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391A -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391A
KR20080069391A KR1020070007048A KR20070007048A KR20080069391A KR 20080069391 A KR20080069391 A KR 20080069391A KR 1020070007048 A KR1020070007048 A KR 1020070007048A KR 20070007048 A KR20070007048 A KR 20070007048A KR 20080069391 A KR20080069391 A KR 20080069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ouch pad
mobile terminal
pattern
coordin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391A/ko
Publication of KR2008006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초기화 요청시, 초기화하는 과정과, 표시부에 설정된 패턴을 표시하는 과정과, 터치패드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의 좌표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표시부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오프셋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Method For Touchscreen Initialization Setting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 및 터치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패턴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 초기화시,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패턴을 이용하여 표시부 및 터치패드 간의 오프셋을 조정 하여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screen)은 표시부에 터치패드(Touch pad)가 부착되어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드는 상하좌우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물체가 이 격자에 접촉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PDA(Persnal Digital Assistant)에 장착되는 경우가 대표적이지만, 각종 기기가 GUI(Graphic User Interface)화 됨에 따라 네비게이션(Navigation), POS(Point-Of-Sale)기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이유는 입력의 편리성 및 기기의 소형화로 인하여 입력부를 따로 배치할 공간이 마땅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터치패드는 휴대 단말기 제조시 표시부와의 기구적 공차로 인해 표시부에 정확하게 정렬(Aligment)하여 부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기기를 초기화할 때마다 표시부 및 터치패드 간의 오프셋 값을 조정하여 터치스크린의 초기화를 설정해야 한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초기화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특정 패턴을 입력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운전중이거나 손을 섬세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정확하게 입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초기화시,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패턴을 이용하여 터치패드와 표시부 간의 오프셋을 조정함으로써 자동으로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초기화 요청시, 초기화하는 과정과, 표시부에 설정된 패턴을 표시하는 과정과, 터치패드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의 좌표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표시부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전송된 좌표값의 시프트 간격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시프트 간격에 따른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표시부의 오프셋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휴대 단말기의 초기화는 휴대 단말기의 프로그램 및 내부 구성요소들을 휴대 단말기가 제조될 때의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초기화는 리셋 또는 포맷 등으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터치패드가 표시부의 표시영역에 대향되도록 부착된 구성을 의미하고, 오프셋(Offset)은 표시부와 터치패드 간의 시프트 간격을 보상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 일측에 터치패드가 구비되고 표시부 및 터치패드 간의 오프셋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구성을 가지는 단말기 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셀룰러 폰, 팜탑(Palmtop) 컴퓨터 및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표시부(120), 터치패드(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입력부(11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1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신호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로 형성되며 화면이 표시되는 일측에는 터치패드(130)가 부착된다. 또한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 초기화시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특정 패턴의 문형을 표시함과 아울러 빛을 방출한다. 여기서, 특정 패턴의 문형은 휴대 단말기(100) 제조시 설정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20)는 LC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20)는 표시영역 일측에 터치패드가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브라운관(Catod-ray Tube CRT),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이에 대한 응용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터치패드(130)는 표시부(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접촉한 영역의 좌표 즉, 위치값을 검출한다. 이러한 터치패드(130)는 저항막, 정전용량, 초음파, 광센서 및 전자유도 방식등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130)는 광센서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130)는 광센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부(120)에서 방출하는 빛을 감지하여 빛을 감지한 영역의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는 어떠한 터치패드(130)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광센서 방식의 터치패드(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주위에 복수개의 발광소자 및 복수개의 수광소자를 배치하고, 상기 발광소자에서 적외선과 같은 광선을 발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지나 대향하는 수광소자에서 광선을 수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터치패드(130)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광소자(발광소자, 수광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센서 방식의 터치패드(130)는 발광소자 및 그에 대향하는 수광소자를 정렬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수광소자에 대한 좌표값을 미리 설정한 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차단되는 광선에 대한 좌표값을 판독하여 터치된 위치를 검출함과 아울러 제어부(150)에 좌표값을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130)는 휴대 단말기(100) 초기화시, 표시부(120)의 표시영역에서 방출되는 특정 패턴의 문양의 빛을 감지하고, 빛이 감지된 영역의 좌표값을 검출한다. 아울러 터치패드(130)는 빛이 감지된 영역에서 검출된 좌표값을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폰 북 및 표시부(120)와 터치패드(130) 간의 오프셋 값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초기화 설정시, 표시부(120)에서 방출한 빛의 좌표값과 터치패 드(13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송한 감지된 빛의 좌표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표시부(120) 및 터치패드(130) 간의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초기화 상태가 아닐 때, 터치패드(130)에서 전송되는 좌표값에 오프셋을 조정하여 조정된 좌표값에 대응되는 메뉴를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초기화시, 표시부(120)에서 특정 패턴의 문양으로 방출한 빛의 좌표값을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 초기화시, 표시부(120)의 표시영역에 빛을 방출하여 터치패드(130)로부터 감지된 빛의 좌표를 전송받아 표시부(120)를 통해 방출한 빛의 좌표값과 터치패드(130)로부터 전송된 빛의 좌표값을() 비교한다. 즉, 제어부(150)는 비교한 좌표값에 따라 터치패드(130)가 표시부(120)의 표시영역으로부터 얼마나 시프트(Shift)되었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라 오프셋을 조정하여 터치스크린의 초기화를 설정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초기화를 요청하면, 휴대 단말기(100)를 초기화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재부팅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표시영역에 특정 패턴의 문양으로 빛을 송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특정 패턴의 문양으로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의 좌표값을 저장한다. 이렇게 표시부(120)에 빛을 방출하면, 제어부(150)는 터치패드(130)로부터 터치패드(130)에서 감지된 빛의 좌표값을 전송받아 표시부(120)에서 방출된 빛의 좌표값과 비교한다. 예컨대, 기구적 공차로 인해 터치패드(1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표시영역에서 오른쪽으로 일정간격 시프트되거나 왼쪽으로 일정간격 시프트된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특정 패턴의 문양으로 빛을 방출하고, 터치패드(130)로부터 터치패드(130)에서 감지된 빛의 좌표값을 전송받는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송출한 빛의 좌표값과 터치패드(130)에서 감지된 빛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터치패드(130) 및 표시부(120)간에 시프트 방향 및 간격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렇게 산출된 값을 통해 표시부(120) 및 터치패드(130) 간의 오프셋을 조정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설정을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가 초기화 상태가 아닐때 터치패드(130)로부터 좌표값이 전송되면, 상기 좌표값에 조정된 오프셋을 적용하여 그에 대응되는 메뉴(혹은 기능)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메뉴는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및 문자 입력 등을 명령할 수 있도록 한 조작 순서 일람표를 의미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무선 주 파수 통신부, 키입력부, 카메라부, 디지털 방송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 설정방법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50)는 S10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초기화 요청을 감지하면, S1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초기화를 설정하고 S102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재부팅한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초기화를 요청하면 이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프로그램 및 내부 구성요소들을 휴대 단말기(100)가 제조될 때의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계수기, 스위치, 주소의 내용 등을 '0' 또는 휴대 단말기(100) 제조시 지정된 초기값으로 만든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을 재부팅한다.
제어부(150)는 S103 단계에서 재부팅된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20)에 특정 패턴 문양으로 빛을 방출하고, S104 단계에서 터치패드(130)에서 상기 빛을 감지하였는지 확인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20)에 특정 패턴 문양으로 빛을 방출함과 아울러 방출한 빛의 좌표값을 저장한다. 또한 터 치패드(130)는 표시부(120)의 표시영역과 대향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표시부(120)의 표시영역을 통해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고, 빛이 감지된 영역의 좌표값을 검출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S105 단계에서 터치패드(130)로부터 빛이 감지된 영역의 좌표값을 수신하고, S106 단계에서 표시부(120)에 방출한 빛의 좌표값와 터치패드(130)로부터 전송된 빛의 좌표값을 비교한다. 제어부(150)는 S107 단계에서 표시부(120)에 방출한 빛의 좌표값과 터치패드(130)로부터 전송된 빛의 좌표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S108 단계에서 표시부(120)와 터치패드(130) 간의 시프트 간격을 산출한다. 여기서 시프트 간격은 표시부(120)를 기준으로 터치패드(130) 시프트된 방향 및 간격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S109 단계에서 시프트 간격을 바탕으로 표시부(120)와 터치패드(130) 간의 오프셋을 조정하여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설정을 완료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터치패드(130)가 표시부(120)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간격 시프트됨을 확인하면, 시프트된 간격만큼 표시부(120)와 터치패드(130) 간의 오프셋을 조정한다. 이렇게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설정을 완료한 후, 터치패드(130)로부터 좌표값이 전송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좌표값에 오프셋을 조정하여 조정된 좌표값에 해당하는 메뉴를 활성화한다.
하지만 제어부(150)는 S107 단계에서 표시부(120)에서 방출한 빛의 좌표값과 터치패드(130)에서 감지된 빛의 좌표값이 일치하면, S110 단계에서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설정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 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은, 휴대 단말기 초기화시,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패턴을 이용하여 터치패드와 표시부 간의 오프셋을 조정하여 자동으로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설정할 수 있다.

