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129A -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129A
KR20080070129A KR1020070007762A KR20070007762A KR20080070129A KR 20080070129 A KR20080070129 A KR 20080070129A KR 1020070007762 A KR1020070007762 A KR 1020070007762A KR 20070007762 A KR20070007762 A KR 20070007762A KR 20080070129 A KR20080070129 A KR 2008007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ottom chassis
bending
pane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승균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0129A/ko
Priority to US11/957,785 priority patent/US20080180621A1/en
Priority to JP2008015148A priority patent/JP2008181135A/ja
Publication of KR2008007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제품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백라이트 유닛, 몰드 프레임, 바텀 샤시, 패널구동필름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한다. 몰드 프레임은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패널을 수납한다. 바텀 샤시는 몰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배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패널구동필름은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면으로 연장되며, 배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구동 소자들을 갖는다. 접착 부재는 패널구동필름 및 바텀 샤시를 사이에서 접착하는 접착부 및 구동 소자들에 의해 제1 개구부로 밴딩되는 절연부를 갖는다. 따라서,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 사이를 접착 부재를 통해 절연시킴으로써,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품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결합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패널구동필름을 바텀 샤시로부터 분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널구동필름을 바텀 샤시에 결합시킨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 중 절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 중 절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 중 절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200 : 표시 패널
300 : 백라이트 유닛 400 : 몰드 프레임
430 : 제3 개구부 500 : 바텀 샤시
510 : 제1 개구부 600 : 패널구동필름
610 : 구동 소자 700, 800, 900 : 접착 부재
710, 810, 910 : 접착부 720, 820, 920 : 절연부
722, 829, 924: 제2 개구부 724, 822 : 제1 밴딩부
726, 824 : 제2 밴딩부 826 : 제3 밴딩부
828 : 제4 밴딩부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품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이러한 이유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에 구동 신호를 외부로부터 인가하기 위한 패널구동필름, 액정표시패널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 및 몰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바텀 샤시를 포함한다. 패널구동필름은 액정표시패널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텀 샤시의 배면으로 연장된다. 패널 구동필름에는 구동 신호가 안정적으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동 소자들이 배치된다.
구동 소자들은 패널구동필름 중 바텀 샤시의 배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텀 샤시의 배면에는 구동 소자들이 삽입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때, 몰드 프레임은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안쪽으로 연장된 몰드 리브를 포함한다. 몰드 리브는 몰드 프레임의 사출 성형시, 최소 약 0.3㎜이상일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몰드 리브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에 있어서,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감안되므로, 상기의 추세에 저해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패널구동필름과 바텀 샤시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백라이트 유닛, 몰드 프레임, 바텀 샤시, 패널구동필름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한다.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배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 기 패널구동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구동 소자들을 갖는다.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패널구동필름 및 상기 바텀 샤시를 사이에서 접착하는 접착부 및 상기 구동 소자들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로 밴딩되는 절연부를 갖는다.
상기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1 밴딩부 및 상기 제1 밴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2 밴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 밴딩부와 상기 제2 밴딩부 사이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보다 0.3 내지 0.7배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3 밴딩부, 및 상기 제3 밴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4 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3 및 제4 밴딩부 측에서 "Y" 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상기 바텀 샤시의 두께만큼 축소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몰드 프레임은 면적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3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사출 성형 방식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 조립 방법은 먼저, 일체형의 몰드 프레임과 바텀 샤시에 수납된 표시 패널에 구동 소자들을 상기 바텀 샤시 방향에 갖는 패널구동필름을 연결하고,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바텀 샤시의 배면에 접착 부재를 접착시킨다. 이어, 상기 접착 부재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좁은 면적의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절연부를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패널구동필름을 상기 배면으로 밴딩시키면서 상기 구동 소자들을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개구부로 삽입시켜, 상기 절연부가 상기 구동 소자들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로 밴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1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밴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2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서 상기 접착 부재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바텀 샤시 배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에서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던 종래의 몰드 리브를 대신하여 바텀 샤시와 패널구동필름의 접착을 위한 접착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품의 전체 길이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 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결합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00), 백라이트 유닛(300), 몰드 프레임(400), 바텀 샤시(500), 패널구동필름(600) 및 접착 부재(7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200)은 제1 기판(210) 및 제1 기판(210)에 대향하는 제2 기판(220)을 포함한다. 제1 기판(210)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TFT 기판이다. 제2 기판(220)은 색을 구현하기 위한 RGB 화소가 박막 형태로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이다. 이와 같은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 패널(200)은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 사이에 액정층(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230)은 다수의 액정 분자(미도시)들을 포함한다. 액정 분자들은 복굴절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액정 분자들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배향 방향이 변화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 표시 패널(200)은 액정 분자들을 통해 입광되는 광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부광일 수 있고, 표시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될 백라이트 유닛(300)으로부터 공급되는 내부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200)이 액정 분자들을 갖는 액정층(230)을 포함하는 것과 달리, 표시 패널(200)은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자체적으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혼색된 백색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기 발광층은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위치에 따라 연속적으로 출사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2 기판(220)에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RGB 화소가 형성될 필요성은 없다.
