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394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394A
KR20080069394A KR1020070007056A KR20070007056A KR20080069394A KR 20080069394 A KR20080069394 A KR 20080069394A KR 1020070007056 A KR1020070007056 A KR 1020070007056A KR 20070007056 A KR20070007056 A KR 20070007056A KR 20080069394 A KR20080069394 A KR 20080069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mbossed pattern
light source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천
오영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394A/ko
Publication of KR2008006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된 오목홈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 및 상기 엠보스 패턴의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수납 부재에 열을 모을 수 있는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엠보스 패턴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각기 서로 다른 사이즈의 홀을 형성하여 엠보스 패턴 영역의 공기 순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표시 패널의 열을 냉각시켜 표시 패널의 열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광원, 엠보스스 패턴, 관통홀, 수납부재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BACKLIGTH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수납 부재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C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D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를 E-E선에 대해 자른 단면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납 부재 110 : 엠보스 패턴
111, 112 : 관통홀 200 : 반사판
300 : 램프 유닛 400 : 램프 고정 프레임
500 : 광학 시트 600 : 상부 수납 부재
700 : 표시 패널 800 : 몰드 프레임
10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 하부에 공기 순환이 가능한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여 표시 장치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 중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단위 픽셀의 액정 배열을 변화시켜 광 투과량을 조절하여 목표로 하는 화상을 표시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로 액정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제품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존의 TV 제품에 비하여 온도에 관련하여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에서 광과 함께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고, 이 열로 인해 액정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광원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에 열을 모을 수 있는 엠보스 패턴(emboss pattern)을 형성하고, 상기 엠보스 패턴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각기 서로 다른 사이즈의 홀을 형성하여 엠보스 패턴 영역의 공기 순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광원의 열을 냉각시켜 열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된 오목홈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 및 상기 엠보스 패턴의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보스 패턴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하측 영역에서 상측 영역으로 연장 된 바 또는 판 형상을 갖고,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하측 영역과 인접한 상기 엠보스 패턴부에 상기 제 1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상측 영역과 인접한 상기 엠보스 패턴부에 상기 제 2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 1 관통홀의 면적이 상기 제 2 관통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원과 상기 수납 부재 사이에 마련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하는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된 오목홈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 및 상기 엠보스 패턴의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 유닛 상측에 마련된 광학 시트와, 상기 광원 유닛 하측에 마련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 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수납 부재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C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D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유닛(300)과, 램프 유닛(300)을 수납하는 수납 부재(100) 그리고, 램프 유닛(300)과 수납 부재(100) 사이에 마련된 반사판(200)을 포함한다.
램프 유닛(300)은 램프(310)와 램프(310)의 양 끝단을 감싸는 램프 홀더(320)를 포함한다. 램프(310)는 냉음극선관 방식의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램프(310)는 중공의 몸체와 몸체 양단에 마련된 전극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 내측에는 형광체가 도포되고, 방전 가스가 마련된다. 램프(310)는 전극 단자의 방전에 의해 형광체가 여기되어 백색광을 발광한다. 램프 홀더(320)는 램프(310) 가장자리 즉, 전극 단자 영역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램프(310)를 고정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램프(310)를 보호한다. 램프 홀더(320)는 충격 흡수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충격 흡수 물질로 플라스틱, 아크릴,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실란트, 고무, 우레탄, 스폰지 및 가스킷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램프(310)의 전극 단자의 일부가 램프 홀더(320)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전극 단자에 접속된 금속 배선이 램프 홀더(3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전원과 접속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램프 유닛(300)으로 LED 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바 형태의 기판 상에 복수의 LED 램프를 실장하여 냉음극선관 램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반사판(200)은 높은 광반사율을 갖는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반사판(200)은 램프 유닛(300)으로부터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반사판(200)이 플랫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 반사면과, 기준 반사면에서 돌출된 삼각산을 갖는 굴곡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판(200)을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수납 부재(100)와 반사판(200)을 일체로 제작하거나, 수납 부재(100)의 바닥면에 반사 효율이 우수한 물질을 코팅하여 반사판(200)을 대신할 수도 있다.
