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160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160A
KR20080070160A KR1020070007818A KR20070007818A KR20080070160A KR 20080070160 A KR20080070160 A KR 20080070160A KR 1020070007818 A KR1020070007818 A KR 1020070007818A KR 20070007818 A KR20070007818 A KR 20070007818A KR 20080070160 A KR20080070160 A KR 2008007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fs
description information
scene description
stream
sc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575B1 (ko
Inventor
김준
송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5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scene graphs, e.g.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객체 기술자(OD) 스트림, BIFS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하는 DMB 모듈; 상기 분리된 BIFS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장면 기술 정보 및 인터렉티브 노드를 분석하는 BIFS 디코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장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을 렌더링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선택에 의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한 핸드폰, PC, PDA등에서 별도의 규격 변동 없이 양방향 통신 구현을 제공한다.
MPEG-4, BIFS, 노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ata li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IFS(Binary Format for Scene)의 방송 데이터 연관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연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DMB 모듈 203. BIFS 디코더
205. 장면기술정보 추출부 207. 메모리
209. 키 입력부 211. 제어부
213. 이동통신 모듈 215. 네트워크 접속부
217. 화면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데이터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멀티미디어의 이동 수신을 목적으로 한 표준안이다. 이 규격의 모태인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규격은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디지털화하면서 동시에 더욱 다양한 형태의 방송을 송수신하게끔 만들어졌다. 주요 방송 형태를 살펴보면, Audio 방송과 그 외의 데이터 방송으로 나누어진다.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DMB) 규격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규격 내의 데이터 방송 규격에 MPEG-4 데이터를 전송하여 비디오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MPEG-4 데이터 이외에도, 다른 형태들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DMB) 규격은 이동 수신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런 점은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DMB) 수신기 자체뿐 아니라 이를 이용한 많은 응용제품을 파생시킬 수 있는데 핸드폰 및 인터넷이 가능한 PC, PDA와 DMB 방송 수신기의 복합 제품이 이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DMB) 규격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환경에서 양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객체 기술자(OD) 스트림, BIFS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하는 DMB 모듈; 상기 분리된 BIFS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장면 기술 정보 및 인터렉티브 노드를 분석하는 BIFS 디코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장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을 렌더링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선택에 의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면을 구성하는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 더 포함한다.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 방법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장면 기술 정보로부터 이동통신 망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호를 이동통신 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면 기술 정보는 MPEG-4 기반의 BIFS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송 신호는 객체 기반의 멀티 미디어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 방법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와 상기 장면 기술 정보를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장면 기술 정보로부터 인터넷 망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방송국(100)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방송 신호는 객체 기반(Object-based)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으로 전송되는데 콘텐츠의 장면(Scene)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객체로 분할되어 압축하는 장면 이진 부호화 (Binary Format for Scene; 이하 'BIFS'라 한다)를 사용한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면 기술 정보는 ImageTexture Node에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를 설정하여 전송함으로써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장면 기술 정보를 선택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과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업체(300)에 연결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DMB 모듈(201)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 후 트랜스포트 패킷(TP) 스트림을 복원한다. 복원된 트랜스포트 패킷(TP)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각각의 객체 기술자(OD) 스트림, BIFS 스트림, MPEG-4 비디오 스트림, MPEG-4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스트림은 각각의 스트림에 맞는 디코더를 통해 복호화된다. 복호화된 MPEG-4 비디오 스트림, MPEG-4 오디오 스트림, 그래픽 및 BIFS-Update 스트림들은 각각의 시간 정보를 가진다. 각각의 모듈들 사이에 있는 미디어 스트림 버퍼는 각 모듈들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각 스트림의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한 시간에 각각의 스트림을 동기화하여 다음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처리된 데이터들은 시간 정보에 맞게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BIFS 디코더(203)는 BIFS 파서부와 BIFS 복호화부로 구성된다. BIFS 스트림은 시간 정보와 길이 정보를 가진다. BIFS 파서부는 BIFS 스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와 길이 정보를 파싱하여 하나의 온전한 BIFS 프레임을 만들어 시간 정보와 함께 BIFS 복호화부로 전송하고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BIFS 복호화부는 BIFS 프레임을 분석하여 하나의 장면이 어떤 노드들로 이루 어졌는지, 어떤 기초 스트림으로 구성되었는지 파악한다. BIFS 프레임은 초기 장면을 서술하기 위한 장면 서술 프레임이거나, 장면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BIFS-Update 프레임이다. 초기 장면 서술 프레임일 경우, DMB에서의 장면은 하나의 오디오 노드와 하나의 비디오 노드 그리고 여러 가지의 그래픽 노드들로 구성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인터렉티브(Inter active) 노드는 장면이 포함된 경우 이 노드에 있는 'url'필드를 분석하여 웹사이트에 연결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BIFS 파서부로부터 프레임이 BIFS-Update 프레임일 경우 이 명령어를 가지고 이미 구성된 장면을 갱신하게 된다. BIFS-Update 프레임은 장면에서 노드나 필드를 삽입, 삭제, 대체할 수 있다.
