(1)이 건강관리 서버(4)를 대상으로 하여(또는, 건강관리 서버가 각 센서노드들을 대상으로 하여), 별다른 문제점 없이, 일련의 무선 네트워킹 절차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노드(1)들 및 건강관리 서버(4) 간의 무선 네트워킹 절차는 AP(3)와 같은 하부구조(Infrastructure)가 가변 또는 고정적으로 분산·배치된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이를테면, 병원 등과 같은 지정된 건물의 구내)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예컨대, 건강관리 대상자가 외출 등의 사유로 인하여, 지정된 건물의 구내를 불가피하게 벗어나게 되는 경우, 각 센서노드들(10은 건강관리 서버(4)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무선 네트워킹 절차를 전혀 진행할 수 없었으며, 그 여파로 인하여, 건강관리 서버(4) 측에서는 센서노드(1) 측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여러 BD를 전혀 수신·관리할 수 없었다.
물론, 이처럼 BD가 수신·관리되지 못하는 상황 하에서, 건강관리 대상자(또는, 의사, 간호사, 보호자) 측에서는 일련의 센서노드들(1)을 자신(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M)에 부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전혀 향유(시행)할 수 없었으며, 결국, 그에 따른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당연히, 이러한 어려운 상황 하에서,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는 별 수 없이, 자의 혹은 타의로 자신의 활동공간을 <WLAN 서비스 환경이 구현된 특정 건물 구내>로 크게 제한할 수밖에 없었으며, 결국, 이에 따른 피해 역시,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종래의 기술체제 하에서, 각 센서노드들(1) 측에서는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M)에서 감지한 BD를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일방 전달하는 절차>만을 진행할 수 있었을 뿐, <BD에 상응하여,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건강관리 데이터(Health care Data; 이하, "HD"라 호칭함), 이를테면, 심전도 수치, 혈충산소포화도 수치, 체온수치, 건강 가이드 정보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절차>는 전혀 진행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정작, 건강관리 대상자 본인은 센서노드들(1)을 자신의 신체(M)에 직접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HD를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적정 시점에서, 가시적으로 확인·체크할 수 없었으며, 결국, 이에 따른 피해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위한 RF 데이터 송/수신모듈 및 인프라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위한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겸용 배치한 상태에서, AP의 배치여부를 토대로,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이 구현된 특정 건물 구내)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가 불가한 임의의 실외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만약, AP의 존재가 확인되어,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예컨대, WLAN 타입의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무선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고, 이와 달리, AP의 존재가 확인되지 아니하여,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예컨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WSN(Wireless Sensor Network) 타입의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RF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센서노드들을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일련의 무선 건강관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시행 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통신기기와의 긴밀한 통신연결관계 하에서,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구현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HD를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을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여러 HD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가시적으로 융통성 있게 확인·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기기와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노드들 및 원격지에 위치한 건강관리 서버 사이의 BD/HD 무선교신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과, 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에 상기 건강관리 서버와 교신하는 AP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하고, 해당 체크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환경인지의 여부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과, 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에 의해 상기 AP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어,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선별되면, 상기 센서노드들 측 BD를 무선 랜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상기 AP를 통해,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AP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 HD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과, 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에 의해, 상기 AP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어,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환경인 것으로 선별되면, 상기 센서노드들 측 BD를 RF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 HD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과, 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이동통신기기를 통한 건강관리 대상자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이 상기 AP의 존재여부를 선별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파악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선별 활용하여, 상기 센서노드들 측 BD를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선택 송신시킴과 아울러,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에 의해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 HD 가 수신·변환되는 경우, 변환된 상기 HD를 상기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처리하는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130)은 건강관리 대상자(예컨대, 환자, 일반인 등을 모두 포함)의 신체(M)에 부착·설치된 센서노드들(110)과, 이 센서노드(110) 측으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여러 BD, 이를테면, 심전도 데이터, 혈충산소포화도 데이터, 체온 데이터 등을 무선 수신한 후, 수신된 BD를 토대로,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절차, 예컨대, BD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관리하는 절차, BD를 수치화하는 절차, BD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생성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는 건강관리 서버(4)가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건강관리 서버(4)의 기능 수행 하에서, 의사, 간호사, 보호자 측에서는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상태를 면밀히 검토·관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입원, 심화검진, 치료 등의 후속조처를 적절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130)에 포함된 본 발명의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100)는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기기(200)와 