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353A -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353A
KR20080075353A KR1020070014401A KR20070014401A KR20080075353A KR 20080075353 A KR20080075353 A KR 20080075353A KR 1020070014401 A KR1020070014401 A KR 1020070014401A KR 20070014401 A KR20070014401 A KR 20070014401A KR 20080075353 A KR20080075353 A KR 2008007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terminal
remote
i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5353A/ko
Publication of KR2008007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MS망에서 호처리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IMS망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통화 상대방인 사용자 단말이 상호에 대해서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이어서 두 개의 발신호가 충돌된 경우 충돌된 두 개의 발신호 중 발신시간이 더 빠른 호를 허용하는 호충돌검사로직 1 또는 두 개의 발신호 모두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호충돌검사로직 2를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사용자 단말간 충돌된 호를 연결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70014401
IMS, 호충돌, 호 발신시간, 자동응답

Description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IMS망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종래 IMS망에서 UE A와 통화 상대방인 UE B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의 호 처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MS망에서 UE A와 통화 상대방인 UE B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의 호 처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충돌검사로직 1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IMS망에서 UE A와 통화 상대방인 UE B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의 호 처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호충돌검사로직 2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MS망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의 호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에서 호처리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과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이동 가입자에게 고품질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런 요청에 의하여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기존의 회선 기반에서 패킷 기반으로의 진화를 모색하고 있다. 현재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IMS망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ll IP기반의 망 참조모델을 표준화하고 있다.
IMS란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패킷망을 이용하여 이동 가입자에게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서비스 가입자가 기존의 음성, 영상 등의 실시간 서비스는 물론 파일 전송, 이메일, 단문 메시지 등의 비 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여 비디오폰, 인스턴트 메시지, 응급호출, 지역 서비스, 현재 지점 서비스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IMS망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은 UE(User Equipment) A와 UE B(150)가 IMS망을 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은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UE, MS(Mobile Station), AT(Access Terminal)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UE라 칭하기로 한다.
IMS는 호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호세션제어기능부(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 CSCF)를 포함한다. 또한 IMS는 UE 사용자의 프로파일 관리와 이동성 관 리를 위한 정보관리 및 권한검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가입자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134)를 포함한다.
상기 CSCF는 그 위치와 역할을 기준으로 하여 P(Proxy)-CSCF, I(Interrogate)-CSCF, S(Serving)-CSCF로 분류할 수 있다.
P-CSCF(131)는 UE가 IMS망에 처음 접속했을 때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로서 UE로부터 수신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UE의 홈 도메인을 참조하여 I-SCSF(133)로 전달하고, UE로부터 수신한 SIP메시지를 등록 절차를 통해 수신한 S-CSCF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S-CSCF(132)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의 과금 정보를 담당할 수 있다.
IMS A(110)의 S-CSCF(132)는 외부의 망인 IMS B(140)로 요청(Request)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요청메시지는 상기 IMS B(140)의 I-CSCF(도시되지 않음)가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메시지에 대하여 UE B(150)가 응답(Response)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IMS B(140)의 I-CSCF(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IMS A(110)의 S-CSCF(132)가 상기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CSCF는 요청메시지의 발신과 응답메시지의 수신을 담당하고, I-CSCF는 요청메시지의 수신과 그에 대한 응답메시지의 발신을 담당할 수 있다. 이같이 처리하는 이유는 요청메시지를 발신하는 지점과 그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지점이 동일하여야만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IMS망은 종래의 레거시(Legacy)망(120)과의 연동을 전제로 한다. 그 연동을 위하여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135)는 시그널링 변환을 담당하고, IMS-MGW(Media GateWay)(136)는 미디어 변환을 한다.
도 1의 IMS B(140)는 IMS A(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IMS는 IMS망에 연결된 통신 엔터티(Entity)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사용한다. SIP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TCP와 UDP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IMS는 각 UE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유사한 SIP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사용함으로써 IP 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 A(110)는 sip:ue_a@ims.com으로, UE B(150)는 sip:ue_b@ims.com 의 형식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SIP URI로 표시할 수 있다.
종래 IMS망에서는 UE A(110)와 통화 상대방인 UE B(150)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 상기 두 개의 UE가 모두 통화중인 상태이므로 상기 두 개의 발신호는 실패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UE가 상호 통화중에 통화 환경에 의해서 호가 끊어지는 경우 각각 통화 상대방에게 다시 호 연결을 시도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 때 UE 상호간의 발신호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면 통화를 시도하였던 어느 일방의 호가 연결되기 전에 상대방의 발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두 사용자는 상호 통화중이라는 신호를 들을 수 있다.