장면기술정보 추출부(205)는 본 발명에 따른 BIFS 프레임 내의 이동통신 망과 연동하는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과 연동하는 IP 주소를 검출한다. 메모리(207)는 검출된 텍스트 스크립트 형태의 BIFS를 저장한다. 키 입력부(209)는 다수 개의 기능 키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BIFS 정보를 연동하도록 이벤트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11)는 이벤트를 발생하는 신호일 경우에는 미디어 객체 삽입, 속성 설정, 그룹 설정, 그룹 설정 이벤트 발생의 여부를 판단하여 각 경우에 대해 필요한 이벤트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 즉, 미디어 객체 삽입 이벤트의 판단결과 미디어 삽입 이벤트일 경우에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기하객체, 텍스트 등의 미디어 타입을 확인하여 해당 미디어에 대한 저작 객체를 생성할 준비를 한다. 그리고, 화면 표시부(217) 상에서 사용자의 마우스 드래깅 영역을 입력 받아 현재 선택된 미 디어가 차지할 크기, 공간 위치를 결정한다. 장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을 렌더링하여 출력한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존재하는 객체를 확인하여 해당 객체에 맞는 속성 설정 대화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광고 장면 속 전화번호 또는 웹 사이트 주소 등에 사용자가 선택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동통신 망 또는 인터넷 망으로 연동한다.
이동통신 모듈(213)는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호를 송수신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BIFS 프레임 내의 전화번호로 해당 서비스 제공 업체에 연결한다. 네트워크 접속부(215)는 인터넷 망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BIFS 프레임 내의 IP 주소로 접속한다. 화면 표시부(217)는 디코딩된 BIFS 프레임 내의 전화번호, 인터넷 주소 정보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IFS(Binary Format for Scene)의 방송 데이터 연관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MPEG-4 콘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스 등의 시청각 미디어를 합성하여 생성된 사용자 상호 작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서 전체 미디어의 화면상의 시공간적 배치 정보와 속성 정보는 BIFS로 표현되고 이를 실제 미디어 데이터와 합성하여 MPEG-4 콘텐츠가 생성된다. BIFS는 미디어 객체 조합, 변형, 전송에 관한 모든 정보를 표현하는 노드와 필드로 구성된 자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복잡한 형식과 내용 구조를 가지고 있다.
BIFS는 국제 표준인 MPEG-4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의 하나이다. 객체 기반(Object-based)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인 MPEG-4에서 콘텐츠는 장면(Scene)을 구 성하는 여러 개의 객체로 분할되어 압축되므로 BIFS는 객체 간의 시공간적인 배치를 표현할 수 있는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규격으로서 개발되었다.
BIFS는 텍스트 문서 형식으로 3차원 모델을 기술하는 언어인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객체를 노드(node)로 갖는 장면 트리(Scene tree) 형태로 콘텐츠를 표현한다. 이때, 각 노드들은 각 노드의 렌더링을 위해 필요한 시각적 특성 정보와 함께 화면 내에서의 공간적 위치, 콘텐츠 내에서의 상대적인 시간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성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 규칙도 함께 포함된다. 또한, 장면 트리에는 노드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도 함께 표현된다.
