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248A -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248A
KR20080071248A KR1020070009203A KR20070009203A KR20080071248A KR 20080071248 A KR20080071248 A KR 20080071248A KR 1020070009203 A KR1020070009203 A KR 1020070009203A KR 20070009203 A KR20070009203 A KR 20070009203A KR 20080071248 A KR20080071248 A KR 2008007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artificial
artificial reef
seabed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소선
Original Assignee
라소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소선 filed Critical 라소선
Priority to KR102007000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248A/ko
Publication of KR2008007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이 발명은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은 어류의 서식환경조성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로 구성된 인공어초와, 인공어초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인공어초에 일체로 결합되며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기둥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되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해일과 같은 열악한 외부요인에도 인공어초가 항상 투하한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사후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면서도 상단부에 해양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marina), 파력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설비 또는 등대 등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 여러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Submarine fixation type sea structure which carries out the function of artificial reef}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상단에 파력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설비, 등대 또는 조류발전장치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각각의 개략도이고,
도 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9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 낚시터의 개략도, 일부 확대 단면도 및 변형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의 기둥을 플레이트 위로 돌출시키고 그 상부에 풍력발전장치를 결합하여 제작한 인공 낚시터의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인공 낚시터의 일부분을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하되 태양광 발전설비 및 등대를 부가하여 조합한 확대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f는 도 9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마리나의 개략도, 일부 확대 단면도 및 변형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a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의 기둥을 플레이트 위로 돌출시키고 그 상부에 풍력발전장치를 결합하여 제작한 마리나의 개략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인공 낚시터의 일부분을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하되 태양광 발전설비 및 등대를 부가하여 조합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해양 구조물 110 : 기둥
120 : 인공어초 121 : 사각뿔대형 구조물
122 : 육면체형 구조물 123 : 기둥 삽입부
130 : 플레이트 200 : 파력발전장치
300 : 풍력발전장치 400 : 태양광 발전설비
500 : 등대 600 : 조류발전장치
이 발명은 바다 속에 설치하는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도록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하되, 그 상단에 해양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marina), 파력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설비 또는 등대 등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라 함은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이다. 인공어초는 최초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 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여 서식공간을 조성한 것에서부터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6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도 다양하여 콘크리트, 세라믹, 강재 등을 이용한 것이 있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대부분 자중에 의해 해저면에 고정된다. 한편, 인공어초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38494호에는 제일 하단에 지반고정구(H-빔)를 구비하고, 실용신안등록 제417728호에는 역삼각기둥 형상의 앵커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인공어초의 제일 하단에 지반고정구나 앵커를 구비하면 조류로 인한 미끌림 안정성을 어느 정도 가질 수는 있으나, 미끌려 이동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초에 투하한 정위치에 위치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즉, 인공어초의 최초의 투하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사후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해일을 비롯한 쓰나미(지진성 해일)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하단에 지 반고정구나 앵커를 구비하더라도 전도될 우려가 다분히 있다.
현재, 해양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 등은 대부분 부력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 등을 이용하여 바다 속 어류의 서식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대해 고려해 본 적이 전혀 없었다. 그리고 일부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 등의 해양 구조물은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식 해양 구조물은 기둥과 같은 지지 구조재의 하단부가 해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해수면 위로 돌출되는 상단에 낚시터용 또는 마리나용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형태로 제작된다. 그런데, 여기에 사용되는 지지 구조재는 그 상단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그 곳에 가해지는 하중을 떠받쳐주는 구조재의 역할만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이지, 바다 속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하도록 제작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되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열악한 외부요인에도 항상 투하한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사후관리가 용이한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면서도 상단에 해양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marina), 파력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설비 또는 등대 등을 각각 또는 조합하여 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어 여러 기능을 하는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은 어류의 서식환경조성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로 구성된 인공어초와, 인공어초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인공어초에 일체로 결합되며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기둥은 그 상부가 인공어초의 상단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인공어초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은 어류의 서식환경조성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로 각각 구성된 다수개의 인공어초와, 인공어초의 상하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인공어초에 일체로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기둥과, 다수개의 기둥을 연결하여 표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 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기둥(110)과, 기둥(110)에 고정되는 인공어초(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둥(110)과 인공어초(12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기둥(110)의 하부가 인공어초(1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기둥(110)이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기둥(110)의 하부가 인공어초(1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기둥(110)을 타격(예를 들어, 항타)하여 그 하단부를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별도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기둥(110)의 상부가 인공어초(120)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격시에 별다른 문제가 없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할 경우 기둥(110)의 상부가 인공어초(12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기둥(110)이 해저면에 수직한 상태로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기둥(110)이 해저면에 수직하지 아니하고 경사진 형태로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실시예의 기둥(110)은 H빔, 다각형 강관 또는 원형 강관 등의 지지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둥(110)은 CFT(Concrete Filled Tube)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때 강관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일부 충전하거나 완전 충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인공어초(120)는 기둥(110)의 둘레에 고정되어 어초의 기능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 또는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즉, 이 실시예의 인공어초(120)로는 기둥(110)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면 현재 공지되거나 시설된 모든 어초를 비롯하여 추후에 개발될 모든 어초 또한 적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세라믹 또는 강재 등으로 제작된 박스형, 다면체형 또는 타워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어초(120)는 기둥(110)의 둘레 일부분에만 편심되게 고정될 수도 있으나, 기둥(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둘레 전체를 따라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인공어초(120)는 기둥(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기둥(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대칭으로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공어초(120)를 기둥(110)의 둘레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하면 된다.