도 2는 종래 IMS망에서 UE A(110)와 통화 상대방인 UE B(150)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의 호 처리도 이다.
211 단계는 UE A(110)가 UE B(150)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IMS A(130)의 P-CSCF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요청경로(Request URI), 타임스탬프(Timestamp), 선호식별자(P-Preferred-Identif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경로(Request Uri) 는 상대방 UE를 의미하며 [ INVITE sip:ue_b@ims.com SIP/2.0 ]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여기서 "sip:ue_b@ims.com" 발신 UE가 UE B(150)로 호를 시도함을 의미한다.
상기 타임스탬프(Timestamp)는 인바이트 메시지가 발생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Timestamp: 5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54"는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타임스탬프의 값이 적을수록 더 빠른 시간에 호가 발신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타임스탬프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선택적 사항임을 밝혀둔다.
상기 선호식별자(P-Preferred-Identify)는 발신 UE의 식별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P-Preferred-Identify:sip:ue_a@ims.com]로 표시된 경우 이는 UE A(110)가 호를 발신하였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sip:ue_a@ims.com는 발신 UE의 SIP URI를 의미한다.
212 단계는 상기 P-CSCF가 UE A(110)로부터 수신한 선호식별자를 확인하여 UE A(110)가 유효한 UE인 경우 상기 선호식별자를 승인식별자 (P-Assserted-Identity)로 변환하여 S-CSCF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후 S-CSCF는 상기 승인식별 자 를 IMS B(130)의 I-CSCF와 S-CSCF, P-CSCF를 거쳐서 UE B(150)로 전송한다.
상기 211 단계와 212 단계에서 설명한 호처리 과정과, 사용되는 메시지의 내용은 이하의 본 발명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221 단계와 222 단계는 UE B(150)가 UE A(110)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며 221 단계와 222 단계에서 사용되는 요청경로, 타임스탬프와 선호식별자가 의미하는 바는 상기 211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211 단계와 213 단계는 짧은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진 것을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UE A(110)와 UE B(150)가 각각 상대방 UE를 상대로 한 발신호 모두는 연결되지 않고 진행중인 상태이다. 따라서 231 단계에서 UE B(150)는 통화중이므로 수신한 호를 거절하기 위하여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예컨대, 486 Busy 메시지)(이하, "통화중 메시지")를 UE A(110)로 전송하고 241 단계에서는 UE A(110)가 통화중이므로 UE B(150)의 발신호를 거절하기 위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UE B(150)로 전송한다. 결국 UE A(110)와 UE B(150)는 각각 상대방으로 호를 시도하고 있으나 각각의 발신호는 실패한다. 상기 통화중 메시지는 호를 수신한 UE가 현재 통화중이므로 호를 허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 IMS망에서 UE A(110)와 통화 상대방인 UE B(150)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 상기 두 개의 발신호 모두가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IMS망에서 UE A와 통화 상대방인 UE B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 호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IMS) 망의 호처리 방법은 제1 단말이 제2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구하는 제1 호를 상기 IMS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구하는 제2 호를 상기 IMS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망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IMS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통화 상대방의 원격호와 자신이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 로컬호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원격호가 상기 로컬호보다 먼저 발신된 경우 상기 원격호를 허용하는 호충돌검사로직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MS망에서 UE A와 통화 상대방인 UE B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의 호 처리도이다.