한편, 표시 패널(200)은 구동 칩(240)을 포함한다. 구동 칩(240)은 제1 기판(2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즉, 제1 기판(210)은 구동 칩(240)이 배치되는 일측이 제2 기판(220)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구동 칩(24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통해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이하에서 설명할 패널구동필름(600)을 통해 인가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표시 패널(200)에 광을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도광판(310), 광원(320), 광학 시트(330) 및 반사 시트(340)를 포함한다. 도광판(310)은 제1 기판(210)과 마주보면서 배치된다. 도광판(310)은 광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광원(320)은 도광판(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도광판(310)으로 광을 출사시킨다.
광원(320)은 일 예로, 반도체 특성을 이용하여 일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ght Diode;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광 원(320)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모든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ight; CCFL)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시트(330)는 도광판(310)과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 시트(330)는 도광판(3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사 시트(340)는 광학 시트(330)와의 사이에 도광판(310)이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반사 시트(340)는 도광판(310)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표시 패널(20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몰드 프레임(400)은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가지면서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면서 백라이트 유닛(300)과 같이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몰드 프레임(400)은 안쪽에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패널 지지부(410)를 포함한다. 몰드 프레임(400)은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패널 지지부(410)는 몰드 프레임(400)의 사면에 모두 형성된다. 이때, 표시 패널(200)의 구동 칩(240)에 대응되는 위치의 패널 지지부(410)는 다른 위치에서보다 더 안쪽으로 연장된다. 이는, 상기 위치에 패널구동필름(600)의 구동 소자(610)들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위치의 패널 지지부(410)를 설명의 편의상, 구동소자 배치부(420)라고 명칭하고, 패널 지지부(410)와 다른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구동소자 배치부(420)는 구동 칩(240)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제1 기판(210)의 연장된 길이만큼 연장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제1 기판(210) 중 구동 칩(240)이 배치된 위치에서는 실질적으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바텀 샤시(500)는 몰드 프레임(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바텀 샤시(5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바텀 샤시(500)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바텀 샤시(500)는 몰드 프레임(400)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면서 외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달리, 바텀 샤시(500)는 최근의 추세인 경량화를 위해서 알루미늄(aluminum)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텀 샤시(500)는 배면에 제1 개구부(510)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510)에는 패널구동필름(600)의 구동 소자(610)들이 배치된다. 제1 개구부(510)는 구동 소자(610)들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개구부(510)는 구동 소자(610)들을 전체적으로 포함하도록 하나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샤시(500)는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에, 몰드 프레임(400)은 바텀 샤시(500)를 기초로 하여 사출 성형 방식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금형을 이용하여 배면에 제1 개구부(510)가 형성된 바텀 샤시(500)를 제작한다. 이어, 바텀 샤시(500)를 몰드 프레임(400)의 형상으로 제작된 금형 틀에 배치시킨다. 이어, 수지액을 상기 금형 틀에 주입한다. 이때, 바텀 샤시(500)에는 수지액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첨가물이 도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수지액이 고체화되면 금형 틀로부터 몰드 프레임(400)과 바텀 샤시(500)를 분리하여 일체형의 몰드 프레임(400)과 바텀 샤시(500)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몰드 프레임(400)과 바텀 샤시(5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면, 별도 결합 시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그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400)과 바텀 샤시(5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품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널구동필름(600)은 표시 패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패널구동필름(600)은 표시 패널(200)의 제1 기판(210) 중 구동 칩(240)이 배치된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패널구동필름(600)은 밴딩이 용이한 플렉시블한 특징을 갖는다. 패널구동필름(600)은 바텀 샤시(500)의 배면으로 밴딩되어 배치된다.
