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532A -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532A
KR20080074532A KR1020070013806A KR20070013806A KR20080074532A KR 20080074532 A KR20080074532 A KR 20080074532A KR 1020070013806 A KR1020070013806 A KR 1020070013806A KR 20070013806 A KR20070013806 A KR 20070013806A KR 20080074532 A KR20080074532 A KR 20080074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input system
cas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낙호
Original Assignee
네이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4532A/ko
Publication of KR2008007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문자 및 숫자 입력기능이 없는 PDA등의 휴대통신기기에 별도의 문자등의 입력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유선통신포트 및 무선통신유니트를 통하여 휴대기기와 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휴대기기에 문자 및 숫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모드변환스위치를 통하여 키입력부의 선택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저장부를 구비하여 문장등의 저장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시스템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와 위치변환부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휴대기기에 연결하여 문자 및 숫자, 기호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 케이스, 출력부, 키입력부

Description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an input system for a portable communica-tions equipmen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3a,b,c,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스 130...키입력부
140...화면출력부 150...모드선택부
170...위치변환부 180...제어부
185...데이터저장부
본 발명은 별도의 문자 및 숫자 입력기능이 없는 PDA등의 휴대통신기기에 연결하여 별도의 문자등의 입력기능을 부여하도록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유선통신포트 및 무선통신유니트를 통하여 휴대 기기와 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휴대기기에 문자 및 숫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모드변환스위치를 통하여 키입력부의 선택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저장부를 구비하여 문장등의 저장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구성으로 다양한 휴대기기에 연결하여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상승시키도록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에 것이다.
일반적으로 PDA등의 휴대 통신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소형화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상의 제약에 의해 문장등의 입력을 위한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문장입력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문장입력기능은, 휴대통신기기에 미리저장되는 문장을 터치패드방식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후 이를 입력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문장입력의 한계성을 갖는 실정이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휴대통신기기를 컴퓨터와 통신토록 한 후 컴퓨터를 통한 입력이 가능토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문장등의 사용시 반드시 컴퓨터가 구비되어야 하여 휴대기기를 사용하는 원래의 취지에 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통신기기에 입력장치의 연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고, 휴대통신기기에 다양한 문장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하나의 입력장치로서 다양한 휴대통신기기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문장등의 입력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휴대기기에 연결하여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상승시키도록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선통신포트 및 무선통신유니트를 통하여 휴대기기와 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휴대기기에 문자 및 숫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모드변환스위치를 통하여 키입력부의 선택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저장부를 구비하여 문장등의 저장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력시스템에 별도의 출력용 디스플레이부와 위치변환부 가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이며, 도3a,b,c,d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입력장치(100)는, 케이스(110)의 내측에 신호의 입,출력 및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1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데이터저장부(185)가 더 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일반적인 마우스형상이나 핸드폰 및 PDA기기등과 같은 평판블록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신호를 휴대통신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유선통신포트(160)와 무선통신유니트(165)가 더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유선통신포트(160)는 핸드폰 및 PDA기기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리얼포트와 연결토록 케이스(1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키입력부(130)와 모드선택부(150)및 위치변환부(170)에 연결된다.
상기 키입력부(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노출되면서 알파벳이나 특수문자 및 숫자와 한글의 자음 및 모음등이 표기되는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30)는, 케이스(110)의 상부에 노출되면서 알파벳이나 특수문자 및 숫자와 한글의 자음및 모음이 표기되는 다수의 버튼이 출력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130)는, 마우스 형상의 케이스(110)에 적용시 상부면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저면에 설치시 버튼이 동작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토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케이스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모드선택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이조합으로 이루어 지며, 위치변환부의 일측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변환부(170)는, 휴대통신기기의 화면상에서 커서를 이동시 키도록 설치되는 다이얼드래그, 볼그래그, 터치패드형 드래그, 스틱형드래그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키입력부(130)를 통한 문장의 입력시 이를 화면상에 출력토록 화면출력부(140)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유선통신포트(160)를 통하여 휴대통신기기를 입력장치(100)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100)는, 상기 유선통신포트(160)로 연결될 때 휴대통신기기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100)의 전원은 본 발명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충전기 및 밧데리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장착되는 자체전원을 통하여 공급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유선통신포트(160)는, 다양한 휴대통신기기의 공용사용이 가능토록 저장부(185)에 프로그램이 미리 등록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토록 되며, 다양한 시리얼포트가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의 포트를 통해 휴대통신기기와 연결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유선통신포트(160)는, 일반적인 핸드폰의 연결도 가능토록 되고, 이때 상기 핸드폰의 문자키이를 통한 외부 입력도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입력장치(100)는, 별도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유니 트(165)가 구비되어 휴대통신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100)를 휴대통신기기와 연결한 후 키입력부(130)를 통한 문장이나 숫자 및 기호등의 입력이 가능토록 되고, 상기 문장의 입력을 입력을 위한 모드를 모드선택부(150)를 통하여 변환한 후 필요한 위치를 위치변환부(170)를 통해 이동하여 키입력부(130)의 버튼을 조작 문장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키입력부(130)는, 사용목적에 따라 버튼 타입이나, 터치패드타입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변환부(170)는 문장입력을 위하여 필요부분까지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 역시 볼드래그, 다이얼드래그, 터치패드형 드래그, 스틱형드래그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통하여 필요로 하는 다수의 문장을 그룹단위로 미리 저장한 후 입력시 하나의 단축키로서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휴대통신기기에 연결하여 문장을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통신기기의 활용성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통신기기에 입력장치의 연결이 용이하고, 휴대통신기기에 다양한 문장의 입력이 가능하며, 하나의 입력장치로서 다양한 휴대통신기기에 입력하고, 문장등의 입력시간을 단축 시키며, 다양한 휴대기기에 연결하여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여 휴대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7)

