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099A -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099A
KR20080071099A KR1020080009277A KR20080009277A KR20080071099A KR 20080071099 A KR20080071099 A KR 20080071099A KR 1020080009277 A KR1020080009277 A KR 1020080009277A KR 20080009277 A KR20080009277 A KR 20080009277A KR 20080071099 A KR20080071099 A KR 2008007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du
data burst
sub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238B1 (ko
Inventor
이희광
맹승주
김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7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2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intra-user or intra-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스케쥴링 송신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서 상기 제1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할당될 MAP의 크기와 데이터 버스트 개수를 결정함으로써,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송신율(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owerboosting/deboosting, allocation, burst, MAP size, estimation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NG A DOWNLINK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MS: Mobile Station)들에게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을 상기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일 예로 하여 설명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한편,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은 프레임 단위로 이뤄지고, 각 프레임은 하향링크(downlink, 이하, 'DL'이라 칭한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영역인 DL프레임과, 상향링크(uplink, 이하 'UL'이라 칭한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영역인 UL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상기 UL 및 DL 프레임 영역은 주파수 축과 시간 축에 의해 정의되는 2차원 자원인 슬롯(slot)단위로 구분된다.
기지국은 DL 프레임의 DL-맵(MAP) 영역을 통해 상기 이동국의 DL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DL 프레임은 DL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DL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은 송신할 DL 데이터 버스트들을 위해서 다수개의 시간 슬롯들을 점유한다. 일 예로,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기지국이 DL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고정된 크기(size)를 가지는 DL-맵 영역에 해당 DL 자원의 할당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의 크기 및 할당할 데이터 버스트 개수와는 상관없이 고정된 수의 DL-MAP IE(Information Element)를 사용하므로 자원 활용도 및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자원 활용도 및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할당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량에 따라 맵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무선 자원 활용도를 최대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 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스케쥴링 송신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 )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서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Packet Data Unit )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력 디부스팅/부스팅을 적용하여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나머지 영역은 non HARQ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는 제1서브 영역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2서브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통신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고,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를 결정하고,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서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통신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고,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를 결정하고,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력 디부스팅/부스팅을 적용하여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며;상기 나머지 영역은 non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1서브 영역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2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DL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non-HARQ 버스트와 HARQ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전력 부스팅 및 디부스팅을 고려하여 할당될 MAP의 크기와 데이터 버스트 버스트 할당 영역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송신율(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이동국에 대한 DL 자원 할당 시 DL MAP IE를 위한 가용 슬롯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자원을 할당한다. 즉, 상기 DL MAP IE의 할당 가능 여부를 예측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DL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DL 프레임은 프리앰블(preamble) 영역(102)과, 맵 영역(104)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리앰블 영역(102)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리앰블이 위치한다. 상기 맵 영역(104)은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와 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이동국들이 공통적으로 수신하는 방송(broadcast)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DL-맵 및 UL-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맵 영역(104)은 고정된 크기(size)를 가진다. 만약,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을 통해서 송신될 데이터 버스트량이 많을 경우, 상기 맵 영역(104)을 통해서 송신되는 정보량도 많아진다. 따라서, 송신될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와 할당 정보량이 상기 맵 영 역(104)의 크기보다 클 경우,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다음 DL 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을 통해서 송신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송신할 데이터 버스트량이 상기 맵 영역(104) 크기보다 작을 경우, 상기 맵 영역(104)은 여분의 송신 가능 공간이 발생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은 심벌 인덱스(symbol index)로 표시되는 시간 축인 가로축과, 주파수축인 세로축으로 구성되는 슬롯으로 구성된다. 이동국들로 송신되는 DL 데이터 버스트들은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을 통해서 송신된다. 이때, 상기 DL 데이터 버스트들의 위치와 할당에 관한 정보는 상기 맵 영역(104)의 DL-맵을 통해서 송신된다.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은 전체 사용 서브 채널(Full Usage of Sub Channel, 이하 'FUSC'라 칭하기로 한다)과, 일부 사용 서브 채널(Partial Usage of Sub Channel, 이하 'PUSC'라 칭하기로 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106)은 자신에게 할당된 서브 채널 전체에 대해서 전력 부스팅(boosting) 또는 디부스팅(deboosting)을 적용하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채널에 대해서만 전력 부스팅 또는 디부스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non-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L 프레임은 프리앰블 영역(202)과, MAP 영역(204)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206)으로 구분된다. 상기 DL 프레임을 구분하는 각 영역의 상세설명은 도 1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206)은 non-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non-HARQ 영역(208)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HARQ 영역(210)으로 분할된다.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20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로 분할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206)을 상기 non-HARQ 영역 또는 상기 HARQ 영역 중 하나인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non-HARQ 영역과 상기 HARQ 영역인 두 개의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할된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에서 FUSC와, PUSC를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성능 효과를 나타내는 서브 채널들 개수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전력 부스팅/디부스팅을 고려한 DL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DL 프레임은 프리앰블 영역(302)과, 맵 영역(304)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306)으로 구분된다. 상기 DL 프레임을 구분하는 각 영역의 상세설명은 도 1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306)은 non-HARQ 영역(308 내지 312)과 HARQ 영역(314)으로 분할된다. 상기 non-HARQ 영역(308 내지 312)은 다시 전력 부스팅 또는 디부스팅이 적용되는 서브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들로 분할된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306)을 네 개의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 즉 부스팅 영역(308)과, 노멀 영역(310)과, 디부스팅 영역 (312) 및 HARQ 영역(314)으로 구분하였다. 상기 부스팅 영역(308)에 할당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은 3dB 전력 부스팅을 수행하고, 상기 노멀 영역(310)에 할당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은 0dB 전력 부스팅을 수행하고, 디부스팅 영역(312)에 할당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은 -3dB 전력 부스팅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306)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로 분할 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각각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해 전력 부스팅 또는 디부스팅을 수행한 반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버스트들이 송신되는 영역을 미리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별로 별도의 전력 부스팅 또는 전력 디부스팅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 분할된 영역들에서 FUSC와, PUSC를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성능 효과를 나타내는 서브 채널들 개수를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절차도이다. 여기서, DL 프레임은 주파수 축 및 심벌 축(시간 축)으로 구성되는 슬롯이 다수 개 존재한다. 상기 데이터 버스트가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에 상기 슬롯 단위로 할당될 경우, 상기 DL 프레임에서 낭비되는 슬롯들이 없도록 고려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기지국은 각 서비스 클래스(service class)별로 이동국으로 송신할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해서 해당 커넥션(connection)별로 스케쥴링 우선순위(Priority)를 결정하는 큐(queue)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404단계로 진행한다.