패널구동필름(600)은 외부의 컨트롤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칩(24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패널구동필름(600)에는 구동 신호를 안정적이면서 이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구동 소자(610)들이 배치된다.
구동 소자(610)들은 패널구동필름(600) 중 바텀 샤시(500)의 배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바텀 샤시(500)의 제1 개구부(510)에 삽입된다. 구동 소자(610)들은 일 예로, 저항, 캐패시터 및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소자(610)들은 제1 개구부(510)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대한 밀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소자(610)들은 주위의 도전성 물질에 의해 전기적인 간섭을 받아 그 기능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구동 소자(610)들이 전기적으로 간섭되면, 구동 신호가 불안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표시 패널(200)에서의 영상이 불량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소자(610)들에 기능상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도전성 물질은 제1 개구부(510)를 형성하고 있는 바텀 샤시(500)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몰드 프레임(400)으로부터 형성된 몰드 리브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패널구동필름(600)과 바텀 샤시(500)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던 접착 부재(700)를 그대로 이용한다.
접착 부재(700)는 패널구동필름(600)과 바텀 샤시(5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700)는 패널구동필름(600)과 바텀 샤시(500)의 배면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접착 부재(700)는 매우 얇고, 절연성이면서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 부재(700)는 실질적으로, 패널구동필름(600)과 바텀 샤시(500)의 배면에 접착되는 접착부(710) 및 제1 개구부(510)에서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는 절연부(720)를 포함한다.
접착부(710)는 면적이 바텀 샤시(500)의 배면에 배치되는 패널구동필름(60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이로 넓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720)는 제1 개구부(510) 대응하여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부(720)에는 제1 개구부(510)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제2 개구부(7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부(720)는 구동 소자(610)들이 제1 개구부(510)에 삽입 시, 구동 소자(610)들에 의해 밴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바텀 샤시(500) 배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510)에서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던 종래의 몰 드 리브를 대신하여 바텀 샤시(500)와 패널구동필름(600)의 접착을 위해 사용되던 접착 부재(700)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몰드 리브가 제거되어 제품의 길이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몰드 리브는 사출 성형을 위해 최소 약 0.3㎜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에, 제1 개구부(510)에서 몰드 리브는 실질적으로, 양 측에 두 개가 존재하므로, 몰드 리브들의 총 두께는 약 0.6㎜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몰드 리브들로 인해 발생된 약 0.6㎜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약 0.6㎜란 수치는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있어서, 제품의 설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매우 큰 수치로써, 간주될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400)은 제1 개구부(510)에 대응해서 형성된 제3 개구부(430)를 포함한다. 제3 개구부(430)는 몰드 프레임(400)의 구동소자 배치부(420)에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소자(610)들은 제1 개구부(510)를 통해 제3 개구부(430)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패널구동필름을 바텀 샤시로부터 분리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패널구동필름을 바텀 샤시에 결합시킨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착 부재의 절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700)의 절연부(720)는 제1 밴딩부(724)와 제2 밴딩부(726)를 포함한다.
제1 밴딩부(724)는 제1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접착부(710) 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밴딩부(724)는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의 장변에 대응되는 접착부(710)로부터 연장된다. 제1 밴딩부(724)는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한변이 접착부(710)와 연결된다.
