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58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358Y1
KR200432358Y1 KR2020060020253U KR20060020253U KR200432358Y1 KR 200432358 Y1 KR200432358 Y1 KR 200432358Y1 KR 2020060020253 U KR2020060020253 U KR 2020060020253U KR 20060020253 U KR20060020253 U KR 20060020253U KR 200432358 Y1 KR200432358 Y1 KR 200432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witch
power
present
interru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송록
Original Assignee
남송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송록 filed Critical 남송록
Priority to KR202006002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3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7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filament or neon bul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매입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콘센트에 대응하여 콘센트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각각의 콘센트에 구성하여 전기를 절약 및 안전성을 높인 콘센트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콘센트구멍을 갖는 매입 콘센트에서, 전자기기에 전원의 단속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콘센트구멍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의 중앙에는 전구수단이 매립 설치되어 구성된 것에 그 특징에 있다.

Description

콘센트{CONC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1구형 콘센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2구형콘센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에 따른 2구형 콘센트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센트 11 : 콘센트구멍
12 : 스위치 13 : 전구수단
본 고안은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는 매입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콘센트에 대응하여 콘센트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각각의 콘센트에 구성하여 전기를 절약 및 안전성을 높인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변압된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110V/220V의 전원을 가정의 벽면 또는 사무실의 경우에는 바닥까지 끌어들여 놓음으로써, 전기에 의해 동작하는 각종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콘센트의 내측에는 전기가 흐르는 상태이므로, 그 내측으로 길고 가는 전도성 물질을 넣는 경우에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실을 대부분의 성인들은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콘센트에 손가락을 넣어 보거나, 또는 각종 기구들을 이용하여 넣어 보는 경우에는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콘센트에 설치된 안전장치는 거의 없는 상태이며, 감전사고에 대한 보안책이 없는 실정이다. 특히, 어린이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많은 전자기기들의 코드를 콘센트에 꼽아 둔 채로 놓아두는 경우에는 더 많은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대표적인 경우로 가정의 TV와 같은 경우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아 둔 상태에서 리모콘으로 TV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경우에 전력의 손실은 막대하게 된다.
그리고, 기타 많은 가전기기들이 콘센트에 꼽혀진 상태로 놓여지게 되면 상기 가전기기까지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마치 가전기기이 전기가 오프된 것처럼보이나 지속적인 전류의 소모가 일어나고 있으므로 가전기기 까지의 전력을 차단하지 않으면 전력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각의 콘센트에 대응하여 콘센트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각각의 콘센트에 구성하여 각 콘센트별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콘센트별로 인가되는 전기를 필요에 따라 차단하거나 인가하여 전기절약을 할 수 있는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매입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콘센트단자를 갖는 매입 콘센트에서, 전자기기에 전원의 단속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콘센트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의 중앙에는 전구수단이 매립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1구형 콘센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2구형콘센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2구형 콘센트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 1에는 벽면 또는 바닥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콘센트구멍(11)을 갖는 콘센트(10)가 도시되어 있다. 콘센트구멍(11)의 내측에는 상용교류의 110V/220V의 전원과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12)는 전원이 콘센트구멍(11) 내에 구성된 단자들과의 연결을 온/오프 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12)의 중앙에는 야간에 전등이 소등되어 있어도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구수단(13)이 설치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2에는 도 1과 동일하지만, 콘센트구멍(11,11a)과 그 상부에 각각 상하로 위치한 2구의 콘센트(10)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12,12a)는 콘센트구멍(11,11a)의 상하부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의 스위치(12)는 상부의 콘센트구멍(11)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하고, 하부의 스위치(12a)는 하부의 콘센트구멍(11a)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한다.
상기 각각의 스위치(12,12a)를 각각 콘센트구멍(11,11a)에 가까운 위치에 배 치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즉, 각각 상부의 스위치(12)는 상부의 콘센트구멍(11)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하고, 하부에 콘센트구멍(11a)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의 스위치(12a)는 하부의 콘센트구멍(11a)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12,12a)의 중앙에는 야간에 전등이 소등되어 있어도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구수단(13,13a)이 설치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회로도로서, 한전 등에서 배전반을 통해 산업시설 또는 개인 가정에 인가되는 상용의 교류 전원이 인가된다.
상부의 스위치(12,12a)가 온되면, 상용의 교류 전원과 상부의 스위치(12)와 상부의 콘센트구멍(11)이 하나의 회로를 이룬다. 그러나, 이는 폐회로를 구성한 것은 아니다. 이 상태에서 상부의 콘센트구멍(11)에 플러그가 꼽히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통전되고, 전기가 사용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부의 스위치(12a)가 온되면, 상용의 교류 전원과 하부의 스위치(12a)와 하부의 콘센트구멍(11a)이 하나의 회로를 이룬다. 그러나, 이도 폐회로를 구성한 것은 아니며, 이 상태에서 하부의 콘센트구멍(28)에 플러그가 꼽히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통전되고, 가전기기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된다.
가전기기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부 및 하부의 스위치(12,12a)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플러그를 빼지 않은 상태에서 가전기기에 인가된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어 대기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12,12a)의 중앙에 설치된 전구수단(13)에 의하여 야간에 전등이 소등되어 있어도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콘센트의 위치 파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되는 본 고안은 각각의 콘센트에 대응하여 콘센트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를 각각의 콘센트에 구성하여 각 콘센트별로 오프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센트의 내부에 도체를 넣어도 통전되지 않으므로 콘센트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콘센트별로 인가되는 전기를 필요에 따라 차단하거나 인가하게 되면, 항상 콘센트에 꼽아 두던 전기(대기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콘센트에 구성된 온오프 스위치를 필요에 따라 조작하여 전기절약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콘센트구멍을 갖는 매입 콘센트에서,
    전자기기에 전원의 단속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콘센트구멍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의 중앙에는 전구수단이 매립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삭제
KR2020060020253U 2006-07-27 2006-07-27 콘센트 KR200432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253U KR200432358Y1 (ko) 2006-07-27 2006-07-27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253U KR200432358Y1 (ko) 2006-07-27 2006-07-27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358Y1 true KR200432358Y1 (ko) 2006-12-04