4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송신될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해 필요한 맵 오버헤드(overhead)를 예측하여 맵 사이즈를 결정(Estimation)하고, 4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송신될 데이터 버스트들 량이 많을 경우, 상기 맵 사이즈는 크게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맵 사이즈가 크게 설정된 만큼,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 크기는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맵 사이즈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 크기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로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맵 사이즈 크기 결정에 대해서는 도 5a~c 내지 도 6a~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4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동일 이동국에게 송신되는 데이터 버스트들 또는 동일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칭하기로 한다) 레벨을 가지는 데이터 버스트들을 하나로 구성하는 데이터 버스트 연접(Concatenation)을 수행하고, 4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MCS는 변조 방식들과 코딩 방식들의 조합들로 레벨 1에서 레벨 N까지 복수개의 MCS들을 정의될 수 있다.
상기 4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스케쥴링 우선 순위대로 입력되는 데이터 버스트들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DL 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에 할당한다.
도 5a~c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MAP 크기를 결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500단계에서 기지국은 현재 DL프레임에서 PDU[CID]를 송신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결정하고, 5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은 HARQ 영역과 non-HARQ영역이 포함된다.
5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송신할 PDU[CID]를 바이트(Byte)단위로 계산하고 504단계로 진행한다. 5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스케쥴링 우선 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를 결정하고 508(A)단계로 진행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508단계(A)에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송신 가능하다고 결정된 PDU[CID](이하, 현재 'PDU[CID]'라 칭한다)가 non-HARQ 영역의 커넥션(Connection) 인지 HARQ 영역의 커넥션인지 조사한다. 상기 조사 결과 상기PDU[CID]가 non-HARQ 커넥션일 경우 51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PDU[CID]가 HARQ 커넥션일 경우 516단계로 진행한다.
51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non HARQ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non-HARQ)]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N]를 계산한다. 즉, 스케쥴링 우선 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를 결정할 때마다 상기 [N(non-HARQ)] 및 상기 [N]을 누적하여 계산하고 512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N]은 상기 현재 DL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를 초과할 경우, 프레그멘테이션(Fragmentation)되어야 할 PDU[CID]가 포함될 수 있다.
51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PDU[CID]의 MCS 레벨과, 상기 현재 PDU[CID] 이전에 송신된 PDU[CID]의 MCS 레벨 간의 동일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MCS 레벨이 동일한 경우 5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514단계에서 상 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의 할당정보를 위한 DL_MAP_IE(Down Link MAP Information Element)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고, 526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 MCS 레벨을 가질 경우, 하나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로 묶이므로, 상기 DL_MAP_IE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현재 PDU[CID]가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 MCS 레벨의 PDU가 아닐 경우 상기 DL_MAP_IE 크기를 증가시킨다.
51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HARQ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HARQ)] 및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N]를 계산한다. 즉, 스케쥴링 우선 순위 순으로 할당 가능한 PDU[CID]를 결정할 때마다 상기 [N(HARQ)] 및 상기 [N]을 누적하여 계산하고 518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N]은 상기 현재DL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를 초과할 경우, 프레그멘테이션(Fragmentation)되어야 할 PDU[CID]가 포함될 수 있다.
51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송신 가능하다고 판단된 PDU[CID](이하, '현재 PDU[CID]'라 칭한다)가 결정되면, 상기 현재 PDU[CID]의 Basic CID와 상기 이전에 송신된PDU[CID]의 Basic CID간의 동일 여부 즉, 동일 단말의 PDU[CID]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Basic CID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5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의 할당 정보를 위한 DL HARQ Sub-burst_I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고 5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결과 Basic CID가 동일한 경우 522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현재 PDU[CID]가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한 단말의 PDU[CID]일 경우 하나의 데이터 버스트로 묶인다. 따라서, DL HARQ Sub-burst_IE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반면,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한 단말의 PDU[CID]가 아니라면 DL HARQ Sub-burst_IE 크기를 증가시킨다.
52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PDU[CID]의 MCS 레벨이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의 MCS 레벨과 동일한지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동일한 MCS레벨이면 526단계로 진행하고, 동일하지 않은 MCS 레벨이면, 524단계로 진행한다. 52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DIUC(Downlink interval usage code)의 할당 정보를 위해 Num DIUC Chang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킨다.
