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299A - 벨크로 커넥터 - Google Patents

벨크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299A
KR20080071299A KR1020070009334A KR20070009334A KR20080071299A KR 20080071299 A KR20080071299 A KR 20080071299A KR 1020070009334 A KR1020070009334 A KR 1020070009334A KR 20070009334 A KR20070009334 A KR 20070009334A KR 20080071299 A KR20080071299 A KR 2008007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loop
hook
connector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래
정기삼
조길수
Original Assignee
(주)조이앤조이
김정래
정기삼
조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이앤조이, 김정래, 정기삼, 조길수 filed Critical (주)조이앤조이
Priority to KR102007000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299A/ko
Publication of KR2008007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로서, 벨크로(velcro) 자체가 커넥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크로 커넥터는 후크를 포함하는 제 1벨크로; 상기 제 1벨크로와 결합하고 루프를 포함하는 제 2벨크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 1벨크로는 제 1벨크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후크부; 제 1벨크로의 상기 제 1후크부와 반대 쪽 일측에 위치하는 제 3후크부; 상기 제 1후크부와 제 3후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접속부; 제 1벨크로의 양가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 결합/분리 시 손으로 잡고 힘을 주는 곳인 여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벨크로는 제 2벨크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루프부; 제 2벨크로의 상기 제 1루프부와 반대 쪽 일측에 위치하는 제 3루프부; 상기 제 1루프부와 제 3루프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접속부; 제 2벨크로의 양가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 결합/분리 시 손으로 잡고 힘을 주는 곳인 여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후크부는 제 1루프부와 제 3후크부는 제 3후크부와 결합/분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접속부는 제 3접속부는 접촉/분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접속부는 도전사(導電絲)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크로(velcro), 후크(hook), 루프(loop), 도전사(導電絲)

Description

벨크로 커넥터{Velcro Connector}
도 1a는 벨크로의 후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b는 벨크로의 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c는 벨크로의 후크와 루프의 결합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벨크로 커넥터의 제 1벨크로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벨크로 커넥터의 제 2벨크로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 1벨크로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제 2벨크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직물 2: 벨크로 커넥터
10: 후크 20: 루프
100: 제 1벨크로 110: 제 1 후크부
120: 제 2후크부 130: 제 3후크부
140: 제 1접속부 150: 제 2접속부
160, 260: 여유부 200: 제 2벨크로
210: 제 1루프부 220: 제 2루프부
230: 제 3루프부 240: 제 3접속부
250: 제 4접속부 300: 도전사(導電絲)
본 발명은 임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로서, 벨크로(velcro) 자체가 커넥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벨크로(velcro)는 일명 "찍찍이"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신발이나 장갑, 모자, 시계줄 등과 같이 늘상 입고 벗어야 하는 물건 등에 사용되고 있다.
벨크로는 도1a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갈고리 모양의 후크(10)와 도1b에 나타난 걸림고리 모양의 루프(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후크(10)는 직물조직의 고리들을 잘라 하나의 고리가 두개의 영구적인 갈고리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에 도1c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벨크로 결합시 루프(20)의 고리 안으로 후크(10)가 걸려 들어와 힘들여 떨어뜨리지 않는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만약 힘을 들여 둘을 분리하면 후크(10)가 유연적으로 루프(20)를 빠져 나와 분리된다. 이와 같이 벨크로는 잘 마모되지 않아 수명이 길고 벨크로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지퍼처럼 다른 것에 끼거나 고장나지 않으며 녹이 슬지않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조임의 정도와 크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착용이 쉽다.
의류산업의 발전으로 스마트 섬유가 개발되어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이 가능해지고 있다. 스마트 섬유란 초소형 컴퓨터칩을 사용해 전기신호나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외부 디지털 기기와 연결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섬유를 말한다. 이에 의류 하나로 별도의 장치 없이 입는 것만으로도 PDA,MP3,휴대폰 등과 같은 디지털기기와 의류를 결합시켜 그 기능을 누릴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옷을 입는 사람의 생체정보를 파악하고 유해물질을 감지해 의약품을 투입하는 등 의료적 기능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의류에 디지털기기등을 부착시 생기는 이를 의류의 컴퓨팅 장치와 연결시 사용하는 전선이나 커넥터로 인해 심미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나 커넥터가 외부로 유입된 경우 고장이 날 수도 있으며 접촉불량이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전선이나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는 착용감에 문제가 있고 무게가 무거워져 입는데 불편함을 준다.