신호 연결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 기기 인터페이스모듈(20),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40),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 안테나모듈(7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기기 인터페이스모듈(20)은 예컨대, RS-232 방식의 통신 인프라, USB 방식의 통신 인프라 등을 제공하여, 본 발명의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100)가 이동통신기기(200) 측과 일련의 데이터 교환관계를 안정적으로 형성·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본 발명의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은 상술한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40)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제어하면서, <AP(3)와 같은 하부구조>의 배치여부를 토대로, 센서노드들(110)의 주변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이 구현된 특정 건물 구내)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가 불가한 임의의 실외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만약, AP(3)의 존재가 확인되어, 센서노드들(110)의 주변환경이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을 통해, 예컨대, WLAN 타입의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무선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고, 이와 달리, AP(3)의 존재가 확인되지 아니하여, 센서노드들(110)의 주변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통해, 예컨대, IEEE 802.15.4 표준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WSN(Wireless Sensor Network) 타입의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RF 데이터 송/수 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은 상술한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40)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제어하면서,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앞의 센서노드들(110) 측 BD에 상응하는 여러 HD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200)를 통해, 선택적으로 표시 처리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 환경 하에서, 센서노드들(110)을 신체(M)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는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이 구현된 특정 건물(예컨대, 병원) 구내인지, 아니면, 임의의 실외 환경인지에 상관없이, 일련의 무선 건강관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시행 받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로, 자신의 활동공간(생활공간)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공간 이내로 크게 제한되는 불편함을 손쉽게 벗어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여러 HD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이동통신기기(200)를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체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은 예컨대, 센서노드들(110)의 주변으로, 일련의 AP 검색용 메시지를 무작위 전송하여, 해당 센서노드들(110)의 주변에 건강관리 서버(4)와 교신하는 AP(3)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라(즉, AP가 존재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결과에 따라),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환경인지(예컨대, WPAN/WSN 서비스 환경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에 선택적으로 선별·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은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에 의해, 센서노드들(110)의 주변에 건강관리 서버(4)와 교신하는 AP(3)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어, 해당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WLAN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선별되면, <센서노드들(110) 측의 BD를 무선 랜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변환된 BD를 AP(3)를 통해,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 <AP(3)를 통해 전송되는 건강관리 서버(4) 측 HD를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200)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에 의해 제어되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은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에 의해, 센서노드들(110)의 주변에 건강관리 서버(4)와 교신하는 AP(3)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어, 해당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환경(WPAN/WSN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선별되면, <센서노드들(110) 측의 BD를 RF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변환된 RF 데이터들을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 <건강관리 서버(4) 측 HD을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2)에 적합한 형식으로 수신·변환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에 의해 제어되는 입/출력 데이터 정합 모듈(60)은 안테나모듈(7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등으로부터 안테나모듈(70) 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안테나모듈(70) 측으로부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등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등을 정합하고, 필터링 하여, 안테나모듈(7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각각의 출력신호가 안정적으로 매칭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안테나모듈(70)은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센서노드들(110)의 주변으로 방사시키거나, 센서노드들(110)의 주변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한 후, 수신된 데이터들을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70)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안테나모듈(70)로는 예컨대,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판 패턴 타입의 안테나>,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세라믹 바 타입의 안테나>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물론, 이러한 안테나모듈의 종류, 설계내역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에 의해 제어되는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은 이동통신기기(200)를 통한 <건강관리 대상자 측 명령데이터 입력>에 따라,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이 AP(3)의 존재여부를 선별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파악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술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선별 제어·활용하여, 센서노드들(110) 측 BD를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선택 송신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에 의해 건강관리 서버(4) 측 HD가 수신·변환되는 경우, 변환된 HD를 이동통신기기(200)를 통해 표시·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통신기기(200)에는 상술한 기기 인터페이스 모듈(20)을 매개로 하여,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과 선택적으로 교신하는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추가 설치된다.