이 실시예의 인공어초(120)는 다수의 사각뿔대형 구조물(121)과 육면체형 구조물(122)을 반복 적층함으로써 형성된 타워형 어초로서, 중심축을 따라 기둥(110)이 삽입될 수 있는 기둥 삽입부(123)를 갖는다. 여기서, 사각뿔대형 구조물(121)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결합이 용이하며 강도가 우수한 H형강이나 원형 파이프 등을 다수개의 수평부재, 보부재, 경사부재 및 수직부재로 이용해 사각뿔대형으로 제작한 것이고, 육면체형 구조물(122)은 상기와 같은 H형강이나 원형 파이프 등을 다수개의 수평부재, 보부재 및 수직부재로 이용해 육면체형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사각뿔대형 구조물(121) 및 육면체형 구조물(122)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기 둥(110)이 삽입될 수 있는 기둥 삽입부(123)가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도록 제작하면 된다. 즉, 이 실시예의 인공어초(120)는 기둥 삽입부(123)를 중심축으로 하여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을 해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둥(110)의 상단을 항타하여 그 하단부를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하면 된다. 이 때, 도 2a와 같이 인공어초(120)의 바닥면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지점까지 기둥(110)의 상단을 항타하거나, 도 2b와 같이 인공어초(120)의 바닥면이 해저면과 일정 거리를 갖는 지점까지 기둥(110)의 상단을 항타함으로써,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을 해저에 고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인공어초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또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의 다른 일례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파력발전장치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상단에서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파력발전장치(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파력발전장치(20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둥(110)이 해수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상단에 풍력발전장치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해 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자연의 바람으로 블레이드를 돌리고 이것을 기어기구 등을 이용하여 속도를 높여 발전기를 돌림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장치(300)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풍력발전장치(300)가 결합 고정되는 기둥(110)이 풍력발전장치(300)의 블레이드가 해수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해수면 위로 충분히 돌출되면 된다. 그리고, 풍력발전장치(300)를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 고정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상단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태양전지를 통해 태양광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설비(400)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태양광 발전설비(400)가 결합 고정되는 기둥(110)이 해수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 된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설비(400)를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 고정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상단에 등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야간에 강렬한 불빛을 발산하여 항로를 표시하거나 여러 기능을 하는 등대(500)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등대(500)가 결합 고정되는 기둥(110)이 해수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 된다. 그리고, 등대(500)를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 고정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기둥에 조류발전장치를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조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조류발전장치(600)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조류발전장치(60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둥(110)이 해수면 위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 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하고 상단에 파력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설비, 등대 및 조류발전장치를 조합하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인공어초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또다른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상기와 같은 파력, 풍력, 태양광 또는 조류를 통해 자체적으로 생성한 전기 또는 별도의 외부 전기를 이용하여 바다 속에 위치하는 인공어초(120)에서 불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전기를 공급받아 불빛을 발산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불빛 발산장치(도시안됨)를 인공어초(120) 및/또는 기둥(110)에 설치함으로써 인공어초(120)에서 불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렇게 인공어초(120)에서 불빛을 발산할 경우에는 어류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 등의 움직임을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집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을 인공어초(120)의 기능에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8과 같은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일정 범위의 해역을 정해 다수개의 해양 구조물(100)을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해역의 경우, 바다 속은 인공어초의 군락을 형성하고, 해수면 위는 전기발전시설이 설치되어 어선 등을 비롯한 일정 규모 이상의 배가 진입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어류의 남획을 방지할 수 있어, 최적의 어류서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역에서는 군락을 형성하는 각각의 인공어초에서 발산하는 불빛으로 인해 해양 구조물과 어류 등이 어우러져 연출하는 바다 속의 아름다운 장관을 통해 해저 관광시에 관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기둥(110)을 해수면 위로 돌출되게 고정하되, 이렇게 돌출된 기둥(110)의 둘레를 따라 해수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낚시터용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인공 