이에 웨어러블 컴퓨팅이 가능한 의류가 좀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경량이며의류의 심미적 기능에도 부응하며 의류와 호환이 잘 되는 커넥터를 요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발목,허리 찜질장치, 손목시계 등 그 자체의 착용에 사용해 왔던 벨크로를 이용한 커넥터를 제공하여 스마트 섬유의 발전과 함께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을 좀 더 효율적으로 만들고 경량이며 좀 더 심미적이고 의류와의 호환이 잘 되는 벨크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의의 접속부를 포함하여 커넥터 역할을 하는 벨크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량이며 심미적이고 의류봉제 환경에 친화적이며 착용이 쉬운 벨크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웨어러블 컴퓨팅이 가능한 의류와 잘 호환되어 더 효율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벨크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로서, 벨크로(velcro) 자체가 커넥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벨크로 커넥터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2)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벨크로 커넥터의 제 1벨크로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벨크로 커넥터의 제 2벨크로의 평면도이다. 벨크로 커넥터(2)는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로 구성된다.
제 1벨크로(100)는 후크를 포함하는 벨크로로서 제 2벨크로(200)와 결합한다. 제 1벨크로는, 제 1후크부(110), 제 3후크부(130), 제 1접속부(140), 여유부(160)로 구성된다.
제 1후크부(110)는 제 2벨크로(200)와 접촉하는 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벨크로(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1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 1후크부(110)는 제 1접속부(140)를 기준으로 제 3후크부(130)와 대칭을 이룬다. 제 1후크부(110)의 후크는 제 2벨크로(200)의 제 1루프부(210)의 루프와 결합한다.
제 3후크부(130)은 제 2벨크로(200)와 접촉하는 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벨크로(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1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 3후크부(130)는 제 1접속부(140)를 기준으로 제 1후크부(110)와 대칭을 이룬다. 제 3후크부(130)의 후크는 제 2벨크로(200)의 제 3루프부(230)의 루프와 결합한다.
제 1접속부(140)는 제 1후크부(110)와 제 3후크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제 2벨크로(200)의 제 3접속부(240)와 결합한다. 제 1접속부(140)는 도전사(導電絲)(300)로 이루어지며, 도전사(300)는 고리모양을 이룬다. 도전사(30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매개체로서, 여러개의 도전사(300)를 꼬아서 형성하는데 이는 하나의 실이 끊어져도 단락되지 않게 해주며 실자체를 유연하게 한다.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결합에 의해 제 1접속부(140)와 제 3접속부(240)가 접촉하게 되면 커넥터의 연결, 즉 커넥터의 결합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유부(160)는 제 1벨크로(100)의 제 1후크부(110)와 제 3후크부(130)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2)의 접촉과 분리시 손으로 잡고 힘을 줄 수 있는 곳이다.
제 2벨크로(200)는 루프를 포함하는 벨크로로서 제 1벨크로(100)와 결합한다. 제 2벨크로(200)는, 제 1루프부(210), 제 3루프부(230), 제 3접속부(240),여유부(260)로 구성된다.
제 1루프부(210)는 제 1벨크로(100)와 접촉하는 쪽으로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벨크로(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2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 1루프부(210)는 제 3접속부(240)를 기준으로 제 3루프부(230)와 대칭을 이룬다. 제 1루프부(210)의 루프는 제 1벨크로(100)의 제 1후크부(110)의 후크와 결합한다.
제 3루프부(230)은 제 1벨크로(100)와 접촉하는 쪽으로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벨크로(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2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 3루프부(230)는 제 3접속부(240)를 기준으로 제 1루프부(210)와 대칭을 이룬다. 제 3루프부(230)의 루프는 제 1벨크로(100)의 제 3후크부(130)의 후크와 결합한다.
