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522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522A
KR20080076522A KR1020070016560A KR20070016560A KR20080076522A KR 20080076522 A KR20080076522 A KR 20080076522A KR 1020070016560 A KR1020070016560 A KR 1020070016560A KR 20070016560 A KR20070016560 A KR 20070016560A KR 20080076522 A KR20080076522 A KR 20080076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short
short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463B1 (ko
Inventor
이상신
박성수
이동학
유재황
임종태
오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4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하는 경우, 기존의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부터 이동통신 망으로 연동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이동통신, 근거리 무선통신, 이동통신 단말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and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동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부터 이동통신으로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항시 구동하지 아니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서 통신가 능한 경우에 대해서만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효율적으로 연동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망은 기지국들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들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 적용 범위가 전국으로 걸쳐져 있다. 반면에, 근거리 무선통신 망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들에 대하여 근거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그 적용 범위가 다수의 제한된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이동통신망은 비교적 저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에 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망은 이동통신망보다는 비교적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근거리 무선통신 망은 이동통신 망에 비하여 통신을 지원하는 서비스 영역은 다소 제한되어 있지만, 통신 서비스의 지원 속도가 빠르고 사용료가 저렴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고속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대용량 데이터를 다운받고자 할 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동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데, 이동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항상 구동한 상태에서, 이동통신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에서 이동통신으로 연동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을 수행할 때에도 구동할 필요가 없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항상 구동해야되므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불필요한 전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 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면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 내에서 이동통신이 가능하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이동통신 망과 통신 접속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효율적으로 연동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및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기와;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장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위치 비교 장치와; 상기 위치 비교 장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위치 비교 장치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위치함이 확인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된 신호 세기가 설정치 이상이면, 이동통신 모듈을 통한 이동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근거리 통신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부터 이동통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확인한 신호의 세기가 설정치 이하이고, 상기 위치 비교 장치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을 접속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설정치 이상이면,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망으로 통신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근접한 설정 영역에 위치할 때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설정치 이하로 됨을 확인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통신 영역으로 이동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통신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영역으로 통신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수신기(110), 저장장치(120), 위치 비교 장치(130), 제어부(140), 이동통신 모듈(15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GPS 수신기(110)는 GPS 위성신호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 및 수집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AOA(Angle of Arrival) 등의 네트워크 기반의 방법을 이용해서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GPS 위성신호를 수신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네트워크의 도움을 별도로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장치(120)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4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AP(Access Point) 영역의 위치 값을 전달받아 저장한다. 이때, 저장장치(120)는 저장 용량에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 AP의 일부 구역(Zone) 정보만을 저장할 수도 있고, 모든 근거리 무선통신 AP 분포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비교 장치(130)는 상기 GPS 수신기(110)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장치(120)에 저장된 근거리 무선통신 AP 위치정보의 값을 비교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또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 밖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실시간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거나, 이동통 신 단말기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근거리 무선통신 AP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장치(12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이동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AP의 위치정보를 다운받는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가 다운로드 받은 근거리 무선통신 AP의 위치정보는 저장장치(12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위치 비교 장치(13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근거리 무선통신의 AP 위치정보의 비교 결과를 전달받아, 이동통신 모듈(150)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50)은 이동통신 영역에서 이동통신을 통해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이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이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만약에 위치 비교 장치(130)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의 AP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 로밍 또는 핸드오프를 시도한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 자체의 전원을 부팅시킬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의 전원이 부팅 된 상태에서 RF 소자만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140)는 위치 비교 장치(13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에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비교 장치(13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시도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은 증설 및 이설에 따라서 매번 변화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40)에 의해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마다 주기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변화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도 1의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PDA,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동하는 휴대용 통신 기기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연동하는 경우의 연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AP(210)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 지점이며, 통신가능거리(220)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210)가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행가능 영역이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위치(23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이 공급되는 위치이다.
이때 지역별 환경 조건으로 인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측정오차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신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부정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판단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위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AP(210) 영역 밖의 소정의 거리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AP(210)의 통신 영역으로 이동해 오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위치(230)에 일정시간 동안 머물러 있게 된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은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7014628901-PAT00001
수학식 1의
Figure 112007014628901-PAT00002
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이고,
Figure 112007014628901-PAT00003
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AP(210)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연속적으로 판단한 횟수이며,
Figure 112007014628901-PAT00004
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AP(210)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연속 판단 임 계 횟수이다. 그리고,
Figure 112007014628901-PAT00005
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으로부터 근거리 통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AP(210)의 통신가능 영역에 있다고 첫 번째로 판단하는 경우의 근거리 무선통신 AP(210)로부터의 첫 번째 판단 지점까지 거리이며,
Figure 112007014628901-PAT00006
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AP(210)의 통신가능 영역에 있다고 마지막으로 판단하는 경우의 근거리 무선통신 AP(210)로부터의 마지막 판단 지점까지 거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 위치 이동해 오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GPS 위성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측정오차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위치는 근거리 무선통신의 AP 영역 밖의 소정의 거리에서부터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도 3을 참조하여 해당 연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수신기(110)는 위성으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 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비교 장치(130)로 전달한다(S310).
상기 위치 비교 장치(130)는 상기 GPS 수신기(11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와 저장장치(120)에 저장된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20).
상기한 과정 S320에서 위치 비교 장치(130)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킨다(S330).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을 구동하는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 자체를 부팅시킬 수도 있고,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을 부팅시킨 상태에서 RF 소자만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
만약에, 상기한 과정 S320에서 위치 비교 장치(130)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비교 장치(130)는 GPS 수신기(11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S310).
상기한 과정 S33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수신 신호의 세기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S340).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신호의 세기를 전달받으면,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신호의 세기가 이동통신 망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망으로 로밍 또는 핸드오프를 수행할 정도의 일정 수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50).
상기 제어부(140)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망으로 로밍 또는 핸드오프를 시도한다(S360).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으로 접속 및 등록되며, 기존의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끊는다.
만약에, 상기한 과정 S350에서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AP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을 통해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S340).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망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수신기(110)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비교 장치(130)로 전달한다. 위치 비교 장치(130)는 GPS 수신기(110)에 의해 획득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저장장치(120)의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 결과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 신 AP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하고, 제어부(140)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망으로의 로밍 또는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의 위치정보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비교 장치(130)에 의해 비교될 때,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다고 판단되면 비교 주기를 길게 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AP 영역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다고 판단되면 비교 주기를 짧게 함으로써, 해당 위치 비교 장치(130)의 연산 처리로 인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 사이의 로밍 또는 핸드오프에 대한 실패율을 줄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부터 이동통신으로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도 4를 참조하여 해당 연동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망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40)로 전달한다(S410).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전달받으면,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가 현재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수준인지를 판단한다(S42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4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GPS 수신기(110)를 통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430).
만약에, 상기한 과정 S420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을 통해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S410).
상기한 과정 S430에서 상기 GPS 수신기(11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되면, 위치 비교 장치(130)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40).
상기 위치 비교 장치(130)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 망으로부터 이동통신 망으로의 로밍 또는 핸드오프를 시도하여, 이동통신 망과의 접속 및 등록을 수행한다(S450). 이때, 기존의 근거리 무선통신 망과의 접속은 끊어지며,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S460).
만약에, 상기한 과정 S440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위치 비 교 장치(130)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은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S410).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망에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은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수신 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해당 근거리 무선통신 AP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위치 비교 장치(130)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망에서 이동통신 망으로 로밍 또는 핸드오프를 시도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60)의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동하는 경우, 기존의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차단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부터 이동통신으로 연동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연결하여 수행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Claims (7)