DMB 규격에 정의된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 규격인 MPEG-4 BIFS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시청자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데이터를 버튼이나 아이콘, 메뉴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받는다. 시청자는 방송 시청 중 컨텐츠에 포함된 버튼, 아이콘 등을 선택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동통신망이나 휴대 인터넷 등 단말기가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홈페이지로 직접 이동하여 관련된 물건이나 콘텐츠를 즉시 구매할 수 있다.
MPEG-4 시스템 기반의 방송 콘텐츠는 객체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즉, MPEG-4 시스템에서는 한 장면(Scene)을 구성하는 영상, 음성, 그래픽 등을 각각 객체로 정의하고, 부호화 또한 객체 단위로 수행한다. MPEG-4 시스템의 장면 구성 기술은 이들 객체들이 장면 내의 시공간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객체 혹은 사용자와 어떤 상호 작용을 하는지 등을 기술한다.
MPEG-4 시스템은 장면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XMT와 BIFS를 규정하고 있다. XMT(eXensible MPEG-4 Textual format)은 텍스트 형식의 장면 기술 방법으로 XML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이해하기 쉬워 콘텐츠 저작 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면에 BIFS는 장면을 기술할 때 필요한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해 이진화된 형식으로 객체를 표현한다. 이진화의 결과로 BIFS는 저용량 고압축률을 실현하여 저장 및 전송 시에 유리한다.
지상파 DMB에서 표준으로 채택된 Scene Graph와 Graphic의 프로파일은 Core2D@Level1이다. 이 프로파일에서는 장면을 구성하는 2차원 객체를 2차원 평면에 표현한다.
콘텐츠와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은 스트림 형태로 전송되며, DMB 수신기는 비트를 받아서 필요한 때 랜더링을 한다. 도 3은 BIFS 스트림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BIFS 정보는 저작된 장면을 트리로 구성하는 장면 트리 BIFS 정보와 트리에 포함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미디어 객체에 대해서는 객체 데이터에 대한 위치와 인코딩,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를 담아두는 객체 기술자 BIFS 정보와, 사용자가 정의한 애니메이션 정보에 대해 상기 장면 트리 내의 노드와 필드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는 라우트 BIFS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에 있는 ImageTexture Node에 다음과 같이 전화번호(a) 또는 인터넷 주소(b)를 검출한다. 먼저, 전화번호의 경우(a) ImageTexture Node의 신택스(Syntax)는 다음과 같다.
ImageTexture{
exposedField MFString url "tel://15880000"
Field SFBool repeatS TRUE
Field SFBool repeatT TRUE
}
여기서 url의 경우 보통 http://, mail://, ftp://의 프로토콜 형식으로 설정되는데 전화번호의 경우 이들과 구별하기 위해 따로 'tel//'이라는 문자열로 구별한다.
Url에서 주로 쓰는 http://와 같은 형식의 인터넷 주소(b)를 설정할 때의 Syntax는 다음과 같다.
ImageTexture{
exposedField MFString url "http://www.pizzahot.co.kr"
Field SFBool repeatS TRUE
Field SFBool repeatT TRUE
}
DMB에서 비디오와 관련된 노드(c)로 MovieTexture 노드를, 오디오 관련된 노드로 AudioSource 노드(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한다. 이런 미디어 관련 노드들은 필드 값으로 'url'값을 갖는데, 이 'url'값은 각각의 미디어에 대한 OjectDescriptorID를 나타낸다. 이 OjectDescriptorID로 각 미디어 노드들과 관련된 OjectDescriptor를 알 수 있는데, 이 OjectDescriptor로 각 미디어 노드들과 관 련된 오디오, 비디오에 대한 기초 스트림을 알 수 있다. 이 기초 스트림들을 각각의 미디어 노드들에 연결하여 장면을 형성한 후, 렌더링이 가능하다.
MPEG-4 BIFS는 MPEG-4 장면을 구성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2차원 그래픽을 비디오 위에 오버레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오버레이 된 그래픽 객체들 간의 상호 작용도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하며,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까지 제공한다.