이 경우,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대상자 측 정보입력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301)을 이동통신기기(200) 측 표시창(도시 안됨)을 통해, 게시·운영하면서,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BD에 상응하는 HD가 송출되고, 해당 HD가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을 통해, 이동통신기기(200) 측으로 전달되면, 이 HD를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해 표시·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 BD/HD 입/출력 가이드 모듈(80),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 등에 구비된 세부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상세한 동작수행절차를 차례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은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와, 이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랜 데이터 생성부(46), 무선 랜 데이터 전송부(47), 무선 랜 데이터 수신부(43), 무선 랜 데이터 분석/변환부(44)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는 정보교환부(45)를 매개로,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면서, <센서노드(110) 측의 BD를 무선 랜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변환된 BD를 AP(3)를 통해,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 <AP(3)를 통해 전송되는 건강관리 서버(4) 측 HD를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200)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랜 데이터 생성부(46)는 정보교환부(45)를 통해,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과 교신하면서, 센서노드들(110) 측으로부터 일련의 BD가 전송·수집되고, 이에 상응하여,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 측으로부터 <센서노드들(110) 측 BD를 무선 랜 데이터들로 변환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일련의 변환루틴, 이를테면, 데이터 프레임의 프리엠블 영역(Preamble area)을 설정하고, 정보를 기록하는 루틴, 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영역(Header area)을 설정하고, 정보를 기록하는 루틴, 데이터 프레임의 정보영역에 BD의 실 데이터를 기록하는 루틴 등을 진행시키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110) 측 BD를 예컨대, WLAN 통신규약 에 적합한 무선 랜 데이터(예컨대, IEEE 802.11 통신규약에 적합한 무선 랜 데이터)로 변환·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랜 데이터 전송부(47)는 Tx 단(48:전송 단)을 매개로, AP(3) 측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무선 랜 데이터 생성부(46)의 기능 수행에 의해, 센서노드(110) 측 BD가 무선 랜 데이터로 변환·생성 완료되면, 생성 완료된 무선 랜 데이터를 Tx 단(48:전송 단),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 안테나모듈(70) 등을 통해, 예컨대, AP(3) 측의 물리계층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AP(3) 측으로 전송된 무선 랜 데이터(즉, BD)는 AP(3)에 의한 일련의 처리절차(물론, 이러한 처리절차는 AP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음)를 경유한 후,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는 절차를 겪게 되며, 결국, 센서노드(110) 측에서는 건강관리 서버(4) 측과 안정적인 데이터 무선 송신관계를 융통성 있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랜 데이터 수신부(43)는 Rx 단(42:수신 단)을 매개로, AP(3) 측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건강관리 서버(4) 측 무선 랜 데이터(즉, HD)가 AP(3), 안테나모듈(70),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 등을 통해, Rx 단(42)에 접수되면, 접수된 건강관리 서버(4) 측 무선 랜 데이터(즉, HD)를 수취하여, 프로세싱 버퍼(41a)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 랜 데이터 분석/변환부(44)는 무선 랜 데이터 수신부(43)의 기능 수행에 의해, 건강관리 서버(4) 측 HD가 프로세싱 버퍼(41a) 내에 저장 완료되면, 해당 HD의 특성(어드레스 정보, 프레임 길이정보, 패킷 에러율 정보, 채널 이용률 정보, 인증정보, 실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액션(이를테면, HD의 수신사실을 AP 측에 통지하는 액션 등)을 AP(3) 측에 취함과 아울러, 일련의 변환루틴을 가동시켜, HD를 이동통신기기(200) 측에 적합한 데이터(예컨대, PDA에 적합한 데이터, 핸드폰에 적합한 데이터 등)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데이터를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 전달된 HD는 상술한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모듈(120)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는 절차를 겪게 되며, 결국,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는 HD(이를테면, 심전도 수치, 혈충산소포화도 수치, 체온수치, 건강 가이드 정보 등)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체크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은 기저대역모뎀(51), RF 데이터 전처리부(52), RF 데이터 송/수신부(53)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기저대역모뎀(51)은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센서노드(110) 측으로부터 일련의 BD가 전송·수집되고, 이에 상응하여,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부터 <센서노드(110) 측 BD를 RF 데이터들로 변환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센 서노드 측의 BD를 건강관리 서버(4) 측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디지털변조신호로 변조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앞의 RF 데이터 전처리부(52)를 통해, 건강관리 서버(4) 측 RF변조신호(즉, HD)가 디지털변조신호로 변환 처리되면, 이 디지털변조신호를 이동통신기기(200) 측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데이터(예컨대, PDA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데이터, 