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990A -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990A
KR20080070990A KR1020070008996A KR20070008996A KR20080070990A KR 20080070990 A KR20080070990 A KR 20080070990A KR 1020070008996 A KR1020070008996 A KR 1020070008996A KR 20070008996 A KR20070008996 A KR 20070008996A KR 20080070990 A KR20080070990 A KR 20080070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rea
recording medium
test
recor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0990A/ko
Publication of KR2008007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11B7/24041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with different recording characteristi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one layer of multilayer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79HD-DVDs [high definition DVDs]; AODs [advanced 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1 기록층;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깝고,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기록매체, OPC, TDMA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Recording medium, method of allocating area i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ratus for recording data}
도 1은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와 주변기기 간의 통합적 사용의 일 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의 전체 구성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갖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록층 내 테스트영역의 주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록층1에서의 테스트 신호의 기록이 기록층0에 미치는 영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두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8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두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8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픽업 12 : 제어기
13 : 신호처리부 14 : 서보
15 : 메모리 16 : 마이컴
17 : AV 디코더 18 : AV 인코더
19 : 스토리지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D: Blu-ray Disc)와 고밀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HD-DVD: High Definition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기록매체 기술인 고밀도 기록매체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고밀도 기록매체 규격을 응용한 광 기록재생장치의 개발도 시작되었다.
그러나, 아직 고밀도 기록매체 규격이 완전히 완비되지 못한 관계로, 본격적인 고밀도 기록매체 기반의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발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록매체로부터 안정적으로 관리정보를 독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1 기록층;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깝고,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테스트영역은 상기 제 1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할당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이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결함관리정보 및/또는 기록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영역이 기록테스트(recording test) 및/또는 최적파워측정(Optimum Power Calibration)에 이용되는 영역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층 각각이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테스트영역 및 기록매 체관리영역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록층에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까운 제 2 기록층에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되, 상기 제 1 기록층 중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이 상기 제 1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할당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이, 상기 기록매체의 각 기록층의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 중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는 최적기록파워측정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서 먼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 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고,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서 먼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1 기록층; 그리고 제 2 테스트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기록층이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이 상기 기록매체가 클로즈되기 전의 임시적 결함관리정보 및/또는 기록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임시기록매체관리영역(Temporary Recording Medium Management Area)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영역이 기록테스트(recording test) 및/또는 최적파워측정(Optimum Power Calibration)에 이용되는 영역인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층 각각이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테스트영역 및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록층에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까운 제 2 기록층에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기록층 중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할당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이, 상기 기록매체의 각 기록층의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 중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는 최적기록파워측정단계;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기록매체 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 중 사용중인 기록매체관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록층 또는 상기 제 2 기록층의 기록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을 