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557A -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557A
KR20080074557A KR1020070013851A KR20070013851A KR20080074557A KR 20080074557 A KR20080074557 A KR 20080074557A KR 1020070013851 A KR1020070013851 A KR 1020070013851A KR 20070013851 A KR20070013851 A KR 20070013851A KR 20080074557 A KR20080074557 A KR 2008007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icrowave
signal
donor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모
김상호
신용식
이병석
하성호
임종태
오세현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4557A/ko
Publication of KR2008007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는 기지국 신호에 대한 주파수 다운 컨버전을 통해 생성된 다운 컨버전 주파수 신호에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1차 믹싱을 실행하여 생성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 리모트부와의 연동으로 실행되는 링크 AGC를 위한 파일롯 톤 신호 및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여 출력하고, 리모트부와의 모뎀 통신 및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도너 RF 유닛 및 트래픽 신호와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믹싱으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 방사하기 위한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포함하는 도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너부 및 리모트부에 각각 구비되는 RF 유닛 및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재구현함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활용하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도너부 및 리모트부에 각각 구비되는 장비의 효율적인 활용 및 장비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13851
마이크로웨이브 대역, 중계기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MICROWAVE REPEAT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를 이루는 도너 RF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너 RF 유닛과 연결되는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형성하는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과 연결되는 리모트 RF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를 이루는 도너 RF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너 RF 유닛과 연결되는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형성하는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과 연결되는 리모트 RF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를 이루는 도너 RF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1 : 도너 RF 유닛 110, 110-1, 440 : XCVR
120, 120-1, 410 : 동기 모듈 130, 130-1, 430 : FSK 모뎀
140, 140-1, 420 : MUX 150, 150-1, 450 : RF 제어부
200 :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 210, 310 : 믹서
300 :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 400 : 리모트 RF 유닛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기를 이루는 도너부 및 리모트부에 각각 포함되는 RF 유닛 및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에 대한 새로운 구현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교환국,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각 기지국은 일정한 통화반경 셀을 가진다. 따라서, 각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기지국의 통화반경을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지역을 확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기지국의 배치에 의해 서비스 지역을 커버한다하더라도 도서지방이나, 대형 건물의 지하공간 및 고층 빌딩의 내부에서는 통화가 불가능한 통화 음영지역이 발생한다. 이러한 통화 음영지역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음영지역 내에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써, 음영지역을 해소하였다.
상기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중계기 중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가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는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과 이동통신 단말(60) 간의 신호 중계를 위해 도너부 및 리모트부로 구분된다. 도너부는 기지국 결합기를 통해 기지국(10)과 연결되며, 기지국(10)으로부터 상용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무선을 통해 원거리 음영지역에 설치된 리모트부로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부는 도너부로부터 전송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다시 상용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필요에 따라 고출력 증폭하여 신규 커버리지를 확장한다. 즉,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에서 수신하고, 이를 필터링, 저잡음 증폭, 대전력 증폭, 주파수 변환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상용 주파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용 주파수의 신호를 음영지역으로 송출한다. 이상의 과정은 순방향 전송링크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며, 역방향 전송링크 과정은 순방향 전송링크 과정에 대응하는 역순을 통해 진행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는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환경에 의해 신호 품질이 좌우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통신 제어기능 이외에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서의 추가적인 제어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서의 강우 감쇄로 인한 패스로스를 보상하는 기능인 링크 AGC 기능은 도너부에서 일정세기의 파일롯 톤 신호를 방사하고, 리모트부에서 이를 수신하여 측정되는 수신 레벨에 따라 해당 손실 분만큼 신호 감쇄값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한 제어기능이다.