핸드폰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데이터 등)로 복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RF 데이터 전처리부(52)는 RF 데이터 송/수신부(53)를 매개로, 건강관리 서버(4)들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기저대역모뎀(51)의 기능 수행에 의해, 센서노드(110) 측 BD가 건강관리 서버(4) 측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디지털변조신호로 변조 완료되면, 이 디지털변조신호를 RF변조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변조신호를 RF 데이터 송/수신부(53),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 안테나모듈(70) 등을 통해, 예컨대, 건강관리 서버(4) 측의 물리계층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각 모듈들의 기능수행 하에서, 센서노드(110) 측에서는 건강관리 서버(4) 측과 안정적인 데이터 무선 송신관계를 융통성 있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추후, 안테나모듈(70), 입/출력 데이터 정합모듈(60), RF 데이터 송/수신부(53) 등을 매개로, 건강관리 서버(4) 측의 RF변조신호(즉, HD)가 수신되면, RF 데이터 전처리부(52)는 이 RF변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변조신호를 기저대역모뎀(51)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전달된 디지털변조신호(즉, HD)는 기저대역모뎀(51)의 기능 수행에 의해, 이동통신기기 측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데이터(예컨대, PDA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데이터, 핸드폰 물리계층 규격에 맞는 데이터 등)로 복조되는 절차를 겪은 후,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 전달되고, 이어, 상술한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모듈(120)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는 절차를 겪게 되며, 결국,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는 건강관리 서버(4) 측 HD(이를테면, 심전도 수치, 혈충산소포화도 수치, 체온수치, 건강 가이드 정보 등)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체크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이때, 앞서 언급한 RF 데이터 전처리부(52)에는 예컨대, 기저대역모뎀(5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변조신호를 아날로그변조신호로 변환하거나, RF 데이터 송/수신부(53)를 거친 건강관리 서버(4) 측 RF변조신호(아날로그변조신호)를 디지털변조신호 변환하여, 기저대역모뎀(51) 측으로 출력하는 A/D 변환기, A/D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변조신호의 DC 오프셋을 제거하고, 해당 변조신호를 전송 표준에 상응하는 대역폭으로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 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아날로그변조신호의 동상(In-phase)성분 및 직교성분을 전송 표준에 상응하는 RF 대역으로 각각 상향 변환하여, RF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변조신호를 RF 데이터 송/수신부(53)를 통해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상향변환 믹서, RF 데이터 송/수신부(53)를 거친 건강관리 서버(4) 측 RF변조신호(아날로그변조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에 의해 저잡음 증폭된 RF변조신호의 동상성분 및 직교성분 각각을 기저대역 변조신호로 변환하고, A/D 변환기 측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하향변환 믹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세부 회로요소(52a)들이 추가 배치된다(물론, 이러한 세부 회로요소들의 종류, 기능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은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와, 이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되는 AP 검색용 메시지 운영부(33), 응답 메시지 체크부(34), AP 활용가능여부 체크부(36), 주변 통신환경 통지부(3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송/수신 환경 선별 제어부(31)는 정보교환부(32)를 매개로,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4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건강관리 대상자 측의 명령데이터 입력(물론, 센서노드 측 BD의 수집/전송 주기가 자동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절차는 융통성 있게 생략될 수 있음)에 상응하는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의 요청에 따라, <센서노드(110) 주변으로, 일련의 AP 검색용 메시지를 무작위 전송하고, 이를 통해, 해당 센서노드(110) 주변에 건강관리 서버(4)들과 교신하는 AP(3)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한 후, 그 체크결과에 따라(즉, AP가 존재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결과에 따라), 센서노드(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환경(예컨대, WPAN/WSN 서비스 환경)인지의 여부를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에 선택적으로 선별·통지하는 절차>를 총괄 제어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되는 AP 검색용 메시지 운영부(33)는 예컨대, 상술한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한 건강관리 대상자 측의 명령데이터 입력(물론, 센서노드 측 BD의 수집/전송 주기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절차는 융통성 있게 생략될 수 있음)에 상응하여,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의 동작개시요청 데이터가 접수되면, 일련의 메시지 생성루틴을 가동시켜, AP 검색용 메시지(이 경우, AP 검색용 메시지는 예컨대, 각 AP에게 IP 등의 네트워킹 정보를 알려달라는 내역을 담게 됨)를 생성한 후, 생성된 AP 검색용 메시지를 정보교환부(32)를 통해,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측으로 전달하여, 이 AP 검색용 메시지가 센서노드(110)의 주변으로 무작위 송신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응답 메시지 체크부(34)는 정보교환부(32)를 매개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센서노드(110) 주변에 존재하는 특정 AP(3) 측으로부터 앞의 AP 검색용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즉, 해당 AP의 네트워킹 정보를 담은 메시지)가 회신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되는 