낚시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낚시터용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은 기능을 하는 시설 등이 기둥(110) 상단에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은 제1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 다수개를 플레이트(130)로 연 결하여 표면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그 개념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의 개략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해저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A)은 기둥(110)의 상하부가 인공어초(120)의 상하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된 다수개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과, 다수개의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100)의 기둥(110)을 서로 연결하여 표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이 때, 도 10a와 같이 인공어초(120)의 바닥면이 해저면에 안착되는 지점까지 기둥(110)을 해저에 고정하거나, 도 10b와 같이 인공어초(120)의 바닥면이 해저면과 일정 거리를 갖는 지점까지 기둥(110)을 해저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플레이트(130)는 다수개의 기둥(110)에 연결 고정되어 사람들이 진입하여 일정 행위를 행할 수 있는 충분한 너비의 표면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플레이트(130)는 도 9,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기둥(110)이 플레이트(1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기둥(110)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기둥(110)이 플레이트(13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기둥(110)의 둘레에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해양 구조물의 개념을 이용하여 제작한 일례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9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 낚시터의 개략도, 일부 확대 단면도 및 변형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의 기둥을 플레이트 위로 돌출시키고 그 상부에 풍력발전장치를 결합하여 제작한 인공 낚시터의 개략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인공 낚시터의 일부분을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하되 태양광 발전설비 및 등대를 부가하여 조합한 확대도이다.
도 11a는 이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A)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공 낚시터를 제작한 것으로서, 낚시꾼들이 진입하여 낚시할 수 있는 충분한 너비의 표면적을 제공하는 플레이트(130)를 형성하고, 이러한 플레이트(13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인공어초(120)가 각각 고정된 다수개의 기둥(110)을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30)는 낚시터용 플레이트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공 낚시터는 각각의 기둥(110)에 고정된 인공어초(120)로 인해 어류서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많은 어류들이 모이기 때문에, 다른 인공 낚시터에 비해 많은 어류를 잡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 낚시터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도 11b와 같이 기둥(110)에 대칭형상의 인공어초(120)를 고정한 상태에서 기둥(110)을 해저면에 수직한 상태로 고정할 수도 있고, 도 11c와 같이 기둥에 비대칭형상의 인공어초를 고정한 상태에서 기둥을 해저면에 경사진 상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100A)의 기둥(110) 을 플레이트(130) 위로 돌출시키고 그 상부에 풍력발전장치(300), 태양광 발전설비(400) 또는 등대(500)를 각각 또는 조합한 형태의 인공 낚시터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렇듯, 이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A)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공 낚시터 및 부가기능을 갖는 인공 낚시터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도 9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마리나의 개략도, 일부 확대 단면도 및 변형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a에 도시된 해양 구조물의 기둥을 플레이트 위로 돌출시키고 그 상부에 풍력발전장치를 결합하여 제작한 마리나의 개략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인공 낚시터의 일부분을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하되 태양광 발전설비 및 등대를 부가하여 조합한 확대도이다.
도 14a는 이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A)의 개념을 이용하여 모터보트, 요트 등 작은 선박들이 정박하는 마리나(marina)를 제작한 것으로서, 선주 및 이용객들이 이용하고 작은 선박들을 여러 대 정박시킬 수 형태로 플레이트(130)를 형성하고, 이러한 플레이트(13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인공어초(120)가 각각 고정된 다수개의 기둥(110)을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30)는 마리나용 플레이트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리나는 각각의 기둥(110)에 고정된 인공어초(120)로 인해 어류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등 부차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기둥(110)을 설치함에 있어, 선박들이 진입하는 진입로 쪽으로는 인공어초(120)가 가능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비대칭 인공어초 혹은 반쪽 인공어초 등이 고정된 기둥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마리나를 제작함에 있어, 도 14b 내지 도 14e와 같이 대칭형상의 인공어 초(120)가 고정된 기둥(110)을 해저면에 수직한 상태로 고정하거나(도 14b), 비대칭 형상의 인공어초가 고정된 기둥을 해저면에 수직한 상태로 고정하거나(도 14c, 도 14d), 대칭 및 비대칭 인공어초가 각각 고정된 기둥을 해저면에 수직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도 14e). 