확인하는 기록가능영역확인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확인된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기록층이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 중 사용중인 기록매체관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록층 또는 상기 제 2 기록층의 기록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확인된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기록층이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 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명의 효과)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라 함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광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optical disc), 특히 "블루 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HD-DVD를 비롯한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테스트영역"이라 함은, 기록매체 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각종 테스트가 수행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 디스크는 상기 테스트영역의 일종으로 "OPC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기록재생장치는 상기 OPC영역에 테스트 기록 및/또는 최적파워제어(Optimum Power Control; 이하, OPC)을 수행하게 된다. OPC란, 기록가능한 기록매체(예를 들어, BD-R, BD-RE, etc.)에 데이 터를 기록할 때 사용되는 최적 기록파워를 산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광 디스크가 특정 광 기록재생장치 내에 로딩(loading)되면, 광 기록재생장치는 광 디스크 내의 OPC영역에 특정 기록파워로 테스트신호를 기록 후, 이를 재생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재생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 기록파워를 산출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결정된 최적 기록파워가 이후 해당 광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활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 디스크는 테스트영역의 일종으로 "DCZ(Drive Calibration Zone)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CZ영역은, 기록매체내에서 광 기록재생장치(또는 '드라이브(drive)')에 의해 활용되는 영역으로서, OPC과정을 포함하여 광 기록재생장치가 필요한 다양한 테스트(test)를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관련하여, 상기 OPC영역과 DCZ영역은 모두 OPC을 위해 활용 가능한바, 상기 OPC영역과 DCZ영역을 통칭하여 '테스트영역(Test Area)'이라 명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와 주변기기 간의 통합적 사용의 일 예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는 여러 가지 규격의 광 디스크를 기록하거나 재생 가능한 기기로서, 설계에 따라서는 특정규격(예를 들면, BD 또는 HD-DVD)의 광 디스크만을 기록재생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기록은 제외하고 재생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특히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광 디스크와 주변기기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이하 광 디스크를 재생하는 플레이어(optical disc player) 또는 광 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리코더(optical disc recorder)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는 컴퓨터 등에 내장가능한 "드라이브(drive)"가 될 수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는 광 디스크(30)를 기록재생하는 기능 이외에도, 외부입력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신호처리한 후 또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입력가능한 외부신호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인터넷(Internet) 등이 대표적인 외부입력신호가 될 것이며, 특히, 인터넷(Internet)의 경우 현재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로서 광 기록재생장치(10)를 통해 인터넷(Internet)상의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 받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가 상기 외부입력신호를 상기 광 디스크(30)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의 전체 구성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광 디스크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 및 재생관리 파일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11)과 픽업(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상기 픽업(11)으로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 부(13), 광 디스크의 기록/재생을 위해 필요한 각종 필요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픽업(11), 신호처리부(13), 서보(14), 메모리(15)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픽업(11)과 서보(14), 신호처리부(13), 메모리(15), 마이컴(16)를 통틀어, 기록재생부라 불리기도 한다. 재생의 관점에서, 상기 기록재생부는 제어기(12)의 제어에 따라 광 디스크(30) 또는 스토리지(19)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디코더에 제공한다. 즉, 상기 기록재생부는 재생의 관점에서는 데이터를 읽어오는 재생부(또는 리더부)의 역할을 한다. 기록의 관점에서, 상기 기록재생부는 AV 인코더(18)에 의해 인코딩된 신호를 받아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을 광 디스크(30)에 기록하는 기록부가 된다.
관련하여, 스토리지(Storage)(19)라 함은, 광 기록재생장치(10)에 구비되거나 연결된 일종의 저장수단으로써,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지속성(persistency)을 가지는 데이터가 스토리지(19)에 저장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토리지의 예로는 광 기록재생장치(10) 내에 구비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광 기록재생장치(10)에 연결가능하고 제거가능한 USB 메모리, HDD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스토리지(19)는 기록매체(예를 들어, BD 또는 HD-DVD)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록매체와 연관되어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은 데이터가 일반적이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가 직접 독출되어 스토리지(19)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기(12)는 광 기록재생장치(10) 내 전체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게 되며,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루어 기록매체의 재생을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명령 등에 의해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제어하게 된다.