도 4와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연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BIFS 프레임 내의 전화 번호를, 도 5는 BIFS 프레임 내의 인터넷 주소에 연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 후 트랜스포트 패킷(TP) 스트림을 복원한다(S400/S501). 복원된 트랜스포트 패킷(TP)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각각의 OD 스트림, BIFS 스트림, MPEG-4 비디오 스트림, MPEG-4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스트림은 각각의 스트림에 맞는 디코더를 통해 복호화한다. BIFS 스트림으로부터 시간 정보와 길이 정보를 파싱하여 하나의 온전한 BIFS 프레임을 만들어 시간 정보와 함께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S402/S503). BIFS 프레임을 분석하여 하나의 장면이 어떤 노드들로 이루어졌는지, 어떤 기초 스트림으로 구성되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를 검출한다 (S404/S505). A/V 데이터인 콘텐츠와 장면 기술(Scene Description)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S406/S507). 사용자는 방송시청 중 콘텐츠에 포함된 버튼 혹은 아이콘 등을 선택하여 해당 연동 데이터의 기능을 호출 한다(S408/S509).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IFS 프레임 내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로 해당 서비스 제공 업체로 연결된다(S410/S511). 혹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부가정보를 선택하여 해당 BIFS 프레임 내 장면 기술 정보를 저장한다(S412,S414/S513,S515).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한 핸드폰, PC, PDA등에서 별도의 규격 변동 없이 양방향 통신 구현을 제공한다. 방송 서비스 제공 업자는 이를 통해 기존의 방송에 비해 더욱 양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때에 핸드폰 및 인터넷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의 혜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장면 기술 정보로부터 이동통신 망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호를 이동통신 망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연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기술 정보는 MPEG-4 기반의 BIFS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객체 기반의 멀티 미디어로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 루어진 데이터 연동 방법.
  5.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콘텐츠와 상기 장면 기술 정보를 각각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된 장면 기술 정보로부터 인터넷 망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노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방송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연동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기술 정보는 MPEG-4 기반의 BIFS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인터렉티브 노드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이터 연동 방법.
  8. 방송 신호의 트랜스포트 패킷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객체 기술자(OD) 스트 림, BIFS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하는 DMB 모듈;
    상기 분리된 BIFS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장면 기술 정보 및 인터렉티브 노드를 분석하는 BIFS 디코더;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의 장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을 렌더링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선택에 의한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호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을 구성하는 콘텐츠와 장면 기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노드의 인터넷 주소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07818A 2007-01-25 2007-01-25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KR101295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18A KR101295575B1 (ko) 2007-01-25 2007-01-25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18A KR101295575B1 (ko) 2007-01-25 2007-01-25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160A true KR20080070160A (ko) 2008-07-30
KR101295575B1 KR101295575B1 (ko) 2013-08-09

Family

ID=3982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818A KR101295575B1 (ko) 2007-01-25 2007-01-25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5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25B1 (ko) 2016-10-26 2017-08-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 장치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428B1 (ko) * 1999-12-24 2001-11-03 오길록 대화형 방송 단말 시스템
KR20070037779A (ko) * 2005-10-04 2007-04-09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로컬 보관함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575B1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83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영상 부가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EP2338278B1 (en) Method for presenting an interactive video/multimedia application using content-aware metadata
KR10058732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KR100950111B1 (ko) Mpeg-4 원격 통신 장치
KR10114692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JP5576667B2 (ja) 情報送出表示システム
US8131275B2 (en) Broadcasting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of a mobile terminal
KR102240784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1336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basic device and extended devices
JPWO2006123744A1 (ja) 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US9300415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20090038364A (ko) LASeR 기반의 단말을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50276495A1 (en) Method of providing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lide show including interactive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same, and DAB receiver
CN105142000A (zh) 基于电视播放内容的信息推送方法及系统
KR101280806B1 (ko) 디지털 방송망의 미리보기 채널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N101267544A (zh) 实时显示交互数据的方法和设备
JP6735643B2 (ja)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955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터 연동 방법
CN105812382A (zh) 一种基于超声波的多媒体推送内容获取方法
KR101587442B1 (ko) 타겟팅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등록 방법 및 장치
CN103581733A (zh) 远程显示装置
KR101191195B1 (ko) 콘텐츠 전송 장치, 콘텐츠 표출 장치, 콘텐츠 전송 방법 및콘텐츠 표출 방법
CN104980784A (zh) 多媒体装置及其光标控制方法
KR100755839B1 (ko) 음성 다중을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63314A1 (en) Advanced information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