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138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138A
KR20080073138A KR1020070011766A KR20070011766A KR20080073138A KR 20080073138 A KR20080073138 A KR 20080073138A KR 1020070011766 A KR1020070011766 A KR 1020070011766A KR 20070011766 A KR20070011766 A KR 20070011766A KR 20080073138 A KR20080073138 A KR 2008007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ntenn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138A/ko
Publication of KR2008007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1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for modifying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of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본체에 핸드 그립(hand-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형성되는 방사부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선 성능 특성이 증대되도록 하며, 핸드 그립에 의해 무선 성능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안테나, 방사부, 제3방사면, 핸드 그립(hand-grip)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tenna thereof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동작에 대한 실시예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안테나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본체 주회로기판(PCB)
3: 서브보드 10: 안테나
11: 방사부 15: 급전부
20: 제어부 30: 통신부
40: 입력부 50: 출력부
60: 메모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서 핸드 그립(hand-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으로 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크게 방사부와 급전부로 구분되는데, 방사부는 금속 재질의 물체로 구성되어 일정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며, 급전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주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방사부로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방사부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상부 측면 또는 본체 하부 측면 및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후면부 방향으로 방사면이 형성되어, 본체 주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핸드 그립 시, 사용자의 손에 의해 본체 후면부가 가려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본체 상부 측면 또는 본체 하부 측면 및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후면부 방향으로 방사부의 방사면이 형성된 경우, 본체 후면부 방향으로 형성된 방사면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가 핸드 그립에 의해 일부 손실되어 신호 감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후면 방향뿐만 아니라 핸드 그립(hand-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인 전면 방향으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안테나의 무선 성능 특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핸드 그립(hand-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형성되는 방사부 및 상기 방사부로 신호를 급전하는 급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조작에 따른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40),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50),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60), 일정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 안테나(10)를 통해 송수신 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부(30) 및 상기한 각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입력부(40)는 다수 키 버튼이 구비되어, 키 버튼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이때, 다수 키 버튼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키패드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외부에 구비된 키 버튼 및 본체 측면에 구비된 사이드 키를 포함한다. 출력부(50)는 일반적으로 LCD 화면으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상태 데이터가 표시된다. 메모리(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및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통신부(30)는 외부로부터 메시지 또는 통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로 외부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인가한다. 한편, 통신부(30)는 제어부(20)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하여 안테나(10)로 출력함으로써, 안테나(1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하고, 또한 안테나(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20)를 통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로 인가한다.
여기서, 안테나(10)는 안테나(10)의 방사 패턴의 모양 및 방사 패턴에 형성된 슬롯의 모양에 따라 일정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는 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안테나(1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구성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설명하면, 안테나(10)는 방사부(11)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주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2)에 연결되어 방사부(11)로 신호를 급전하는 급전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사부(11)는 본체(1)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일정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방사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의 수화부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되거나, 혹은 송화부가 구비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사부(11)의 방사면은 본체(1) 상부면 또는 하부면 방향 및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1)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방사부(11)는 본체(1)의 송화부 또는 수화부가 형성되는 본체(1) 전면 방향으로 방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방사부(11)는 본체(1) 상부면 또는 하부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방사면(11a), 본체(1) 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방사면(11b) 및 본체(1)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방사면(11c)을 포함한 다.