제 3접속부(240)는 제 1루프부(210)와 제 3루프부(23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벨크로(100)의 제 1접속부(140)와 결합한다. 제 3접속부(240)는 도전사(導電絲)(300)로 이루어지며, 도전사(300)는 고리모양을 이룬다. 도전사(30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매개체로서, 여러개의 도전사(300)를 꼬아서 형성하는데 이는 하나의 실이 끊어져도 단락되지 않게 해주며 실자체를 유연하게 한다.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결합에 의해 제 1접속부(140)와 제 3접속부(240)가 접촉하게 되면 커넥터의 연결, 즉 커넥터의 결합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유부(260)는 제 2벨크로(200)의 제 1루프부(210)와 제 3루프부(230)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2)의 접촉과 분리시 손으로 잡고 힘을 줄 수 있는 곳이다.
제 1벨크로(100)의 제 1후크부(110), 제 3후크부(130)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들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져 제 2벨크로(200)의 루프부 보다는 좀 더 꺼끌꺼끌 하다. 이는 후크가 루프에 걸려 결합된 상태에서 힘있게 이를 지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 1벨크로(100)는 직물 직조시 함께 직조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벨크로(200)의 제 1루프부(210), 제 3루프부(230)는 걸림고리 모양의 루프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며 제 1벨크로의 후크보다는 부드럽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벨크로 커넥터(2)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 1벨크로의 평면도이고, 도 3c는 도 3a의 제 2벨크로의 평면도로서, 도전사(300)로 이루어진 접속부가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각각 두개씩 포함하고 있다. 제 1벨크로(100)는 제 2후크부(120),제 2접속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b의 제 1벨크로(100)의 구성과 같고, 제 2벨크로(200)는 제 2루프 부(220), 제 4접속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c의 제 2벨크로(200)의 구성과 같다.
제 1벨크로(100)는 후크를 포함하는 벨크로로서 제 2벨크로(200)와 결합한다. 제 1벨크로는, 제 1후크부(110) 제 2후크부(120), 제 3후크부(130), 제 1접속부(140), 제 2접속부(150), 여유부(160)로 구성된다.
제 1후크부(110)는 제 2벨크로(200)와 접촉하는 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벨크로(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1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하고 제 1접속부(140)보다는 외측에 위치한다. 제 1후크부(110)의 후크는 제 2벨크로(200)의 제 1루프부(210)의 루프와 결합한다.
제 2후크부(120)는 제 2벨크로(200)와 접촉하는 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벨크로(1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제 1접속부(140)와 제 2접속부(15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 2벨크로(200)의 제 2루프부(220)와 결합한다.
제 3후크부(130)은 제 2벨크로(200)와 접촉하는 쪽으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벨크로(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1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하고, 제 2접속부(150)보다는 외측에 위치한다. 제 3후크부(130)의 후크는 제 2벨크로(200)의 제 3루프부(230)의 루프와 결합한다.
제 1접속부(140)는 제 1후크부(110)와 제 2후크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2벨크로(200)의 제 3접속부(240)와 결합한다. 제 1접속부(140)는 도전사(導電絲)(300)로 이루어지며, 도전사(300)는 고리모양을 이룬다. 도전사(30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매개체로서, 여러개의 도전사(300)를 꼬아서 형성하는데 이는 하나의 실이 끊어져도 단락되지 않게 해주며 실자체를 유연하게 한다.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결합에 의해 제 1접속부(140)와 제 3접속부(240)가 접촉하게 되면 커넥터의 연결, 즉 커넥터의 결합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유부(160)는 제 1벨크로(100)의 제 1후크부(110)와 제 3후크부(130)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2)의 접촉과 분리시 손으로 잡고 힘을 줄 수 있는 곳이다.
제 2벨크로(200)는 루프를 포함하는 벨크로로서 제 1벨크로(100)와 결합한다. 제 2벨크로(200)는, 제 1루프부(210), 제 3루프부(230), 제 3접속부(240), 제 4접속부(250), 여유부(260)로 구성된다.
제 1루프부(210)는 제 1벨크로(100)와 접촉하는 쪽으로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벨크로(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2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하고 제 3접속부(240)보다는 외측에 위치한다. 제 1루프부(210)의 루프는 제 1벨크로(100)의 제 1후크부(110)의 후크와 결합한다.
제 2루프부(220)는 제 1벨크로(100)와 접촉하는 쪽으로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벨크로(2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제 3접속부(240)와 제 4접속부(25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 1벨크로(100)의 제 2후크부(120)와 결합한다.