도 5c를 참조하면, 526단계(B)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서브 채널 수와, MAP 심볼 수와, 데이터 심볼 수[So] 및 해당 DL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를 계산하고, 52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DL_MAP_IE값이 상기 MAP 서브 채널 수와, 상기 MAP 심볼 수, 상기 데이터 심볼 수[So]를 결정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상기 DL_MAP_IE값이 증가 되지 않으면, 상기 MAP 슬롯 수, 상기 MAP 심볼 수, 상기 [So]는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526단계에서의 각 파라미터들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해서 계산된다. 하기 <수학식 1>은 PUSC 기준으로 MAP 사이즈가 결정되는 수학식의 일 예일 뿐, , 다른 방식들 역시 적용 가능하다.
1)DL MAP 비트(Bit) 수 = Required Info_DL_Common + RequiredInfo_NonHarq + RequiredInfo_Harq
상기 RequiredInfo_DL_Common= 88 + 36*UL_N_I_LEVEL_IE + 44*STC_DL_ZONE_IE이다. 이때, 상기 UL_N_I_LEVEL_IE(UL Noise and Interference Level Information Element)는 개루프(open-loop) 전력 제어를 위해서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에 속한 단말들에게 방송하는 UL 간섭 및 잡음 레벨이다. 상기 STC_DL_ZONE_IE(Space Time Coding_DownLink_Information Element)는 구체적인 변경(permutation) 또는 구체적인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지국이 DL-MAP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상기 RequiredInfo_NonHarq = 36*dl_map_ie_cnt+ CID_SWITCH_IE*(8*dl_map_ie_cnt + 16*cids_in_dl_map_cnt)이다. 이때, 상기 dl_map_ie_cnt는 DL_ MAP의 개수이고, cids_in_dl_map_cnt는 DL MAP에 포함될 CID들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RequiredInfo_Harq= 76 + 32*dl_Harq_sub_burst_ie_cnt + 8*diuc_change_cnt + 16*NUM_CQI_ALLOC_CHANGE + 4*NUM_DEALLOC_CQICH이다. 이때, 상기 dl_Harq_sub_burst_ie_cnt는 HARQ DL MAP IE를 구성하는 HARQ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버스트들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 즉, 서브 버스트 수이고, diuc_change_cnt는 dl_Harq_sub_burst_ie에 포함되고 버스트 할당 시 DIUC 가 변경되면 8 비트를 추가함을 나타내고, NUM_CQI_ALLOC_CHANGE는 단말이 일정 프레임동안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인덱스가 색인된 CQI 채널들을 통해서 송신 하는 CQI 피드백 수이고, NUM_DEALLOC_CQICH은 상기 CQI 채널들을 통해서 송신된 CQI 피드백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해제되는 CQI 피드백 수이다.
2) UL MAP 비트 수= RequiredInfo_UL_Common + RequiredInfo_UL_NonHarq + RequiredInfo_UL_Harq
상기 RequiredInfo_UL_Common= 48 + 212*UL_CONTROL_CH_IE + 60*CDMA_ALLOC_IE 이다. 이때, 상기 UL_CONTROL_CH_IE(UL Control Channel IE)는 최초 레인징(Initial Ranging), 주기적& 대역폭(Periodic & BW )레인징, 빠른 피드백 채널들(Fast-Feedback Channels) 및 ACK 채널 정보를 나타내고, CDMA_ALLOC_IE(CDMA Allocation UL-MAP IE )는 CDMA 요청 코드를 사용하여 대역폭이 요청된 사용자에게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한 UL-MAP IE 이다.
RequiredInfo_UL_NonHarq= 32*UL_MAP_IE_cnt
RequiredInfo_UL_Harq= 44 + 36*UL_HARQ_SUB_BURST_IE_cnt
여기서, UL_HARQ_SUB_BURST_IE_cnt는 HARQ UL-MAP IE 에 포함되고, HARQ UL MAP IE를 구성하는 HARQ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버스트들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 즉, 서브 버스트 수이다. 상기 UL_MAP_IE_Cnt는 상기 UL 프레임을 통해서 송신할 UL_MAP_IE의 개수를 나타낸다.
MAP 비트 수 = DL MAP Bit 수 + UL MAP Bit 수 + 32(CRC)
Map Subchannel수 = ceil( MAP Bit수 / 48 )*6 + 4(FCH)
Map Symbol수 = Ceil( Map Subchannel수 / 30(Symbol당 최대 Subchannel수) ) * 2
Data Symbol수[So] = 27 - ( 1(Preamble) + Map Symbol수 )
DL Subframe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Slot수[No] = 30(Symbol당 최대 Subchannel수) * So/2
상기 ceil(x) 함수는 x의 소수점 부분을 올림한 정수값을 만드는 함수이고, 상기 DL_MAP_IE의 개수 및 UL_MAP_IE의 개수는 송신하고자 하는 DL_MAP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 및 UL_MAP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에 상응하게 결정된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기 위한 MAP 영역의 심벌수 및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심벌수가 결정된다. 일 예로, PUSC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에서는 2심벌당 슬럿수가 30개이며, FUSC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에서는 1심벌당 슬롯수가 16개이다. 상기 MAP 심벌수와 데이터 버스트 심벌수를 계산한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 버스트를 서브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STC는 시공간 부호화(Space Time Coding)를 의미하며, 하향링크에서 송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DL 프레임에서 프리앰블 영역은 1개의 심벌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프레임 영역에서 UL_MAP IE 및 DL_MAP IE 개수 결정은 해당 프레임 영역에서 송신되어야 할 UL 데이터 버스트 및 DL데이터 버스트의 개수로 결정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버스트를 연접 또는 연접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DL_MAP IE의 수가 변경되어 진다.