제2 밴딩부(726)는 제1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면서 제1 밴딩부(724)와 마주보도록 접착부(710)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밴딩부(726)는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 중 다른 장변에 대응되는 접착부(710)로부터 연장된다. 제2 밴딩부(726)는 제1 밴딩부(724)와 마찬가지로,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한변이 접착부(710)와 연결된다. 즉, 제2 밴딩부(726)는 실제로, 접착부(710)와 연결되는 변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밴딩부(724)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는 제1 개구부(510)를 일부 커버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절연부(720)에 형성된 제2 개구부(722)는 제1 밴딩부(724)와 제2 밴딩부(72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제2 개구부(722)는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722)는 제1 개구부(51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다. 일 예로, 제2 개구부(722)는 제1 개구부(510)보다 약 0.3 내지 약 0.7배의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5배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722)는 접착 부재(700)를 형성 시, 임의로 상기의 면적 비율만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개구부(722)는 제1 개구부(510)가 매우 작은 면적을 가질 경우, 접착 부재(700)를 팽팽하게 바텀 샤시(500)에 부착한 다음, 별 도의 절개 도구를 이용하여 단순히 절개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는 패널구동필름(600)의 구동 소자(610)들에 의해 바텀 샤시(500)의 제1 개구부(510)와 몰드 프레임(400)의 제3 개구부(430)로 밴딩된다.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는 제1 및 제3 개구부(510, 430)로 밴딩된 후,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와 수직한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서는 실질적으로,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의 사이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 전기적인 간섭 문제는 무시할 수 있다.
제1 개구부(510)는 구동 소자(610)들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의 폭(w)은 약 0.2㎜ 내지 0.4㎜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는 상기 공간으로 밴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접착 부재(700)는 절연부(720)의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를 통해 제1 개구부(510)에서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절연부(720)는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이 단락되어 구동 소자(610)들의 기능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적인 구성 없이 단순히 접착 부재(700)를 제1 개구부(510)에서 단순히 절개하여 절연부(720)를 형성시킴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400)의 제3 개구부(430)는 제1 개구부(510)의 면적을 전 체적으로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개구부(430)는 가장자리가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와 일직선 상에 형성되거나, 그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개구부(430)는 몰드 프레임(400)의 사출 성형으로 인해 가장자리가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몰드 프레임(400)의 사출 성형에 따라 발생될 수 버(bur)로써, 그 두께는 약 0.05㎜일 수 있다. 만약에, 상기 버를 임의로,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 전체적으로 형성시킨다면, 상기 버를 이용하여 제1 개구부(510)에서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버의 두께인 약 0.05㎜는 제1 개구부(510)에서 구동 소자(610)들의 삽입에 필요한 공간인 약 0.3㎜보다 작은 수치이므로, 형성 후, 제품의 전체 길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유사한 개념으로,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바텀샤시에 별도의 절연 코팅막을 형성하여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 코팅막은 형성이 간단하면서 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silico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절연 코팅막은 제1 개구부(510)에서 바텀 샤시(500)와 마주보는 구동 소자(610)들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코팅막은 그 형성 상, 최소 약 0.0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개구부(510)에서 구동 소자(610)들의 삽입에 필요한 공간인 약 0.3㎜보다 작으므로, 형성 후, 제품의 길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 중 절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의 참조 번호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와 관련된 것이므로, 도 6에서의 참조 번호와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설명에서 접착 부재는 도 6에서의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접착 부재(800)의 절연부(820)는 제1 및 제2 밴딩부(822, 824)와 함께 제3 밴딩부(826)와 제4 밴딩부(828)를 더 포함한다.
제3 밴딩부(826)는 제1 및 제2 밴딩부(822, 824)와 수직하도록 접착부(810)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3 밴딩부(826)는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의 단변에 대응되는 접착부(810)로부터 연장된다. 제3 밴딩부(826)는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한변이 접착부(810)와 연결된다.
제4 밴딩부(828)는 제1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면서 제3 밴딩부(826)와 마주보도록 접착부(810)로부터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4 밴딩부(828)는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 중 다른 단변에 대응되는 접착부(810)로부터 연장된다. 제4 밴딩부(828)는 제3 밴딩부(826)와 마찬가지로, 제1 개구부(5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한변이 접착부(810)와 연결된다. 즉, 제4 밴딩부(828)는 실제로, 접착부(810)와 연결되는 변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 밴딩부(826)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및 제4 밴딩부(826, 828)는 제1 및 제2 밴딩부(822, 824)에 추가적으로, 제1 개구부(510)로 밴딩된다. 제3 및 제4 밴딩부(826, 828)는 구동 소자(610)들을 제1 및 제2 밴딩부(822, 824)와 수직한 방향에서 바텀 샤시(500)와 전기적으로 간 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 및 제4 밴딩부(826, 828)는 구동 소자(610)들의 크기가 커져 제1 개구부(510)의 단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그 역할이 더 중요시될 수 있다.