이러한 AGC 기능은 도너부를 이루는 도너 RF 유닛(20) 및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에서 각각 모두 실행되도록 구현됨에 따라, 특정 순간에서의 출력변화가 커지는 등의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을 유발하였으며, 각각의 유닛(20, 30)에 분리되어 구현됨으로써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아울러, 상기 도너 RF 유닛(20)은 PSU(22), NMS 모뎀(23), XCVR(21), MCU(24), FSK 모뎀(2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MUX(31), FSK 모뎀(32), 업/다운 컨버터(34), 트랜스미터(35), 듀플렉서&어댑터(39), 합성기(37), LNB(38), AGC 모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에 연결되어 도너부를 형성한다.
이렇듯, 구현되는 구성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듯이 도너부의 각 유닛(20, 30)에 AGC 기능이 구현되어 상기 문제점이 유발된다. 또한, 이와 같은 AGC 기능의 분리 구현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문제점은 리모트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유발된다.
상기 리모트부의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40)은 LNB(41), 업/다운 컨버 터(43), FSK 모뎀(48), MUX(49), 파일롯 모뎀(47), 트랜스미터(46), 듀플렉서&어댑터(44), 컨트롤러(45), AGC 모듈(42)을 포함하여 구현되고, XCVR(52), MCU(54), MUX(51), PSU(55), FSK 모뎀(53)을 포함하는 리모트 RF 유닛(5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유발하는 구성들을 구비한다.
더 나아가,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 및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50)은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의 업 컨버팅을 위하여 2회의 믹싱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MUX(31, 49), 업/다운 컨버터(34, 43)를 각각 구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서의 통신 수행을 위해 FSK 모뎀(32, 48) 및 파일롯 모뎀(47)을 구비하며, 도너부와 리모트부 간의 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한 파일롯 신호 송수신 및 종속동기 기능을 모두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 40)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형상이 커질 뿐만 아니라 무게도 상당해진다. 또한, 실제로 구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은 도너부와 리모트부 간의 전파 송수신 라인(Line Of Sight)의 확보를 위해 철탑 등과 같은 높은 위치에 설비됨에 따라, 유닛이 크고 무거울 경우에는 설비 공사비가 증가하고, 복잡한 유닛 구조로 인해 고장의 소지가 많으므로 유지 보수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 및 리모트부에 각각 구비되는 RF 유닛을 통해 기지국 신호에 대한 주파수 다운 컨버전 후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1차 믹싱을 실행하여 생성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를 대응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으로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은 인가받은 트래픽 신호와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믹싱과정을 거쳐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방사하는 필수 기능 위주로 구현되어 향상된 시스템 안정성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도너부 및 리모트부로 구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는 기지국 신호에 대한 주파수 다운 컨버전을 통해 생성된 다운 컨버전 주파수 신호에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1차 믹싱을 실행하여 생성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 상기 리모트부와의 연동으로 실행되는 링크 AGC를 위한 파일롯 톤 신호 및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여 출력하고, 상기 리모트부와의 모뎀 통신 및 하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도너 RF 유닛 및 상기 트래픽 신호와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믹싱으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 방사하기 위한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포함하는 도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트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지국 신호의 마이크로웨이브 신호에 대한 1차 주파수 다운 믹싱을 실 행하여 출력하기 위한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 및 상기 1차 주파수 다운 믹싱된 신호를 인가받아 2차 주파수 다운 믹싱을 추가 실행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 후 생성되는 RF 주파수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하는 구간인 RF 링크구간에 방사하며, 상기 도너 RF 유닛과의 FSK 모듈레이션을 통한 모뎀 통신 및 상기 파일롯 톤 신호의 수신 레벨에 따라 감쇠된 값을 보상하기 위한 링크 AGC를 실행하는 리모트 RF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모트 RF 유닛은 상기 RF 링크구간으로부터 제공되는 단말 신호의 주파수 다운 컨버전을 통해 생성된 다운 컨버전 주파수 신호에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1차 믹싱을 실행하여 생성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 상기 도너 RF 유닛과의 연동으로 실행되는 링크 AGC를 위한 파일롯 톤 신호 및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는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사이에 