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750B1 -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750B1
KR101149750B1 KR1020110144539A KR20110144539A KR101149750B1 KR 101149750 B1 KR101149750 B1 KR 101149750B1 KR 1020110144539 A KR1020110144539 A KR 1020110144539A KR 20110144539 A KR20110144539 A KR 20110144539A KR 101149750 B1 KR101149750 B1 KR 10114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power
power
slider
block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너스
Priority to KR102011014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소자로 소형, 경량이며 저렴한 홀센서를 사용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전력 감지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대기전력차단수단의 오동작이나 문제가 발생된 때에는 수동통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외부 상용전원이 접속단자로 인가되도록 하여 콘센트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한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는 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홀과, 전원케이블의 도선이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홀을 갖는 본체; 플러그홀의 접속단자에 접속된 플러그를 통해 유출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접속단자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포함하되, 기 대기전력차단수단은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플러그홀 접속단자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대기전력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Concent for cutting off standby-power}
본 발명은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소자로 소형, 경량이며 저렴한 홀센서를 사용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전력 감지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으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대기전력차단수단의 오동작이나 문제가 발생된 때에는 수동통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외부 상용전원이 접속단자로 인가되도록 하여 콘센트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한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콘센트는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가전기기 등에 구비된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전원이 가전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벽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과, 또 다른 콘센트에 연결되어 보다 많은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멀티탭'이라고 하는 분리형이 있다.
대기전력(Standby Power)은 플러그를 통해 접속된 전기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단지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두기만 했을 때 소모되는 전력을 말한다.
이러한 대기전력은 최근 2~3년 전부터 전력낭비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 및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는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보통 VCR. TV.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휴대폰의 충전기 등과 가전기기는 기기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간보다 콘센트에는 연결되어 있으면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Standby) 상태에서 흘려보내는 전력이 더 많은 대표적인 제품이다.
국제어너지기구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의 경우 가구당 소비 전력의 약 10%가 대기전력으로 소비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불필요한 에너지 전력 소비의 주요요인 중 하나인 대기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것이 콘센트에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외부 상용전원이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하지 않으면서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기기에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품에 출시되고 있지만, 콘센트는 흔히 가구 뒷면, 책상 밑 등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책상 밑으로 들어가거나 가구의 뒷면으로 손을 집어넣어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작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콘센트에 대기전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대기전력이 기준치를 넘어서면 자동으로 차단하여 대기전력의 소비를 방지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콘센트의 대기전력차단수단은 일반적으로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전자소자로 영상변류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영상 변류기는 고가이면서도 부피가 크다. 그래서 영상변류기를 사용하는 콘센트는 상대적으로 가격은 비싸면서도 부피가 커서 제품 경쟁력이 약하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콘센트의 대기전력차단수단은 대기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문제가 발생되면 대기전력 차단 상태를 해제하지 못하여 콘센트를 사용할 수 없는 무용지물로 만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기전력차단수단이 대기전력을 차단하더라도 필요한 때에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플러그의 가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대기전력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전자소자로서 영상변류기 대신 소형이며 저렴한 홀센서를 사용하여 제품 경쟁력이 뛰어난 콘센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기전력차단수단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수동통전스위치에를 통해 콘센트의 전원이 플러그의 전기기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콘센트가 무용지물이 되어 사용이 불가능 해지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콘센트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홀과, 전원케이블의 도선이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홀을 갖는 본체;
상기 플러그홀의 접속단자에 접속된 플러그를 통해 유출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접속단자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대기전력차단수단은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플러그홀 접속단자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대기전력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기전력차단수단은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대기전력을 업증폭하는 업증폭부와, 다운증폭하는 다운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동통전스위치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사각박스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가압을 해제하여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하강하면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접점과,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결합되고, 신축이 가능하여 항시 상기 스위치의 캠돌출부에 접촉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는 가전기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때에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대기전력 감지를 위해 저렴하고 소형인 홀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이 뛰어나고,
대기전력차단수단의 상태와 무관하게 플러그홀의 접속단자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수동통전스위치를 구비하여 대기전력차단수단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콘센트의 사용에 지장이 없는 콘센트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동통전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서의 B-B 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의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매립형 콘센트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매립형 콘센트는 다수의 플러그홀(12)를 갖는 본체(B)와, 상기 본체(B)에 내장되며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A)의 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도5를 참조하여 과도한 대기전력 발생시 이를 차단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A)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1에는 플러그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플러그홀(12)을 갖는 안착홈(11)이 한개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홈(11)이 다수개 구비되는 때에는 일부는 상기 대기전력차단수단(A)에 의해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기능이 없고, 일부는 대기전력차단 기능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전력 차단기능이 있는 안착홈(11) 중 일부의 안착홈(11)에는 강제로 대기전력차단수단에 의한 차단과 무관하게 강제로 통전시키는 수동통전스위치(9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기전력차단수단(A)은 홀센서(PU1), 차단부(RY1, RY2), 제어부(U1), 업증폭부(U3-A), 다운증폭부(U4-A), 입력부(1, 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외부에서 상용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T1, T2)에는 과전류를 차단하여 보호하는 바리스터(VAR1)와, 차단부(RY1, RY2), 제어부(U1), 업증폭부(U3-A), 다운증폭부(U4-A), 입력부(1, 2) 등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절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SMPS)가 연결된다.
