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463A -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463A
KR20080075463A KR1020080054008A KR20080054008A KR20080075463A KR 20080075463 A KR20080075463 A KR 20080075463A KR 1020080054008 A KR1020080054008 A KR 1020080054008A KR 20080054008 A KR20080054008 A KR 20080054008A KR 20080075463 A KR20080075463 A KR 20080075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
pair
fixing piece
driver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221B1 (ko
Inventor
신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셈
Publication of KR2008007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하여,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보관시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케이트를 제공한다.
스케이트, 보드, 휴대

Description

스케이트{SKATE}
본 발명은 레져용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스케이트 또는 보드에는 얼음이나 눈처럼 마찰력이 작은 곳에서 타는 스케이트, 보드 등이 있고, 마찰력이 큰 지면에서 타기 위해 바퀴를 구비한 롤러 스케이트, 인라인 스케이트, 스케이트 보드 등이 있다.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발 일체형으로 부피가 크고, 스케이트를 갈아신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 및 착용 등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발과 고정을 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착용상 편리함이 있지만, 사이즈나 부피가 너무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보관시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휴대가 용이하고 착용이 편리한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은 운전자의 발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바퀴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고정편에 의해 소정의 각도(θ)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몸체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은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포개질 때 상기 고정편을 수납하기 위한 고정편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1 몸체 또는 상기 제 2 몸체에 대해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각도(θ)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소정의 각도(θ)로 상호 끼워져 체결되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제 2 몸체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에 각각 포함된 상기 안착홈의 깊이의 합은 상기 제 2 몸체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너비는, 상기 안착홈이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는 상기 제 2 몸체의 너비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는 상기 제 1 몸체의 너비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상기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이루는 상기 각도(θ)는 45도보다 크거나 같고, 135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상기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이루는 상기 각도(θ)는 65도보다 크거나 같고, 115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에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부재에 끼워져 장착되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 각도를 형성하는 기울기 축을 중심으로 바퀴의 회전축이 자유로운 캐스터형 바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상기 본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상기 본체가 상호 토션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재는 한 쌍의 상기 본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 가변형 토션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상기 본체를 링크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운전자의 어느 한 발을 지지하는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한 쌍의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운전자의 양 발을 각각 지지하는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몸체를 구비 하는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에 따르면,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처럼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을 스케이트 몸체 위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착용이 편리하다.
또한,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보관시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케이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는 제 1 몸체(110)(210) 및 제 2 몸체(120)(220)를 구비하는 한 쌍의 본체(100)(200)와, 제 1 몸체(110)(210)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10)(20) 등을 구비한다. 한 쌍의 본체(100)(2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도면에서는 어느 하나의 본체(100) 및 바퀴부재(10)(20)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0)는 제 1 몸체(110)와,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운전자의 어느 한 발을 지지하는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제 1 몸체(110)에 결합되는 제 2 몸체(120)를 구비한다.
제 1 몸체(110)는 운전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이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제 1 몸체(11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다.
제 1 몸체(110)의 중심에는 후술할 볼트(131) 또는 힌지부재(도 5 및 도 6 또는 도 10 및 도 11의 참조번호 140)가 끼워지도록 제 1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제 1 몸체(110)의 상면 중에서 제 1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제 2 몸체(120)가 소정의 각도, 도면에서는 대략 90도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d)의 안착홈(113)이 형성된다.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의 안착홈(113)에 끼워져 안착된 상태에서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의 상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안착홈(113)의 깊이(d)는 제 2 몸체(120)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안착홈(113)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120)의 두께(t)와 대응하는 두께(t')를 가진 2개의 플레이트(115)(116)를 제 1 몸체(1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덧대는 형태로 접합함으로써 2개의 플레이트(115)(116) 사이에 안착홈(11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안착홈(113)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안착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안착홈(113)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경우에도 안착홈의 깊이(d)는 제 2 몸체(120)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몸체(110)의 상면과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각각 안착홈이 형성된 경우에도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120)의 각각에 형성된 안착홈들의 깊이의 합은 제 2 몸체(120)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13)의 너비는 안착홈(113)에 체결되는 제 2 몸체(120)의 너비에 대응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 후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홈(113)의 너비를 제 2 몸체(120)의 너비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홈이 제 2 몸체에 형성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안착홈의 너비를 제 1 몸체의 너비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어느 한 발을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 1 몸체(1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몸체(120)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 1 몸체(110)에 대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몸체(110)와 일치되도록 겹쳐지게 된다.