관련하여, 제어기(12)와 마이컴(16)은 별개로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2)와 마이컴(16)의 기능이 통합되어, 하나의 제어부(control unit)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이하에서는 상기 제어기(12) 및/또는 마이컴(16)을 제어부라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제어부는 광 기록재생장치(10) 내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
또한, AV 디코더(17)는 기록매체 및/또는 스토리지(19)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데이터로 최종적으로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디코딩하게 된다. AV 디코더(17)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디코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AV 인코더(18)는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광 디스크에 기록가능한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갖는 본 발명의 기록매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유기질(organic) 또는 무기질(inorganic) 물질로 구성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기록재생장치(10)의 제어부는 픽업(11)을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층(들) 중 하나에 광빔의 초점을 맞춘다. 상기 광 기록재생장치(10)는 초점이 맞춰진 상기 광빔에 의해 해당 기록층의 형질을 변환하여 기록마크를 형성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록매체 내 'n'개의 기록층(들) 중, 상기 광빔이 입사하는 면에서 가장 먼 기록층을 기록층0('L0')라 하고,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기록층(n-1)('L(n-1)')이라 한다. 즉,이하 설명에서는 기록층(n-1)이 기록층(n-2)보다 상기 광빔이 입사하는 쪽에 가까운 기록층임을 의미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록층 내 테스트영역의 주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광 기록재생장치(10)는 상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해, 상기 테스트영역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함으로써 실제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최적의 기록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테스트신호에는 실제 데이터 신호에 비해 비교적 큰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영역에 큰 신호가 기록되는 경우, 열화 등에 의해 주변영역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테스트영역에서의 테스트 수행이 주변영역에 영향을 미쳐, 상기 테스트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접한 영역이 기록매체에 사용에 중요한 관리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영역인 경우, 상기 테스트에 의해 상기 관리데이터가 손상되어, 상기 기록매체 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거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재생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록층은 관리데이터가 테스트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리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과 테스트영역 사이에 이를 완충하는 버퍼(buffer)를 포함한다.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OPC영역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록층k에 할당된 OPC영역을 OPC(k)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기록층1에서의 테스트 신호의 기록이 기록층0에 미치는 영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기록층1(이하, L1)에 포함된 테스트영역에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픽업(11)으로부터의 광빔은 L1의 테스트영역 예를들어, OPC1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상기 광빔에 의해 테스트신호가 기록되게 되는데, 상기 테스트신호의 특성에 의해, 상기 L1보다 상기 광빔의 입사면에서 먼 기록층0 중 상기 OPC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역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하여,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라 함은 기록매체의 내주로부터 해당 위치까지의 거리가 같은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픽업(11)에서 상기 기록매체를 바라보았을 때, 오버랩(overlap)되는 위치에 있으면,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결함이 발생하는 영역이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과 관련된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영역 예를 들어,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이하 TDMA)인 경우에는 상기 TDMA가 손상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OPC영역과 TDMA영역을 도 5에서와 반대로 두어, 하나의 기록층에서 수행된 테스트에 의해, 인접한 다른 기록층에 기록된 중요한 관리정보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두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L0의 TDMA0가 L1의 OPC1과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할당되고, L0의 OPC0와 L1의 TDMA1이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 경우이다. 상기 OPC1은, 상기 OPC1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이 OPC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OPC0와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도 6을 참조하면, L0중 OPC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는 관리정보가 기록되지 않으며, OPC0는 TDMA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존재한다. OPC0에 테스트신호가 기록하는 경우, 광빔은 L1을 통과하여, 상기 OPC0에 초점이 맞춰진다. 상기 OPC0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상기 광빔은 상기 L1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초점이 벗어나게 된다. 결국 상기 L1에서는 상기 광빔의 광밀도가 낮으므로 상기 OPC0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이 상기 L1의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관련하여, TDMA란 디스크가 사용되는 동안 디스크의 결함관리 및 기록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다. 1개 기록층('싱글 레이어'라고도 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내주존(Inner Zone)에 고정된 크기의 TDMA0를 포함하고, 2개 기록층('듀얼 레이어'라고도 한다)의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L0 의 내주존에 고정된 크기의 TDMA0를, L1의 내주존에 고정된 크기의 TDMA1을 포함한다. 결함관리 및 기록관리 정보의 더 많은 업데이터를 위하여 부가적인 TDMA(들)이 상기 디스크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부가적인 TDMA(들)의 각 기록층의 데이터존(Data Zone)의 스페어영역(Spare Area)에 할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k)의 내주존에 포함된 TDMA를 TDMA(k)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각 TDMA는 임시디스크정의구조(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및 임시결함리스트(Temporary Defect List; TDFL)와 데이터 영역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록모드에 따라, 연속기록모드(Sequential Recording Mode)의 경우에는 연속기록범위정보(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SRRI)가, 랜덤기록모드(Random Recording mode)의 경우에는 스페이스 비트 맵(Space Bit Maps; SBM)이 상기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TDMA에 기록된다. 임시디스크정의구조는 스페어영역과 TDMA의 크기와 같은 디스크의 포맷(format) 및 상태(status)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며, 임시결함리스트는 사용중인 디스크의 결함 상태 및 대체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광 기록재생장치(10)는 닫히지(close) 않은 디스크의 경우, TDMA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상기 디스크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기록/재생에 있어서 상기 TDMA에 기록된 정보의 독출이 중요하다.