AP 활용가능 여부 체크부(36)는 정보교환부(32)를 매개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상술한 응답 메시지 체크부(34)의 기능수행에 의해, AP 검색용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즉, 특정 AP의 네트워킹 정 보를 담은 메시지)가 회신된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해당 응답 메시지에 탑재된 특정 AP(3)의 네트워크 정보를 판독한 후,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을 매개로 하여, 해당 AP(3)로 핑 메시지(Ping message)를 송신하고, 이 핑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이 AP(3) 측으로부터 접수되는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해당 AP(3)가 정상적으로 활용가능한지(즉, 정상적으로 접속가능한지)의 여부를 추가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특정 AP(3) 측으로부터 앞의 핑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이 접수되어, 해당 AP(3)의 활용가능성이 입증되면,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주변 통신환경 통지부(35)는 상술한 <응답 메시지에 탑재된 특정 AP(3)의 네트워크 정보>를 판독·확보함과 아울러, <현재 센서노드(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이다(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이다)>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확보된 각 정보(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를 통해,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주변 통신환경 통지부(35)의 기능 수행에 의해, 센서노드(110)의 주변환경이 WLAN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은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40) 중, 상술한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을 융통성 있게 선택하여, 이를테면, WLAN 타입의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무선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신속하게 시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술한 응답 메시지 체크부(34)의 기능수행에 의해, AP 검색용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즉, 특정 AP의 네트워킹 정보를 담은 메시지)가 별도로 회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주변 통신환경 통지부(35)는 그 즉시, 센서노드(110) 주변의 환경이 AP(3)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즉, WPAN/WSN 환경과 같은 일반 이동통신 환경)임을 인지하고, 그 즉시, <현재 센서노드(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환경이다>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31)를 통해,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주변 통신환경 통지부(35)의 기능 수행에 의해, 센서노드(110)의 주변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연결 제어모듈(10)은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 모듈(40) 중, 상술한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융통성 있게 선택하여, 이를테면, WPAN/WSN 타입의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RF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 환경 하에서,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는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WLAN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및 WPAN/WSN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가 호환성 있게 구현 가능해지는 효과를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은 BD/HD 입/출력 운영부(81)와, 이 BD/HD 입/출력 운 영부(8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건강관리 대상자 입력정보 수취부(83), BD 수집부(84), 데이터 송/수신 환경 선별 요청부(85), BD/HD 송/수신 지시부(87), HD 수취부(88), HD 표시 요청부(8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BD/HD 입/출력 운영부(81)는 정보교환부(82)를 매개로,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10),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하여, <건강관리 대상자 측 명령데이터 입력 이벤트>(물론, 센서노드 측 BD의 수집/전송 주기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절차는 융통성 있게 생략될 수 있음)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이 AP(3)의 존재여부를 선별하도록 요청하는 절차>,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에 따라, 상술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선별 제어·활용하여, 센서노드들(110) 측 BD를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 선택 송신시키는 절차>,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에 의해 건강관리 서버(4) 측 HD가 수신·변환되는 경우, 변환된 HD를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해 표시·처리하는 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BD/HD 입/출력 운영부(81)에 의해 제어되는 건강관리 대상자 입력정보 수취부(83)는 정보교환부(82), 기기 인터페이스 모듈(20) 등을 매개로, 이동통신기기(200)의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건강관리 대상자가 가이드 프레임(301)에 게시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이동 통신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명령 데이터(이를테면, 센서노드 측 BD를 수집하여,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라는 취지의 명령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이를 수취하고, 수취된 명령 데이터를 BD/HD 입/출력 운영부(8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물론, 센서노드 측 BD의 수집/전송 주기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절차는 융통성 있게 생략될 수 있음).