제 2 몸체(12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바퀴부재(10)(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200), 특히 제 1 몸체(110)의 하면에 볼트와 너트 또 는 리벳 또는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고정되거나,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200), 특히 제 1 몸체(110)에 대해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지면 또는 제 1 몸체(110)의 수직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회전힌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퀴부재(10)(20)는 바퀴(11)(21)와 바퀴(11)(21)를 파지하는 바퀴 파지부(14)(24)를 포함하며, 바퀴(11)(21)가 바퀴 파지부(14)(24)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바퀴(11)(21)에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어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볼트(12)(22)와 너트(13)(23)를 이용하여 바퀴(11)(21)를 바퀴파지부(14)(24)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비록 바퀴부재를 사용하는 스케이트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바퀴부재가 아닌 스케이트 날을 사용하여 빙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빙상 스케이트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 2 몸체(120)의 중심에는 후술할 볼트(131) 또는 힌지부재(140)가 끼워지도록 제 1 관통홀(111)과 대응되게 제 2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제 2 몸체(120)의 상면에는 운전자의 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미끄럼 방지부재는 발의 저면과 제 2 몸체(12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몸체(120)의 상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마찰력이 큰 고분자 시트를 부착하거나, 마찰 가루를 도포하는 등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안출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120)뿐만 아니라 제 1 몸체(110)의 상면에도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는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의 다양한 결합 형태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할 때, 바퀴부재(10)(20)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바퀴부재가 체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힌지부재 및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제 1 몸체(110)에 대해 분리되어 있는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의 고정편에 끼워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힌지부재 및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되, 고정편을 제 2 몸체(120)의 하부에 형성한 구조를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체결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는 볼트(131) 및 나비 너트(133) 등과 같은 체결부재(130)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몸체(110)의 상부에 제 2 몸체(120)를 위치시키고, 제 1 관통홀(111)과 제 2 관통홀(121)에 볼트(131)를 관통시킨 후 너트(133)로 체결함으로써,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일직선이 되도록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131) 및 너트(133)를 조여 고정하고, 스케이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볼트(131) 및 너트(133)의 조임을 약간 풀고 제 1 몸체(110)에 대하여 제 2 몸체(120)를 소정 각도(θ)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볼트(131) 및 너트(133)를 단단히 조여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서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이루는 각도(θ)는 45도 내지 135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전자의 편안한 자세를 고려할 때 최적의 각도(θ)로 65도 내지 115도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도(θ)로 고정할 때,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사용할 때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이루는 상기 각도(θ)가 변경되지 않도록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안착홈(113)의 경사가 상기 각도(θ)로 형성되도록 제 1 몸체(110)의 상면 또는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2개의 플레이트(115)(1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는 힌지부재(1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에 구비되는 고정편(150)에 소정의 각도(θ)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편(150)은 제 1 몸체(110)에 힌지부재(140) 또는 제 2 몸체(12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151)(152) 구비되며, 제 2 몸체(120)의 일부분이 끼워져 회전이 저지되도록 걸림홈(151a)(152a)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에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 고, 탄성부재는 힌지부재(140)에 끼워져 장착되는 스프링(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을 힌지부재(140)와 탄성부재(141)를 사용하여 소정 각도(θ)로 체결하여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사용하면, 주행시 운전자의 발이 제 2 몸체(120)에 전달하는 하중에 의해 탄성부재(141)가 압축되면서 제 2 몸체(120)가 제 1 몸체(110)에 대해 이격되는 등 체결력이 약하게 되므로, 상술한 고정편(150)을 사용하여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간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제 1 몸체(110)에 대해 회전시켜 제 2 몸체(120)를 고정편(150)의 걸림홈(151a)(152a)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 각도(θ)로 체결하고자 할 때, 먼저 걸림홈(151a)(152a)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각도(θ)와 상이한 각도로 형성되고, 제 2 몸체(120)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갖는 제 1 몸체(110)에 포함된 안착홈(113)에 제 2 몸체(120)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편(150)에 체결되도록 회전시켜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 사이에 힌지부재(140)와 같은 회전축을 구비하지 않고, 독립적인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에 마련된 고정편(151)(152)에 소정의 