더 나아가, 도 14f와 같이 비대칭형상의 인공어초가 고정된 기둥을 해저면에 경사진 상태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구조물(100A)의 기둥(110)을 플레이트(130) 위로 돌출시키고 그 상부에 풍력발전장치(300), 태양광 발전설비(400) 또는 등대(500)를 각각 또는 조합한 형태의 마리나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렇듯, 이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A)의 개념을 이용하여 마리나 및 부가기능을 갖는 마리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A)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공 낚시터 또는 마리나를 제작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풍력 또는 태양광을 통해 자체적으로 생성한 전기 또는 별도의 외부 전기를 이용하여 바다 속에 위치하는 인공어초(120)에서 불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전기를 공급받아 불빛을 발산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불빛 발산장치(도시안됨)를 인공어초(120) 및/또는 기둥(110)에 설치함으로써 인공어초(120)에서 불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렇게 인공어초(120)에서 불빛을 발산할 경우에는 어류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 등의 움직임을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집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발명은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되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해일과 같은 열악한 외부요인에도 인공어초가 항상 투하한 위치에 위치함에 따라 사후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인공어초와 동일 기능을 하면서도 상단부에 해양 인공 낚시터나 마리나, 파력발전장치, 풍력발전장치, 태양광 발전설비, 등대 또는 조류발전장치 등이 결합 고정되어 여러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파력, 풍력, 태양광 또는 조류를 통해 자체적으로 생성한 전기 또는 별도의 외부 전기를 이용해 바다 속에 위치하는 인공어초에서 불빛을 발산함에 따라 어류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 등의 움직임을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집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인공어초에서 발산하는 불빛으로 인해 해양 구조물과 어류 등이 어우러져 연출하는 바다 속의 아름다운 장관을 통해 해저 관광시에 관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어류의 서식환경조성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로 구성된 인공어초와,
    상기 인공어초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인공어초에 일체로 결합되며 해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그 상부가 상기 인공어초의 상단부로부터 연장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인공어초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3. 어류의 서식환경조성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로 각각 구성된 다수개의 인공어초와,
    상기 인공어초의 상하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인공어초에 일체로 각각 결합되는 다수개의 기둥과,
    상기 다수개의 기둥을 연결하여 표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KR1020070009203A 2007-01-30 2007-01-30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KR20080071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03A KR20080071248A (ko) 2007-01-30 2007-01-30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03A KR20080071248A (ko) 2007-01-30 2007-01-30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248A true KR20080071248A (ko) 2008-08-04

Family

ID=3988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03A KR20080071248A (ko) 2007-01-30 2007-01-30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2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96B1 (ko) * 2011-06-30 2013-10-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치어 복원용 침수형 인공섬
CN109056635A (zh) * 2018-08-08 2018-12-21 龙仕汉 海洋旅游系统设施
KR20200109155A (ko) * 2019-03-12 2020-09-2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초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96B1 (ko) * 2011-06-30 2013-10-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치어 복원용 침수형 인공섬
CN109056635A (zh) * 2018-08-08 2018-12-21 龙仕汉 海洋旅游系统设施
KR20200109155A (ko) * 2019-03-12 2020-09-2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풍력발전기 기초구조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어초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992B1 (ko) 인공어초의 기능을 하는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및 그제작방법
CN110050740B (zh) 深远海浮式风光渔综合装备
ES2401368T3 (es) Hélice de anillos y aletas para un sistema de aprovechamiento hidroeléctrico
US7245041B1 (en) Ocean wave energy converter
US7930885B2 (en) Water wave-based energy transfer system
KR101957037B1 (ko) 양식장 겸용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209964974U (zh) 深远海浮式风光渔综合装备
JP2018533691A (ja) 重力及び浮力を用いた自家発電装置、構造物を用いた自家発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海洋境界灯
WO2017118998A1 (en) Floating solar platform
JP2014004989A (ja) 発電基地と独立大型うき式発電機
JP2007170282A (ja) 波力及び水流発電装置
KR20080071248A (ko)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해저 고정형 해양 구조물
KR20140145698A (ko) 태풍에도 안전한 심해 부유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JP2022538887A (ja) モジュール式浮遊領域
KR102197225B1 (ko) 비비대가 장착된 꽁치 인공산란장
US7928595B1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harvesting underwater currents
KR100921608B1 (ko) 어패류의 서식공간을 갖는 지주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US20210363964A1 (en) Energy collecting systems of the marine, river and wind currents
KR20210068359A (ko) 그물 구조물
JP4521634B2 (ja) 風力発電装置
KR102449683B1 (ko) 해상 풍력발전기용 베이스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단지
JPH0357885A (ja) 風力発電装置
JP2009174510A (ja) 海上で旋回する環状浮体構造体
CN113266527B (zh) 漂浮式海上风电
KR20190070720A (ko) 일체형 양식장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22

Effective date: 20090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23

Effective date: 201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