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790A -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790A
KR20080077790A KR1020070017436A KR20070017436A KR20080077790A KR 20080077790 A KR20080077790 A KR 20080077790A KR 1020070017436 A KR1020070017436 A KR 1020070017436A KR 20070017436 A KR20070017436 A KR 20070017436A KR 20080077790 A KR20080077790 A KR 20080077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stopper
cam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221B1 (ko
Inventor
김종양
임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제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제이엠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221B1/ko
Priority to US11/845,952 priority patent/US7657027B2/en
Publication of KR2008007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서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힌지축을 제공하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제1 힌지 샤프트;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 샤프트;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 홈;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제2 스토퍼 홈; 및 상기 제2 스토퍼 홈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퍼 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스토퍼 리브를 구비하고, 단말기의 하우징 중 하나가 힌지축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한 때 다른 하나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단말기, 2축, 힌지, 스토퍼 리브, 스토퍼 홈

Description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일부분을 투영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볼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1 힌지 캠이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일부분을 투영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일부분을 투영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2 힌지 샤프트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일부분을 투영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서로 다른 두 개의 힌지축을 제공하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 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 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동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어 가는 추세이다.
한편, 사용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또한 슬라이딩형, 스윙형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점차 폴더형 단말기보다 더 보편화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외형은 음성통화, 메시지 전송 등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외형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데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동영상 파일 등을 시청하기에 불편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의 수행뿐만 아니라, 방송 시청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도 편리한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힌지축을 제공하여 하우징을 두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제2 하우징과, 서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힌지축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힌지 샤프트;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 샤프트;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 홈;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제2 스토퍼 홈; 및
상기 제2 스토퍼 홈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퍼 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 는 스토퍼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때, 상기 스토퍼 리브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때, 상기 스토퍼 리브가 상기 제1 스토퍼 홈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힌지 장치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제2 하우징은 제1 또는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는 제1 힌지 샤프트와 제2 힌지 샤프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고, 제2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제1 힌지 샤프트를 중심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하우징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에는 제1 스토퍼 홈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에는 스토퍼 리브가 형성되어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제2 힌지축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 로 회동하는 때 다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1, 제2 힌지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힌지축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다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스토퍼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토퍼 홈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된 구성으로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가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 도 4에 도시됨)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서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제2 힌지축(A1, A2) 각각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제2 힌지축(A1, A2) 중 임의의 힌지축을 선택하여 그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때이며, 상기 제1, 제2 힌지축(A1, A2)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는 다른 힌지축에 대하여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상기 힌지 장치(200)의 구성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메인 보드(main board), 배터리 팩(battery pack) 등을 수용하는 본체이며, 그 일면에는 키패드(111)와 송화부(113)가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힌지 암(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힌지 암(115)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폭(width) 중에서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폭 중에서 나머지 부분은 하기의 제2 힌지 암(125)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단에 상기 제2 힌지 암(12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힌지 암(125)은 그의 일단이 상기 제1 힌지 암(115)의 일단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 또한 상기 제2 힌지 암(125)과 함께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힌지 암(125)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힌지 암(125)과 함께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 암(125)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외형상 상기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폴더형 단말기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때, 사용자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능이나 게임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외형상 상기 단말기(100)는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놓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때,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제1 힌지 샤프트(205)와, 상기 제2 힌지축(A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선회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 샤프트(20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선회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힌지 샤프트(205, 203)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장치(200)는 힌지 하우징(201)과 제1 힌지 캠(20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동시키는 구동력과 정지력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힌지 캠(204), 탄성 부재(206), 볼 조립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201)은 상기 제1 힌지 암(115)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힌지 하우징(201)은 상기 제1 힌지 암(115) 내에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조립성과 단말기(100) 외관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제작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힌지 하우징(201)은 그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홀에 상기 탄성 부재(206), 제2 힌지 캠(204)을 순차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단부는 상기 제1 힌지 캠(202), 제2 힌지 