각도(θ)로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상호 결속되지 않은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를 구비하고, 제 2 몸체(120)의 장축방향을 제 1 몸체(110)에 형성된 안착홈(113)에 삽입한 후, 도 8과 같이 제 1 몸체(110)의 고정편(151)(152)에 제 2 몸체(120)가 체 결 고정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도 9와 같이 제 1 몸체(110)에 대해 제 2 몸체(120)이 소정의 각도(θ)로 체결고정되도록 한 후 운전자가 운전자 발의 장축방향을 제 2 몸체(120)의 장축방향에 대응되도록 유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의 체결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은 고정편(151)(152)이 제 1 몸체(110)의 안착홈(113)에 대해 도출되어 형성되고, 제 2 몸체(120)가 고정편(151)(152)에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체결 후의 제 2 몸체(120)의 상면과 고정편(151)(152)의 상면간의 높이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1은 운전자의 발을 지지하는 면인 제 1 몸체(110) 및 제 2 몸체(120)의 상면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제 2 몸체(120)의 하면, 즉 제 1 몸체(110)에 체결되는 방향의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192)을 포함하고, 고정편(192)은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대해 제 1 몸체(110)의 두께 만큼 이격되도록 하고,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홈(192a)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홈(192a)의 위치 및 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이트를 운전자가 사용하려할 때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가 체결되어 이루는 소정의 각도(θ)에 대응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141)를 포함하는 회전힌지(140)에 의해 제 1 몸체(110)에 대해 제 2 몸체(120)를 운전자가 이격시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자가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에 포개어 휴대하고자 할 때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편(192)의 두께에 의해 제 1 몸체(110)로 부터 제 2 몸체(120)가 이격되어 결합되게 되므로,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제 2 몸체를 포갤 때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편(192)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편 삽입부(19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편 삽입부(191)의 제 1 몸체(110)의 상면에 대한 깊이는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대한 고정편(192)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편 삽입부(191)의 깊이가 너무 크면 제 1 몸체(110)의 강도가 약하게 되므로 고정편 삽입부(191)의 깊이는 제 2 몸체(120)의 하면에 대한 고정편(192)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고정편(151)(152)(192)을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 1 몸체(110)에 형성된 안착홈에 제 2 몸체(120)를 먼저 삽입한 후 제 2 몸체(120)를 제 1 몸체(110)에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고정편을 이용하여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도 4에 의한 실시예에서 안착홈의 각도는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이루는 상기 각도(θ)와 동일하지만, 도 5 내지 도 11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 2 몸체를 안착홈에 삽입할 때에 대응하는 안착홈의 초기 각도는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이루는 상기 각도(θ)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2 몸체를 회전하여 고정편에 의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고정할 때에 대응하는 안착홈의 고정 각도는 상기 각도(θ)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 다.
바퀴부재(10)(20)는 제 1 몸체(11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부재(10)(20)는 본체(100)의 상부에 올려지는 발의 장방향(또는 장축)(도 19의 참조부호 a 및 b)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직선(도 19의 참조부호 c)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바퀴부재(10)(20)는 발의 장방향(a,b)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방향(c)으로 본체(110)가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바퀴부재(10)(20)는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사용할 때, 즉 제 1 몸체(110)에 대해 제 2 몸체(120)가 회전되어 고정되었을 때 제 2 몸체(120)와 소정의 각도(θ)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직선(도 19의 참조부호 c)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바퀴부재(10)(20)는 제 1 몸체(110)에 대해 제 2 몸체(120)가 회전되어 고정되는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방향(c)으로 본체(110)가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스케이트에 구비되는 바퀴부재(10)(2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제 1 몸체에 고정형 바퀴가 구비되는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제 1 몸체에 캐스터형 바퀴가 구비되는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먼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부재는 바퀴의 회전축(10a)(20a)이 서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고정형 바퀴(10)(2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부재는 제 1 몸체(110)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 각도(α)를 형성하는 기울기 축(35)(45)을 중심으로 바퀴의 회전축(30a)(40a)이 자유로운 캐스터형 바퀴(30)(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정형 바퀴(10)(20) 및 캐스터형 바퀴(30)(4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한 쌍의 본체(100)(2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16은 한 쌍의 본체가 로프 등의 스트링 부재 또는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은 한 쌍의 본체가 토션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8은 한 쌍의 본체가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200)는 스트링 부재 또는 탄성부재(1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60)는 각 본체(100)(200)의 제 1 몸체(110)(21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고무줄이나 스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200)를 탄성부재(160)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운전자는 한 쌍의 본체(100)(200)를 한 조로 휴대할 수 있고, 각 본체(100)(200)의 회전 움직임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200)는 토션부재(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토션부재(170)는 한 쌍의 본체(100)(200)가 발의 장방향(a,c)으로 상호 토션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 본체(100)(200)의 제 1 몸체(110)(210)를 연결하고, 한 쌍의 본체(100)(2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 이 가변형 토션바(170, 이하 참조부호 170으로 설명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가변형 토션바(170)는 적어도 2단 이상(171,172,...)