도 3에서 사용되는 호 처리 방법은 UE A(110)와 UE B(150)의 호가 서로 충돌한 경우 두 개의 호 중 발신 시간이 빠른 호를 허용할 수 있다.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311 단계와 312 단계 및 321 단계와 322 단계에서 UE A(110)와 UE B(150)는 서로 상대방에 대하여 호를 연결하기 위하여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각각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기 두 개의 발신호가 충돌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개의 호가 충돌된 경우의 호 처리를 위한 로직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직을 "호충돌검사로직"이라고 정의하며 상기 호충돌검사로직은 도 3에서 사용되는 "호충돌검사로직 1"과 하기할 도 5에서 사용되는 "호충돌검사로직 2"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도 3의 실시 예에서 UE A(110) 및 UE B(150)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호가 자신의 호 보다 먼저 발신된 경우 상대방의 호를 허용하는 호충돌검사로직 1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호충돌검사로직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충돌검사로직 1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4 및 이하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용어를 설명한다. 먼저 해당 UE가 발신한 호를 "로컬호"라 하고 통화 상대방이 발신한 호를 "원격호"라 한다. 또한 상기 로컬호를 발신한 UE를 "로컬UE"라 하고 상기 원격호를 발신한 "원격UE"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에서 UE A(110)의 입장에서는 UE A(110) 자신이 로컬UE가 되고 UE B(150)가 원격UE가 되며, UE B(150)의 입장에서는 UE B(150)가 로컬UE가 되고 상대방인 UE A(110)가 원격UE가 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UE A(110)와 UE B(150) 각각의 입장을 고려하는 이유는 이하에서 설명될 호충돌검사로직 1 및 2가 각각의 UE에서 구현되는 로직들이므로 UE A(110) 및 UE B(150) 모두가 상기 로직들의 수행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01 단계는 로컬UE가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호의 승인식별자(Remote Call P-Asserted-Identify)가 상기 로컬UE가 전송하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로컬호의 요청경로(Local Call Request URI)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로컬호의 상대방과 원격UE가 동일한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UE A(110)의 로컬호의 상대방이 UE B(150)이고 UE B(150)가 UE A(110)를 상대로 호를 발신하였다면 로컬호(UE A(110))의 상대방(UE B(150))와 원격UE(UE B(150))가 동일하게 된다. 반대로 UE B(150)도 로컬호(UE B(150))의 상대방(UE A(110))과 원격UE(UE A(110))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로컬호의 상대방과 원격UE가 다르다면 407 단계에서 통화중 메시지를 원격UE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 A(110)가 UE B(150)로 호를 발신하였는데 UE B(150)가 아닌 제 3의 UE C(도시되지 않음)의 발신호를 수신하였다면 UE C에 대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로컬호의 상대방과 원격UE가 같다면 403 단계에서는 원격호의 인바이트 메시지에 타임스탬프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임스탬프 메시지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대방의 호에 타임스탬프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자신의 타임스탬프와 비교할 수 없으므로 상기 호충돌검사로직 1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고 이 때 409 단계에서 원격호에 대한 허용메시지(예를 들어 183 Session Progress)를 원격UE에 전송하여 원격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183 Session Progress 메시지는 호를 허용함을 의미하는 메시지이다.
원격호에 타임스탬프가 포함되었다면 405 단계로 진행하여 원격호의 타임스탬프와 로컬호의 타임스탬프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로컬호의 타임스탬프가 원격호의 타임스탬프보다 크거나 같다면(즉, 원격호 발신시간이 로컬호 발신시간보다 빠르지 않은 경우) 409 단계에서 상기 원격호를 허용하고, 원격호의 타임스탬프가 크다면 407 단계에서 원격UE에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한다. 타임스탬프가 크다는 것은 인바이트 메시지, 즉 발신호가 더 늦은 시간에 전송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405 단계는 원격호가 로컬호보다 더 빨리 발신된 경우에 원격호를 허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컨데 UE A(110)의 타임스탬프가 54이고 UE B(150)의 타임스탬프가 56이라면 UE A(110)가 더 빨리 호를 발신한 것이므로 UE B(150)는 UE A(110)의 호를 허용 할 수 있고, UE A(110)는 UE B(150)가 발신한 호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호충돌검사로직 1을 사용하면 로컬호와 원격호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비교하여 각각의 UE에서는 수신한 원격호를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313 단계와 323 단계는 UE B(150)와 UE A(110)가 상기 호충돌검사로직 1을 각각 수행하는 과정이다.
도 3은 UE A(110)의 발신호가 UE B(150)의 발신호보다 빠른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UE B(150)는 UE A(110)의 발신호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331 단계에서 호 허용 메시지를 전송하고, UE A(110)는 UE B(150)의 발신호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341 단계에서 UE A(110)는 UE B(150)에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UE A(110)는 UE B(150)에 호정보(Call-Info)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호정보는 다음의 예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Call-Info:http://wwww.example.com/alice/photo.jpg>;purpose=icon]
상기 호정보의 의미를 설명하면, 상기 호정보(Call-Info)의 목적(Purpose)은 그림 파일 형식의 아이콘(Icon)이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경로(http://wwww.example.com/alice/photo.jpg)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UE A(110)가 호정보를 UE B(150)로 전송하면 UE B(150)는 상기 경로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콘을 UE B(150)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UE B(150)의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은 사전 설정에 의하여 현재 UE A(110)가 UE B(150)로 호를 시도하고 있음을 UE B(150)에게 알릴 수 있다.
