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814B1 - 보드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보드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814B1
KR100679814B1 KR1020040064515A KR20040064515A KR100679814B1 KR 100679814 B1 KR100679814 B1 KR 100679814B1 KR 1020040064515 A KR1020040064515 A KR 1020040064515A KR 20040064515 A KR20040064515 A KR 20040064515A KR 100679814 B1 KR100679814 B1 KR 10067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oard
fixing
wheels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160A (ko
Inventor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이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244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98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을호 filed Critical 이을호
Priority to KR102004006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81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02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transverse riding, i.e. with one runner or skate per foot a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oo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보드 스케이트는, 양 발이 각각 올려지는 한 쌍의 몸체; 및 상기 몸체 각각의 하부에 발의 장방향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 직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바퀴;를 포함한다.
보드, 스케이트

Description

보드 스케이트{Board skat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를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서 보드의 추진시 기울인 모습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및 3실시예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바퀴 3,6 : 너트
4,7 : 볼트 5,8 : 바퀴의 회전축
10 : 발 거치대 11 : 미끄럼 방지수단
12 : 발의 장방향 13 : 몸체의 진행방향
14,15 : 제1고정부재 16 : 제2고정부재
17 : 길이조절수단 21,22 : 브래킷
23,24,25,26 : 체결수단 30 : 발
31 : 앞발 32 : 뒷발
101 : (앞발측) 몸체 102 : (뒷발측) 몸체
111 : 추진하지 않을 때 몸체
112 : 발의 앞을 누르고 추진할 때 몸체
113 : 발의 뒷꿈치를 누르고 추진할 때 몸체
121 : 추진하지 않을 때 바퀴
122 : 발의 앞을 누르고 추진할 때 바퀴
123 : 발의 뒷꿈치를 누르고 추진할 때 바퀴
212 : 앞발의 장방향 213 : 앞발측 몸체의 진행방향
312 : 뒷발의 장방향 313 : 뒷발측 몸체의 진행방향
θ : 발의 장방향과, 바퀴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일 직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레져용 스케이트 또는 보드에 관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레저용 스케이트 또는 보드에는 얼음이나 눈처럼 마찰력이 낮은 곳에서 타는 스케이트와 보드가 있고, 마찰력이 높은 땅에서 타기 위해 바퀴를 부착한 롤러스케이트, 인라인스케이트, 스케이트 보드등이 있다.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발 일체형으로 부피가 크고, 스케이트를 갈아신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스케이트를 발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스케이트는 근본적으로 발의 방향과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추진 방향과 발의 방향이 일치가 되기 때문에 발과 스케이트를 단단히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03-0086500호에서는 탈부착이 용이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제점처럼 발과 스케이트부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보드형인 스케이트 보드는 발과 고정을 시킬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있으나, 양발을 모두 올려야 하므로 보드의 크기가 큰 불편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0394848호와 0393474호에서는 기존의 보드에서 방향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이나, 여전히 상기에서 지적한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케이트형의 문제점인 휴대의 불편함과 발과의 탈부착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보드형의 문제점인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방향성의 자유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휴대하기 편리하며, 방향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킨 보드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의 회전축이 몸체의 진행방향과 각각 수직인 몸체를 한쌍 구비하고, 운전자는 각 발에 각각의 몸체를 운전하여 주행함으로써 스케이트처럼 달리기와 같은 진행방법에 의한 추진력과 뒷발측 몸체의 지면 밀기에 의한 추진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며, 주행중에 상기 각각의 몸체의 진행방향은 서로 교차되므로 각각의 몸체의 진행방향의 폭은 운전자의 어깨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운전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는 양 발의 폭이 운전자의 어깨폭이기 때문이며, 통상의 성인 어깨의 폭이 약 40cm에서 60cm인 것을 감안하여 몸체의 진향방향의 길이가 60c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는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 고정수단, 구체적으로는 발의 윗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와, 발의 뒷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상부에 발 장방향과 수직방향의 폭이 20cm이하인 발 거치대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통상 성인이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발의 단방향의 폭이 약 12cm에서 16cm인 것을 감안하고, 상기 발 거치대에서 발의 움직임을 제공하기 위한 약간의 여유공간인 약 4cm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발 거치대 및 바퀴 형성부를 고려하여 몸체의 진행방향의 길이를 성인의 발의 크기인 30cm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발의 장방향과 상기 몸체의 진행방향이 서로 이루는 각도, 즉 발의 장방향과 바퀴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일 직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는 적어도 1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10도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이트 몸체의 진행방향과 발의 장방향이 거의 일치가 되므로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로 운전하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스케이트는 도5a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101)(102)와, 각각의 몸체(101)(102)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퀴(1,2) 등을 구비한다. 