으로 이루어진 안테나 봉처럼, 각 단(171)(172)이 서로 회전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200)를 토션부재(170)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운전자는 각 본체(100)(200)를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으로 비틀듯이 토션을 주어 스케이트가 주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 되고, 운전자의 양 발의 폭에 맞게 본체(100)(20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200)는 링크부재(1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부재(180)는 각 본체(100)(200)의 제 1 몸체(110)(210)를 서로 링크로 연결하는데, 다수개(181,182,183,...)의 링크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본체(100)(200)를 링크부재(180)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운전자는 각 본체(100)(200)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지그제그 방향으로 움직여 스케이트가 주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용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타기 위해서는 발을 올리고 주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 1 몸체(110)(210)에 대해 제 2 몸체(120)(220)를 소정 각도(θ),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제 1 몸체(110)(210)와 제 2 몸체(120)(220)가 서로 +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한 후 볼트(131)와 너트(133)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스케이트의 좌우 본 체(100)(200)를 +자 형태로 만든 후 운전자는 양 발을 각각의 본체(100)(200)에 거치하여 주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케이트의 추진 원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운전자는 어깨의 폭만큼 편안한 자세로 발을 벌리고 양 발을 각각의 본체(100)(200)에 올리고 추진하고자 하는 방향의 뒷발을 앞뒤로 구르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주행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구르는 동작을 하지 않을 때는, 각각의 본체(100)(200)는 지면과 평행하고, 바퀴부재(10)(20)는 지면과 수직이며, 각 본체(100)(200)의 진행방향이 추진방향(c)과 일치하므로 운전자의 발은 추진방향(c)과 소정의 각도(θ)를 유지하게 된다. 운전자가 구르는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뒷발의 장방향(b)이 추진방향(c)과 대략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즉 운전자는 뒷발의 앞쪽을 안으로 모으는 동작으로 추진 준비를 하게 되고 이로써 전진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 앞쪽에 있는 본체(100)의 진행방향은 추진방향(c)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뒷발을 앞쪽으로 숙이면서 지면을 밀게 되면, 각각의 본체(100)(200)는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로 유동하면서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고, 각 본체(100)(200)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된 바퀴부재(10)(20) 역시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어 추진력을 더욱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운전자가 뒷발의 뒷꿈치를 기울이게 되면, 각각의 본체(100)(200)는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지면에 대해 반대쪽으로 기울여지게 되고, 바퀴부재(10)(20) 역시 반대쪽으로 기울여지게 되면서 지면에 대해 지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바퀴부재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울임 각도(α)를 갖는 캐스터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지면상에서 스케이트의 진행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추진력을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타지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시에는 각 본체(100)(200)의 제 2 몸체(120)(220)를 제 1 몸체(110)(210)와 서로 일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스케이트의 좌우 본체(100)(200)를 -자 형태로 만들어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해줌으로써, 운전자는 스케이트를 편리하게 들고다니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넣어 쉽게 휴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케이트는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처럼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을 스케이트 본체 위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착용이 편리하고,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발을 올릴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하고 보관시에는 불필요한 면적을 줄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다.
도 19는 비록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 도시하여 사용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는 제 1 몸체(310) 및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를 구비하는 본체(300)와, 제 1 몸체(310)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10)(20) 등을 구비하며, 본체(300)를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300)는 제 1 몸체(310)와, 제 1 몸체(310)에 대하여 운전자의 양 발을 각각 지지하는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제 1 몸체(3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를 구비한다.
