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085A -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085A
KR20080076085A KR1020070015553A KR20070015553A KR20080076085A KR 20080076085 A KR20080076085 A KR 20080076085A KR 1020070015553 A KR1020070015553 A KR 1020070015553A KR 20070015553 A KR20070015553 A KR 20070015553A KR 20080076085 A KR20080076085 A KR 2008007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power saving
switch
contact
sav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001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085A/ko
Publication of KR2008007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입형 콘센트, 특히 2 구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에 인접되게 2 극 절전 스위치가 장착된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2 극 절전 스위치의 작동 노브 하측에 편심되게 스프링으로 탄착된 가동단자가 전원 입력단자와 연결된 텀블러축단자에 지지되어, 플러그 출력단자와 연결된 접점단자와 스위치 접촉되게 함으로써,
한정된 좁은 공간의 스위치 박스 내에 콘센트 몸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장착된 가동단자가 접점단자와 보다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절전 스위치에 오동작과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켜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Description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Wall Outlet's Switch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매입형 콘센트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 는 동 배면도,
도 3 은 동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단자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절전 스위치 몸체의 내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1' : 플러그 삽입공 3, 3' : 2 극 절전 스위치
5, 5' : 작동 노브 7, 7' : 전원 접속부
9, 9' : 전원 입력단자 12, 12' : 텀블러축단자
16, 16' : 가동단자 18, 18' : 플러그핀 삽입공
20, 20' : 플러그 출력단자 22, 22' : 접점단자
23, 23 : 스프링 25, 25' : 스프링 지지봉
26, 26' : 입력선 삽입공
본 발명은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입형 콘센트, 특히 2 구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에 인접되게 2 극 절전 스위치가 장착된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2 극 절전 스위치의 작동 노브 하측에 편심되게 스프링으로 탄착된 가동단자가 전원 입력단자와 연결된 텀블러축단자에 지지되어, 플러그 출력단자와 연결된 접점단자와 스위치 접촉되게 함으로써,
한정된 좁은 공간의 스위치 박스 내에 콘센트 몸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장착된 가동단자가 접점단자와 보다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절전 스위치에 오동작과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켜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에는 절전 스위치가 플러그 삽입공마다 설치되어, 전기 제품의 비사용시,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절전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만으로 전기 제품에 전원 공급이 간편히 차단되게 함으로써,
전기 제품에 대기 전력이 흐르지 않게 하여 전기를 절약하고 있다.
그러나 매입형 콘센트, 특히 2 구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이 구비된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경우에는 벽 내부에 설치되는 한정된 공간의 콘센트 박스 내에 콘센트 몸체를 모두 매입시켜야 하는 구조적 한계 때문에,
콘센트 몸체에 절전 스위치를 장착시키는 것이 구조상 불가능하여, 절전 기능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매입형 다공 콘센트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입형 콘센트가 설치되는 기존 스위치 박스를 교체하지 않고도, 기존 스위치 박스의 공간 내에 플러그 삽입공마다 절전 스위치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매입형 콘센트를 내장시켜, 매입형 다공 콘센트에 절전 스위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센트 몸체가 한정된 좁은 공간의 스위치 박스 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장착된 가동단자가 접점단자와 보다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절전 스위치에 오동작과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매입형 콘센트, 특히 2 구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에 인접되게 2 극 절전 스위치가 장착된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2 극 절전 스위치의 작동 노브 하측에 편심되게 스프링으로 탄착된 가동단자가 전원 입력단자와 연결된 텀블러축단자에 지지되어, 플러그 출력단자와 연결된 접점단자와 스위치 접촉되게 함으로써,
한정된 좁은 공간의 스위치 박스 내에 콘센트 몸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장착된 가동단자가 접점단자와 보다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절전 스위치에 오동작과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켜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매입형 콘센트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 는 동 배면도,
도 3 은 동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단자 연결 상태를 나타낸 절전 스위치 몸체의 내부 구조도로서,
본 발명의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는,
매입형 콘센트, 특히 2 구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이 구비된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공(1)(1')에 인접되게 2 극 절전 스위치(3)(3')의 작동 노브(5)(5')가 설치되고,