또한, BD/HD 입/출력 운영부(81)에 의해 제어되는 BD 수집부(84)는 정보교환부(82),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이동통신기기(200) 측으로부터 일련의 명령 데이터(이를테면, 센서노드 측 BD를 수집하여,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라는 취지의 명령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혹은, BD의 자동 수집/전송 설정주기가 도래한 경우), 그 즉시,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매개로, 센서노드(110) 측과 교신을 취하여(즉, 센서노드 측과 RF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 <BD를 전송해달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 메시지에 상응하여, 센서노드(110) 측으로부터 BD가 전송되는 경우, 전송되는 BD를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매개로 수집한 후, 수집된 BD를 프로세싱 버퍼(86)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HD 입/출력 운영부(81)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요청부(85)는 정보교환부(82)를 매개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과 교신을 취하면서, 이동통신기기(200) 측으로부터 일련의 명령 데이터(이를테면, 센서노드 측 BD를 수집하여,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라는 취지의 명령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혹은, BD의 자동 수집/전송 설정주기가 도래한 경우), 데이터 송/수신 환경 선별모듈(30) 측으로,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선별해달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HD 입/출력 운영부(81)에 의해 제어되는 BD/HD 송/수신 지시부(87)는 정보교환부(82)를 매개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30)에 의해, 상기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AP가 존재하는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파악되면,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BD 수집부(84)에 의해 수집된 BD를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로 전달하여, 센서노드들(110) 및 건강관리 서버(4) 사이의 BD/HD 송/수신 절차가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을 통해 진행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센서노드들(110)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AP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이동통신 환경인 것으로 파악되면, BD 수집부(84)에 의해 수집된 BD를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로 전달하여, 센서노드들(110) 및 건강관리 서버(4) 사이의 BD/HD 송/수신 절차가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을 통해 진행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HD 입/출력 운영부(81)에 의해 제어되는 HD 수취부(88)는 정보교환부(82)를 매개로,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RF 데이터 송/수신 모듈(50)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BD에 상응하는 HD가 송출되고, 해당 HD가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40)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50)에 의해, 이동통신기기(200)에 맞게 변환 완료되면, 변환된 HD를 수취하고, 수취된 HD를 프로세싱 버퍼(86)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 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BD/HD 입/출력 운영부(81)에 의해 제어되는 HD 표시 요청부(89)는 정보교환부(82), 기기 인터페이스 모듈(20) 등을 매개로, 상술한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건강관리 서버(4) 측 HD가 프로세싱 버퍼 내에 저장 완료되면, 이 HD를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 측으로 전달하여, 해당 HD가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의해 운영되는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해, 신속하게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과 연동하는 본 발명의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와, 이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가이드 프레임 운영부(123), BD 송출 요청부(124), HD 접수부(126), HD 표시부(127)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이동통신기기(200) 측 운영체제,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가이드 프레임(301)의 운영절차, BD 송출 요청절차, HD 접수절차, HD 표시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가이드 프레임 운영부(123)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이동통신기기(200)를 조작하여, 이동통신기기(200) 측 운영체제로부터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120) 을 호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자가 저장하고 있던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가이드 프레임(301)을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설정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토대로, 앞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301)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301)을 이동통신기기(200) 측 표시창을 통해, 선택 전송·게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BD 송출 요청부(124)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건강관리 대상자가 가이드 프레임(301)에 게시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그 즉시, 일련의 명령 데이터(이를테면, 센서노드 측 BD를 수집하여,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송출하라는 취지의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데이터를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HD 접수부(126)는 센서노드(110) 및 건강관리 서버(4) 사이의 통신결과에 따라,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BD에 상응하는 HD가 송신되고, 이 HD가 BD/HD 입/출력 운영모듈(80) 측으로부터 전달되면, 이를 수신한 후, 수신된 건강관리 서버(4) 측 HD를 프로세싱 버퍼(125)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HD 표시부(127)는 상술한 HD 접수부의 기능 수행 하에, 건강관리 서버(4) 측 HD가 프로세 싱 버퍼(125) 내에 저장 완료되면, 가이드 프레임 운영부(123)와의 교신 하에, 일련의 프레임 생성루틴을 가동시켜, HD를 가시화 시키고, 가시화된 HD를 가이드 프레임(301)을 통해 출력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4 참조).