각각의 몸체(101)(102) 및 바퀴(1,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도1a 내지 도4b에는 한 쪽의 몸체(101) 및 바퀴(1,2)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몸체(101)(10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양 발(31,32)을 각각 앞발측 몸체(101)와 뒷발측 몸체(102)에 거치하여 사용한다. 운전자가 각 발(31,32)을 앞 뒤로 구르면서 각각의 몸체(101)(102)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몸체(101)(102) 하부에 설치된 바퀴(1,2)는 그 회전축(5,8)이 서로 평행하며 각 몸체(101)(102)의 진행방향에 각각의 바퀴(1,2)가 놓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1,2)는 브래킷(21,22)과 체결수단(23,24,25,26)에 의해 몸체(101)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퀴(1,2)의 회전축(5,8)에 구비된 볼트(4,7)와 너트(3,6)에 의해 브래킷(21,22)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바퀴(1,2)는 몸체(101) 각각의 상부에 올려지는 발(30)의 장방향(또는 장축)(12)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 직선(13)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상기 바퀴(1,2)는 발(30)의 장방향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몸체(101)가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발(30)의 장방향(12)과 바퀴(1,2)를 연결하는 가상의 일 직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θ), 즉 발의 장방향과 몸체의 진행방향이 서로 이루는 각도(θ)가 10도 보다 작은 경우에는 몸체(101)의 진행방향과 발(30)의 장방향이 거의 일치하게 되어 롤러 스케이트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구동방법으로만 추진이 가능하므로 종래기술에서 언급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θ는 10도 이상 170도 이하의 각도가 바람직하며, 운전자의 편안한 자세를 고려할 때 상기 θ는 45도 이상 135 이하의 각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발측 몸체(101)에서의 앞발(31)의 장방향(212)과 앞발측 몸체(101)의 진행방향(213)이 서로 이루는 각(θ1)과, 뒷발(32)의 장방향(312)과 뒷발측 몸체(102)의 장방향(313)이 서로 이루는 각(θ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는 도2a 내지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드 스케이트에 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으로, 상기 발 고정수단은 보드 스케이트의 몸체(101)에 운전자의 발(30)을 고정시켜줌으로써 달리기식 추진 방법에 있어 운전자의 발(30)이 지면에서 떨어지려 할 때 몸체(101)를 운전자의 발(30)에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1)와 일체형인 제1고정부재(14)를 구비하여 발(30)의 윗부분을 감싸서 지지한다.
또한 몸체(101) 각각의 상면, 즉 발 거치대(10)에는 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수단(11)이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11)의 일 실시예로, 발 거치대(10)의 상면을 요철(11a) 형상으로 하여 발의 저면과 발 거치대(10)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발 거치대(10)의 상면에 마찰력이 큰 고분자 시트를 부착하거나 마찰 가루를 도포하는 등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안출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는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 고정수단은 몸체(101)와 일체형이 아닌 제1고정부재(15)를 구비하며, 운전자의 발(30) 크기에 맞게 제1고정부재(15)의 고정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수단(1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수단(17)의 일 실시예로, 몸체(101)에 버클(Buckle)(17a)이 마련되고 제1고정부재(15)가 버클(17a)에 끼워져서 제1고정부재(15)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안출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발의 뒷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고정부재(14,15)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고정부재(16)를 더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발과 상기 몸체(101)를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보드 스케이트를 착용하여 운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도1a 및 도1b를 착용한 운전자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운전자는 어깨의 폭만큼 편안한 자세로 발을 벌리고 양 발(31,32)을 각각 앞발측 몸체(101)와 뒷발측 몸체(102)에 올리고 추진하고자 하는 방향의 뒷발(32)을 앞뒤로 구르는 동작을 하며, 추진하고자 하는 방향의 앞발(31)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과 앞발측 몸체(101)의 진행방향(213)을 일치시킴으로써 진행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운전자가 구르는 동작을 하지 않을 때는, 몸체(101)(102)는 지면과 평행(111)하고, 바퀴(1,2)는 지면과 수직(121)이며, 몸체(101)(102)의 진행방향(213,313)이 추진방향과 일치하므로 운전자의 발(31,32)은 추진방향과 일정각도(θ)를 유지하게 된다. 운전자가 구르는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뒷발(32)의 장방향(312)이 추진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즉 운전자의 발의 앞을 안으로 모으는 동작으로 추진 준비를 하게 되고 이로써 몸체(101)(102)의 진행방향(213,313)은 추진방향과 일정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발을 앞으로 숙이면서 지면을 밀게 되면, 몸체(101)(102)는 자연히 몸체(101)(102)의 진행방향(213,313)을 중심으로 몸체(101)(102)의 단축방향은 좌우가 기울어지게 되어, 몸체(101)(102)는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되며(112), 몸체(101)(102)의 진행방향(213,313)으로 설치된 바퀴 역시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122) 되어 추진력을 더욱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시 운전자는 발의 뒷꿈치를 기울기게 하여 몸체(101)(102)의 기울임을 반대(113)로 하여, 바퀴(1,2) 역시 지면에 대한 기울임을 반대(123)으로 하여 지면에 대해 추진함으로써 지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뒷발을 앞으로 당긴 후에 발의 앞쪽을 누르는 동작(122)으로 계속 추진하기 위해서는 한번 추진하여 뒷발이 앞발에 비해 뒷쪽으로 있는 자세, 즉 앞발과 뒷발이 벌어져 있는 경우에서 뒷발을 앞발 방향으로 모으려고 할때, 몸체(101)(102)를 포함한 뒷발을 지면에서 적어도 한쪽 바퀴를 띄운 후에 발을 모으는 것이 편리하며, 이런 동작을 위해 몸체(101)(102)와 발이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발 고정수단, 즉 제1고정부재(14) 및 제2고정부재(15)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드 스케이트에 의하면,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처럼 신발 형태로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을 스케이트 몸체 위에 거치한 상태로 사용하므로 착용이 간단하다.
또한, 몸체가 일체로 되어 부피가 큰 기존의 일체형 일반 보드에 비하여 몸체가 두 개로 분리되고 부피가 작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양 발을 각각의 분리된 몸체에 거치하여 각각의 몸체를 독립적으로 유동시킴으로써, 방향성의 자유도가 향상되어 조향능력이 우수하다.