수납 부재(100)는 반사판(200)과, 복수의 램프 유닛(300)을 포함하는 수납 공간과, 수납 공간의 하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110)를 포함한다. 수납 부재(10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수납 부재(100)는 직사각판 형상의 바닥면과, 바닥면의 4변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측벽면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수납 공간의 하측은 수납 부재(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복수의 엠보스 패턴부(110)는 표시 패널의 특히 백라이트의 열을 모아 냉각 시기키 위해 수납 부재(1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스 패턴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부재(100)의 바닥면이 오목하게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부재(1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홈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 형상, 타원 형상 그리고, 다각형 형상이 가능하다. 움푹하게 들어간 홈으로 인해 수납 부재(100)의 바닥면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반사판(200) 사이에 열을 모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표시 패널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 형상의 바닥면의 두 장변 중 하나의 장변 영역을 수납 부재(100)의 하측으로 지칭하고, 다른 하나의 장변 영역을 수납 부재(100)의 상측으로 지칭한다. 즉, 도 1에서 램프 유닛(300)의 연장 방향의 아래쪽 영역을 수납 부재(100)의 하측 영역으로 하고, 램프 유닛(300)의 연장 방향의 위쪽 영역을 수납 부재(100)의 상측 영역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부재(100) 바닥면 중앙에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110a)가 마련되고, 중앙에 마련된 엠보스 패턴부(110a) 양측(양 가장자리)에 각기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110b, 110c)가 각기 마련된다. 도 2에서는 중앙에 위치한 엠보스 패턴부(110a)의 폭이 그 주변에 마련된 엠보스 패턴부(110b, 110c)의 폭보다 크게 제작되고, 중앙에 위치한 엠보스 패턴부(110a)의 연장 길이는 그 주변에 마련된 엠보스 패턴부(110b, 110c)의 연장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앙부 상측 즉, 엠보스 패턴부(110)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에 표시 패널을 구동시 키기 위한 회로 기판들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엠보스 패턴부(1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또한, 엠보스 패턴부(110)의 형성 위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즉, 수납 부재(100) 바닥면 중 회로 기판들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엠보스 패턴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 부재(100)의 하측 영역에서 상측 영역으로 연장된 홈 형상의 엠보스 패턴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관통홀(111)과, 상부의 배출 관통홀(112)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관통홀(111)은 수납 부재(100)의 하측 영역과 인접한 엠보스 패턴부(110)에 형성되고, 배출 관통홀(112)은 유입 관통홀(111)에 대향하여 수납 부재(100)의 상측 영역과 인접한 엠보스 패턴부(11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엠보스 패턴부(110)의 양 가장자리에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한 관통홀(111, 112)을 마련하여 엠보스 패턴부(110) 내의 공기 순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표시 패널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관통홀(112)의 면적의 크기가 유입 관통홀(111)의 면적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수납 부재(100)의 하측 영역과 인접한 엠보스 패턴부(110)에 형성된 유입 관통홀(111)의 면적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수납 부재(100)의 상측 영역과 인접한 엠보스 패턴부(110)에 형성된 배출 관통홀(112)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즉, 유입 관통홀(111)의 최대 직경이 배출 관통홀(112)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인 유입 관통홀(111)의 면적을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인 배출 관통홀(112)의 면적보다 작게하여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공기가 그 면적이 작은 유입 관통홀(111)(즉, 유입구)를 통과할 경우 면적이 작아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엠보스 패턴부(110)의 소정 공간 내부로 빠르게 유입된다. 빠르게 유입된 공기는 엠보스 패턴부(110)의 소정 공간에 갇혀있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배출 관통홀(112)(즉, 배출구)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많은 양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엠보스 패턴부(110)의 더운 공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표시 패널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스 패턴부(110)들 간의 유입 관통홀(111)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스 패턴부(110)들 간의 배출 관통홀(112)의 면적 또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관통홀(111)은 그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배출 관통홀(112)은 그 단면이 사각 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관통홀(112)과 유입 관통홀(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때, 배출 관통홀(112)의 면적은 유입 관통홀(111)의 면적보다 1.5배 내지 10배 큰 것이 효과적이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를 E-E선에 대해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700),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 몰드 프레임(800) 및 상부 수납 부재(6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700)은 상부 기판(710)과 하부 기판(720), 그리고 이들 사이에 마련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상부 기판(710)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상부 기판(710)의 전면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하부 기판(720)은 매트릭스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되어 드레인 단자의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하부 기판(720)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면 화소 전극과, 상부 기판(710)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고 이에 인해 하부 기판(720)과 상부 기판(710)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의 배열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에 따라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기판(720)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에 각기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소정의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700)의 상부와 하부면에 편광판(미도시)이 각기 부착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는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 유닛(300)과, 램프 유닛(300)을 지지 고정하는 램프 고정 프레임(400)과, 상기 램프 고정 프레임(400) 상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500)와, 램프 유닛(300) 하측에 마련된 반사판(200)과, 램프 유닛(300)과 램프 고정 프레임(400)과 반사판(200)을 수납하고 유입 관통홀(111)과 배출 관통홀(112)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110)을 구비하는 수납 부재(100)를 포함한다.