343 단계에서는 상기 호정보에 의해서 UE B(150)는 사용자에게 아이콘을 통 한 안내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자신의 발신호(B■A)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메시지는 아이콘 이외의 음성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351단계는 상기 331과정의 호 허용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UE A(110)가 UE B(150)로 응답(Provisional Response ACK)을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에 대하여 361 단계에서 UE B(150)가 확인메시지(예를 들어 PRACK 200 OK)를 전송하면 UE A(110)에서 UE B(150)로의 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호충돌검사로직 1을 이용하여 호의 충돌을 검사한 후 두 개의 UE 중 먼저 호를 발신한 UE가 상대 UE에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안내메시지를 수신한 UE는 자신의 발신호를 종료하여 먼저 호를 발신한 UE가 발신자가 되어 상대 UE와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IMS망에서 UE A와 통화 상대방인 UE B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의 호 처리도이다.511 단계와 512 단계 및 521 단계와 522 단계에서 UE A(110)와 UE B(150)가 각각 상대방 UE와 호를 연결하기 위하여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고 UE A(110)와 UE B(150) 상호간 호가 충돌된 상태이다.
도 3의 실시예는 호충돌검사로직 1을 사용하였으며 도 5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호충돌검사로직 2(Call Collision Detection Logic 2)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호충돌검사로직 2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충돌검사로직 2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601 단계에서 로컬UE는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원격호 승인식별자 와 로컬UE가 전송하는 인바이트메시지에 포함된 로컬호 요청경로가 동일하지 않다면 605 단계에서 원격호에 대응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여 호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고, 동일하다면 603 단계에서 원격호에 대하여 호 허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A(110)와 UE B(150)의 호가 충돌된 경우 언제나 상대방의 호를 허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UE에서 각각 수신한 원격호를 허용하므로 상호간 충돌된 호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513 단계와 523 단계는 UE B(150)와 UE A(110) 각각 상기 호충돌검사로직 2 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UE A(110) 와 UE B(150) 각각 서로 상대방을 향해 호를 발신하였으므로 호충돌검사로직 2에 의하여 모두 상대방의 호를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531단계와 541단계에서 UE A(110)와 UE B(150)는 상호간에 호 허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551 단계에서 UE A(110)가 UE B(150)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업데이트(Update)메시지를 전송하고 561 단계는 그에 대한 응답이다.
즉, UE A(110)는 자신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의 통신자원을 UE B(150)로 전송하고 UE B(150)도 그 응답으로 자신의 통신자원을 UE A(110)로 전송한다.
571 단계는 UE B(150)가 UE A(110)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업데이트 (Update)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며 581 단계는 그에 대한 응답이며 그 내용은 상기 551 단계와 561 단계와 같다.
UE A(110)와 UE B(150)가 각각 호를 발신하였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호에 대 하여 551 단계 내지 581 단계에서 자원 할당을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582 단계에서는 UE B(150)가 UE A(110)의 발신호에 대하여 자동응답로직(Auto Answer Logic)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로직은 UE A(110) 발신호를 허용하기 위하여 UE B(150)의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UE B(150)가 자동적으로 수신한 호에 대하여 후크 오프(Hook Off) 하는 과정이다.
즉, UE B(150)의 사용자가 UE A(110)의 발신호에 대한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아도 UE B(150)는 상기 자동응답로직을 사용하여 후크 오프 할 수 있다. 상기 후크 오프의 결과로 591 단계에서는 확인메시지(200 OK)가 UE A(110)로 전송된다.
562 단계에서는 UE A(110)가 UE B(150)의 발신호에 대하여 자동응답로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 595 단계에서 200 OK 메시지가 UE B(150)로 전송될 수 있다. 그 내용은 상기 582 단계의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582 단계에서 UE B(150)가 후크 오프 하고 상기 562 단계에서 UE A(110)가 후크 오프하여 각각 확인메시지(200 OK)를 전송하므로 UE A(110)와 UE B(150)의 발신호가 모두 연결되므로 양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두개의 호가 하나로 병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자동응답과정을 인식하지 못하는 각각 UE의 사용자는 각각 자신의 호에 대하여 상대방 UE의 사용자가 호를 허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서 UE A(110)와 UE B(150)의 호가 모두 연결된 경우 UE A(110)와 UE B(150)가 모두 발신자로 취급되어 발신요금을 부담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591 단계와 595 단계에서 각 UE는 호정보(Call Info)와 회신정보(In-Reply-to)를 각 UE가 연결된 IMS망의 P-CSCF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호정보에는 현재 해당 UE가 호를 발신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회신정보는 상대방 UE의 호 아이디(Call-ID)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호 아이디는 상대방이 발신한 호의 정보를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P-CSCF는 UE에 과금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호정보와 회신정보를 이용하여 UE A(110)와 UE B(150)가 접속한 IMS A(130)와 IMS B(130)의 P-CSCF는 현재 호 충돌 상태에서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하고 통상의 과금 방식과는 다르게 각 UE에 과금할 수 있다.