둔 도너부 및 리모트부로 구현되며, 상기 도너부는 기지국 신호에 대한 주파수 다운 컨버전을 실행한 후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주파수 믹싱과정을 거쳐 생성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를 업 컨버팅 출력하며, 마이 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서의 신호 감쇄를 보상하기 위한 링크 AGC 기능 실행, 상기 리모트부와의 모뎀 통신 및 유닛 간의 제어 등을 실행하기 위한 도너 RF 유닛(100)과, 상기 도너 RF 유닛(100)으로부터 출력된 트래픽 신호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방사하기 위한 최종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부는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거쳐 제공되는 기지국 신호의 마이크로웨이브 신호에 대한 주파수 다운 믹싱을 실행하여 출력하기 위한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과, 상기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주파수 다운 믹싱된 신호에 대한 추가 주파수 다운 믹싱을 실행하여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 RF 주파수 신호로 재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RF 링크구간에 방사하며, 상기 도너 RF 유닛(100)의 링크 AGC 실행을 통해 생성된 신호를 토대로 상응하는 링크 AGC를 실행하여 신호 감쇄를 보상하고, 상기 도너 RF 유닛(100)과의 모뎀 통신 등을 실행하기 위한 리모트 RF 유닛(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 및 리모트부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기지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순방향 전송 프로세싱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생성된 단말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한 역방향 전송 프로세싱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11GHz, 18GHz 및 23GHz 대역과 같은 다양한 마이크로웨이브 대역 중에서 11GHz 대역을 일례로 하여 순방향 전송 프로세싱 에 대한 과정을 상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를 이루는 도너 RF 유닛(1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 RF 유닛(100)은 기지국 신호를 RF 반송파를 생성하는 송수신기인 XCVR(110)을 통해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으로 전달하게 되며, 즉 기지국 신호를 각 대역별로 PLL을 통해 210~280MHz 대역으로 다운시킨 후, 대역 외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특성이 우수한 SAW 필터로 필터링하고, 이렇게 필터링 된 신호는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990~1060MHz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로 1차 주파수 합성 믹싱하는 과정을 거쳐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으로 전달한다.
아울러, 도너 RF 유닛(100)은 기지국 신호에 포함된 각 대역별 신호마다 각각의 경로에 따른 SAW 필터링을 실행한 이후의 RF 경로를 공통된 경로로 구현하여 PLL 및 MIX의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으로의 업 컨버팅을 한꺼번에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너 RF 유닛(100)은 FSK 모뎀(130)을 통해 리모트 RF 유닛(400)과 모뎀 통신하며, 이는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FSK 모듈레이션 실행으로 상기 리모트 RF 유닛(400)과 모뎀 통신하는 것이고,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방사되는 기지국 신호에 대한 신호 감쇄를 리모트 RF 유닛(400)에서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링크 AGC 기능을 실행하여 고나련 파일롯 톤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모트 RF 유닛(400)은 기지국 신호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파일롯 톤 신호를 검출한 후, 측정된 신호 레벨에 따라 감쇄된 신호를 보상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FSK 모뎀의 파일롯 신호와 AGC를 위한 파일롯 신호는 하나의 톤(Ton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너 RF 유닛(100)은 RF 제어부(150)를 토대로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의 구성 모듈에 대한 동작 제어를 실행하여 상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에 구비되는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너 RF 유닛(100)은 RF 전송기능, MUX 기능 및 기존 마이크로웨이브 모듈에서 실행하던 제어기능까지 통합하여 구현되는 각 모듈, 즉 XCVR(송수신기, 110)), 도너부와 리모트부 간의 신호 동기를 위한 동기모듈(120), FSK 모뎀(130), MUX(140), RF 제어부(150) 등을 내부에 구현할 때에 PCB 양면에 각 모듈을 예정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유닛의 외형 크기를 줄여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너 RF 유닛(100)과 연결되는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은 도너 RF 유닛(100)으로부터 990~1960MHz의 트래픽 신호, 파일롯 신호, 파일롯 톤 신호 및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기준 주파수 신호(10MHz) 및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후로,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은 기준 주파수 신호를 PLL 합성기로 입력하여 10.055GHz를 생성한 후, 트래픽 신호와 10.055GHz의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2차 주파수 믹싱과정을 거쳐 생성된 11GHz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방사한다.
