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204A -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204A
KR20080072204A KR1020070010635A KR20070010635A KR20080072204A KR 20080072204 A KR20080072204 A KR 20080072204A KR 1020070010635 A KR1020070010635 A KR 1020070010635A KR 20070010635 A KR20070010635 A KR 20070010635A KR 20080072204 A KR20080072204 A KR 2008007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data
existing
receiv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183B1 (ko
Inventor
김용석
윤순영
문준
한기영
노관희
장정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1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1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기의 지원 시스템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기와,상기 분리된 데이터 각각을 스케쥴링하는 스케쥴러를 포함하여 호환되는 복수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구조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는 송/수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10635
래거시, 호환성, 송수신 장치, 데이터 분리기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A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파수 대역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리기의 주파수 대역 조절 및 변경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분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환성을 갖는 복수의 시스템들을 지원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의 규격 등을 변경하여 기존 시스템 대비 고속 데이터를 서비스하거나 구현상 이슈를 해결하면서 시스템을 간단화하며 진화한다.
일예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시스템의 경우, CDMA 1x를 시작으로 EV-DO(Evolution Data only)로 진화해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 간의 진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해당 시스템의 진화 전 후의 통신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진화를 이루면서 용량 극대화를 위해서 규격 변경뿐만 아니라 용량 극대화를 위해서 자원을 추가로 사용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대역 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자원을 이용하는 제 1시스템(102)과, 제 2시스템(104)과, 상기 제 1시스템의 사용 주파수 대역인 밴드(band)1(106)만을 지원하는 제 1시스템 전용 단말기(110)와, 상기 제 2시스템(104)만의 사용 주파수 대역인 밴드 2(108)만을 지원하는 제 2시스템 전용 단말기(114) 및 상기 제 1시스템(102)과 상기 제 2시스템(104) 모두를 지원하는 스위칭 단말기(11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시스템(102)과 제 2시스템(104)은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106,108)를 각각 따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제 1시스템(102) 및 상기 제 2시스템(104)과 동시에 통신해야 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스위칭 단말기(112)는 상기 제 1시스템(102)과 상기 제 2시스템(104)을 동시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연결된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 을 끊고 연결하고자 하는 통신 시스템(102)으로 스위칭하여 연결하여 통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는, 호환성을 갖는 복수 개의 시스템이 존재할 때, 해당 단말기가 복수개의 시스템을 통해서 동시에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환성을 갖는 복수개의 시스템을 지원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화된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의 자원을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주파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기의 지원 시스템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기와,
상기 분리된 데이터 각각을 스케쥴링하는 스케쥴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전달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수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 정과,
상기 분리된 수신 데이터가 전달된 주파수 대역이 다르고, 상기 수신 데이터가 전달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지원 시스템이 동일한 데이터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를 정의한다.
●기존 (Legacy) 시스템: 기존 규격을 준수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 1시스템(Strictly Backward Compatibility): 상기 기존 시스템보다 진보한 시스템으로, 상기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갖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제 2시스템(Loosely Backward Compatibility):상기 기존 시스템보다 진보한 시스템으로, 상기 기존 시스템과 최소 호환성을 갖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시스템들과 호환성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시스템의 전체 주파수 대역(200)은 기존 시스템과 제 1시스템의 사용 주파수 대역인 밴드 1(202)과, 상기 제 2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인 밴드 2(204)와 또 다른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인 밴드 3(206)등이 포함된다.
기존 단말기(208)와 상기 제 1시스템 단말기(210)는 상기 밴드 1(202)을 통해서 통신한다. 즉, 기존 시스템 단말기(208) 및 제 1시스템 단말기(210)는 상기 제 2시스템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기존 대역 즉, 상기 밴드 1(202)을 통해서만 통신가능하다.
상기 제 2시스템 단말기(212)는 상기 밴드 1(202)과, 상기 밴드 2 및 상기 밴드 3(206) 모두를 통해서 통신한다. 즉, 상기 제 2 시스템 단말기(212)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의 대역들을 통해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 2시스템 기지국은 모든 제 1시스템/제 2시스템 단말기에 대해 지원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의 구조와 같이, 제 2시스템의 지원 주파수 대역에 기존 시스템과 제 1시스템의 사용 주파수 대역(202)이 포함되고, 그 외의 다수의 시스템들에 대한 지원 주파수 대역들(204, 206)이 포함되므로, 기존 시스템 단말기와 제 1시스템 단말기는 기존 규격의 변동 없이 상기 제 2시스템과 통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 2시스템에서 송신기는, 기존 시스템 및 제 1시스템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므로, 해당 단말기들로 제 2시스템용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시스템에서의 송신기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시스템에서 송신기는 제 2시스템 전용 단말기는 물론 제 1시스템 단말기 및 기존 단말기를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300)는 제 2시스템에서의 데이터를 기존 및 제 1시스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구조와 제 2시스템 전용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전송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기(300)는 데이터 스케쥴러(302)와, 직/병렬 변환기(304)와, 기존 및 제 1시스템 모뎀(306)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블록(308)과, 병/직렬 변환기(310)와, 데이터 분리기(312)와, 직/병렬 변환기(314)와, 제 2시스템 모뎀(316)과, IFFT 블록(318)과, 병/직렬 변환기(320)와, 전체 FFT 블록(322) 및 송신 안테나(324)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분리기(312)는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해당 데이터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한다. 상기 데이터 분리기(312)는 기존 시스템과 제 1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스케쥴러(302)로 전송하고, 제 2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데이터는 상기 직/병렬 변환기(314)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분리기(312)는 상기 송신기(300)가 송신할 데이터가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기가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지원하는지 아니면 제 2시스템을 지원하는 지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 결과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스케쥴러(302)로 전송하고, 제 2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는 상기 직/ 렬 변환기(314)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스케쥴러(302)는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와, 제 2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는 상기 직/병렬 변환기(304)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는 상기 직/ 병렬 변환기(314)로 전달한다.