제 1 몸체(310)는 운전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이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제 1 몸체(310)의 길이는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몸체(310)에는 소정의 간격, 예컨대 운전자가 주행시 양 발을 적당히 벌리는 간격을 두고 상기 일 실시예의 볼트(131) 또는 힌지부재(140)가 끼워지도록 한 쌍의 제 1 관통홀(311)(312)이 형성된다. 제 1 몸체(310)의 상면 중에서 각각의 제 1 관통홀(311)(312)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각각의 제 2 몸체(320)(330)가 소정의 각도, 도면에서는 대략 90도 각도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홈(313)(314)이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는 제 1 몸체(3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양 발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각각의 제 2 몸체(320)(330)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 1 몸체(310)에 대 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가 제 1 몸체(310)와 일치되도록 겹쳐지게 된다. 각각의 제 2 몸체(320)(330)의 중심에는 볼트(131) 또는 힌지부재(140)가 끼워지도록 제 1 관통홀(311)(312)과 대응되게 제 2 관통홀(321)(331)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몸체(310)와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일 실시예의 체결부재(130), 힌지부재(140), 고정편(150)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형태와 결합 각도(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퀴부재(10)(20)는 제 1 몸체(31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퀴부재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일 실시예의 고정형 바퀴(10)(20), 캐스터형 바퀴(30)(40)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용 예는 상기 일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주행시 양 발을 하나의 스케이트 본체(300) 위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 발을 올릴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 1 몸체(310)에 대하여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를 소정 각도(θ),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제 1 몸체(310)와 한 쌍의 제 2 몸체(320)(330)가 서로 +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한 후 볼트(131)와 너트(133)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스케이트의 본체(300)를 +자 형태로 만든 후 운전자는 양 발을 각각의 제 2 몸체(320)(330)에 거치하여 주행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스케이트를 타지 않고 휴대하거나 보관시에는 각각의 제 2 몸체(320)(330)를 제 1 몸체(310)와 서로 일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스케이트의 본체(300)를 -자 형태로 만들어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해줌으로써, 운전자는 스케이트를 편리하게 들고다니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넣어 쉽게 휴대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이트에서 전방에 2개의 바퀴(10)(30)와 후방에 2개의 바퀴(20)(40)를 구비한 것이며, 나머지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11은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에 구비되는 바퀴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한 쌍의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용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용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30,40 : 바퀴부재 100,200,300 : 본체
110,210,310 : 제 1 몸체 120,220,320,330 : 제 2 몸체
130 : 체결부재 131 : 볼트
133 : 너트 140 : 힌지부재
141 : 스프링 150 : 고정편
160 : 탄성부재 170 : 토션부재
180 : 링크부재 191 : 고정편 삽입부
192 : 고정편

Claims (30)

  1.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은 운전자의 발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바퀴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고정편에 의해 소정의 각도(θ)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몸체와의 체결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은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포개질 때 상기 고정편을 수납하기 위한 고정편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1 몸체 또는 상기 제 2 몸체에 대해 좌우 대칭되도록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각도(θ)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가 소정의 각도(θ)로 상호 끼워져 체결되도록 하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제 2 몸체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에 각각 포함된 상기 안착홈의 깊이의 합은 상기 제 2 몸체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너비는, 상기 안착홈이 상기 제 1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는 상기 제 2 몸체의 너비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이 상기 제 2 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경우는 상기 제 1 몸체의 너비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2.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상기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이루는 상기 각도(θ)는 45도보다 크거나 같고, 135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3.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의 장축방향과 상기 제 2 몸체의 장축방향이 이루는 상기 각도(θ)는 65도보다 크거나 같고, 115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는 힌지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에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부재에 끼워져 장착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 각도를 형성하는 기울기 축을 중심으로 바퀴의 회전축이 자유로운 캐스터형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상기 본체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상기 본체가 상호 토션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부재는 한 쌍의 상기 본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 가변형 토션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상기 본체를 링크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29.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운전자의 어느 한 발을 지지하는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한 쌍의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30.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운전자의 양 발을 각각 지지하는 면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몸체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KR1020080054008A 2008-01-08 2008-06-10 스케이트 KR101042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294 2008-01-08
KR2020080000294 200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63A true KR20080075463A (ko) 2008-08-18
KR101042221B1 KR101042221B1 (ko) 2011-06-16

Family

ID=3987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008A KR101042221B1 (ko) 2008-01-08 2008-06-10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2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6617A1 (en) * 2003-07-11 2006-08-24 Ryan Farrelly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having multiple transportation attachments
US7237784B1 (en) * 2004-12-01 2007-07-03 Joseph Monteleone Rotating skateboard
KR100539412B1 (ko) 2005-07-07 2005-12-28 주식회사 타셈 캐스터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221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18724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7618046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20100090423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39;s foot
US6910698B2 (en) Skateboards
US20070114743A1 (en) Side motion propelled skateboard device
US20120126523A1 (en) Laterally sliding roller ski
US8801025B2 (en) Ski or skate binding
TW453887B (en) Roller ski
CA2984018C (en) Land paddle
US20060255552A1 (en) Stunt snow sled
KR101042221B1 (ko) 스케이트
KR20110100897A (ko) 인라인 스케이트
WO2004078288A2 (en) Low profile roller skate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WO2013003243A1 (en) Coupler device for in-line skate for all-terrain surfaces
KR20120045834A (ko) 활주 장치
KR100679814B1 (ko) 보드 스케이트
WO2006038897A1 (fr) Patins a chenilles
CA2533931A1 (en) Motion device for a vehicle
KR200382463Y1 (ko) 롤러브레이드 썰매
KR20170141056A (ko) 방향성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BRMU9100027U2 (pt) plataforma sobre rodas para a prÁtica de espor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