도 7은 도 6의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과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형성하는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은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부터 수신되는 11GHz 대역의 기지국 신호에 저잡음 증폭을 실행하고,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990~1050MHz로 주파수 다운하기 위한 1차 믹싱과정(믹서(21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한 주파수 합성을 통해 실행됨)을 실행하여 리모트 RF 유닛(400)으로 전달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200)과 연결되는 리모트 RF 유닛(4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RF 유닛(400)은 상기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으로부터 990~1050MHz의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아 MUX를 통한 2차 주파수 다운 믹싱을 추가 실행하여 210~280MHz 대역의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 후, XCVR(440)을 통해 SAW 필터링 등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RF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RF 링크구간에 방사한다.
또한, 리모트 RF 유닛(400)은 도너부로부터 제공되는 파일롯 톤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 감쇄된 값을 보상하기 위한 링크 AGC 기능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FSK 모뎀(430)을 통해 도너 RF 유닛(100)과의 모뎀 통신을 실행하며, 동기모듈(410)을 이용하여 도너부 및 리모트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과정을 실행한다.
아울러, 리모트 RF 유닛(400)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단말 신호에 대한 트래픽 신호, 기준 주파수 신호, 파일롯 신호를 포함한 신호를 변조과정을 거쳐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구비 된 RF 제어부(450)를 통해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300)의 내부 구성모듈에 대한 동작 제어도 실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의 도너부를 이루는 도너 RF 유닛(100-1)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너 RF 유닛(100-1)은 XCVR(110-1), 동기모듈(120-1), FSK 모뎀(130-1), MUX(140-1) 및 RF 제어부(150-1)를 포함하며,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를 이루는 마이크로웨이브 모듈이 RF 유닛으로부터 기준 주파수 신호를 받아 트래픽 신호와 주파수 합성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방사하며, 각종 통신 및 제어실행을 위한 기능은 RF 유닛을 통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을 활용하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도너부 및 리모트부에 각각 구비되는 장비의 효율적인 활용 및 장비 운용비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도너부 및 리모트부로 구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너부는,
    기지국 신호에 대한 주파수 다운 컨버전을 통해 생성된 다운 컨버전 주파수 신호에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1차 믹싱을 실행하여 생성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트래픽 신호, 상기 리모트부와의 연동으로 실행되는 링크 AGC를 위한 파일롯 톤 신호 및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기준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여 출력하고, 상기 리모트부와의 모뎀 통신 및 하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도너 RF 유닛; 및
    상기 트래픽 신호와 상기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믹싱으로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 방사하기 위한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은
    상기 도너 RF 유닛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순방향 상에서의 상기 트래픽 신호와 상기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믹싱을 1회 실행하여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부터 역방향 상으로 제공되는 트래픽 신호와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다운 믹싱을 상기 도너 RF 유닛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1회 실행하여 생성된 중간 대역 주파수를 상기 도너 RF 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RF 유닛은
    기지국 신호에 포함된 각 대역별 신호마다 각각의 경로에 따른 SAW 필터링을 실행한 이후의 RF 경로를 공통된 경로로 구현하여 PLL 및 MIX의 수를 줄이며, 상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으로의 업 컨버팅을 통합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 RF 유닛은
    RF 전송기능, MUX 기능, 상기 리모트부와의 모뎀 통신 및 상기 도너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모듈, 즉 XCVR, 상기 도너부와 리모트부 간의 신호 동기를 위한 동기모듈, FSK 모뎀, MUX, RF 제어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모듈을 PCB 양면에 예정된 위치로 배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부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기지국 신호의 마이크로웨이브 신호에 대한 1차 주파수 다운 믹싱을 실행하여 출력하기 위한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 및