제 3루프부(230)은 제 1벨크로(100)와 접촉하는 쪽으로 루프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벨크로(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유부(260) 보다는 안쪽으로 위치하고 제 4접속부(250)보다는 외측에 위치한다. 제 3루프부(230)의 루프는 제 1벨크로(100)의 제 3후크부(130)의 후크와 결합한다.
제 3접속부(240)는 제 1루프부(210)와 제 2루프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벨크로(100)의 제 1접속부(140)와 결합한다. 제 3접속부(240)는 도전사(導電絲)(300)로 이루어지며, 도전사(300)는 고리모양을 이룬다. 도전사(30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매개체로서, 여러개의 도전사(300)를 꼬아서 형성하는데 이는 하나의 실이 끊어져도 단락되지 않게 해주며 실자체를 유연하게 한다.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결합에 의해 제 1접속부(140)와 제 3접속부(240)가 접촉하게 되면 커넥터의 연결, 즉 커넥터의 결합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유부(260)는 제 2벨크로(200)의 제 1루프부(210)와 제 3루프부(230)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2)의 접촉과 분리시 손으로 잡고 힘을 줄 수 있는 곳이다.
제 1벨크로(100)의 제 1후크부(110), 제 2후크부(120), 제 3후크부(130)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들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져 제 2벨크로(200)의 루프부 보다는 좀 더 꺼끌꺼끌 하다. 이는 후크가 루프에 걸려 결합된 상태에서 힘있게 이를 지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 1벨크로(100)는 직물 직조시 함께 직조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벨크로(200)의 제 1루프부(210), 제 2루프부(220), 제 3루프부(230)는 걸림고리 모양의 루프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며 제 1벨크로의 후크보다는 부드럽다. 제 2벨크로(200)도 직물 직조시 함께 직조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접속부는 그 수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그 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단,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접속부의 수는 동일해야 하며, 넓이와 길이도 동일해야 한다. 이는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결합이 곧 커넥터의 결합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제 1벨크로(100)와 제 2벨크로(200)의 결합시 제 1후크부(110)와 제 1루프부(210), 제 2후크부(120)와 제 2루프부(220), 제 3후크부(130)와 제 3루프부(230)이 각각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후크부의 갈고리가 루프부의 걸림고리에 걸려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 1접속부(140)과 제 3접속부(240)가 접촉하고 제 2접속부(150)과 제 4접속부(250)이 접촉하여 커넥터의 결합을 이루고 이를 통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벨크로 커넥터는 제 1벨크로와 제 2벨크로에 도전사(導電絲)로 구성된 각각의 접속부를 갖추고 있고, 이 각각의 접속부는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 신호를 연결해 주는 커넥터의 역할을 한다.
벨크로는 잘 마모되지 않아 수명이 길고 벨크로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고 지퍼처럼 다른 것에 끼거나 고장나지 않으며 녹이 슬지않고 가볍고 필요에 따라 조임의 정도와 크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착용이 쉬워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이 가능한 의복에 벨크로를 이용한 이 커넥트를 사용하여 경량이고 착용이 쉽고 커 넥터가 끊어져 고장나는 일이 줄고 미관상 좋아진다.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이 가능한 의류에 PDA,MP3,휴대폰 등과 같은 디지털기기와 의류를 결합시킬 때 벨크로커넥터이 가능하게 하여 웨어러블 컴퓨팅이 가능한 의류가 좀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경량이며 의류의 심미적 기능에도 부응하며 의류와 호환이 잘 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6)

  1. 제 1벨크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후크부; 제 1벨크로의 상기 제 1후크부와 반대 쪽 일측에 위치하는 제 3후크부; 상기 제 1후크부와 제 3후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접속부; 제 1벨크로의 양가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 결합/분리 시 손으로 잡고 힘을 주는 곳인 여유부;를 포함하는 후크로 이루어진 제 1벨크로를 포함하며,
    제 2벨크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루프부; 제 2벨크로의 상기 제 1루프부와 반대 쪽 일측에 위치하는 제 3루프부; 상기 제 1루프부와 제 3루프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접속부; 제 2벨크로의 양가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 결합/분리 시 손으로 잡고 힘을 주는 곳인 여유부;를 포함하는 루프로 이루어진 제 2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커넥터.