  1. 유선통신포트 및 무선통신유니트를 통하여 휴대기기와 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키입력부를 구비하여 휴대기기에 문자 및 숫자, 기호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키이조합으로 이루어진 모드선택부를 통하여 모드선택이 가능토록 설치되면서 위치변환부를 통해 문장입력을 위한 커서의 위치 변환이 가능토록 설치되며, 저장부를 구비하여 문장 그룹등의 저장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시스템은, 마우스형상을 갖는 케이스에 장착되면서 키입력부가 케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시스템은, 마우스형상을 갖는 케이스에 장착되면서 키입력부가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시스템은, 화면출력부가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포트는, 다양한 종류의 시리얼포트와 연결토록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노출되면서 알파벳이나 특수문자 및 숫자와 한글의 자음및 모음이 표기되는 다수의 버튼이나, 알파벳이나 특수문자 및 숫자와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이 표기되는 다수의 버튼이 출력되는 터치스크린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환부는, 휴대통신기기의 화면상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되는 다이얼드래그, 볼그래그, 터치패드형 드래그, 스틱형드래그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KR1020070013806A 2007-02-09 2007-02-09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KR20080074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06A KR20080074532A (ko) 2007-02-09 2007-02-09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06A KR20080074532A (ko) 2007-02-09 2007-02-09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32A true KR20080074532A (ko) 2008-08-13

Family

ID=3988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806A KR20080074532A (ko) 2007-02-09 2007-02-09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45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231B1 (en) Devices having input controls for efficient input of data
US8384671B2 (en) Split QWERTY keyboard with reduced number of keys
US20080158024A1 (en) Compact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113034A1 (en) Tablet Computer Input Device
US9625943B2 (en) Mobile keyboard
CN101981903A (zh) 12键qwerty文本输入方法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98477A (ko) 원형자판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077765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765218B1 (ko)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KR20050080460A (ko)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20080074532A (ko) 휴대통신기기용 입력시스템
US201000853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Input Text Entry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20120064739A (ko)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KR101925065B1 (ko) 스마트 기기용 키보드
KR100777968B1 (ko) 다기능 키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696766B1 (en) Double-jointed hinge for computer keyboard
KR101458384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0829782B1 (ko)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20100011716A (ko) 입력 장치
KR20070010512A (ko) 마우스 기능이 구비된 키보드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160033958A (ko) 빠른 입력이 가능한 웨어러블용 소형 키보드
KR101126271B1 (ko) 가상의 6면 입체 키패드 모듈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