    상기 1차 주파수 다운 믹싱된 신호를 인가받아 2차 주파수 다운 믹싱을 추가 실행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 후 생성되는 RF 주파수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하는 구간인 RF 링크구간에 방사하며, 상기 도너 RF 유닛과의 FSK 모듈레이션을 통한 모뎀 통신 및 상기 파일롯 톤 신호의 수신 레벨에 따라 감쇠된 값을 보상하기 위한 링크 AGC를 실행하는 리모트 RF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으로부터 제공되는 트래픽 신호와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다운 믹싱을 상기 리모트 RF 유닛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1회 실행하여 생성된 중간 대역 주파수를 상기 리모트 RF 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은
    상기 리모트 RF 유닛으로부터 역방향 상으로 제공되는 트래픽 신호와 기준 주파수 신호 간의 주파수 합성을 통한 2차 다운 믹싱을 상기 리모트 RF 유닛의 제어신호를 토대로 1회 실행하여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링크구간에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RF 유닛은
    기지국 신호에 포함된 각 대역별 신호마다 각각의 경로에 따른 SAW 필터링을 실행한 이후의 RF 경로를 공통된 경로로 구현하여 PLL 및 MIX의 수를 줄이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RF 유닛은
    RF 전송기능, MUX 기능, 상기 도너부와의 모뎀 통신 및 상기 리모트 마이크로웨이브 유닛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모듈, 즉 XCVR, 상기 도너부와 리모트부 간의 신호 동기를 위한 동기모듈, FSK 모뎀, MUX, RF 제어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모듈을 PCB 양면에 예정된 위치로 배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KR1020070013851A 2007-02-09 2007-02-09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KR20080074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51A KR20080074557A (ko) 2007-02-09 2007-02-09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51A KR20080074557A (ko) 2007-02-09 2007-02-09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57A true KR20080074557A (ko) 2008-08-13

Family

ID=3988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851A KR20080074557A (ko) 2007-02-09 2007-02-09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45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48B1 (ko) * 2007-09-28 2009-06-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및 그 방법
US9173049B2 (en) 2010-02-05 2015-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CN111162851A (zh) * 2019-12-23 2020-05-15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直放站频段匹配的方法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48B1 (ko) * 2007-09-28 2009-06-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및 그 방법
US9173049B2 (en) 2010-02-05 2015-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US9609532B2 (en) 2010-02-05 2017-03-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CN111162851A (zh) * 2019-12-23 2020-05-15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直放站频段匹配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2757B2 (en) Donor unit, remote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having same
CN101247162B (zh) 一种模拟中频的td-scdma室内分布系统
CN101980580B (zh) 一种基站、远端射频单元及其信号发送方法
CN1545225A (zh) 自由空间光传输移动通信直放站
KR20080074557A (ko)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CN101242628A (zh) 无线信号区域覆盖方法和无线接入网络
KR100375318B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20130078889A (ko) 긴급재난재해 이동통신 시스템
CN214429537U (zh) 一种中继设备及中继系统
US20220200690A1 (en) Repeater system
CN112911737A (zh) 一种室内分布系统
CN100514883C (zh) 无线接入网络信号区域覆盖方法和无线接入网络
KR200232445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도우너 모듈
KR100696962B1 (ko) 무선 통신 중계 및 차단장치
KR20040016665A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CN201282568Y (zh) Gsm网络多信道数字移频选频分布系统
KR101037835B1 (ko) 마이크로웨이브 링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섹터를 서비스하기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KR100315307B1 (ko) 전화선 또는 전용회선을 이용한 중계장치
KR100442331B1 (ko) 이동통신 서비스용 광대역 중계 시스템
KR20080025805A (ko) 이동 통신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XPA04009950A (es) Sistema de repetidores para umts con intercambio espectral, entre las bandas de frecuencia umts, asi como metodo de acceso.
KR101681850B1 (ko) Ism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484071B1 (ko) 기지국에서의 광중계 제어 장치
KR100990909B1 (ko)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KR200212136Y1 (ko) 고주파신호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