  1.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기와;
    상기 GPS 수신기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장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위치 비교 장치와;
    상기 위치 비교 장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위치 비교 장치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위치함이 확인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된 신호 세기가 설정치 이상이면, 이동통신 모듈을 통한 이동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부터 이동통신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확인한 신호의 세기가 설정치 이하이고, 상기 위치 비교 장치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을 접속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동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장치.
  5.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영역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설정치 이상이면, 이동통신 망과의 통신 접속을 해제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망으로 통신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영역에 근접한 설정 영역에 위치할 때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방법.
  7.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측정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세기가 설정치 이하로 됨을 확인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통신 영역으로 이동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통신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이 확인되면, 이동통신 영역으로 통신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 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 방법.
KR1020070016560A 2007-02-16 2007-02-1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KR10138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60A KR101389463B1 (ko) 2007-02-16 2007-02-1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560A KR101389463B1 (ko) 2007-02-16 2007-02-1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522A true KR20080076522A (ko) 2008-08-20
KR101389463B1 KR101389463B1 (ko) 2014-04-28

Family

ID=3987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560A KR101389463B1 (ko) 2007-02-16 2007-02-1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2128B2 (en) 2010-09-13 2014-10-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terminal us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KR101501839B1 (ko) * 2013-09-16 2015-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측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54B1 (ko) * 2002-08-29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통신망/이동전화 연동시스템에서 wlan 신호세기에 기반한 접속 시스템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459765B1 (ko) * 2002-08-30 2004-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통신망/이동전화 연동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선택 및 데이터 전송방법
KR100493235B1 (ko) * 2002-12-02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자동 탐색 기능을 가지는 접속 장치및 그 접속 방법
JP2006262177A (ja) * 2005-03-17 2006-09-28 Tdk Corp 車載用無線lan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2128B2 (en) 2010-09-13 2014-10-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terminal us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KR101501839B1 (ko) * 2013-09-16 2015-03-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측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463B1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0280Y1 (ko)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코어 네트워크
US6505049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for facilitating a use of location-based applications
KR100493235B1 (ko)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자동 탐색 기능을 가지는 접속 장치및 그 접속 방법
KR100944202B1 (ko) 다수의 데이터 포맷들을 지원하는 다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0356801C (zh) 无线移动单元通信中以位置为基础的方法及系统
KR10164546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
US8755836B2 (en) Method for searching the location of multi-SIM mobile terminal and an apparatus thereof
EP2200383B1 (en) Method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a list for use in such a method
EP261251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mobile devices as location anchor points
CN1312952C (zh) 移动通信终端和无线通信系统
EP1703757B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handover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70149240A1 (en) Automatically establishing location groups
KR100754690B1 (ko)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4081831A (zh) 用于基于移动的方向来选择接入点的方法和装置
EP21752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full ephemeris compatible with standard AGPS network devices
KR20150018629A (ko) 단말기 내의 무선 충실도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단말기
US2007015540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JP2005513975A (ja) 移動用装置の電力節約
CN102193099A (zh) 定位终端和服务器
JP200829848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基地局、および移動端末の位置取得方法
KR1007236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신호 검색 주기를 동적으로변경하는 시스템
EP2441296B1 (en) Activating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KR1013894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
CN101827349A (zh) 邻接基站决定方法以及管理装置
KR2011003346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