52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DL 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의 축의 합 즉, 서브 채널 축 크 기(PhysicalFo[region])를 계산하고 52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PhysicalFo[region]는 도 3에서 주파수축이 대응되는 세로축의 총 크기를 의미하므로,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non-HARQ 영역의 서브채널 축 크기(Physical Fo[non-HARQ])와, HARQ 영역의 서브 채널 축 크기(Physical Fo[HARQ])를 합한 합산값으로 계산된다. 상기 PhysicalFo[region]는 하기 <수학식2>와 같이 계산된다.
PhysicalFo[region]= ceil( N[region]/ Data Symbol수 )
53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합산값과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를 비교한다. 상기 합산값이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을 경우, 5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현재 PDU[CID] 다음으로 송신할 PDU[CID]를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결정한다. 상기 합산값이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스케쥴링 우선 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 결정하는 과정을 마치고 532단계로 진행한다.
53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후보 PDU[CID]를 찾고 MAP 크기 결정을 종료한다. 상기 후보 PDU[CID]는 상기 503단계에서 스케쥴링된 PDU[CID]들 이외에 메모리 큐(Queue)에 남아있는 PDU[CID]들 중 가장 높은 MCS 레벨을 가지는 PDU로 정의된다. 이후, 상기 후보 PDU[CID]는 상기 스케쥴링 된 PDU[CID]들을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통해서 모두 송신한 후, 상기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남은 슬롯이 존재할 경우, 상기 슬롯을 통해서 송신하는 PDU[CID]로 사용된다.
도 6a~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MAP 크기 결정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MAP 사 이즈 추정 시, 전력 부스팅 및 디부스팅이 고려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602단계에서 기지국은 현재 DL프레임에서 PDU[CID]를 송신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결정하고 6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은 HARQ 영역과, non-HARQ영역이 포함된다. 상기 non-HARQ 영역은 전력 부스팅 또는 전력 디부스팅을 적용하기 위한 부스팅 영역과, 노멀 영역 및 디부스팅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non-HARQ 영역에서 전력 부스팅 또는 전력 디부스팅을 적용하기 위하여 영역을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PDU[CID]를 송신할 단말의 수신 CINR 값이 부스팅 영역과 노멀 영역의 제1경계값(Region Threshold_1)보다 작으면 해당 PDU[CID]를 부스팅 영역에 속하게 하고, PDU[CID]를 송신할 단말의 수신 CINR 상기 제1경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노멀 영역과 디부스팅 영역의 제2경계값(Region Threshold_2)보다 작으면 해당 PDU[CID]를 노멀 영역에 속하게 하며, PDU[CID]를 송신할 단말의 수신 CINR 값이 상기 제2경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해당 PDU[CID]를 디부스팅 영역에 속하게 한다.
6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CS 레벨 부스팅/디부스팅을 수행하고, 606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MCS 레벨 부스팅/디부스팅은 부스팅 영역에 속하는 PDU[CID]의 MCS 레벨을 한 레벨 증가시키고, 디부스팅 영역에 속하는 PDU[CID]의 MCS 레벨을 한 레벨 감소시키는 것이다. 6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송신할 PDU[CID]를 바이트 단위로 계산하고, 608단계로 진행한다. 6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스케쥴링 우선 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를 결정하고 610단계(A)로 진행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610단계(A)에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송신 가능하다고 결 정된 PDU[CID](이하, '현재 PDU[CID]'라 칭한다)가 non-HARQ 영역의 커넥션인지 HARQ 영역의 커넥션인지 조사한다. 상기 조사결과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non-HARQ 커넥션일 경우 612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HARQ 커넥션일 경우 628단계로 진행한다.
61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가 부스팅 영역에 속하는 PDU[CID]인지 조사한다. 상기 조사 결과,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부스팅 영역에 속하는 PDU[CID]일 경우 616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현재 PDU가 상기 부스팅 영역에 속하는 PDU[CID]가 아닐 경우 614단계로 진행한다. 61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가 노멀 영역에 속하는 PDU[CID]인지 조사한다. 상기 조사 결과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노멀 영역에 속하는 PDU[CID]일 경우 62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노멀 영역에 속하는 PDU[CID]가 아닐 경우 624단계로 진행한다.