램프 고정 프레임(400)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한다. 램프 고정 프레임(400)의 양 단변에 해당하는 내측벽에는 램프 홀더(320)를 지지 고정하는 오목부(410)이 마련된다. 램프 고정 프레임(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과 상부벽의 내측에서 연장된 내측벽과, 내측벽과 수납 부재(100) 사이 영역에 마련된 격벽을 포함한다. 상부벽에는 광학 시트(500)를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면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은 램프 고정 프레임(400)의 강도를 보강하고, 램프 고정 프레임(400) 내측의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어 램프 유닛의 열을 외부로 방출 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500)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 및 휘도 향상 시트를 포함한다. 확산 시트는 램프 유닛(3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표시 패널(700)의 정면으로 향하게 하고,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광을 확산시켜 표시 패널(700)에 조사한다. 휘도 향상 시트는 투과축과 평행한 광은 투과시키고 나머지 광은 반사시 켜 광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수납 부재(100)는 이의 하측 영역에서 상측 영역 방향으로 연장된 바 또는 판 형상의 복수의 엠보스 패턴부(110)를 구비한다. 엠보스 패턴부(110)의 연장부의 양 끝단에는 제 1 관통홀(즉, 유입 관통홀(111))과 제 2 관통홀(즉, 배출 관통홀(112))이 마련된다.
상술한 몰드 프레임(800)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측의 광학 시트(500)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측의 표시 패널(70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몰드 프레임(800)은 다수의 계단형 단턱이 마련되고, 이 단턱을 통해 광학 시트(500)와 표시 패널(700)을 지지한다.
상술한 상부 수납 부재(600)는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쉬운 표시 패널(7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1000)를 보호하기 위해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벽부를 갖는 사각틀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상부 수납 부재(600)의 평면부는 그 하부에서 표시 패널(700)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고, 측벽부는 수납 부재(100)의 측벽들과 대향하여 결합된다. 상부 수납 부재(600) 및 수납 부재(100)는 강도가 우수하고, 가벼우며, 변형이 적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수납 부재에 열을 모을 수 있는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엠보스 패턴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각기 서로 다른 사이즈의 홀을 형성하여 엠보스 패턴 영역의 공기 순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표시 패널의 열을 냉각시켜 표시 패널의 열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8)

  1. 광원;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 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된 오목홈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 및
    상기 엠보스 패턴의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면적이 서로 다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 패턴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하측 영역에서 상측 영역으로 연장된 바 또는 판 형상을 갖고,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하측 영역과 인접한 상기 엠보스 패턴부에 상기 제 1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 부재의 상기 상측 영역과 인접한 상기 엠보스 패턴부에 상기 제 2 관통홀이 마련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의 면적이 상기 제 2 관통홀의 면적보다 작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수납 부재 사이에 마련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발광하는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수납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된 오목홈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패턴부 및 상기 엠보스 패턴의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관통홀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면적이 서로 다른 표시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 상측에 마련된 광학 시트와, 상기 광원 유닛 하측에 마련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007056A 2007-01-23 2007-01-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69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56A KR20080069394A (ko) 2007-01-23 2007-01-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56A KR20080069394A (ko) 2007-01-23 2007-01-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94A true KR20080069394A (ko) 2008-07-28

Family

ID=3982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056A KR20080069394A (ko) 2007-01-23 2007-01-23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93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9542B (zh) 背光總成及具有其之顯示裝置
KR101529556B1 (ko) 방열이 용이한 액정표시소자
US7422358B2 (en) Backlight module
JP2013134501A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TWI512371B (zh) 液晶顯示裝置用背光單元
KR10133802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1841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80015317A (ko) 광원 유닛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지지대의 제조 방법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8003064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0023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16543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KR20130011175A (ko) 액정표시장치
JP2007058221A (ja) 液晶表示装置
KR2008006939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1833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794568B1 (ko) 평판형 형광램프
KR102076235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095191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112176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2392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848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8112A (ko) 백라이트 램프 유닛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00721A (ko) 표시장치
KR20160011753A (ko) 엘이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2006009259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