따라서, 본체(1)의 핸드 그립(hand 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인 본체(1) 전면 방향으로 방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방사부(11)를 통해 일정 대역의 신호 송수신 시,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의 핸드 그립에 의해 무선 성능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전부(15)는 본체 주회로기판(2)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방사부(11)로 급전하며, 상기와 같이 방사부(11)가 다수개의 방사면을 갖는 경우, 다수개의 방사면 중 어느 하나의 방사면에 연결되어 신호를 급전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급전부(15)는 본체(1)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2방사면(11b)을 통해 신호를 급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구조가 도시된 도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전면에서 바라본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부의 방사면 중 본체 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3방사면이 도시된 도로서, 제3방사면(11c)은 제1방사면(11a)을 연장하고, 연장된 방사면을 구부려 안테나 본체(10a)에 고정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물론 그외에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에 동작에 대한 실시예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방사부(11)는 보통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 체(1) 상부면 또는 하부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1방사면(11a) 및 본체(1)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2방사면(11b)을 통해 일정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방사면(11a) 및 제2방사면(11b) 외에 본체(1) 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3방사면(11c)을 통해서도 일정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방사부(11)의 신호 송출 방향을 다양하게 구현함에 따라 신호 송수신 시 무선 성능 특성이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에 핸드 그립 된 상태에서 방사부(11)를 통해 신호 송수신 시, 본체(1) 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2방사면(11b)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는 핸드 그립에 의해 일부 신호가 손실됨에 따라 신호 송수신 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핸드 그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본체(1) 전면 방향으로 형성된 제3방사면(11c)을 통해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에 핸드 그립 된 상태에서도 방사부(11)를 통해 송수신 되는 신호의 무선 성능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안테나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는 안테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바(bar)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안테나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b)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안테나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바(bar)형으로 이 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안테나(10)의 방사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5의 (a)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급전부(15)는 본체(1) 상부 및 본체(1) 하부에 형성된 방사부(11)에 각각 연결되어, 본제 주회로기판(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급전한다. 여기서, 본체(1) 상부 및 본체(1) 하부에 형성된 안테나(10)는 같은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로 구현 가능하나,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0)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라이드 형으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방사부(11)는 본체 주회로기판(2)이 구비된 하부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 서브보드(Serve PCB)(3)에 구비된 상부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에 모두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급전부(15)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영역에 형성된 방사부(11)에 각각 연결되어, 본제 주회로기판(2)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급전한다. 여기서, 상부 본체에 방사부(11)가 형성된 경우, 급전부(15)는 상부 본체에 구비된 서브보드(3)에 연결되어, 본체 주회로기판(2)으로부터 서브보드(3)로 인가된 신호를 각각의 방사부(11)로 신호를 급전한다.
물론, 도 5의 (a)와 같이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에 형성된 안테나는 같은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 구현 가능하나, 서로 다른 대역의 신호를 송수 신하는 안테나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본체가 적어도 2개의 본체로 분리된 경우, 방사부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된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혹은 적어도 2개로 분리된 본체에 각각 형성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에 대한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의 방사면을 다양한 방향, 특히 본체에 핸드 그립(hand-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인 본체 전면 방향을 통해 신호가 방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송수신 되는 신호의 무선 성능 특성이 증대되도록 하며, 핸드 그립에 의해 무선 성능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핸드 그립(hand-grip)되는 부분의 반대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형성되는 방사부; 및
    상기 방사부로 신호를 급전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상기 본체 상부면 또는 하부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방사면; 상기 본체 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방사면; 및 상기 본체 전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방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적어도 2개의 본체로 분리된 경우, 상기 방사부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된 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적어도 2개의 본체로 분리된 경우, 상기 방사부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된 본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11766A 2007-02-05 2007-02-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KR20080073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66A KR20080073138A (ko) 2007-02-05 2007-02-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766A KR20080073138A (ko) 2007-02-05 2007-02-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138A true KR20080073138A (ko) 2008-08-08

Family

ID=3988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766A KR20080073138A (ko) 2007-02-05 2007-02-05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31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194A1 (en) * 2018-11-07 2020-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module
US20200280330A1 (en) 2017-09-22 2020-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resonant frequency modified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177557B2 (en) 2017-11-2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ensing electro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80330A1 (en) 2017-09-22 2020-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resonant frequency modified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070241B2 (en) 2017-09-22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resonant frequency modified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177557B2 (en) 2017-11-2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ensing electrode
WO2020096194A1 (en) * 2018-11-07 2020-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module
US11552392B2 (en) 2018-11-07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4780B2 (ja) 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ユニット
US7525493B2 (en) Adaptive antenna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sets of partial array antenna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TWI662747B (zh) 電子裝置及其多饋入天線
US6919861B2 (en) Array antenna apparatus
US1057887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325064B2 (en) Mobile terminal
JP4828798B2 (ja) 電子機器
EP1841006A1 (en) Mobile wireless unit
JP5144531B2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のフロントエンド・システム
JPH11234162A (ja) 携帯型通信装置
US20160209513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80115054A1 (en) Mobile device
CN110380198B (zh) 一种天线模组及电子设备
US10547946B2 (en) Wearable device
US20070218846A1 (en) Radio comprising multiple transceivers
KR20080073138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KR101594435B1 (ko) 휴대 단말기
JP5747179B2 (ja) 携帯無線機
KR1012866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US20070021079A1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electronic device
US20110241962A1 (en) Planar antenna and handheld device
KR20080062626A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102954A (ja) 移動体通信端末
CN105514571A (zh) 天线装置和电子设备
US6946998B2 (en) Radio apparatus with a planar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