상기 홀센서(PU1)는 상용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T1, T2)과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단자(T3, T4)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어 접속단자(T3, T4)를 통해 누설되는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전류값을 제어부(U1)로 전송한다.
상기 차단부(RY1, RY2)는 입력단(T1, T2)과 접속단자(T3, T4)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U1)의 제어에 의해 전원라인을 온오프하여 상용전원이 접속단자(T3, T4)에 인가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부(RY1, RY2)로는 마그넷스위치와 구동코일로 구성되는 릴레이를 사용하였다.
상기 차단부(RY1, RY2)의 릴레이에는 상기 제어부(U1)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 Q2)가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 Q2)가 상기 제어부(U1)의 제어에 의해 온되면 상기 릴레이의 구동코일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마그넷스위치가 오프되어 접속단자(T3, T4)에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상기 홀센서(PU1)가 감지한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은 상기 업증폭부(U3-A)를 통해 업증폭되어 상기 제어부(U1)로 입력되고, 또한 상기 다운증폭부(U4-A)를 통해 다운증폭되어 상기 제어부(U1)로 입력된다.
이처럼 감지한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을 제어부가 업증폭부(U3-A)를 통해 업증폭하여 입력받는 것은 대전력을 사용하는 곳과 소전력을 사용하는 곳에서 대기전력 차단의 기준이 되는 누설 대기전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즉, 대전력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누설 대기전력이 크고, 소전력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누설 대기전력이 작기 마련인데, 소전력을 사용하는 곳의 작은 누설 대기전력을 기준치와 비교하게 되면 오차로 인해 오감지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전력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감지된 누설 대기전력을 업증폭부(U3-A)를 통해 증폭시킨 후에 기준치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지한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을 제어부가 다운증폭부(U4-A)를 통해 다운증폭하여 입력받는 것은 대전력을 사용하는 곳에서 홀센서(PU1)가 감지한 누설 대기전력이 커서 제어부(U1)에 감지된 대기전력의 고전압(또는 대전류)가 직접 입력되면 제어부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감지된 대기전력을 다운증폭시켜 제어부로 입력하여 제어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참고로, 업증폭부(U3-A)는 증폭의 한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전압의 대기전력이 입력되더라도 제어부를 파손시킬 수 있는 크기로 증폭시키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U1)는 상기 홀센서(PU1)가 감지한 누설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누설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또는 전압값)이 기준치를 넘어서면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의 전기기기 작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용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되도록 하고, 누설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또는 전압값)이 기준치 보다 작으면 플러그의 전기기가 미작동 중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단부를 구동시켜 접속단자(T3, T4)에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대기전력이 소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U1)는 상기 홀센서(PU1)에서 감지되고 상기 업증폭부(U3-A)와 다운증폭부(U4-A)를 통해 각각 업증폭 및 다운증폭되어 입력되는 대기전력에 따른 전류값의 아날로그 신호를 내부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고, 다운증폭된 대기전력이 기준값 보다 크거나 같으면 다운증폭된 대기전력을 선택하여 기준치와 비교하고, 다운증폭된 대기전력이 기준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업증폭한 대기전력을 선택하여 기준치와 비교한다. 참고로, 상기 기준값은 상기 업증폭부(U3-A)와 다운증폭부(U4-A)를 통해 각각 업증폭 및 다운증폭된 대기전력 중 어느 것을 차단의 비교대상으로 선택할 것인지를 정하는 값이고, 상기 기준치는 상용전원의 차단여부를 결정하는 값이다.
상기 제어부(U1)는 상기 홀센서(PU1)가 감지한 누설 대기전력이 기준치 보다 작을때에는 콘센트에 연결된 플러그의 가전기기가 미작동 중에 있는 것이므로 상기 차단부(RY1, RY2)를 오프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부저(BUZ)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리고, 발광다이오드(D2)를 적색으로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린다. 대기전력이 기준치 이상일 때에는 발광다이오드(D1)를 녹색으로 점등시킨다.