Claims (8)

  1.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초기화 요청시, 초기화하는 과정과,
    표시부에 설정된 패턴을 표시하는 과정과,
    터치패드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의 좌표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표시부의 오프셋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패턴의 좌표값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전송된 좌표값의 시프트 간격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시프트 간격에 따른 상기 터치패드 및 상기 표시부의 오프셋 조 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 이후에,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좌표값이 입력되면, 상기 좌표값에 상기 오프셋을 조정하여 산출된 값에 해당하는 메뉴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간격은,
    상기 터치패드가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프트된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초기 상태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상태로 설정된 휴대 단말기를 재부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 제조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광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패턴을 빛으로 감지하고 상기 빛을 감지한 영역의 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KR1020070007048A 2007-01-23 2007-01-23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KR20080069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48A KR20080069391A (ko) 2007-01-23 2007-01-23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48A KR20080069391A (ko) 2007-01-23 2007-01-23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91A true KR20080069391A (ko) 2008-07-28

Family

ID=3982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048A KR20080069391A (ko) 2007-01-23 2007-01-23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93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699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104373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KR100900295B1 (ko)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JP57038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2116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US20070273663A1 (en)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902251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gnifying and displaying local image of touch display device by detecting approaching object
US20120113044A1 (en) Multi-Sensor Device
WO2014077296A1 (ja) 携帯端末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JP2011192215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201200714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81746A1 (en) Electrionic device with shortcu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53419A (ko)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장치
EP259642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40167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69391A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초기화 설정방법
AU2013205165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US20100265107A1 (en) Self-description of an adaptive input device
US20200310544A1 (en) Standing wave pattern for area of interest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