결국, 이 상황에서, 센서노드들(110)을 신체(M)에 부착하고 있던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건강관리 서버(4)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여러 HD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이동통신기기(200)를 통해, 가시적으로 융통성 있게 확인·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위한 RF 데이터 송/수신모듈 및 인프라 네트워크 연결 서비스를 위한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겸용 배치한 상태에서, AP의 배치여부를 토대로,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 환경이 구현된 특정 건물 구내)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예컨대, WLAN 서비스가 불가한 임의의 실외 환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만약, AP의 존재가 확인되어,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예컨대, WLAN 타입의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무선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하고, 이와 달리, AP의 존재가 확인되지 아니하여, 센서노드들의 주변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예컨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또는 WSN(Wireless Sensor Network) 타입의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 비스(RF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일반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으로 구현될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센서노드들을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일련의 무선 건강관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시행 받을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한 이동통신기기와의 긴밀한 통신연결관계 하에서,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일련의 인프라 네트워크 무선통신 연결 서비스 또는 이동통신 연결 서비스를 통해 호환성 있게 자동·구현시킬 수 있는 전산모듈>,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여러 HD를 수신한 후, 수신된 HD를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센서노드들을 신체에 부착하고 있는 건강관리 대상자 측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서비스 지역)가 어디인가에 상관없이,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여러 HD를 자신이 원하는 적정 시점에서, 가시적으로 융통성 있게 확인·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 건강관리 대상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기기와 신호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노드들 및 원격지에 위치한 건강관리 서버 사이의 생체데이터(BD:Biological Data)/건강관리데이터(HD:Health care Data) 무선교신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과;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에 상기 건강관리 서버와 교신하는 액세스포인트(AP:Access Point)가 존재하는가를 체크하고, 해당 체크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지, 또는, 일반 이동통신 환경인지의 여부를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과;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에 의해 상기 AP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어,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선별되면, 상기 센서노드들 측 BD를 무선 랜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상기 AP를 통해,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AP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 HD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과;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에 의해, 상기 AP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어,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일반 이동통신 환경인 것으로 선별되면, 상기 센서노 드들 측 BD를 RF 데이터들로 변환한 후,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 HD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맞게 변환하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과;상기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이 상기 AP의 존재여부를 선별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파악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선별 활용하여, 상기 센서노드들 측 BD를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 선택 송신시킴과 아울러,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에 의해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 HD가 수신·변환되는 경우, 변환된 상기 HD를 상기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처리하는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은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 파악절차, 상기 BD 및 HD의 송/수신 절차 및 상기 이동통신기기를 통한 상기 HD의 출력 표시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BD/HD 입/출력 운영부와;상기 BD/HD 입/출력 운영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센서노드들과 교신하여, 상기 BD를 수집하는 BD 수집부와;상기 BD/HD 입/출력 운영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 측으로,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을 선별하도록 요청하는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요청부와;상기 BD/HD 입/출력 운영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에 의해,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AP가 존재하는 인프라 네트워크 환경인 것으로 파악되면, AP의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BD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BD를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사이의 BD/HD 송/수신 절차가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진행되도록 지시하고,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이 AP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이동통신 환경인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BD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BD를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사이의 BD/HD 송/수신 절차가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진행되도록 지시하는 BD/HD 송/수신 지시부와;상기 BD/HD 입/출력 운영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BD에 상응하는 HD가 송출되고, 상기 HD가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 또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맞게 변환되면, 상기 HD를 상기 이동통신기기로 전달하여, 상기 HD가 상기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HD 