Claims (18)

  1. 양 발이 각각 올려지는 한 쌍의 몸체; 및
    상기 몸체 각각의 하부에 발의 장방향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 직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3. 한 쌍의 몸체;
    상기 몸체 각각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 직선상으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바퀴; 및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들은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올려지는 발의 장방향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가상의 일 직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5. 양 발이 각각 올려지는 한 쌍의 몸체; 및
    발의 장방향과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 각각이 진행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 각각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 직선상으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상기 바퀴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대략 일치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발의 윗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발의 윗부분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고정 길이를 운전자의 발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발의 뒷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2. 양 발이 각각 올려지는 한 쌍의 몸체;
    상기 몸체 각각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 직선상으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바퀴; 및
    발의 장방향과, 상기 바퀴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일 직선이 소정 각도(θ)를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에 발을 고정하는 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상기 바퀴들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대략 일치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발의 윗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 1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 각각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발의 윗부분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고정 길이를 운전자의 발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발 고정수단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발의 뒷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18.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θ)는 10 내지 170도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스케이트.
KR1020040064515A 2004-08-17 2004-08-17 보드 스케이트 KR10067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515A KR100679814B1 (ko) 2004-08-17 2004-08-17 보드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515A KR100679814B1 (ko) 2004-08-17 2004-08-17 보드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160A KR20060016160A (ko) 2006-02-22
KR100679814B1 true KR100679814B1 (ko) 2007-02-07

Family

ID=3712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515A KR100679814B1 (ko) 2004-08-17 2004-08-17 보드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76B1 (ko) 2010-03-24 2010-08-17 김시현 스케이트 보드 겸용 인라인 스케이트
WO2011046275A1 (ko) * 2009-10-13 2011-04-21 Choi Jung Hyun 프리보드 스케이트
KR20230061792A (ko) 2021-10-29 2023-05-09 김수현 신발 탈착식 롤러 스케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3771U (ko) 1974-01-28 1975-08-27
JPH0352773U (ko) * 1989-09-29 1991-05-22
KR930019428U (ko) * 1992-02-17 1993-09-23 이병인 로울러 보드
US5492254A (en) 1992-09-08 1996-02-20 Challoner; Audrey Carrier case for recreational boar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3771U (ko) 1974-01-28 1975-08-27
JPH0352773U (ko) * 1989-09-29 1991-05-22
KR930019428U (ko) * 1992-02-17 1993-09-23 이병인 로울러 보드
US5492254A (en) 1992-09-08 1996-02-20 Challoner; Audrey Carrier case for recreational boar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75A1 (ko) * 2009-10-13 2011-04-21 Choi Jung Hyun 프리보드 스케이트
KR100976576B1 (ko) 2010-03-24 2010-08-17 김시현 스케이트 보드 겸용 인라인 스케이트
KR20230061792A (ko) 2021-10-29 2023-05-09 김수현 신발 탈착식 롤러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160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5834B (zh) 滚轴滑冰鞋及其轮架
US7618046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6398237B1 (en) Skateboard
US6874795B2 (en) Wheeled skate device
AU2012101938A4 (en) Improved all-terrain board or mountainboard
CA2519333A1 (en) Winter recreational vehicle
RU2359729C2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передвиж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активного отдыха
KR100679814B1 (ko) 보드 스케이트
KR200222763Y1 (ko) 스키드 보드
EP0989044A1 (en) Slope bike
KR200336022Y1 (ko) 롤러 스케이트
US20110140384A1 (en) Foot propelled scooter
KR101042221B1 (ko) 스케이트
KR200373899Y1 (ko) 개인용 견인 기구
KR20150018177A (ko) 방향 캐스터가 장착된 퀵보드
JP2002159614A (ja) 足留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滑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627

Effective date: 200902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20

Effective date: 20091126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8

Effective date: 2010032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409

Effective date: 201006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