61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DL 프레임에서 부스팅 영역의 총 슬롯 수[N(boost)]와,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를 계산한다. 즉,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를 결정할 때마다 상기 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슬롯 수를 누적하여 상기 [N(boost)]를 계산하고, 618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N(boost)]는 상기 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boost)]를 초과할 경우, 프레그맨테이션(Fragmentation)되어야 할 PDU가 포함될 수 있다. 61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부스팅 영역의 유효 전력 슬롯(Effective Power Slot(boost)을 계산하고 632단계로 진행한다. 상 기 Effective Power Slot(boost)은 상기 부스팅 영역에서 전력 부스팅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될 슬롯의 총 수로서, 하기 <수학식 3>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Effective Power Slot(boost) = 2 * N(boost)
62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노멀 영역의 총 슬롯 수[N(normal)]와, 상기 현재DL 프레임의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를 계산한다. 즉,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할당 가능한 PDU[CID]를 결정할 때마다 상기 노멀 영역에 할당할 슬롯 수를 누적하여 상기 [N(normal)]를 계산하고, 622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N(normal)]은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노멀 영역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normal)]를 초과할 경우, 프레그맨테이션 될 PDU[CID]가 포함될 수 있다. 62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노멀 영역의 유효 전력 슬롯(Effective Power Slot(normal))을 계산하고 6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ffective Power Slot(normal)은 상기 노멀 영역에서 기존 전력이 유지되는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될 슬롯의 총 수로서,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Effective Power Slot(normal) = 1 * N(normal)
62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디부스팅 영역의 총 슬롯 수[N(deboost)]와,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N]를 계산한다. 즉,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를 결정할 때마다 상기 디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슬롯 수를 누적하여 상기 [N(deboost)]를 계산하 고, 6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N(deboost)]는 상기 디부스트 영역에 할당할 최대 슬롯 수([No(deboost)])를 초과할 경우, 프레그맨테이션될 PDU[CID]가 포함될 수 있다. 62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디부스팅 영역의 유효 전력 슬롯(Effective Power Slot(deboost))을 계산하고 6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ffective Power Slot(deboost)은 상기 디부스팅 영역에서 전력 디부스팅 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될 슬롯의 총 수로서,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Effective Power Slot(deboost) = 0.5 * N(deboost)
62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HARQ영역의 총 슬롯수[N(HARQ)]와, 상기 현재DL 프레임의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N]을 계산한다. 즉,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PDU[CID]를 결정할 때마다 상기 HARQ 영역에 할당할 슬롯 수를 누적하여 상기 [N(HARQ)]를 계산하고 6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N(HARQ)]는 상기 HARQ 영역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HARQ)])를 초과할 경우, 프레그맨테이션 될 PDU[CID]가 포함될 수 있다. 63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HARQ영역의 유효 전력 슬롯(Effective Power Slot(HARQ))을 계산하고 6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ffective Power Slot(HARQ)는 상기 HARQ 영역에서 기존 전력을 유지하는 데이터 버스트들이 할당될 슬롯의 총 수인 하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Effective Power Slot(HARQ) = 1 * N(HARQ)
63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non-HARQ 영역의 커넥션인지 상기 HARQ 영역의 커넥션인지 조사한다. 상기 조사 결과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non-HARQ 영역의 커넥션일 경우 634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HARQ 영역의 커넥션일 경우 638단계로 진행한다.
63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오버헤드(Overhead)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현재 PDU[CID]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한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 내에 속하고, 동일 MCS 레벨의 PDU[CID]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속하지 않거나 동일한 MCS 레벨의 PDU[CID]가 아닐 경우, 6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한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속하고, 동일한 MCS 레벨의 PDU[CID]인 경우 646단계(B)로 진행한다. 63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의 할당 정보를 위한 DL_MAP_I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고 646단계(B)로 진행한다. 즉,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한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 내에 동일 MCS 레벨을 갖는 PDU[CID]일 경우, 하나의 데이터 버스트로 묶이므로 상기 DL_MAP_IE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이 아니거나 동일 MCS 레벨의 PDU[CID]가 아닐 경우, 상기 DL_MAP_IE 크기를 증가시킨다.
63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한 Basic CID를 갖는지 즉, 동일 단말의 PDU[CID]인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동일 Basic CID일 경우 642단계로 진행하고, 동일 Basic CID가 아닐 경우 640단계로 진행한다. 64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PDU[CID]의 할당 정보를 위한 DL HARQ Sub-burst_I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고 642단계로 진행한다.
64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오버 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PDU[CID]가 상기 이전에 송신된 PDU[CID]와 동일 MCS 레벨의 PDU[CID]인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MCS레벨인 경우 646단계로 진행하고, 동일 MCS 레벨이 아닐 경우 644단계로 진행한다. 64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DIUC 할당 정보를 위해 Num DIUC Chang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킨다.
도 6c를 참조하면, 646단계(B)에서 상기 기지국은 MAP 서브 채널 수와, MAP 심볼 수와, 데이터 심볼 수[So] 및 현재 DL 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영역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들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No]를 계산하고, 64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DL MAP IE값은 상기 MAP 서브 채널 수와, 상기 MAP 심볼 수 및 상기 [So]를 결정하는 변수이다. 따라서, 상기 DL MAP IE값이 증가되지 않으면, 상기 MAP 슬롯 수와, 상기 MAP 심볼 수 및 상기 [So]는 증가하지 않는다. 이때, 사용되는 MAP 크기 결정시 사용되는 수학식은 상기 <수학식1>과 동일하다.
하기 <수학식 7>은 PUSC 기준으로 MAP 크기 결정시 사용되는 수학식의 일 예이다. 이때,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값은 상기 수학식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용가능하고, 그 외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64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해당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 각각에서 전력이 고려된 서브 채널 축 크기( Effective Power Fo(region))를 계산하고, 65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Effective Power Fo(region)는 하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Effective Power Fo(region) = ceil( Effective Power Slot(region) / Data Symbol수 )
65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DL 프레임 내의 각각의 서브 데이터 버스트 영역별 서브 채널 축 크기를 상기 <수학식2>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658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현재 DL 프레임의 non-HARQ 영역의 서브 채널 축 크기(Physical Fo[non-HARQ])와 HARQ 영역의 서브 채널 축 크기(Physical Fo[HARQ])를 계산하고, 652단계로 진행한다.
65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Physical Fo[non-HARQ]+상기 Physical Fo[HARQ]가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은 지와 상기 Effective Power Fo[non-HARQ]+ 상기 Effective Power Fo[HARQ]가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은지 비교한다. 이때, 상기 Physical Fo[non-HARQ]는Physical Fo[Boost]+ Physical Fo[Normal] + Physical Fo[Deboost])으로 계산되고, 상기 Effective Power Fo[non-HARQ]는 Effective Power Fo[Boost] + Effective Power Fo[Normal] + Effective Power Fo[Deboost]으로 계산된다.