상기 입력부(1, 2)는 상기 홀센서의 대기전력 감지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멀티탭에 연결된 플러그의 전기기기에 대기전력이 소비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입력부(1, 2)는 리모콘으로부터 대기전력 차단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는 무선수신부(1)와, 485통신방식으로 대기전력 차단신호를 유선으로 수신받는 유선수신부(2)를 모두 갖거나, 어느 하나를 갖는다.
상기 입력부(1, 2)는 콘센트의 본체(B)에 내장될 수도 있지만, 장애물에 의해 통신을 방해 받거나 사용자 조작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입력부는 본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본체(B)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본체(B)는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바디(10)와, 전원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바디(20)와, 상기 상부바디(10)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40)와, 대기전력차단수단(A)의 작동여부와 상관없이 상용전원이 접속단자에 인가되도록 하는 수동통전스위치(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B) 내부에는 안전개폐블럭(50), 안전판(60), 접속단자(T10 ;도5의 회로도에서 T3, T4에 해당), 접지단자(T20), 탄성강판(T30), 가압블럭(70), 그리고 대기전력차단수단(A)을 구성하는 각종 전자소자가 실장되는 PCB(91, 93) 등이 내장된다.
상기 상부바디(10)는 상부면(즉, 외면)에 플러그의 몸체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11)의 바닥에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본체(B) 내부로 삽입되는 플러그홀(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10)의 하부면(즉, 내면)에는 상기 플러그홀(12)을 내부에서 개폐하는 안전개폐블럭(50)이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개폐블럭(50)의 하부에는 안전개폐블럭을 지지하며 플러그홀(12) 및 안전개폐블럭(50)을 통과한 플러그 단자가 접속단자(T10)에 안전하게 삽입 접속되도록 안내하는 안전판(6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판(60)의 하부에는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T10)가 배치된다.
플러그홀(12)로 삽입 전진하는 플러그 단자는 상기 안전개폐블럭(50)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안전개폐블럭을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전진하고, 상기 안전판(60)을 관통하여 상기 접속단자(T10)에 접속된다.
상기 하부바디(20)는 내부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T10)와, 접지단자(T20), 탄성강판(T30) 등을 안착시켜 수용하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수동통전스위치(3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부바디(20) 외면에는 485통신을 위한 통신포트(21)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홀(23)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블록(70)은 사용자가 가압하여 누를 수 있도록 단부가 노출된다.
상기 수동통전스위치는(30)은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B)에 내장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에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더(33)와,
상기 슬라이더(33)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스프링(37)과,
상기 슬라이더(33)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가압을 해제하여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31)와,
상기 슬라이더(33)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하강하면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접점(35)과,
상기 슬라이더(33) 상부에 결합되고, 신축이 가능하여 항시 상기 스위치의 캠돌출부(313)에 접촉되는 신축부재(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31)는 상기 본체(B)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잡아 좌우로 젖힐 수 있는 레버(311)와, 상기 레버(311)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캠형상(즉, 반경이 달리하는 장반경과 단반경을 갖는 형상)의 캠돌출부(313)와, 상기 레버(311) 하부에 좌우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2)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321)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스위치(31)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좌우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날개(315)와, 상기 캠돌출부(313)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32)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3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33)는 상기 스위치(31) 측에 배치되는 몸체부(331)와, 상기 몸체부(33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단자(T10) 측에 배치되는 수평형의 양쪽 다리부(333)를 갖는다.
상기 다리부(333)의 하부에는 상기 접점(35)이 구비되고, 상기 접점(35)의 아래에는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된 또 다른 접점(36)이 구비되어, 슬라이더(33)가 하강하면 상기 두 접점(35, 36)이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상용전원이 접속단자(T10)를 통해 가전기기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신축부재(39)는 단면이 타원형 형상으로 둥글게 말려 일종의 판스프링(37)과 같이 신축이 가능하여 상부면이 항시 상기 스위치(31)의 캠돌출부(31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스위치(31)의 캠돌출부(313)가 회전하여 접촉 가압시 그 충격력을 자체 신축력으로 완충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더(33)에 전달하여 슬라이더(33)가 부드러우면서 안정적으로 하강하도록 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도 부드러우면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하며, 캠돌출부(313)의 접촉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높인다.
상기 신축부재(39)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33)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출부(335)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결합 고정되는 끼움부(39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91) 주변의 하부면은 상기 슬라이더(33)의 끼움돌출부(335)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337)에 접촉지지된다.