먼저, 상기 데이터 스케쥴러(302)를 통해서 스케쥴링 된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의 경우, 상기 직/병렬 변환기(304)에서 병렬 변환된 후, 상기 기존 및 제1시스템 모뎀(306)으로 전달된다. 이를 수신한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 모뎀(306)은 기존 및 제 1시스템 규격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IFFT 블록(308)으로 전달한다. 이후, IFFT가 수행된 데이터가 병/직렬 변환기(310)를 통해 직렬 변환되어 상기 FFT 블록(322)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스케쥴러(302) 또는 상기 데이터 분리기(312)를 통해서 분리된 제 2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터는, 상기 직/병렬 변환기(314)를 통해서 병렬 변환되고, 제 2시스템 모뎀(316)을 통해서 제 2시스템 규격에 따라 송신 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송신 데이터는 IFFT 블록(318)에서 IFFT가 수행되고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320)를 통해서 직렬 변환되어 상기 FFT 블록(322)으로 전달된다.
상기 FFT 블록(322)은 기존 및 제 1시스템의 송신 데이터와, 제 2시스템의 송신 데이터 전체를 FFT할 수 있는 광대역 크기를 가지며, 상기 송신 데이터들에 대해서 FFT를 수행한 후,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안테나(Antenna)(324)를 통해 해당 수신기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기(400)는 수신 안테나(401)와, 필터(402)와, 직/병렬 변환기들(404, 412)과, FFT 블록들(405, 414)과, 기존/제 1시스템 모뎀(406)과, 데이터 분리기(410)와, 제 2시스템 모뎀(416)과 병/직렬 변환기(418) 및 데이터 결합기(data combiner)(42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는 송신기(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기존 및 제 1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인지, 제 2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분리한다.
먼저, 상기 필터(402)를 통과한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경우, 상기 직/병렬 변환기(404)를 통해서 병렬 변환되고 상기 FFT 블록(405)으로 전달된다. 상기 FFT 변환된 데이터는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 모뎀(406)을 통해서 복구되고, 상기 병/직렬 변환기(408)를 통해서 직렬 변환되어 상기 데이터 결합기(410)로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결합기(410)는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가 제 2시스템 단말기로 전송된 데이터인지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 전송된 데이터인지를 분리하고, 제 2시스템 단말기로 전송된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결합기(42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402)를 통과한 제 2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의 경우, 상기 직/병렬 변환기(412)를 통해서 병렬 변환되어 상기 FFT 블록(414)으로 전달된다. 상기 FFT 변환된 데이터는 상기 제 2시스템 모뎀(416)을 통해서 복구되고, 상기 병/직렬 변환기(418)를 통해서 직렬 변환되어 상기 데이터 결합기(420)로 전달된다.
상기 데이터 결합기(420)는 상기 데이터 분리기(410)를 통해서 수신한 기존 및 제 1시스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제 2시스템 단말기용 데이터와, 제 2시스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제 2시스템 단말기용 데이터를 결합(combining)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과 도 4의 송수신 장치의 운용은 해당 시스템에 기존 단말기와 제 1시스템 단말기 및 제 2시스템 단말기의 분포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분리기의 주파수 대역의 조절 및 변경 방법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분리기는 제 2시스템이 사용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 내에서 기존 및 제 1시스템 규격을 사용하여 전송할 주파수 대역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 및 변경한다.
500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리기는 자신과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기들의 분포를 파악한다. 즉, 상기 전체 단말기들 중에서 기존 및 제 1 시스템 전용 단말기들의 수와 제 2시스템 단말기들 수의 비율을 인지하고, 505단계로 진행한다.
505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분리기는 전체 단말기들 중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의 비율에 따라 기존 및 제 1시스템 규격용 주파수 대역의 수를 결정하고 510 단계로 진행한다.