  2. 제 1벨크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후크부; 제 1벨크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2후크부; 제 1벨크로의 상기 제 1후크부와 반대 쪽 일측에 위치하는 제 3후크부; 상기 제 1후크부와 제 2후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1접속부; 상기 제 2후크부와 제 3후크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2접속부; 제 1벨크로의 양가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 결합/분리 시 손으로 잡고 힘을 주는 곳인 여유부;를 포함하는 후크로 이루어진 제 1벨크로를 포함하고,
    제 2벨크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 1루프부; 제 2벨크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2루프부; 제 2벨크로의 상기 제 1루프부와 반대 쪽 일측에 위치하는 제 3루프부; 상기 제 1루프부와 제 2루프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3접속부; 상기 제 2루프부와 제 3루프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 4접속부; 제 2벨크로의 양가에 위치하여 벨크로 커넥터 결합/분리 시 손으로 잡고 힘을 주는 곳인 여유부;를 포함하는 루프로 이루어진 제 2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커넥터.
  3. 제 1항 , 제 2항에 있어서,
    제 1후크부는 제 1루프부와 제 2후크부는 제 2루프부, 제 3후크부는 제 3후크부와 결합/분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커넥터.
  4. 제 1항, 제 2항에 있어서,
    제 1접속부는 제 3접속부와 제 2접속부는 제 4접속부와 접촉/분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제 1접속부, 제 2접속부, 제 3접속부, 제 4접속부는 도전사(導電絲)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커넥터.
  6.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직물 직조 시 함께 짜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로 커넥터.
KR1020070009334A 2007-01-30 2007-01-30 벨크로 커넥터 KR20080071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334A KR20080071299A (ko) 2007-01-30 2007-01-30 벨크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334A KR20080071299A (ko) 2007-01-30 2007-01-30 벨크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299A true KR20080071299A (ko) 2008-08-04

Family

ID=3988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334A KR20080071299A (ko) 2007-01-30 2007-01-30 벨크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2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686B2 (en) 2008-09-22 2010-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lcro connector
WO2019220809A1 (ja) * 2018-05-17 2019-11-21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導電性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3686B2 (en) 2008-09-22 2010-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lcro connector
KR100981303B1 (ko) * 2008-09-22 2010-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벨크로 커넥터
WO2019220809A1 (ja) * 2018-05-17 2019-11-21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導電性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118760A (zh) * 2018-05-17 2020-12-22 可乐丽粘贴扣带株式会社 导电性面固定器及其制造方法
JPWO2019220809A1 (ja) * 2018-05-17 2021-05-27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導電性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118760B (zh) * 2018-05-17 2023-09-29 可乐丽粘贴扣带株式会社 导电性面固定器及其制造方法
US11986064B2 (en) 2018-05-17 2024-05-21 Kuraray Fastening Co., Ltd. Conductive surface fasten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7954A1 (en) Conductive elastic band
US8739368B2 (en) Eyeglass holder
WO2007075571A2 (en) Body conforming textile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TWI621939B (zh) 配戴式電源及具備此種電源的手戴式行動裝置
KR101388700B1 (ko) 장신구 고정용 옷핀
KR20150130126A (ko)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털 의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추적 시스템
KR20080071299A (ko) 벨크로 커넥터
US20150096109A1 (en) Article and Method for Decorating Footwear and Other Articles
KR20080114107A (ko) 직물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20030209034A1 (en) Multi-functional brassiere decorating chain
US10238189B2 (en) Wearing band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776366B1 (ko)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털 밴드
JP2009513229A (ja)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GB2589361A (en) Wearable article electronic module, system and method
US7471593B2 (en) Device for adapting a wrist watch for wearing on a shoe
KR200428786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코드형 장신구
KR20090017711A (ko) 마스크 착용끈 연결용 탭
CN204499686U (zh) 智能手环
KR200380099Y1 (ko) 브래지어용 와이어 및 이 와이어를 갖는 브래지어 일체형옷
JP2022064794A (ja) マスクの留め具
KR20170027426A (ko) 전도성 섬유가 구비된 의류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859320B1 (ko) 의복 간 비접촉 통신 장치
KR100916516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반지와 팔찌 커플링 장치
CN215737286U (zh) 表带及穿戴设备
CN214802623U (zh) 一种防噪音的工作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