상기 비교결과, Physical Fo[non-HARQ]+Physical Fo[HARQ]가 심볼당 최대 서 브 채널 수보다 작고, Effective Power Fo[non-HARQ]+ Effective Power Fo[HARQ]가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608단계로 진행한다. 6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현재 PDU[CID] 다음 전송할 PDU[CID]를 결정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Physical Fo[non-HARQ]+Physical Fo[HARQ]가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아니면 상기 Effective Power Fo[non-HARQ]+ Effective Power Fo[HARQ] 가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클 경우 654단계로 진행한다.
660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후보 PDU[CID]를 찾는다. 상기 후보 PDU[CID]는 도 5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전력 부스팅/디부스팅을 고려한 DL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 할당 절차도.
도 5a~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MAP 크기 결정 흐름도.
도 6a~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non-HARQ 데이터 버스트와 HARQ 데이터 버스트가 혼재하는 경우의 MAP 크기 결정 흐름도.

Claims (58)

  1. 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스케쥴링 송신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 )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서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영역은,
    non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1서브 영역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2서브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PDU가 송신될 서브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PDU가 송신된 서브 영역이 제1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1서브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와,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모든 서브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PDU를 송신하기 이전에 송신된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MCS레벨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MCS 레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PDU와 상기 제2PDU를 제1 데이터 버스트로 연접하고,
    상기 판단결과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DL_MAP_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PDU가 송신된 서브 영역이 상기 제2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2서브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와,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모든 서브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단말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PDU를 상기 제1 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단말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를 연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의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DIUC(Downlink interval usage code) 할당 정보를 위해 Num DIUC Chang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2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HARQ 서브 버스트 정보 엘리먼트(DL HARQ Sub-burst 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리엠블(preamble) 영역과,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정보 및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MAP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서브 채널 수와,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심볼 수와,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심볼 수 및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모든 서브 영역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 각각의 서브 채널 축 크기의 합이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은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작을 경우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상기 제1PDU 다음으로 송신할 PDU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 각각 서브 채널 축 크기는 <수학식 8>을 이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PhysicalFo[region]= ceil( N[region]/ 버스트 데이터 심볼 수 )
    여기서, 상기 PhysicalFo[region]는 해당 영역(region)의 서브 채널 축 크기이고, 상기 region은 HARQ와 non-HARQ를 포함하고, 상기 N[Region]은 해당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 순위로 송신이 결정된PDU들 이외에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메모리 큐에 남아 있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이 가장 높은 PDU를 상기 제1PDU다음 송신할 PDU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12. 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Packet Data Unit)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력 디부스팅/부스팅을 적용하여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나머지 영역은 non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는 제1서브 영역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2서브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영역은,
    소정의 전력 레벨로 전력을 각각 부스팅 및 디부스팅하는 부스팅/디부스팅 영역과, 현재 전력을 유지하는 노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PDU가 송신된 서브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제1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1 PDU를 송신할 단말의 수신 캐리어 대 간섭 잡음비(CINR)와, 상기 부스팅/디부스팅 및 노멀 영역의 경계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제1서브 영역의 부스팅/디부스팅 및 노멀 영역 중 상기 제1PDU를 송신할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PDU가 상기 부스팅 영역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부스팅 영역에 포함될 경우, 상기 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 N(boost))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부스팅 영역에서 전력 부스팅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될 슬롯의 총 수(Effective Power Slot(boost))를 <수학식 9>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Effective Power Slot(boost) = 2 * N(boost)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PDU가 상기 부스팅 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PDU가 상기 노멀 영역에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PDU가 상기 노멀 영역에 포함될 경우, 상기 노멀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normal))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노멀 영역에서 기존 전력이 유지되는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는 슬롯의 총 수(Effective Power Slot(normal))를 <수학식 10>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Effective Power Slot(normal) = N(normal)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PDU가 상기 노멀 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deboost))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디부스팅 영역에서 전력 디부스팅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는 슬롯의 총 수(Effective Power Slot(deboost))를 <수학식 11>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Effective Power Slot(deboost) = 0.5*N(deboost)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DL_MAP_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PDU가 송신된 서브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영역이 제2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2서브 영역에 송신할 총 슬롯 수( N(HARQ))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2서브 영역에서 전력이 고려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는 슬롯의 총 수(Effective Power Slot(HARQ))를 <수학식12>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Effective Power Slot(HARQ) = [2]1 * N(boost)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PDU 이전에 송신된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MCS레벨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MCS 레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PDU와 상기 제2PDU를 제1데이터 버스트로 연접하고, 상기 판단결과 MCS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단말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단말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를 연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의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DIUC(Downlink interval usage code) 할당 정보를 위해 Num DIUC Chang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2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HARQ 서브 버스트 정보 엘리먼트(DL HARQ Sub-burst 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 성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리엠블(preamble) 영역과,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정보 및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MAP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서브 채널 수와,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심볼수와,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심볼 수 및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에서 전력을 고려한 서브 채널 축 크기를 각각 계산하여 합한 제1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은 지와,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 각각의 서브 채널 축 크기를 각각 계산하여 합한 제2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은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이 결정된 PDU들 이외에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메모리 큐에 남아 있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이 가장 높은 PDU를 다음 송신할 PDU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산값은,
    <수학식 13>을 사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Effective Power Fo(region) = ceil( Effective Power Slot(region) / Data Symbol수)
    상기 Effective Power Fo(region)은 해당 영역(region)의 전력을 고려한 서브 채널 축 크기이고, 상기 region은 HARQ 영역과, 부스팅 영역과, 디부스팅 영역 및 노멀 영역을 포함함.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합산값은,
    <수학식14>를 사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PhysicalFo[region]= ceil( N[region] / Data Symbol수 )