단부에 전원 접속부(7)(7')가 형성된 2 개의 전원 입력단자(9)(9')가 상기 절전 스위치(3)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된 텀블러축단자(12)(12')와 연결되며,
단부에 플러그핀 삽입공(18)(18')이 형성된 2 개의 플러그 출력단자(20)(20')가 상기 절전 스위치(3)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단자(22)(22')와 연결되고,
상기 2 극 절전 스위치(3)의 작동 노브(5) 하측에 편심되게 장착된 스프링 지지봉(25)(25')에 스프링(23)(23')이 탄착되어, 그 단부에 탄착된 가동단자(16)(16')가 상기 텀블러축단자(12)(12')에 지지되어 접점단자(22)(22')와 스위치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2 구 이상의 다공 콘센트의 경우에는, 상기 전원 입력단자(9)(9')의 다른 쪽 단부가 인접된 다른 절전 스위치(3')의 접점단자(22)(22')와 병렬 접속되어, 2 개의 스위치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6, 26' 는 입력선 삽입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는,
2 극 절전 스위치(3)의 작동 노브(5) 하측에 편심되게 장착된 스프링 지지봉(25)(25')에 스프링(23)(23')이 탄착되어, 그 단부에 탄착된 가동단자(16)(16')가 2 개의 전원 입력단자(9)(9')에 연결된 텀블러축단자(12)(12')에 지지된 상태에서,
단부에 플러그핀 삽입공(18)(18')이 형성된 2 개의 플러그 출력단자(20)(20')와 연결된 접점단자(22)(22')와 스위치 접촉하게 되므로,
한정된 좁은 공간의 스위치 박스 내에 콘센트 몸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장착된 가동단자(16)(16')가 접점단자(22)(22')와 보다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작동하게 됨으로써,
2 극 절전 스위치(3)(3')에 오동작과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크게 감소시켜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절전 스위치(3)(3')는 그 설치 위치와 방향을 설치 공간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입력단자(9)(9')와 텀블러축단자(12)(12') 및 플러그 출력단 자(20)(20')와 접점단자(22)(22')의 접속은 끼워 맞춤 접속을 비롯하여 리벳팅이나 납땝 접속 등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는,
한정된 좁은 공간의 스위치 박스 내에 콘센트 몸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콘센트 몸체 내부에 장착된 가동단자(16)(16')가 접점단자(22)(22')와 보다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2 극 절전 스위치(3)(3')에 오동작과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크게 감소시켜 제품의 품질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러그 삽입공이 구비된 매입형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삽입공(1)(1')에 인접되게 2 극 절전 스위치(3)(3')의 작동 노브(5)(5')가 설치되고,
    단부에 전원 접속부(7)(7')가 형성된 2 개의 전원 입력단자(9)(9')가 상기 절전 스위치(3)의 내부 바닥부에 설치된 텀블러축단자(12)(12')와 연결되며,
    단부에 플러그핀 삽입공(18)(18')이 형성된 2 개의 플러그 출력단자(20)(20')가 상기 절전 스위치(3)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단자(22)(22')와 연결되고,
    상기 2 극 절전 스위치(3)의 작동 노브(5) 하측에 편심되게 장착된 스프링 지지봉(25)(25')에 스프링(23)(23')이 탄착되어, 그 단부에 탄착된 가동단자(16)(16')가 상기 텀블러축단자(12)(12')에 지지되어 접점단자(22)(22')와 스위치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단자(9)(9')의 다른 쪽 단부가 인접된 다른 절전 스위치(3')의 접점단자(22)(22')와 병렬 접속되어, 2 개의 스위치 가동단자와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1020070015553A 2007-02-14 2007-02-14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20080076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53A KR20080076085A (ko) 2007-02-14 2007-02-14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53A KR20080076085A (ko) 2007-02-14 2007-02-14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085A true KR20080076085A (ko) 2008-08-20

Family

ID=3987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553A KR20080076085A (ko) 2007-02-14 2007-02-14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0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229B1 (ko) * 2013-02-25 2014-06-02 주식회사 위너스 고용량 스위치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229B1 (ko) * 2013-02-25 2014-06-02 주식회사 위너스 고용량 스위치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9013441A (es) Polo de conmutacion para una red de alta tension.
CN108353478B (zh) 插塞负载插座
ATE482463T1 (de) Schalteinrichtung
MX2017005647A (es) Interruptor de circuito modular y metodo de montaje.
JP2015186357A (ja) 分電盤
KR20080076085A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US20120142204A1 (en) Electrical wall outlet
US8400013B2 (en) Electrical appliance
KR100871732B1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20100002913U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ATE283178T1 (de) Batterie-trennvorrichtung
CN205177748U (zh) 远程控制小型断路器
CN205140908U (zh) 断路器和远程控制小型断路器
WO2008086571A1 (en) Switched arrangement
CN204204727U (zh) 一种隔离开关熔断器组
JP5615200B2 (ja) 配電盤用表示・操作シート
CN210443513U (zh) 一种塑壳漏电断路器
KR20130001367U (ko) 배선용차단기의 단자 기구
JP6640646B2 (ja) リレー装置
KR200432358Y1 (ko) 콘센트
CN100459315C (zh) 电源开关插头
KR200450869Y1 (ko) 절전용 플러그
KR200394049Y1 (ko) 콘센트가 추가된 선풍기
KR20100000180U (ko) 기중차단기의 단자구조
RU155872U1 (ru) Пульт упра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