관련하여, 도 5 및 도 6에서는 2개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2개 기록층 보다 많은 기록층을 포함할 수 있다. 2개 기록층 보다 많은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층에서의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의 할당이 문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에서 설명한 2개 기록층 구조와 최대한 유사한 구조를 유지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L0와 L1에, 상기 L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기록층2(이하, L2)와 상기 L1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기록층3(이하, L3)이 추가된 기록매체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내 4개 기록층 중 L2에 포함된 OPC2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OPC2에 광빔의 초점이 맞춰지고, 상기 L2보다 상기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L3에 대해서는 상기 광빔의 초점이 심각하게 벗어나, 광밀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OPC2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이 상기 L3의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L2보다 상기 광빔의 입사면에서 먼 L1에 대해서는, 상기 OPC2에 초점이 맞춰진 광빔에 의해, 상기 L1의 TDMA1에 기록된 데이터가 열화될 가능성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기록매체 내 L(k-1)은 OPC(k)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buffer)영역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L(k-1)에 포함된 상기 버퍼영역을 버퍼(k-1)이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퍼(k-1)은 L(k)에 포함된 OPC(k)에서의 OPC수행이 L(k-1)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퍼(k-1)에서는 기록마크 형성을 통한 데이터 기록이 수행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버퍼(k-1)에 워블형상으로 엠보스된(embossed) 데이터는 별론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L1은 OPC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1을 갖는다. 상기 버퍼1에는, 워블형상으로 엠보스된 데이터를 제외하고, 기록마크 형성에 의해서는 데이터가 기록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록마크 형성을 통한 데이터 기록을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결국, L2에 포함된 OPC2에 광빔의 초점이 맞춰지더라도, 상기 L2보다 상기 광빔의 입사면에서 먼 버퍼1에는 유효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으므로, OPC2에서의 테스트신호 기록에 의해 TDMA1에 기록된 데이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 OPC2와 TDMA0 사이에 상기 버퍼1이 할당되어, 상기 OPC2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에 의해 상기 TDMA0에 기록된 데이터가 훼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L1 내 OPC1은, 상기 OPC1으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이 OPC0와 TDMA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OPC0 및 TDMA0와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도 8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L0 중 상기 OPC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상기 OPC1으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의 영향을 완충하는 버퍼0가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TDMA2는, 도 7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TDMA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다. 다만, 도 8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TDMA2가 상기 L2 중 OPC3와 물리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할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L3에서, OPC3는 상기 OPC3로의 테스트신호의 기록이 TDMA2와 OPC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TDMA2 및 OPC2와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OPC2에 초점이 맞춰지는 광빔에 의해서는 L3가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TDMA3는 상기 L3 중 상기 OPC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L2 중 상기 OPC3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상기 OPC1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의 영향을 완충하는 버퍼2가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련하여,상기 L3 중 상기 TDMA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는 버퍼3가 할당될 수 있다. 다만, 4개 기록층 기록매체의 경우, 상기 L3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기록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L3 중 상기 TDMA2와 물리적으로 같은 영역이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8에서는 4개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3 실시예가 3개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와 4개보다 많은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8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L4부터 L7의 기록구조는 도 8에서 설명한 L0부터 L3의 기록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L(k-1)은 OPC(k)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상기 OPC(k)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의 영 향을 완충하는 버퍼(k-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L1은 OPC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1을, L3는 OPC4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3을, L5는 OPC6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5를 포함한다. 도 9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L0, L2, L4와 L6가 OPC1, OPC3, OPC5와 OPC7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각각 버퍼0, 버퍼2, 버퍼4와 버퍼6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관련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층들 중 광빔의 입사면에 가장 가까운 기록층인 L7의 버퍼7은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음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1회 기록가능 블루레이 디스크(BD-R)에 적용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 디스크의 기록구조를 설명하면, 광 디스크는 디스크 내주로부터 순차적으로 내주존(Inner Zone), 데이터존(Data Zone), 외주존(Outer Zone)으로 구분되며, 내주존 및 외주존에는 상기 광 디스크에 대한 각종 관리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내주존 및 외주존의 일정 부분은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재생을 위해 필요한 각종 테스트영역으로 활용된다. 상기 테스트영역에는 전술한 OPC영역 및 DCZ영역이 있다. 데이터존에는 실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다.