Family

ID=4178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253U KR200432358Y1 (ko) 2006-07-27 2006-07-27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3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5565C (zh) * 2005-07-02 2008-12-24 三星电子株式会社 可变容旋转压缩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5565C (zh) * 2005-07-02 2008-12-24 三星电子株式会社 可变容旋转压缩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65504T1 (de) Sicherheitssteckdose mit logischer steuerschaltung
KR101183617B1 (ko)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KR200432358Y1 (ko) 콘센트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CN202940403U (zh) 一种红外线遥控插座
KR200396871Y1 (ko)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매입 콘센트
KR101376132B1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149750B1 (ko)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KR20120009280A (ko) 지능형절전 전원공급장치
KR20100002913U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20060006750A (ko) 매립형 콘센트에 장착하는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CN210181444U (zh) 一种应用于家庭照明的智能控制装置
KR102280726B1 (ko) 무접점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전력기기 제어 시스템
KR20190041655A (ko) 5핀 충전기가 있는 멀티탭
KR101093438B1 (ko) 메인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CN218416348U (zh) 一种具有触控功能的智能开关
TWI678851B (zh) 開關裝置
KR102099213B1 (ko) 온도감응형 산업용 멀티탭
KR200464743Y1 (ko) 부하를 관리하는 릴레이 일체형 누전차단기
KR940000751Y1 (ko) 절전 및 안전장치가 구성된 개량형 플러그
KR200185351Y1 (ko) 적외선 센서스위치가 있는 멀티콘센트
JP3061510U (ja) 安全回路付き2系統差込み器具
KR19990078487A (ko) 자동 절전장치
KR200350055Y1 (ko) 전원차단 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200407346Y1 (ko) 멀티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