절연부(820)는 제1, 제2, 제3 및 제4 밴딩부(822, 824, 826, 828) 사이에 제2 개구부(829)가 형성된다. 제2 개구부(829)는 제3 및 제4 밴딩부(826, 828) 측에서 "Y" 형상을 갖는다. 이는, 제1, 제2, 제3 및 제4 밴딩부(822, 824, 826, 828)가 서로 오버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로써, 제1, 제2, 제3 및 제4 밴딩부(822, 824, 826, 828)는 서로 간섭 없이 제1 개구부(510)로 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개구부(829)는 접착 부재(800)를 팽팽하게 바텀 샤시(500)에 부착한 다음, 별도의 절개 도구를 이용하여 단순히 절개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800)가 제1 및 제2 밴딩부(822, 824)와 함께, 이들과 수직하게 형성된 제3 및 제4 밴딩부(826, 828)를 더 포함함으로써,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 사이를 전체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소자(610)들이 바텀 샤시(500)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 중 절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접착 부재의 참조 번호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와 관련된 것이므로, 도 7에서의 참조 번호와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설명에서 접착 부재는 도 7에서의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접착 부재(900)의 절연부(920)에는 제1 개구 부(510)보다 바텀 샤시(500)의 두께 정도로 축소된 제2 개구부(922)가 형성된다. 제2 개구부(922)는 제1 개구부(51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바텀 샤시(500)의 두께는 표시 장치(100)가 최근에 슬림화 추세에 있음에 따라, 약 0.1㎜ 내지 약 0.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15㎜일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922)는 모든 변이 제1 개구부(510)보다 약 0.15㎜ 만큼 축소될 수 있다.
절연부(920)는 제2 개구부(922)를 중심으로 접착부(910)로부터 약 0.15㎜ 만큼 연장되어 구동 소자(610)들에 의해 밴딩되는 밴딩부(924)를 포함한다. 이는, 절연부(920)가 밴딩부(924)를 통해 실질적으로,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달리, 제2 개구부(922)는 약 0.15㎜보다 소정의 차이로 더 축소되어 밴딩부(924)의 길이를 더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개구부(922)는 제1 개구부(510)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절연부(920)가 밴딩되어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한다면, 제2 개구부(922)는 제1 개구부(510)와 다른 중심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개구부(922)는 접착 부재(900)를 형성할 때, 같이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부재(900)는 제1 개구부(510)보다 축소된 제2 개구부(922)를 형성시켜 절연부(920)를 제작함으로써, 바텀 샤시(500)와 구동 소자(610)들의 전기적인 간섭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표시 장치(100) 중 일체형의 몰드 프레임(400)과 바텀 샤시(500)에 백라이트 유닛(300)과 표시 패널(200)을 수납한다. 이어, 표시 패널(200) 중 제1 기판(210)의 단부에 패널구동필름(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패널구동필름(600)에는 구동 소자(610)들이 밀집되어 배치된다. 구동 소자(610)들은 패널구동필름(600) 중 바텀 샤시(500) 방향에 배치된다. 즉, 바텀 샤시(500)에는 구동 소자(610)들이 배치되도록 제1 개구부(510)가 형성된다.