표시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과 선택적으로 교신하며, 건강관리 대상자 측 정보입력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을 게시·운영하면서, 상기 건강관리 서버 측으로부터 상기 BD에 상응하는 HD가 송출되고, 해당 HD가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을 통해, 전달되면, 상기 HD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통해 표시·처리하는 건강관리 대상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모듈은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의 데이터 송/수신 환경 선별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와;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AP 검색용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AP 검색용 메시지를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센서노드들의 주변으로 무작위 송신하는 AP 검색용 메시지 운영부와;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센서노드들 주변에 존재하는 특정 AP 측으로부터 상기 AP 검색용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회신되었는가를 체크하는 응답 메시지 체크부와;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응답 메시지 체크부에 의해 상기 응답 메시지가 회신된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해당 응답 메시지에 탑재된 특정 AP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 측으로 통지하여,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이 인프라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 하에서, 상기 무선 랜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센서노드들 및 건강관리 서버 사이의 BD/HD 송/수신 절차를 진행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 체크부에 의해 상기 응답 메시지가 회신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의 미 회신 결과를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 측으로 통지하여, 상기 BD/HD 입/출력 운영모듈이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 하에서,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센서노드 및 건강관리 서버 사이의 BD/HD 송/수신 절차를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주변 통신환경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환경 선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응답 메시지 체크부에 의해 상기 응답 메시지가 회신된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해당 응답 메시지에 탑재된 특정 AP의 네트워크 정보를 판독한 후, 해당 AP로 핑 메시지(Ping message)를 송신하여, 상기 AP의 활용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AP 활용가능 여부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6996A KR20080082025A (ko) | 2007-02-20 | 2007-02-20 |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6996A KR20080082025A (ko) | 2007-02-20 | 2007-02-20 |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025A true KR20080082025A (ko) | 2008-09-11 |
Family
ID=4002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6996A KR20080082025A (ko) | 2007-02-20 | 2007-02-20 |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8202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81068A1 (ko) * | 2012-11-20 | 2014-05-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 건강관리를 위한 물품 선택 안내 방법 |
CN112187946A (zh) * | 2020-09-30 | 2021-01-05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物联网传感设备评估系统及方法 |
-
2007
- 2007-02-20 KR KR1020070016996A patent/KR200800820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81068A1 (ko) * | 2012-11-20 | 2014-05-3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용자 건강관리를 위한 물품 선택 안내 방법 |
CN112187946A (zh) * | 2020-09-30 | 2021-01-05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物联网传感设备评估系统及方法 |
CN112187946B (zh) * | 2020-09-30 | 2024-01-19 |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物联网传感设备评估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ramanik et al. | WBAN: Driving e-healthcare beyond telemedicine to remote health monitoring: Architecture and protocols | |
Elhayatmy et al. | Internet of Things based wireless body area network in healthcare | |
Van Halteren et al. | Mobile patient monitoring: The mobihealth system | |
US7941096B2 (en) |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s | |
Dilmaghani et al. |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als of multiple patients | |
US8089354B2 (en) |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of information | |
US8172752B2 (en) | Automatic wireless PAN/LAN switching | |
EP191375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dependent service discovery for mobile medical devices | |
CN101371530A (zh) | 无线医疗网络的自动及安全的配置 | |
US20120264374A1 (en) |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s | |
CN103314380A (zh) | 医疗装置无线网络架构 | |
CN104012127A (zh) | 具有紧急呼叫功能的无线中继模块 | |
CN108370502A (zh) | 无线网络传输 | |
JP2012513698A (ja) | 身体結合通信及びラジオ周波数通信の組み合わせ | |
US9750031B2 (en) | Coordinator switching method for medical body area networks | |
Yuce et al. | Implementation of body area networks based on MICS/WMTS medical bands for healthcare systems | |
Selem et al. | E-Health applications over 5G networks: challenges and state of the art | |
Adibi et al. | LTE networking: extending the reach for sensors in mHealth applications | |
CN101808125A (zh) | 采用wlan标准的远程医疗服务系统及其方法 | |
CN107615393A (zh) | 输入构件、生物体信息管理系统、医疗和护理中的数据输入装置及其使用方法 | |
KR20060014395A (ko) | 무선 통신 접속을 설정하는 방법 | |
Ragavan et al. | Smart health monitoring system in intensive care unit using Bluetooth low energy and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protocol | |
KR20080082025A (ko) | 무선 건강관리 가이드 장치 | |
Rendevski et al. | UWB and mmWave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healthcare | |
JP6694727B2 (ja) | 被験者管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