상기 과금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과금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MS망에 연결되는 UE의 구성도이다.
UE(700)는 외부인터페이스부(710)를 통하여 IMS망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UE(700)가 IMS망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라면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710)는 송수신되는 신호를 RF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4)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71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가 송신되도록 신호의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UE(700)의 일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도 4 및 도 6에서 상술한 호충돌검사로직(731)들을 포함하여 상기 호충돌검사로직에 따라서 발신호 및 착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호들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750)는 UE(700)의 사용자에게 필요한 사용자 메시지들을 제어부(73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원격단말로부터 안내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내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키입력부(740)는 UE(700) 사용자의 발신번호를 입력받아 제어부(730)로 전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IMS망에서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통화 상대방인 다른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호간 발신한 호가 동시에 진행중인 경우 상호간 호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6)

  1.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IMS) 망의 호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구하는 제1 호를 상기 IMS망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과의 호 연결을 요구하는 제2 호를 상기 IMS망으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 각각의 발신 시간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 발신 시간이 빠른 호를 수신한 단말이 상기 발신 시간이 빠른 호의 연결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상기 IMS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 허용된 호의 발신 단말이 상대 단말에 대하여 상기 연결이 허용된 호를 발신하였다는 안내메시지를 상기 IMS망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상대 단말의 발신호는 종료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와 상기 제2 호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호에 대한 허용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호에 대한 허용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에 대한 허용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호에 대 하여 후크 오프(Hook Off)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호에 대한 허용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호에 대하여 후크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에 대한 허용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에 호를 발신하였음을 의미하는 호정보를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에 대한 허용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 호를 발신하였음을 의미하는 호정보를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
  9.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망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IMS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통화 상대방의 원격호와 자신이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 로컬호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원격호가 상기 로컬호보다 먼저 발신된 경우 상기 원격호를 허용하는 호충돌검사로직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충돌검사로직은 상기 원격호가 상기 로컬호보다 같거나 늦게 발신된 경우 상기 원격호에 대하여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 메시지는 상기 제2 호가 발신되었음을 의미하는 안내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호가 전송되었다는 안내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호를 종료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를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4.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망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IMS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통화 상대방의 제1 호와 자신이 상기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 제2 호가 동시에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호를 허용하는 호충돌검사로직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호를 허용한다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호에 대하여 후크 오프(Hook Off)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호를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호 정보를 상기 IMS망으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KR1020070014401A 2007-02-12 2007-02-12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KR20080075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01A KR20080075353A (ko) 2007-02-12 2007-02-12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01A KR20080075353A (ko) 2007-02-12 2007-02-12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353A true KR20080075353A (ko) 2008-08-18

Family

ID=3987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401A KR20080075353A (ko) 2007-02-12 2007-02-12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5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8112B (zh) * 2015-10-09 2018-09-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同时呼叫识别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8112B (zh) * 2015-10-09 2018-09-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同时呼叫识别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992B1 (ko) 아이엠에스망과 에이치.323망간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N100579278C (zh) 紧急呼叫方法、系统及呼叫会话控制功能实体
EP21077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multimedia caller identification service
US8582726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handling multimedia calls
WO2006064347A1 (en) Method and system to the instant transfer of multimedia files between mobile radio users within the scope of combinational services
KR101651119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부시스템에서 녹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821989B2 (en) Call management method, call management system and message processing server system
JP4454680B2 (ja) 呼接続処理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送受信代理装置
US9071690B2 (en) Call transfer processing in SIP mode
JP4554636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WO2009015576A1 (fr)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pour transformer un service vocal en service de fax
CN101448233A (zh) 一种ip多媒体子系统紧急呼叫的实现方法
CN115361362A (zh) 基于ims的煤矿通话系统和方法
EP2200254B1 (en) Mobile network system and guidance message providing method
KR20080075353A (ko) 아이피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망에서 호처리 방법과장치
WO2020192435A1 (zh) 一种播放多媒体彩振、彩铃的方法、应用服务器
JP5568348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
CN101459872A (zh) 单对话彩铃彩像业务在应答后更新媒体的方法
KR100705581B1 (ko) SIP를 이용한 VoIP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MCID등록 장치 및 방법
KR100907612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세션 종료 후의 과금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8346269B2 (en) Mobile network system and guidance message providing method
CN101286951B (zh) 一种会话抢占方法
KR20080077809A (ko)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긴급호의 처리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
CN101448202B (zh) 一种彩铃彩像业务更新媒体的方法
JP6549523B2 (ja) 要求先端末のオプション機能の非使用を整合する網間制御方法、sip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