캠(204) 및 탄성 부재(206)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201)에는 고정홀(211)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일단에는 핀 홀(25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홀(253)을 관통함과 아울러 그 양단이 상기 고정홀(211)에 고정되는 고정 핀(259)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를 상기 힌지 하우 징(201)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는 상기 제1 힌지축(A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1 힌지 캠(202)의 회전과 제2 하우징(102)의 회동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스토퍼 홈(2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때, 상기 제1 스토퍼 홈(251)은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스토퍼 리브(237b)와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캠(202)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에 의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일단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힌지 캠(202)에는 상기 제1, 제2 힌지 샤프트(205, 20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힌지 캠(202) 내에서 상기 제1, 제2 힌지 샤프트(205, 203)가 서로 교차하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캠(202)의 일면에는 한 쌍의 제1 산형부(221)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대칭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1 산형부(221)들은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2 힌지 캠(204)은 상기 힌지 하우징(201) 내에서 직선 운동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206)는 상기 힌지 하우징(201)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힌지 캠(204)을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 캠(202)은 상기 제2 힌지 캠(204)과 마찰하 면서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힌지 캠(204)에는 한 쌍의 제2 산형부(241)들과 골형부(243)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206)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2 힌지 캠(204)이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밀착되면, 상기 제1 힌지 캠(202)은 상기 제1 산형부(221)들이 상기 골형부(243)들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 부재(206)의 탄성력이 상기 제1 힌지 캠(2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힌지 캠(202),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장치(200)는 제1, 제2 스토퍼 돌기(219, 229)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스토퍼 돌기(219)는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일단부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토퍼 돌기(229)는 상기 제1 산형부(221)들 중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 캠(202)이 상기 힌지 하우징(201)에 설치되면, 상기 제2 스토퍼 돌기(229)는 그 일부분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일단부 외주면에 대면하며, 상기 제1 힌지 캠(202)이 회전하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일단부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모습을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상태로 설정한다면, 상기 제1 힌지 캠(202)은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155도 내지 170도까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스토퍼 돌기(219, 229)들의 크기나 위치를 변경한다면 상기 제1 힌지 캠(202)이 회전할 수 있는 각도의 범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의 범위를 제품에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힌지축(A2) 상에 위치되며, 그의 일단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 내에 고정되는 체결편(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231)은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류 등을 체결할 수 있는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를 체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타단에는 제3 스토퍼 돌기(2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힌지 캠(202)에는 가이드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스토퍼 돌기(233)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타단 외주면에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홈(22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스토퍼 돌기(233)가 상기 가이드 홈(223)의 단부 벽에 간섭되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회전이 제한되며,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스토퍼 돌기(233)와 가이드 홈(223)의 구성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 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3 스토퍼 돌기(233)가 상기 가이드 홈(223)의 단부에 반드시 간섭될 필요는 없다.
상기 볼 조립체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회전하는 때 마찰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때, 일정 위치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동을 정지시키거나 정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볼 조립체에 의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에 마찰력 또는 정지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볼 조립체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3 스토퍼 홈(239)들과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3 스토퍼 홈(239)들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금속체 볼(ball)(261)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체 볼(261)은 스프링(263)과 함께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형성되는 홀 내에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263)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볼(261)과 스프링(263)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힌지 캠(202)에는 스크류(265)가 체결되어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형성된 홀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제3 스토퍼 홈(239)들은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볼(261)과 마찰하는 궤적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볼(261)은 상기 제3 스토퍼 홈(239)들 중 하나와 맞물려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회전, 궁극적으로는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 하우징(102)을 정지시키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스토퍼 홈(239)들 중 하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150도만큼 개방된 때, 다른 하나는 175도만큼 개방된 때 각각 상기 볼(261)과 맞물리게 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150도 또는 175도만큼 개방된 때, 상기 볼(261)이 상기 제3 스토퍼 홈(239)들 중 하나와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 조립체는 제4 스토퍼 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스토퍼 홈은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때 상기 볼(261)과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거나,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150도 또는 175도만큼 개방된 때 상기 볼 조립체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스토퍼 홈(251), 스토퍼 리브(237b)의 구성 및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 홈(237a)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은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타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제1, 제2 힌지 샤프트(205, 203)가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결합되면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게 된다.
상기 제1, 제2 힌지 샤프트(205, 203)를 조립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를 우선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결합시킨 후,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를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관통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결합되면,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가 결합되는 홀의 일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힌지 캠(202) 내에서 상기 제1, 제2 힌지 샤프트(205, 203)가 결합되는 부분이 일부 중첩되며, 중첩된 부분에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이 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에 의해 그 외주면 일부분이 감싸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제2 힌지축(A2)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는 별도의 고정 또는 체결 수단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힌지 캠(202) 내에 회전 가능한 상 태로 구속된다.