이어, 바텀 샤시(500)의 배면에 접착 부재(700)를 팽팽하게 접착시킨다. 접착 부재(700)는 패널구동필름(600)을 바텀 샤시(500)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접착 부재(700)는 매우 얇으면서, 플렉시블한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접착 부재(700)에 제1 개구부(51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제2 개구부(722)를 갖는 절연부(720)를 형성시킨다. 절연부(720)는 제1 개구부(510)로 밴딩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절연부(720)의 제2 개구부(722)는 접착 부재(700)를 별도의 절개 도구를 이용하여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부(720)는 제1 개구부(5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패널구동필름(600)을 바텀 샤시(500)의 배면으로 밴딩시킨다. 이와 동시에, 구동 소자(610)들을 제2 개구부(722)를 통해 제1 개구부(510) 로 삽입시킨다. 이로써, 절연부(720)가 구동 소자(610)들에 의해 제1 개구부(510)로 밴딩되도록 한다. 즉, 절연부(720)의 제1 및 제2 밴딩부(724, 726)는 구동 소자(610)들과 바텀 샤시(5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절연부(720)는 구동 소자(610)를 바텀 샤시(500)로부터 전기적으로 보호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서와 같이 구동 소자(610)들을 제1 개구부(510)로 완전히 삽입시키면서 패널구동필름(600)을 접착 부재(700)에 접착시켜 표시 장치(10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바텀 샤시 배면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던 종래의 몰드 리브를 대신하여 바텀 샤시와 패널구동필름의 접착을 위한 접착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구동 소자들과 바텀 샤시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면서 제품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부가 접착 부재를 바텀 샤시의 개구부에서 간단하게 절개시켜 형성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몰드 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배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바텀 샤시;
    상기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구동 소자들을 갖는 패널구동필름; 및
    상기 패널구동필름 및 상기 바텀 샤시를 사이에서 접착하는 접착부 및 상기 구동 소자들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로 밴딩되는 절연부를 갖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1 밴딩부; 및
    상기 제1 밴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2 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 밴딩부와 상기 제2 밴딩부 사이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개구부 보다 0.3 내지 0.7배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3 밴딩부; 및
    상기 제3 밴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4 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3 및 제4 밴딩부 측에서 "Y" 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에는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상기 바텀 샤시의 두께만큼 축소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면적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은 사출 성형 방식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일체형의 몰드 프레임과 바텀 샤시에 수납된 표시 패널에 구동 소자들을 상기 바텀 샤시 방향에 갖는 패널구동필름을 연결하고, 제1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바텀 샤시의 배면에 접착 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 부재에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좁은 면적의 제2 개구부를 갖는 절연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널구동필름을 상기 배면으로 밴딩시키면서 상기 구동 소자들을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개구부로 삽입시켜, 상기 절연부가 상기 구동 소자들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로 밴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조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1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밴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된 제2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조립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밴딩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서 상기 접착 부재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조립 방법.
KR1020070007762A 2007-01-25 2007-01-25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80070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62A KR20080070129A (ko) 2007-01-25 2007-01-25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11/957,785 US20080180621A1 (en) 2007-01-25 2007-12-1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08015148A JP2008181135A (ja) 2007-01-25 2008-01-25 表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62A KR20080070129A (ko) 2007-01-25 2007-01-25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129A true KR20080070129A (ko) 2008-07-30

Family

ID=3966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762A KR20080070129A (ko) 2007-01-25 2007-01-25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80621A1 (ko)
JP (1) JP2008181135A (ko)
KR (1) KR200800701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7537A1 (de) 2008-07-18 2010-02-04 Samsung Corning Precision Glass Co., Ltd., Gumi Berührungseingabe detektierendes Anzeigefilter und Anzeigevorrichtung mit demselb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54B1 (ko) * 2007-02-27 2008-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1515462B1 (ko) * 2008-11-13 2015-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8731618B2 (en) * 2009-04-23 2014-05-20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67961B1 (ko) * 2010-08-31 2017-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공급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TWI468790B (zh) * 2013-12-12 2015-01-11 Au Optronics Corp 顯示模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7537A1 (de) 2008-07-18 2010-02-04 Samsung Corning Precision Glass Co., Ltd., Gumi Berührungseingabe detektierendes Anzeigefilter und Anzeigevorrichtung mit dem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81135A (ja) 2008-08-07
US20080180621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86B1 (ko)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US8488078B2 (en) Chassis formed of interlocking parts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7306357B2 (en) Line light source using light emitting diode and lens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US8212961B2 (en)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first FPCB mount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connecting a second FPCB via a through hole formed on a lower cover
US78872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119186B1 (ko) 표시패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221970B2 (ja) 可撓性回路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JP200635152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20080074903A1 (en) Backlight assembly and cover for a compact display apparatus
JP2008293979A (ja) 光源モジュールと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ら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の厚さを減少させる方法
JP4210506B2 (ja) 導電部材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EP1930958A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source uni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2008007012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07011987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15216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90290327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0498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60079694A (ko)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보호용 필름 부재 및 이를 이용한평판표시장치
JP4680713B2 (ja) ワイヤー固定部材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433803B1 (ko) 엘시디용 백라이트 유닛
KR10158845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232829Y1 (ko) 양방향으로 발광하는 도광판
KR10167431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6108109A (ja) 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070092770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