LO의 내주존 및 외주존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L0의 내주존은 디스 크정보(Disc Information)가 엠보스드(embossed) HFM(High Frequency Modulated) 신호로 기록된 PIC(Permanent Information & Control data)영역과, OPC수행을 위한 테스트영역으로 사용되는 OPC0, 그리고 DMA(Disc Management Area)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크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2개의 인포영역(INFO1, INFO2)을 포함한다. 또한, 외주존은 또 다른 2개의 인포영역(INFO3/4)과 드라이브 교정(drive calibrations)을 위한 DCZ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LO의 내주존은 임시적인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TDMA0를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L0의 내주존 및 외주존은 상기 광 디스크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보호존(Protection Zone1 ~ 3)을 포함하는바, 특히, 내주존의 가장 안쪽에 구비되는 보호존을 보호존1(Protection Zone1)이라고 하고, 외주존의 가장 바깥쪽에 구비되는 보호존을 보호존3(Protection Zone3)라고 하며, 내주존에서 상기 PIC영역과 인포영역2(INFO2) 사이에 구비되는 보호존을 보호존2(Protection Zone2)라고 한다. 특히, 상기 보호존2는 엠보스드 HFM 영역으로부터 기록가능 영역으로의 변경구간으로서 활용되는 일종의 버퍼 존(buffer zone for changeover)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L1의 내주존 및 외주존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L1은, 내주존을 제외하고, L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L1의 내주존은 L0의 보호존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보호존1을, 인포영역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인포영역2를, 인포영역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인포영역1을 갖는다. 상기 L1의 내주존은 TDMA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1을, OPC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TDMA1을 갖는다. 상기 버퍼1은 후술한 L2의 OPC2에서의 OPC수행의 영향 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L1의 내주존 중에서 상기 L0의 PIC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영역 중 일부가 OPC1으로 사용된다. 상기 L0의 PIC영역에는 엠보스드(embossed) HFM(High Frequency Modulated) 신호로 기록된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PIC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는 OPC1에서의 OPC수행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결국, 상기 L0의 PIC영역은 OPC1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본 발명의 버퍼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L2의 기록구조는, 상기 OPC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TDMA2를, 상기 TDMA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OPC2를 갖고, PIC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존(Buffer Zone)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L0와 동일하다. 상기 OPC2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은 상기 L1의 버퍼1에 의해 완충된다. 상기 버퍼존에는 디스크정보(Disc Information)가 엠보스드(embossed) HFM(High Frequency Modulated) 신호로 기록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존은 전술항 PIC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존에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L2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L3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L3 내 OPC3와 물리적으로 같은 영역에는, 상기 OPC3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본 발명의 버퍼가 할당될 것이다.
또한, L3의 기록구조는, 상기 TDMA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3를, 상기 버퍼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TDMA2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L1과 동일하다. 상기 L3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L4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버퍼3는 OPC4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다만,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3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기록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충이 필요한 OPC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버퍼3에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관련하여,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4개보다 많은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의 경우, L(k)는 L(k-4)와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두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TDMA0와 TDMA1이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기록매체에 대한 관리영역을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OPC1은, 상기 OPC1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이 OPC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OPC0와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L0 중 OPC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는 관리정보가 기록되지 않으며, TDMA0와 TDMA1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다. 상기 TDMA0 및 TDMA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OPC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OPCO 및 OPC1에 테스트신호가 기록되더라도, 상기 TDMA0 및 TDMA1에 기록된 데이터가 훼손되지 않게 된다.