상기 스프링(37)은 하단이 상기 하우징(32)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슬라이더(3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339)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부재(39)의 내면을 접촉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33)를 상기 신축부재(39)를 통해 간접적으로 탄성지지한다.
도4의 위쪽 도면은 상기 스위치의 레버(311)가 일측으로 젖혀져 두 접점(35, 36)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 즉, 외부 상용전원이 수동통전수단(30)을 통해 접속단자로 인가될 수 없는 상태이고, 아래쪽 도면은 상기 스위치(31)의 레버(311)가 타측으로 젖혀져 두 접점(35, 36)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 즉, 외부 상용전원이 상기 수동통전수단(30)을 통해 접속단자로 인가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대기전력차단수단 B : 본체
10 : 상부바디 20 : 하부바디
30 : 수동통전스위치 40 : 커버플레이트
50 : 안전개폐블럭 60 : 안전판
70 : 가압블럭

Claims (4)

  1.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홀과, 전원케이블의 도선이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홀을 갖는 본체;
    상기 플러그홀의 접속단자에 접속된 플러그를 통해 유출되는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접속단자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대기전력차단수단은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플러그홀 접속단자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대기전력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차단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대기전력을 업증폭하는 업증폭부와,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대기전력을 다운증폭하는 다운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용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에는
    과전류를 차단하여 보호하는 바리스터와,
    상기 차단부, 제어부, 업증폭부 및 다운증폭부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절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마그넷스위치와 구동코일로 구성되는 릴레이이고,
    상기 릴레이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차단수단의 작동여부와 상관 없이 상용전원이 접속단자에 인가되도록 하는 수동통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동통전스위치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가압을 해제하여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하강하면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접점과,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결합되고, 신축이 가능하여 상기 스위치의 캠돌출부에 접촉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KR1020110144539A 2011-12-28 2011-12-28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KR10114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39A KR101149750B1 (ko) 2011-12-28 2011-12-28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39A KR101149750B1 (ko) 2011-12-28 2011-12-28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750B1 true KR101149750B1 (ko) 2012-06-01

Family

ID=4668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39A KR101149750B1 (ko) 2011-12-28 2011-12-28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47B1 (ko) * 2012-07-02 2012-11-27 세계전자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플러그와 콘센트가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372891B1 (ko)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KR101372892B1 (ko)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전력선 통신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콘센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42B1 (ko) 2005-09-02 2008-02-11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100950285B1 (ko) 2009-09-10 2010-03-31 (주)신영에쓰엔티 부하 자동 감지 기능이 있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이를 갖는 전원 콘센트 및 전원 코드 플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42B1 (ko) 2005-09-02 2008-02-11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KR100950285B1 (ko) 2009-09-10 2010-03-31 (주)신영에쓰엔티 부하 자동 감지 기능이 있는 대기 전력 차단 장치, 이를 갖는 전원 콘센트 및 전원 코드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47B1 (ko) * 2012-07-02 2012-11-27 세계전자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플러그와 콘센트가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372891B1 (ko)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KR101372892B1 (ko)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전력선 통신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콘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617B1 (ko) 대기전력과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멀티탭
US8824110B2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KR101685062B1 (ko)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JP2010541528A (ja) 誘導送電プラットフォーム
US20150026890A1 (en)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for a piece of furniture,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and a corresponding piece of furniture
WO2006025041A3 (en) A control apparatus
US20060232333A1 (en)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to an electric power main
AU2004315345A1 (en) A multifunctional multi-outlet of sav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employing the same
WO2009146328A1 (en) Energy saving cable assemblies
KR20080114176A (ko) 플러그장치
WO2009040554A3 (en) Power control apparatus
KR101149750B1 (ko) 대기전력차단수단을 구비한 콘센트
WO2018014504A1 (zh) 一种漏电保护器
US2018036477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
KR20130042933A (ko) 누전, 과부하 및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20070112314A (ko) 콘센트장치
KR200481061Y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책상
KR101135992B1 (ko) 기계적 수동 절환 스위치를 구비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101463750B1 (ko) 수동모드시 자체 대기전력 소모가 없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CN106024541B (zh) 一种智能漏电保护器
KR20140012234A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0401123Y1 (ko) 반자동 전원제어장치
WO2005025024A3 (de) Anordnung zum betrieb eines elektrisch verstellbaren sitz - und/oder liegemöbels
KR101358152B1 (ko) 대기전력 제로 차단 콘센트 장치
WO2008001052A1 (en) Battery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