상기 스토퍼 리브(237b)는 상기 제2 스토퍼 홈(237a) 내에서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리브(237b)의 외주면 일부분은 절삭되어 평면(237c) 형상을 갖게 되며,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때 상기 스토퍼 리브(237b)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는 평면(237c)은 상기 제1 스토퍼 홈(251)과 대면한 상태이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캠(2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고, 상기 평면(237c)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상태로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평면(237c)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외주면에 대면하고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 리브(237b)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없으며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만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고, 상기 스토퍼 리브(237b)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스토퍼 홈(251)에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는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없게 구속되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만 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만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상태에서의 상기 힌지 장치(200)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캠(202)의 제1 산형부(221)들은 상기 제2 힌지 캠(204)의 골형부(243)들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스토퍼 리브(237b)의 평면(237c)이 상기 제1 스토퍼 홈(251)에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힌지축(A1, A2)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때, 상기 힌지 장치(200)의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평면(237c)은 상기 제1 스토퍼 홈(251)에 대면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산형부(221)들은 상기 골형부(243)들로부터 점차 벗어나 상기 제2 산형부(241)들의 최고점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산형부(221)들이 상기 골형부(243)들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제2 힌지 캠(204)이 상기 힌지 하우징(201)의 내측으로 후퇴하고, 상기 탄성 부재(206)는 상기 제2 힌지 캠(204)을 상기 제1 힌지 캠(202)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 부재(206)의 탄성력은 상기 제1 산형부(221)들이 다시 상기 골형부(243)들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힌지 캠(2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회동하여 상기 제1 산형부(221)들이 상기 제2 산형부(241)들의 최고점을 지나면, 상기 힌지 장치(200)의 구동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때, 일정 각도 이내의 범위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내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155도 내지 170도에 이르면, 상기 제1, 제2 스토퍼 돌기(219, 229)가 서로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정지된다. 상기 제1, 제2 스토퍼 돌기(219, 229)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정지되는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정지 각도는 제품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상기 볼(261)은 상기 제4 스토퍼 홈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리브(237b)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205)의 외주면에 대면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때, 상기 힌지 장치(200)의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볼(261)은 상기 제4 스토퍼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외주면에 마찰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 리브(237b)는 상기 제1 스토퍼 홈(251)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 리브(237b)가 상기 제1 스토퍼 홈(251)에 진입하여 서로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150도 또는 175도 지점에 이르면, 상기 볼(261)은 상기 제3 스토퍼 홈(239)들 중 하나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나 게임 등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보행이나 차량 내부 등의 이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는 적절한 각도에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175도만큼 개방되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203)의 제3 스토퍼 돌기(233)는 상기 가이드 홈(223)의 단부 벽에 간섭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175도를 초과하여 멀어진 위치로 회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223)이 연장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의 범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제2 하우징이 회동하여 개방되는 방향에 따라 통신 기능의 수행뿐만 아니라, 방송 시청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제2 힌지축을 제공하여 하우징들을 두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제2 힌지 샤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체결편을 그 일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2 스토퍼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1 힌지 샤프트와 결속되는 구조로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2 하우징이 제1, 제2 힌지축들 중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한 때, 다른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단말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제2 하우징과, 서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힌지축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힌지 샤프트;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힌지 샤프트;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 홈;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제2 스토퍼 홈; 및
    상기 제2 스토퍼 홈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퍼 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스토퍼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때, 상기 스토퍼 리브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때, 상기 스토퍼 리브가 상기 제1 스토퍼 홈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힌지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 힌지 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힌지 샤프트가 상기 제1 힌지 캠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힌지 캠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힌지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 힌지 암 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제1 힌지 캠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2 힌지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 암은 상기 제1 힌지 캠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 캠과 함께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힌지 암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힌지 암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캠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힌지 샤프트를 가압하는 볼 조립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립체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3 스토퍼 홈들;
    상기 제1 힌지 캠에 수용되는 금속체 볼; 및
    상기 금속체 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때, 상기 볼이 상기 제3 스토퍼 홈들 중 하나와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150도 또는 175도 개방된 때, 상기 볼이 상기 제3 스토퍼 홈들 중 하나와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립체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때 상기 볼과 맞물리는 제4 스토퍼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힌지 하우징을 관통하게 형성된 고정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를 관통하게 형성된 핀 홀; 및
    상기 고정홀 내에 고정되는 고정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핀이 상기 핀 홀을 관통한 상태로 그의 양단이 상기 고정홀 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샤프트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제1 힌지 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때, 상기 제2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155도 내지 165도만큼 개방된 때, 상기 제2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에 간섭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3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제1 힌지 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때 상기 제3 스토퍼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175도만큼 개방된 때 상기 제3 스토퍼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 벽에 간섭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힌지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1 힌지 캠과 대면하는 제2 힌지 캠; 및
    상기 힌지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힌지 캠을 상기 제1 힌지 캠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제1 힌지 캠, 제2 힌지 캠 및 탄성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그의 단부가 상기 힌지 하우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 단말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캠의 일면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산형부들;
    상기 제2 힌지 캠의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된 제2 산형부들과 골형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산형부들이 상기 골형부들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힌지 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스토퍼 리브의 외주면 일부를 절삭하여 형성되는 평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때, 상기 평면은 상기 제1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힌지축 주변을 선회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2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체결편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17436A 2007-02-21 2007-02-21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436A KR100856221B1 (ko) 2007-02-21 2007-02-21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845,952 US7657027B2 (en) 2007-02-21 2007-08-28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436A KR100856221B1 (ko) 2007-02-21 2007-02-21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790A true KR20080077790A (ko) 2008-08-26
KR100856221B1 KR100856221B1 (ko) 2008-09-03

Family

ID=3988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436A KR100856221B1 (ko) 2007-02-21 2007-02-21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50B1 (ko) * 2009-04-09 2011-05-03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KR20190094285A (ko) * 2018-02-03 2019-08-1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탄성구동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39B1 (ko) 2005-11-28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50B1 (ko) * 2009-04-09 2011-05-03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KR20190094285A (ko) * 2018-02-03 2019-08-13 (주)오라컴디스플레이 탄성구동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221B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529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24862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30069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JP2637387B2 (ja) 携帯用電話機のヒンジ機構
US8554285B2 (en) Sw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40066645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20070151078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8588858B2 (en) Portable terminal with dual hinge axes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US20050005401A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sub-housing stopper
KR10085622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843714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10005077A (ko) 2축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20080096345A (ko) 2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24873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