관련하여, 상기 L1은 상기 OPC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버퍼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L1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L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버퍼1에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관련하여, 도 11에서는 2개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2개 기록층 보다 많은 기록층을 포함할 수 있다. 2개 기록층 보다 많은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층에서의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의 할당이 문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에서 설명한 2개 기록층 구조와 최대한 유사한 구조를 유지하도록, 도 11에서 설명한 L0와 L2에, 상기 L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L2와 상기 L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L3이 추가된 기록매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각 기록층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인 TDMA0, TDMA1, TDMA2 및 TDMA3는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다. 따라서, 각 기록층 내 OPC영역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관련하여, L(k-2)의 OPC(k-2)와 L(k)의 OPC(k) 사이에는 상기 OPC(k)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버퍼(k-1)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버퍼(k-1)에는, 워블형상으로 엠보스된 데이터를 제외하고, 기록마크 형성에 의해서는 데이터가 기록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L1은 OPC0와 OPC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1을 갖는다. L2의 OPC2에 광빔의 초점이 맞춰지더라도, 상기 L2보다 상기 광빔의 입사면에서 먼 버퍼1에는 유효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으므로, 상기 OPC2에서의 테스트신호 기록에 의해 상기 L2에 기록된 데이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L0 중 상기 OPC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상기 OPC1으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의 영향을 완충하는 버퍼0가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L3에서, OPC3는 상기 OPC3로의 테스트신호의 기록이 TDMA2와 OPC2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TDMA2 및 OPC2와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도 1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L2 중 상기 OPC3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상기 OPC1로의 테스트신호 기록의 영향을 완충하는 버퍼2가 할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련하여, 상기 L3 중 상기 OPC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는 버퍼3가 할당될 수 있다. 다만, 4개 기록층 기록매체의 경우, 상기 L3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기록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버퍼3가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도 12에서는 4개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3 실시예가 3개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와 4개보다 많은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8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L4부터 L7의 기록구조는 도 12에서 설명한 L0부터 L3의 기록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8개 기록층 기록매체의 각 기록층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관리영역인 TDMA0 ~ TDMA7는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다. 따라서, 각 기록층 내 OPC영역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13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L0, L2, L4와 L6가 OPC1, OPC3, OPC5와 OPC7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각각 버퍼0, 버퍼2, 버퍼4와 버퍼6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관련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층들 중 광빔의 입사면에 가장 가까운 기록층인 L7의 버퍼7은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음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기록매체 내 인접한 4개 기록층에 테스트영역 및 관리영역을 할당한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1회 기록가능 블루레이 디스크(BD-R)에 적용한 경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 디스크의 기록구조는 도 10에서 설명한 구조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도 10에서 설명된 구조와 동일한 기록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TDMA0 ~ TDMA4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L0와 L3의 기록구조는 도 10에서 설명한 L0와 L3의 기록구조와 동일하다. L1의 기록구조는 도 10에서 설명한 L1의 기록구조에서 버퍼1과 TDMA1의 위치가 변경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며, L2의 기록구조는 도 10에서 설명한 L2의 기록구조에서 OPC2와 TDMA2의 위치가 변경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상기 L1의 내주존은 TDMA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TDMA1을 갖는다. OPC0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는 버퍼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1은 후술한 L2의 OPC2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L2의 기록구조는, 상기 TDMA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TDMA2를, 상기 버퍼1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OPC2를 갖고, PIC영역에 버퍼존(Buffer Zone)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L0와 동일하다. 상기 OPC2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은 상기 L1의 버퍼1에 의해 완충된다. 상기 버퍼존에는 디스크정보(Disc Information)가 엠보스드(embossed) HFM(High Frequency Modulated) 신호로 기록될 수 있다.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버퍼존에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L2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L3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L3 내 OPC3와 물리적으로 같은 영역에는, 상기 OPC3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본 발명의 버퍼가 할당될 것이다.