    상기 PhysicalFo[region]는 해당 영역(region)의 서브 채널 축 크기이고, 상기 region은 HARQ와 non-HARQ를 포함하고, 상기 N[Region]은 해당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로, 상기 region은 HARQ 영역과, 부스팅 영역과, 디부스팅 영역 및 노멀 영역을 포함함.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크거나, 상기 제2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 순위로 송신이 결정된PDU들 이외에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메모리 큐에 남아 있는 MCS레벨이 가장 높은 PDU를 상기 제1PDU 다음 송신할 PDU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
  30. 통신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1영역을 설정하고,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Packet Data Unit)를 결정하고,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통해서 상기 제1PDU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영역은,
    non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1서브 영역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2서브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가 송신된 서브 영역을 확인하여 상기 제1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1서브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와,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모든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를 계산하고,
    상기 제1PDU를 송신하기 이전에 송신된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MCS레벨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MCS 레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PDU와 상기 제2PDU를 제1데이터 버스트로 연접하고,
    상기 판단결과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DL_MAP_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4.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 PDU가 송신된 서브 영역이 상기 제2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2서브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와,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모든 서브 영역들에 할당할 총 슬롯 수를 계산하고, 상기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단말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단말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를 연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의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DIUC(Downlink interval usage code) 할당 정보를 위해 Num DIUC Chang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2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HARQ 서브 버스트 정보 엘리먼트(DL HARQ Sub-burst 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리엠블(preamble)영역과,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정보 및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MAP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서브 채널 수와,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심볼수와,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심볼 수 및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를 계산하고,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 각각의 서브 채널 축 크기의 합이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은지 비교하여, 작을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상기 제1PDU 다음으로 송신할 PDU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 성 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의 서브 채널 축 크기는 <수학식 15>를 이용하여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PhysicalFo[region]= ceil( N[region]/ 버스트 데이터 심볼 수 )
    상기 PhysicalFo[region]는 해당 영역(region)의 서브 채널 축 크기이고, 상기 region은 HARQ와 non-HARQ를 포함하고 상기 N[Region]은 상기 해당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이고, 상기 region은 HARQ 영역과, 부스팅 영역과, 디부스팅 영역 및 노멀 영역을 포함함.
  40.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비교결과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 순위로 송신이 결정된PDU들 이외에 이동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메모리 큐에 남아 있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이 가장 높은 PDU를 상기 제1PDU다음 송신할 PDU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41. 통신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 내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양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가 포함되는 제 1영역을 설정하고,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할 제1PDU(Protocol Data Unit 또는 Packet Data Unit)를 결정하고, 상기 하향 링크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제 1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전력 디부스팅/부스팅을 적용하여 상기 제1 PDU를 송신하는 프레임 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머지 영역은 non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1서브 영역과, HARQ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제2서브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스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갖는 PDU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일 단말의 PDU들이 연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영역은,
    소정의 전력 레벨로 전력을 각각 부스팅 및 디부스팅하는 부스팅/디부스팅 영역과, 현재 전력을 유지하는 노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가 상기 제1서브 영역으로 송신된 경우, 상기 제1PDU를 송신할 단말의 수신 캐리어 대 간섭 잡음비(CINR)와, 상기 부스팅/디부스팅 및 노멀 영역의 경계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제1서브 영역의 부스팅/디부스팅 및 노멀 영역 중 상기 제1PDU를 송신할 영역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가 상기 부스팅 영역에 포함될 경우, 상기 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 N(boost))를 계산하고, 상기 부스팅 영역에서 전력 부스팅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될 총 슬롯수(Effective Power Slot(boost))를 <수학식16>을 이용하여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Effective Power Slot(boost) = 2 * N(boost)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가 상기 부스팅 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PDU가 상기 노멀 영역에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PDU가 상기 노멀 영역에 포함될 경우, 상기 노멀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normal))를 계산한 후, 상기 노멀 영역에서 기존 전력이 유지되는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는 총 슬롯수(Effective Power Slot(normal))을 하기 <수학식 17>을 이용하여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Effective Power Slot(normal) = N(normal)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가 상기 노멀 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디부스팅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N(deboost))를 계산하고, 상기 노멀 영역에서 전력 디부스팅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는 총 슬롯수(Effective Power Slot(deboost))를 <수학식 18>을 이용하여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Effective Power Slot(deboost) = 0.5*N(deboost)
  48.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DL_MAP_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서브 영역이 제2서브 영역일 경우, 상기 제2서브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 N(HARQ))를 계산하고, 상기 제2서브 영역에서 전력이 고려된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는 총 슬롯수(Effective Power Slot(HARQ))를 <수학식 19>를 이용하여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Effective Power Slot(HARQ) = 1 * N(boost)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 이전에 송신된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MCS레벨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MCS 레벨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 1PDU와 상기 제2PDU를 제1데이터 버스트로 연접하고, 상기 판단결과 MCS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 트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2PDU와 상기 제1PDU의 단말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PDU를 상기 제1데이터 버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의 할당 정보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단말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를 연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제1PDU와 상기 제2PDU의 MCS 레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DIUC(Downlink interval usage code) 할당 정보를 위해 Num DIUC Change 크기를 하나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기 제2서브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HARQ 서브 버스트 정보 엘리먼트(DL HARQ Sub-burst IE)'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동기 획득을 위한 프리엠블(preamble) 영역과,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정보 및 상기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MAP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성부는,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서브 채널 수와, 상기 하향링크 MAP 영역의 심볼수와, 상기 데이터 버스트의 심볼 수 및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슬롯 수를 계산하고,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에서 전력을 고려한 서브 채널 축 크기를 각각 계산하여 합한 제1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은 지와, 상기 제1서브 영역과 상기 제2서브 영역 각각의 서브 채널 축 크기를 각각 계산하여 합한 제2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은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순위 순으로 송신이 결정된 PDU들 이외에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메모리 큐에 남아 있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레벨이가장 높은 PDU를 다음 송신할 PDU로결정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산값은,
    <수학식 20>을 사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Effective Power Fo(region) = ceil( Effective Power Slot(region) / Data Symbol수 )
    상기 Effective Power Fo(region)은 해당 영역(region)의 전력을 고려한 서브 채널 축 크기이고, 상기 region은 HARQ 영역과, 부스팅 영역과, 디부스팅 영역 및 노멀 영역을 포함함.