기존 및 제 1시스템 규격용 주파수 대역 수가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분리기는 510단계에서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 규격을 사용할 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위치는 인접 기지국/섹터 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배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분포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기지국은 3개의 섹터(sector a,b,c)를 구비하고, 전체 주파수 대역은 동일한 크기의 밴드 1,2,3,4로 나뉘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밴드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고, 기존 및 제 1시스템 규격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1개의 밴드만 사용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그외의 경우들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섹터 a는 전체 주파수 대역 중에서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1(602)을 사용하고, 섹터 b는 전체 주파수 대역 중에서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2(604)를 사용하고, 섹터 c는 전체 주파수 대역 중에서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3(606)을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섹터 a,b,c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주파수 대역으로 각각 서로 다른 밴드1,2,3(602, 604, 610)을 사용하여 제 1시스템과 제 2시스템 간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호환되는 복수의 통신시스템을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구조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는 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기의 지원 시스템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기와,
    상기 분리된 데이터 각각을 스케쥴링하는 스케쥴러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지원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호환되며 동일 주파수 대역인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시스템과, 기존 시스템과 최소한으로 호환되며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시스템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시스템은,
    호환되는 복수의 시스템들을 위한 제 2주파수 대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리기는,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2시스템과 통신하고자 하는 전체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리기는,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인접 송신 장치 또는 상기 송신 장치의 섹터 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모뎀과,
    상기 제 2시스템을 위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모뎀과,
    상기 생성된 송신 데이터들 모두를 모아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한 후 송신 데이터를 통해서 해당 수신기로 전송하는 FFT 블록을 더 포함하는 상기 송신 장치.
  7.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전달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수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필터와,
    상기 분리된 수신 데이터가 전달된 주파수 대역이 다르고, 상기 수신 데이터가 전달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지원 시스템이 동일한 데이터들을 결합하는 데이터 결합기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의 지원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호환되며 동일 주파수 대역인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시스템과,
    기존 시스템과 최소한도로 호환되며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시스템은,
    호환되는 복수의 시스템들을 위한 제 2주파수 대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2시스템과 통신하고자 하는 전체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수 및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는,
    인접 송신 장치 또는 상기 송신 장치의 섹터 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가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 아니면 제 2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리기와,
    상기 제 2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상기 제 2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데이터 결합기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 장치.
  13.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가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기의 지원 시스템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사용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규격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분리된 데이터 각각을 스케쥴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지원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호환되며 동일 주파수 대역인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시스템과, 기존 시스템과 최소한으로 호환되며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시스템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시스템은,
    호환되는 복수의 시스템들을 위한 제 2주파수 대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2시스템과 통신하고자 하는 전체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인접 송신 장치 또는 상기 송신 장치의 섹터 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및 제 1시스템을 위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2시스템을 위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송신 데이터들 모두를 모아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한 후 송신 데이터를 통해서 해당 수신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기 송신 방법.
  19.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의 전달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수신 데이터를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분리된 수신 데이터가 전달된 주파수 대역이 다르고, 상기 수신 데이터가 전달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지원 시스템이 동일한 데이터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방법.
  2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의 지원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호환되며 동일 주파수 대역인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1시스템과, 기존 시스템과 최소한도로 호환되며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2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시스템은,
    호환되는 복수의 시스템들을 위한 제 2주파수 대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송신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은,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2시스템과 통신하고자 하는 전체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수 및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의 위치는,
    인접 송신 장치 또는 상기 송신 장치의 섹터 간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 방법.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가 기존 및 제 1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 아니면 제 2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 2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제 1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상기 제 2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 방법.
KR20070010635A 2007-02-01 2007-02-01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48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0635A KR101480183B1 (ko) 2007-02-01 2007-02-01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0635A KR101480183B1 (ko) 2007-02-01 2007-02-01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204A true KR20080072204A (ko) 2008-08-06
KR101480183B1 KR101480183B1 (ko) 2015-01-07

Family

ID=3988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0635A KR101480183B1 (ko) 2007-02-01 2007-02-01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5635A (zh) * 2011-10-28 2013-05-08 芯光飞株式会社 正交频分复用接收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637B1 (ko) * 1999-08-23 2002-03-06 김대기 이기종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5635A (zh) * 2011-10-28 2013-05-08 芯光飞株式会社 正交频分复用接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183B1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7288B2 (en) Mobile sta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1652677B2 (en) Control channel architecture with control information distributed over multiple subframes on different carriers
US9237575B2 (en) Base station, terminal, band allocation method, and downlink data communication method
US20200204327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11457440B2 (en) Physically separated channels for narrowband, low complexity receivers
EP2667657B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3524598A (ja) マルチキャリア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送信のタイミング
EP3962145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85998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ploying common control channel and broadcast channel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frequency overlay
RU2659480C1 (ru)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аппарат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CN116546632A (zh) 一种资源划分方法、资源指示方法以及相关装置
CN101212726B (zh) 无线基站和信号发送方法
EP3926908A1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KR101480183B1 (ko)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21202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이산 주파수 스펙트럼의 사용, 및 이산 주파수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수신 방법 및 장치
RU201114279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ивающие многочисленное назначение частот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210022012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EP3876488A1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method
KR20220042112A (ko) 기지국,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EP424008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WO2009139288A1 (ja) 通信装置
WO2016112974A1 (en) Transparent ofdma operation within ofdm-based communication systems
KR20120016534A (ko)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90017393A (ko) 데이터 펑처링을 이용한 전력 제어 및 이에 대한 시그널링방법
JP2010087978A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