또한, L3의 기록구조는, 상기 TDMA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TDMA3를, 상기 OPC2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3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L1과 동일하다. 상기 L3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L4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버퍼3는 OPC4에서의 OPC수행의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다만,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3보다 광빔의 입사면에 가까운 기록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충이 필요한 OPC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버퍼3에 임의의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4개보다 많은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의 경우, L(k)는 L(k-2)와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관련하여,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록층0 및 기록층1을 예로 하였으나, 전술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포함된 'n'개의 기록층 중 인접한 두 기록층 사이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테스트에 의해 관리정보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기록매체 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1.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1 기록층;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깝고,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스트영역은 상기 제 1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상기 기록매체에 대한 결함관리정보 및/또는 기록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영역은 기록테스트(recording test) 및/또는 최적파워측정(Optimum Power Calibration)에 이용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기록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층 각각은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테스트영역 및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록층에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까운 제 2 기록층에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되,
    상기 제 1 기록층 중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스트영역은 상기 제 1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어긋난 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상기 기록매체의 각 기록층의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 중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9.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는 최적기록파워측정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서 먼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10.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고,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서 먼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11.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1 기록층; 그리고
    제 2 테스트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갖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상기 기록매체가 클로즈되기 전의 임시적 결함관리정보 및/또는 기록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임시기록매체관리영 역(Temporary Recording Medium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영역은 기록테스트(recording test) 및/또는 최적파워측정(Optimum Power Calibration)에 이용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기록매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층 각각은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복수개의 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테스트영역 및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록층에 제 1 테스트영역 및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층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입사면에 가까운 제 2 기록층에 제 2 테스트 영역 및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을 할당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 중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테스트영역 및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상기 기록매체의 각 기록층의 내주존, 데이터존 및 외주존 중 해당 기록층의 내주존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
  19.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는 최적기록파워측정단계;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 중 사용중인 기록매체관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록층 또는 상기 제 2 기록층의 기록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을 확인하는 기록가능영역확인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확인된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 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방법.
  21.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그리고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테스트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테스트영역 중 하나에 테스트신호를 기록하여 최적기록파워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기록층에 할당된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층에 할당된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 중 사용중인 기록매체관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록층 또는 상기 제 2 기록층의 기록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기록매체 내 기록가능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된 최적기록파워로 상기 확인된 기록가능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록매체관리영역과 상기 제 2 기록매체관리영역은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은 상기 제 2 테스트영역과 물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버퍼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장치.
KR1020070008996A 2007-01-29 2007-01-29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KR20080070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96A KR20080070990A (ko) 2007-01-29 2007-01-29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96A KR20080070990A (ko) 2007-01-29 2007-01-29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90A true KR20080070990A (ko) 2008-08-01

Family

ID=3988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996A KR20080070990A (ko) 2007-01-29 2007-01-29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0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561B2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from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941142B (zh) 光学记录介质、记录/再现装置、记录方法和记录/再现方法
RU2380770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 физичес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доступом (рас) к информации на н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KR20050094888A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장치
KR20070003511A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US20050232092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d/or fro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 and/or fro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RU239585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н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CN101490751B (zh) 记录介质、用于在/从该记录介质上记录/再现数据的装置及其方法
KR2008007099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할당방법과, 데이터 기록방법 및장치
KR101053616B1 (ko) 기록매체,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KR101049132B1 (ko)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KR20070058292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클로징 방법
US20090310451A1 (en) Recording medium,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cording medium
KR20110014140A (ko) 데이터 장기 저장용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그리고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KR2008004701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영역 할당방법, 그리고 관리정보독출방법 및 독출장치
US20090122677A1 (e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medium
KR20100112834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KR100619035B1 (ko)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080010544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101111513B1 (ko) 기록매체의 기록방법과 기록장치
KR20080006220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110029307A (ko)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 방법, 그리고 데이터 기록 장치
KR20090036204A (ko) 광디스크, 광디스크 관리정보의 기록방법 및 데이터기록장치
KR20060022523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기록제어 정보를기록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광디스크 기록재생 방법 및장치
KR20070117866A (ko) 기록매체,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