  57.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합산값은,
    <수학식21>를 사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PhysicalFo[region]= ceil( N[region] / Data Symbol수 )
    상기 PhysicalFo[region]는 해당 영역(region)의 서브 채널 축 크기이고, 상기 region은 HARQ와 non-HARQ를 포함하고, 상기 N[Region]은 해당 영역에 할당할 총 슬롯 수이고, 상기 region은 HARQ 영역과, 부스팅 영역과, 디부스팅 영역 및 노 멀 영역을 포함함.
  58.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크거나 상기 제2합산값이 상기 심볼당 최대 서브 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스케쥴링 우선 순위로 송신이 결정된 PDU들 이외에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메모리 큐에 남아 있는 MCS레벨이 가장 높은 PDU를 다음 송신할 PDU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
KR1020080009277A 2007-01-29 2008-01-29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974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9052 2007-01-29
KR1020070009052 2007-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99A true KR20080071099A (ko) 2008-08-01
KR100974238B1 KR100974238B1 (ko) 2010-08-06

Family

ID=3928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277A KR100974238B1 (ko) 2007-01-29 2008-01-29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12005B2 (ko)
EP (1) EP1950905B1 (ko)
KR (1) KR100974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33A1 (ko) * 2011-11-21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6548B1 (en) * 2006-09-27 2014-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considering its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81505B1 (ko) * 2007-02-05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7454B1 (ko) * 2008-02-26 201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버스트 할당 장치 및방법
US8248973B2 (en) * 2008-04-30 2012-08-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operation of synchronous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2625B2 (en) 2009-10-14 2014-09-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scheduling considering overhead cost estimate
KR101578227B1 (ko) 2010-02-10 2015-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10455611B2 (en) * 2015-09-16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757611B2 (en) * 2017-09-22 2020-08-25 Ofinno, Llc SMF and AMF relocation during UE regis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7851B1 (en) 2000-11-17 2007-06-05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port channel multiplexing system and method
KR100754658B1 (ko) 2004-03-1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운용 방법
WO2005099290A1 (en) * 2004-04-05 2005-10-2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for supporting mimo transmission in ofdm applications
KR20060065790A (ko) * 2004-12-10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ofdma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일반버스트 및 harq 버스트 동시 지원 방법
US7693125B2 (en) 2004-12-27 2010-04-06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radio access system
US20070006146A1 (en) * 2005-06-24 2007-01-04 Kwong Wah Y Systems and apparatus for enhanced mobile computing platforms
KR20070010597A (ko) 2005-07-1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할당방법
KR100703287B1 (ko) * 2005-07-2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68670B1 (ko) * 2005-11-28 200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역방향 스케쥴링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633A1 (ko) * 2011-11-21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38529B2 (en) 2011-11-21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06334B2 (en) 2011-11-21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0905A1 (en) 2008-07-30
US20080181175A1 (en) 2008-07-31
US7912005B2 (en) 2011-03-22
KR100974238B1 (ko) 2010-08-06
EP1950905B1 (en)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3475B2 (ja) 送信デバイス、受信デバイス、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10097423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장치
US8325655B2 (en) Multi-carrier HSDPA channel establishing method and the multi-carrier downlink packet data transmitting method
EP19065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considering its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805278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品質情報送受信装置及び方法
EP2271031B1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JP5155403B2 (ja) 同じ無線リソースへの複数の未要求使用権サービス(ugs)ユーザの多重化
EP1909518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quality reporting method
EP1941765B1 (en) Group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738016B2 (en) Scheduling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JP7210596B2 (ja) 通信デバイス、基地局及び方法
US8724580B2 (en) Reduction of transmission overhea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21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increase/decrease request of a user equipment using a plurality of frequenc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86474A1 (en) Method for estimating a map size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378825A2 (en)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0366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스케줄링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801104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자원 할당 방법 및장치
KR10101343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맵 메시지 크기 추정 장치 및방법
JP7125037B2 (ja) 可変mcs及び可変tti長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フレーム構造を使用する移動通信伝送
US86387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map siz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77746B1 (ko) Ofdma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맵 구성 방법 및이를 이용한 프레임 전송 장치
KR20120117924A (ko) 상향링크 제어 채널 자원의 확정 방법 및 장치
Kim Quality of service and channel-aware packet bundling for capacity improvement in cell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